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권익중전>의 구조를 통해 본 작가의식 고찰

        윤보윤(Yoon, Bo-yoon) 한국언어문학회 2008 한국언어문학 Vol.64 No.-

        KwonIkjungJeon, one of Korean medieval novels, begins with hero’s love story and turns into a story about a treacherous courtier Ok Nang-mok’s finesse to break wedding march. Here, Seon-dong, a character born from Ik-jung and Chun-hwa, reveals outstanding abilities and also plays a role as hero against Ok Nang-mok, which involves a sort of heroic story. Moreover, the revival of the dead Chun-hwa reveals an aspect of story on return to life. In the aspect of plot structure, this novel has a combination of stories on wedding crisis, heroic actions and return to life. The author of this novel lets Ok Nang-mok meddle in the love story of hero to form a major obstacle against wedding, but allows for resolving unhappiness between couple in wedlock, so that he could embody the high-handedness of ruling class. On the way to punishment against Ok Nang-mok, the heroic story of Seon-dong becomes remarkable, which is a result from the expression of author’s inner desire for success through his novel. Seon-dong became the subject of identification for readers as well as author, and thereby could attract enthusiastic responses from them. In denouement where all conflicts are resolved to determine destiny of characters, the author of this novel decides to return Chun-hwa, a fairy being to the life in the world, because the author thought that the ultimatehappiness for mankind should be attained in this world. KwonIkjungJeon is a Korean medieval novel set in the peaceful world under the reliable control of Confucian ideal order, but turns into application of Taoistic world view, because such an order is broken up by Ok Nang-mok. As the evil character is killed by Seon-dong and former Confucian order becomes restored, the author uses Buddhist world view for the revival of Chun-hwa. The author adopts both Taoistic and Buddhist world view as an epoch-making means to solve given conflicts, ending up with correction of Confucian order.

      • KCI등재
      • KCI등재

        <하녀들>의 고전 소재 활용과 그 의미

        윤보윤(Yoon Bo yoon) 어문연구학회 2015 어문연구 Vol.85 No.-

        이 논문은 JTBC에서 방영되었던 역사 드라마 <하녀들>에 등장하는 여러 고전 소재를 바탕으로 고전문학이 가지는 문화콘텐츠로서의 현대적 가치를 살핀 것이다. 현대사회에서 매체는 급속도로 발달하고 있으나 이를 채울 수 있는 콘텐츠의 성장은 부족한 형편이다. 고전문학을 문화콘텐츠의 소재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그 내용을 창조적으로 분절하고 매체와 효과적으로 결합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런 의미에서 문화콘텐츠에 나타난 소재를 분석하고 이들의 현대적 효용을 되짚는 논의는 반드시 필요하다. 역사 드라마 <하녀들>에서 활용한 소재는 매우 전통적이지만 여러 의미를 부여하며 현대적 가치를 가지게 되었다. 고전 속 신발은 주로 남녀사이의 애정을 성취하도록 돕거나 인물의 소재와 행방을 알려주는데, 이 드라마에서 신발은 신분상의 격차와 주인공의 비참한 처지 및 등장인물의 속내를 보여주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고전 속 지환은 남녀 인물간 결연을 위해 주로 활용되는데, 마찬가지로 이 드라마에서도 남녀 주인공의 굳은 맹세를 확인하는 장치로 사용되었다. 또한 아들이 아버지를 찾기 위해 증표를 얻는 과정이 고전서사에 등장하는데 이 드라마에서는 이것이 동곳과 점으로 대응되어 나타났다. 역사 드라마 <하녀들>은 고전문학의 특정한 내용을 그대로 가져오지 않고 창조적 분절을 통해 소재만 차용한 뒤 여기에 스토리를 입혀 콘텐츠화하였다. 고전 소재를 반복적으로 노출시키는 기법을 바탕으로 고전문학의 현대적 가치를 입증하였는데, 일단 대중에게 익숙한 소재를 활용했기 때문에 시청자가 드라마의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었다. 또한 고전 소재를 클로즈업해서 자주 화면에 등장시켜 역사 드라마로서 고전미를 획득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이미 익숙한 소재를 한 화면 가득 배치하여 그 의미를 파악할 수 있게 하였기 때문에 다양한 매체로 드라마를 시청하는 대중의 습관에 매우 적합할 수 있었다. Although a huge amount of contents is being produced by a variety of media, there is lack of unique cultural contents containing our indigenous tradition. Many people tried to find the original cultural form from classical literature, to make a story, and to transform it to contents, but it was not continuously connected to success. However, materials, used in the Korean historical television series Hanyeodeul(Maids), now have modern values with implying various meanings even though they are very traditional contents. In classical literature, shoes are used to help a man and a woman become a couple or imply character's whereabouts. In this television series, shoes show the gap between social classes, reveal a miserable situation of the heroine, and imply the intentions of characters. In classical literature, rings are used to show a relation between a man and a woman. In Hanyeodeul(Maids), similarly, rings are used as a tool of assuring a firm pledge between the hero and heroine. In classical literature, a son is trying to find a token of his father and a top-knot pin and mole are used as the tokens in this television series. The historical television series Hanyeodeul(Maids) is produced as new contents through creative segmentation based on the materials of a preexisting story, instead of being made from a certain classical literature. Based on the technique of repetitively exposing classical materials, this television series prove that the values of classical literature is still valid in the 21st century. Above all, viewers are able to easily understand the contents of the series thanks to its materials familiar to the public. In addition, it showed classical beauty as a historical television series by frequently presenting classical materials in close-up. Lastly, it filled the screen with materials familiar to the public so that viewers can understand the implied meanings instantly. This technique is suitable for the current public's practice of watching television shows via various media, not limited in television.

      • KCI등재

        <장경전>의 상봉 화소를 통해 본 가정소설적 성격

        윤보윤(Yoon Bo-yoon) 어문연구학회 2018 어문연구 Vol.97 No.-

        이 글은 주요인물의 상봉 장면을 통해 <장경전>의 가정소설적 면모를 살핀 것이다. <장경전>은 영웅의 일대기에 따라 주인공이 시련을 극복하고 국난을 타개하므로 그간의 연구에서 주로 영웅소설로 분류되었다. 그러나 이 작품은 군담적 요소가 다른 영웅소설에 비해 약화되어 있고 오히려 가족과의 상봉 화소에 서사적 비중이 높게 나타난다. <장경전>의 전반부와 후반부는 부모 세대의 구몰을 기점으로 나눌 수 있는데 전반부에는 영웅담이, 후반부에는 쟁총담이 펼쳐진다. 그런데 이 두 부분이 긴밀성을 결여했다는 평가가 있기도 하다. 이러한 측면에 집중하여 이 작품의 가정소설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첫째, <장경전>은 영웅의 일대기를 바탕으로 구성되었으나 이것은 등장인물의 상봉을 위한 계기로 작용하였다. 장경은 어린 시절 부모와 이별하고 온갖 고초를 겪는다. 그러다 초운을 만나 정서적 공동체를 구축하게 되지만 그녀와도 곧 헤어지게 된다. 장경은 문무에 탁월한 재능 덕분에 입신양명하여 결국 잃어버렸던 가족을 만날 요건을 충족한다. 영웅적 활약으로 가족의 상봉이 가능했는데, 여기에서 군담적 요소는 감소하고 가족과의 결합이 더욱 중요하게 나타났다. 즉 영웅의 일대기를 기본 구성으로 하되, 이러한 서사가 가족의 상봉을 위한 계기로 활용되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가족 간의 상봉 장면을 자세하게 형상화하여 가족의 결합을 강조하였고 이를 통해 가정 공동체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작가의식이 드러났다. 이 작품은 상봉 화소를 풍부 하게 표현하기 위해 상봉의 조력자와 신물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부친과의 상봉에서는 신담이, 모친과의 상봉에서는 향란이 매개인물로서 도움을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그리고 상봉에서 신물을 확인하는 장면을 부각하여 가족 간 유대감을 강조하기도 하였다. 초운과의 상봉에서는 신물을 교환하며 애정과 신의를 드러내어 장경의 주체적 판단에 따른 연애혼을 긍정하기도 하였다. 이처럼 다양한 서사적 장치를 배치함으로써 가족 간 상봉 장면에서 가족애의 실현이라는 주제의식이 선명하게 드러났다. 셋째, <장경전>은 가족의 결합 장면에 서사적 비중을 두면서 가정 내의 효를 강조하였고 애정에 바탕을 둔 부부 관계를 긍정하였으며 가족애의 소중함을 드러냈다. 장경은 부모와 상봉한 이후 가문과 부모를 위해 무조건적으로 헌신하면서 효의 가치를 수호하였다. 또한 초운과의 결합 의지를 적극적으로 표현하고 가정 내 쟁총 사건을 엄격하게 처리함으로써 부부 간의 애정과 가족 구성원의 화합을 중요하게 여겼다. 이러한 장경의 모습을 통해 가정의 화목을 최고의 가치로 생각했던 당대 서민층의 사고를 짐작할 수 있다. Janggyeongjeon is often classified as a heroic novel. The hero’s chronicle illustrates a male protagonist who overcomes early struggles to pass the state examination and save the nation from doom. However, in relation to the conventional heroic novel archetype, Janggyeongjeon features less of the protagonist’s military triumphs and instead focuses the narrative around the hero’s reunion with his family after his heroic accomplishments. Furthermore, Janggyeongjeon has been noted for its weak link between the early and later chapters. This paper explores such elements of Janggyeongjeon to illuminate aspects of the family novel from its reoccurring scenes of family reunion, and uses this framework to conduct an in-depth analysis of its narrative structure. First, while Janggyeongjeon is based on the life of a hero, the heroic elements function to propel the reunion between the protagonist and his family. Janggyeong is separated from his parents due to early disturbances, and meets Chowoon who provides him great comfort but must ultimately part ways. Now alone, he uses his outstanding talents to rise to fame and prestige and even becomes an army general to save the nation from doom. Such accomplishments allow him to reunite with his family and form a complete home. In this process, the narrative highlights his reunion with his family members more so than his heroic actions that salvage the nation from crisis, demonstrating that the novel’s structure of chronicling a hero’s life is an instrument to facilitate family reunion. Secondly, the novel uses rich descriptions in the reunion scenes to heighten the family’s gathering, and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a domestic unit through such accounts. To effectively illustrate the union between family members, the novel actively utilizes keepsakes and aides who facilitate the reunion. When Janggyeong reunites with his father, the character of Shindam is set forth to deliver messages between the two and heighten narrative interest. The same method is used with Hyangran when Janggyeong reunites with his mother. Moreover, the novel presents scenes in which the characters confirm each other’s keepsakes to demonstrate the passing down of traditions and family bond. Janggyeong’s enthusiasm during his reunion with Chowoon signifies the importance of marriage based on love, and the confirmation of keepsakes they had traded earlier on emphasizes their love and trust towards each other. Such various devices construct a rich narrative of reunion, demonstrating that the author valued family love. Third, Janggyeongjeon’s narrative of family love emphasizes filial piety within the family, affirms marriage based on love, and reveals the significance of family love. After finally reuniting with his parents, Janggyeong guards the value of filial piety by putting all his efforts into supporting his parents and household despite current troubles and fulfilling his duty as their son. Moreover, he reunites with Chowoon to vow for devotion until death, and makes firm decisions to correct the wrongdoer in family disputes to cherish the couple’s love. Janggyeong’s such attitudes reveal that people of those times cherished filial piety and trust within the marriage as the first steps towards securing peace within the family and believed them to be foundations of a strong family relationship.

      • KCI등재

        <징세비태록>의 구성방식 고찰 : 지인지감 화소를 중심으로

        윤보윤(Yoon Bo-yoon) 어문연구학회 2021 어문연구 Vol.109 No.-

        이 글은 <징세비태록>에 나타난 지인지감 화소를 바탕으로 작품의 구성방식을 살핀 것이다. 이 작품은 청나라 건륭제 재위 시절을 배경으로 하여 안경과 화신의 대립을 주요한 내용으로 한다. 주인공 안경이 지인지감을 발휘하여 다양한 인물을 발탁하고 이들이 뛰어난 능력을 선보이며 나라를 위기에서 구하는 이야기이다. 지인지감을 통해 <징세비태록>은 차별화된 구성을 취할 수 있었는데 첫째, 부자 간 서사를 독특하게 배열하고 있다는 것이다. 아버지에서 아들로 시간적 순서에 따라 일방향으로 흐르는 진행을 하지 않고 안경에서 아들로, 다시 안경으로 사건 전개의 주체가 변화한다. 안경이 지인지감으로 인재를 알아보고 그들이 능력을 펼치는 이야기를 배열하면서 자연스럽게 안경의 서사 속에 아들의 이야기가 안기는 구조를 이루게 되었다. 둘째, 여성인물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선인과 악인의 대비를 선명하게 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작품에서 안경과 화신의 대결을 보면 조정 내에서의 정치적인 세력 다툼 정도로 요약될 수 있다. 악인으로 형상화된 화신의 경우 다른 고전소설의 반동인물처럼 황제를 배반하거나 반란군과 내통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선인과 악인을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는 기준은 바로 여성에 대한 인식의 차이로 제시된다. 지인지감을 지녀 성별에 관계없이 동일한 인격체로서 타인을 존중하고 그 능력을 인정할 수 있는 인물은 안경과 같은 선인인 것이고, 여성의 능력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전무하고 여색만 탐하는 인물은 화신과 같은 악인인 것이다. 셋째, 주동인물과 조력인물의 협력 관계가 잘 드러나고 있다는 것이다. 주인공은 지인지감을 지녔으나 이것만으로는 대결에서 승리하기가 어렵고 지감으로 선택된 인물들의 도움이 필요하다. 그리하여 주동인물인 지자가 선택한 피지자들의 활약으로 사건이 해결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지자와 피지자 사이의 협력이 부각되고 있다. 또한 주동인물이 피지자인 경우에도 지자인 보조인물이 적극적으로 조력하여 피지자의 성공에 기여한다. 이처럼 지인지감을 활용하여 <징세비태록>을 구성한 결과, 영웅적 면모를 특정 인물에게만 부여하지 않고 다양한 인물에게 나누어주어 보다 현실적이고 개연성 있는 전개가 가능해졌다. 그리고 화이론에 의거하여 송이나 명만을 절대적으로 좇던 다른 고전소설에 비하여 이 작품에서는 지인지감을 가진 인물이 충성하는 나라가 청이므로 백성을 위한 정치가 이루어진다면 청이라도 상관없다는 현실 인식을 표명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여성의 능력을 긍정하여 비범한 재능을 가진 인물이라면 성별과 관계없이 인재가 될 수 있고 그들이 적재적소에 쓰이도록 발탁하는 것이 중요하고 선한 행위라는 사실을 강조할 수 있었다. Jingsebitaerok is a classical novel describing the confrontation between Angyeong and Hwasin set in Emperor Geonleung of the Qing Dynasty. This novel is mainly about Angyeong, who had a tremendous discerning ability to see human nature in selecting talented people, and those who could cope with national crisis and ultimately castigate treacherous Hwasin’s group. In this process, the novel uses a sense of putting the right man in the right place as a tool that enables to play a crucial role in the overall composition of this work. Firstly, in terms of the primary composition method achieved through discerning ability to see human nature in this work, the narrative between father and son is carefully arranged. The story of Angyeong, who had a great sense of discerning ability to see human nature, had discovered talented people, including his own sons, and their abilities revealing was naturally able to form a structure which Angyeong’s narrative embraces his two sons’ stories. Secondly, the contrast between the good and the bad was made clear through female characteristics. In this work, the standard for dividing good and evil people is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women. With a discerning ability to see human nature for appreciating courtesy for human beings and recognizing others’ abilities, people could be good like Angyeong. While people only consider women to fulfill their needs, they become bad like Hwasin. Thirdly, the cooperation between the leading and subsidiary characters is highlighted. Disputes are resolved by the leading character with a discerning ability to see human nature and other characters chosen by him.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m is revealed in this process. In addition, when the active characters are chosen by a sense of a discerning ability to see human nature, subsidiary characters actively help out and eventually contribute to the success of the leading character. As a result of the composition of the work using a sense of a discerning ability to see human nature, unrealistic aspect of the work was alleviated, and relatively probable development was available because heroism was distributed not only to certain characters but also to various ones. It reveals a sense of theme that it would not matter if the Qing Dynasty were a country where good people could show their abilities. In addition, this work embraces the perception that a person with an ability to lead the world in the right direction and to recognize others’ abilities can be an asset for the country regardless of gender.

      • KCI등재

        학습자 동기유발을 통한 글쓰기 교육의 실제

        윤보윤 ( Bo Yoon Yoon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학연구 Vol.52 No.2

        이 논문은 켈러의 ARCS 이론에 토대를 두고 성공적인 대학 글쓰기 교육을 실현하기 위해 학습자의 동기를 중점적으로 살핀 것이다. 학습 동기를 유발하고 지속적으로 유지하려면 주의·관련성·자신감·만족감의 네 가지 요건을 충족해야 하며, 교수자는 각 범주를 통합하여 수업 설계에 이를 수 있어야 한다. 대학 글쓰기 교육의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서 학습자의 동기 유발이 중요하다. 주의 범주에서 교수자는 학습 상황을 주시하며 학습자의 집중도와 호기심 달성 여부 및 주의 환기를 위한 다양한 수업방법을 적용해야 한다. 그리고 관련성 범주에서는 학습자가 쓰는 행위 자체를 개인적 필요와 연관 지어 목표의식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자신감 범주에서 교수자는 학습목표와 평가기준 등을 명확하게 제시하고 학습자가 이러한 지침에 합당하게 과제를 수행하였을 때 이 과목에서 성공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도록 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만족감 범주에서 학습자는 글쓰기 수업을 통해 교수자에게 적절한 보상을 받고 성취감을 만끽할 수 있어야 한다. 과제로 부여되는 글쓰기 경험은 평가에 소홀할 수 없는 학습자에게 두려움으로 다가올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쓰기 활동에 대한 적절한 동기가 부여된다면 학습자는 훨씬 적극성을 띠고 과제를 수행할 것이다. 학습자가 무기력감에 빠져 쓰기 활동을 주저하지 않고, 학습 경험을 긍정적으로 여기는 과정에 이르게 하기 위한 전략으로서의 학습 동기 이론은 대학의 글쓰기 교육에 유용한 근거로 작용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solutions to draw a successful writing education from the ‘Discussion and Writing 1·2’ class introduced in the Mokwon University, focusing on the learner’s motivation. Keller’s ARCS theory focuses on the learner’s motivation to obtain an effective learning result. To trigger and keep learning motivation, four requirements-Attention, Relevance, Confidence, Satisfaction-shall be satisfied and the instructor needs to integrate each category for class design. In the ‘Discussion and Writing 1·2,’ the learner’s motivation is a significant issue to achieve the goal of the academic writing education. In the ‘attention’ category, it is necessary to have the writing learner pay attention by appropriately using audio and video materials in the pre-writing phase, to stimulate his/her intelligent curiosity by noticing that each issue of a discussion topic can be selected and used for his/her writing subject and to let his/her be interested in writing through various changes in teaching elements. In the ‘relevance’ category, it is needed to let the learner know that his/her experience or any experience related subject matter can be his/her writing material in order to make the learner be familiar to writing and have a clear goal as well as the teacher shall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feedback on the first assignment and provide corrections suitable to the learner’s needs. In the ‘confidence’ category, the instructor should clearly present the criteria of a writing assignment, set a higher expectation toward success, introduce success experiences regarding writing to attract the learner’s challenge and encourage the learner by letting him/her know that the learner’s efforts can make difference and draw positive results in the class. In the ‘satisfaction’ category, the learner’s internal satisfaction should be raised, some positive aspects should be highlighted in correction results and the instructor should provide assessment criteria through examples to let the learner understand those criteria and feel that the writing assignment is fairly evaluated. The learner may be frightened to writing assignments because he/she needs to always care about evaluation. In such a situation, the learner might be more positive in doing his/her assignment if he/she is well motivated to perform writing activities. If the learner stays motivated for writing constantly, the learner will do his/her best voluntarily to achieve his/her goal. The learning motivation theory, as a strategy to reach a level in which learning experience is considered positively without making the learner think he/she is helpless and hesitate writing activities, will work as an useful rationale for the academic writing education.

      • KCI등재

        <쌍주기연>의 보조인물 고찰

        윤보윤(Yoon Bo-yoon) 어문연구학회 2017 어문연구 Vol.93 No.-

        Ssangjugiyeon is a work that can be classified as a heroic novel or a ki-bong type(dramatic meeting between a man and woman) novel, which contains the story where a male character and female character form an alliance on the ground through a magic stone that is given by the sky, become separated soon after, overcomes each of their difficulties, and finally gather with all family members. The main storyline of classical novels is normally formed based on the main characters, however, this work uses various assistant characters in addition to the main characters, resulting in attaining a dramatic effect. First, the story creates a conflict by using confrontation between an evil assistant character and good assistant character, and in the end, the good that protects the traditional values of loyalty, filial piety, and fidelity prevails. Rather than placing the evildoer against the main character, the assistant characters were divided into good and bad, so that the characters would fight against the subjects in contrast with each, and the story clearly displayed the theme of didactic morality through the victory of the good characters in this fight. During this process, the evil assistant characters regret their faults and become incorporated into the order of the world pursued by the main character, which can be the lesson of the story. The story by which an ordinary assistant character makes efforts to pursue good despite of bearing difficulties has become a realistic model for readers. Second, the story uses the assistant characters, in addition to the main characters, to play an independe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the case. Because the assistant characters play a leading role, it was possible to add a realistic feel to the hero’s capabilities, to more realistically depict the alliance between the male and female characters, and to procure the probability of the narrative process. As a result, readers could meet with characters with various personalities by escaping the form possessed by main characters in classic novels. Third, an entertaining element has been added to the work by granting a comical function to certain assistant characters. Humorous expressions do not appear at all when the main story of the main characters unfold, however, once this situation ends, a comment by the assistant characters satirizing motif relating to the main character appears. This element allows readers to feel another type of fun through a method of alleviating tension without damaging the dignity of the main character. <쌍주기연>은 신물에 의해 인연이 점지되는 화소 때문에 기봉류소설로 분류되기도 하나, 남자 주인공의 영웅담이 보다 큰 비중을 차지하고 실제로 쌍주의 기능이 약화되어 나타나므로 영웅소설로 보기도 한다. 이 작품은 중심인물인 서천흥과 왕혜란이 자웅주를 계기로결연한후이산의아픔을겪지만각자에게닥친시련을현명하게극복하고온가족이 내용이다. 고난에서 벗어나 화평한 세계를 구축해 가는 중심인물의 서사도 흥미롭지만, 다양한 보조인물이 특수한 역할을 수행하면서 주인공의 서사를 함께 조직하고 있다는점은이작품이가진특별한매력이라고생각된다. <쌍주기연>은분량이많지않음에도 불구하고 보조인물을 다수 배치하여 작품의 내용을 풍성하게 조직하였다. 인물의 심리묘사보다 갈등을 그리는 데 집중하였는데, 보조인물 사이에 여러 사건을 안배한 것이다. 첫째, 악인형보조인물과선인형 보조인물을 대비하여권선징악의주제를 명확하게드러냈다. 영웅소설의주인공은충·효·열과같은전통적인이데올로기를수호하는인물이다. 이 작품에서는 주인공과 악한 인물의 대결보다 오히려 악인형 보조인물과 선인형 보조인물이대치하는양상이두드러진다. 남만왕과남만태자, 제왕과월향, 고산과구녀, 오이랑과 양신청이 대립하는데, 모두 선인형 보조인물이 승리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선행을 부각하였다. 남만 태자와 양신청은 충효를, 월향은 충의를, 구녀는 의열을 수호하는 보조인물로써 각각 대응되는 악인을 개과천선시켜 구제하거나 혹독한 징치를 겪도록 한다. 둘째, 주요한 사건을 진행하는 주체로 보조인물이 기능하기도 하였다. 대개의 고전소설에서는 중심인물이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그런데 이 작품에서는 보조인물에 의해 주된 사건이 전개되는 경우가 나타난다. 비복에 지나지 않는 장삼과 석낭이 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데, 이들이 존재하지 않았더라면 이 소설의 대표적 화소라고 말할 수 있는 중심인물의결연조차 이루어지지않았을것이다. 뿐만 아니라 주인공에대한 구제를 실행하기도 하고 후반부에 가서는 논리적인 사건 전개를 돕기도 하였다. 셋째, 중심 서사를 해학적으로 표현하는 역할 또한 보조인물이 담당하였다. 중심인물이희극적인 영역까지맡을 수는없는노릇이다. 아무리후대의영웅소설이라고하더라도 영웅인물의위엄은전형적인모습그대로지켜져야하므로웃음을유발할만한발언은보 조인물의 입을 통해 노출된다. 여기에서는 왕희평이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데, 주로 중심인물과관련된남장화소를희언의소재로삼는다. 이들이야기는 남녀주인공이 경험했던 주요 서사에서 비롯된 것인데, 모든 상황이 종료된 이후에 이러한 해학적 표현을 문면에 드러냄으로써 극적 재미를 추구하는 동시에 긴장감의 완화를 꾀하고 있다. <쌍주기연>은 선과 악을 대표하는 보조인물을 대조적으로 배치하여 교훈성을 부각하였다. 복선화음의 주제의식을 형상화함과 동시에, 일상적이고 평범한 인물이 승리하는 결말을 통해 독자에게 보다 현실적이고 명확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었다. 또한 보조인물을사건전개의중심에두기도하여사실적인묘사가가능하였고작품의개연성을확보할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보조인물의 해학적 발언을 통해 작품의 흥미성을 고양할 수 있었고, 이는 소설의 흥행에 긍정적인 영향으로 작용하였다

      • KCI등재

        <신유복전>의 서술방식과 그 의미

        윤보윤 ( Yoon Bo-yoon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인문학연구 Vol.56 No.1

        <신유복전>은 1917년에 활자본으로 발행된 작품으로, 당시 독자들에게 대중적으로 인기가 높았던 영웅소설의 여러 모티프를 계승하여 창작되었다. 상업적 이익을 목적으로 하여 흥행 요건을 망라하고 있기 때문에 시대적 요건에 비추어 보아 역사의식이 부족하다는 평가가 존재하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전대 영웅소설의 흥행 요소를 바탕으로 저작되었다고 해도, 독특한 서술방식을 더하여 작품을 창작한 작자의식이 담겨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첫째, 줄거리 요약을 통해 유기성을 확보하였다. 앞서 기술된 내용을 등장인물의 대사 속에 다시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다만 압축적으로 제시하여 독자가 지난 줄거리를 명료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또한 이러한 방식을 통해 다른 영웅소설보다 초년 고난의 서사를 곱씹을 수 있게 하여 비극성을 강화할 수 있었다. 둘째, 반복과 변주를 통해 서사를 지연하였다. 단번에 한 장면으로 서술 가능한 부분을 여러 인물의 시선을 좇으며 반복하여 묘사하고 있다. 어떠한 인물이 관찰하는지에 따라 하나의 광경이 그대로 반복되기도 하고 왜곡되어 변주되기도 한다. 장면의 반복 혹은 왜곡의 과정에서 서사의 진전이 멈춰져 독자는 인물의 명확한 대비를 체감할 수 있었고, 이에 따라 서사적 긴장감도 고조되었다. 셋째, 예언적 요소를 배치하여 서사를 미리 예측할 수 있게 하였다. 태몽이나 지인지감과 같은 모티프를 활용하여 독자에게 이후에 이어질 내용을 미리 노출하기도 한다. 당대의 독자는 이러한 예언적 요소에 이미 익숙하였기 때문에 이를 통해 영웅인물의 비범함을 인지하며 서사에 흥미를 느낄 수 있었다. ShinyoobokJeon was inspired by the heroic novels, popular among readers when it was published. Considering the publication of the printed book in 1917, it can be assumed that the intention of the publication includes the popularity. Hence, there is some negative evaluation, lack of historical consciousness as the circumstance is associated with the conditions of the time. However, even though the work was created based on the popular elements of the previous heroic novels, it entails not only the popular elements but also other features. The active use of the unusual narrative form connotes the consciousness of the author to create a new novel. First, the connection between paragraphs became firm due to the repetition of the contents by characters which contributed to clarifying the meaning of the written contents. The narrative form enables the readers not only to comprehend the previous plot but also to understand the following story. Furthermore, due to the form the trouble happening at the beginning were more tragically portrayed, that is the distinctive part from other heroic novels. Second, the narration was delayed as the same stories were repeatedly depicted from the different angles of characters. Depending on the characters who portray a scene, the depiction was distorted and changed or untouched. The narrators intended to have the readers to enter into the presence of the antagonist; as a result, the readers are able to perceive the contrast between characters clearly apart from the flow of the story and the tension of the readers become more intense. Third, prophetic elements such as conception dreams and the good judgment of human nature were used to expose the following stories in advance; this narrative method is applied in order to intrigue the readers with the processes of reaching the result rather than the predictable future revealed by the prophecy. Conception dreams and the good judgement of human nature had an influence on drawing the interest and improving the extraordinariness of the hero as the readers were already familiar with the prophetic elements used in several types of classic epics in those days.

      • KCI등재

        <장백전>의 영웅인물 연구 - 인물의 인정 욕구를 중심으로 -

        윤보윤 ( Yoon Bo-yoon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인문학연구 Vol.58 No.4

        <장백전>은 조선 후기에 흥행했던 고전 영웅소설로, 황제를 수호하는 것이 최선의 목표가 되는 여타의 작품과는 다르게 기존 국가를 멸망시키고 새로운 나라를 세우는 내용이 중심 사건으로 그려진다. 주원장과 장백의 두 주인공이 등장하여 영웅적 위용을 드러내며 명의 건국을 두고 경쟁하지만, 결국에는 역사와 마찬가지로 실제 인물인 주원장이 최종의 승리자로 등극한다. 이때 장백이 우세한 군사력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대결을 지속하지 않고 기꺼이 황제의 자리를 내어 놓는 장면에서 이 작품의 개성이 드러난다. 이러한 선택을 한 장백이 영웅인물로 적절하지 않다고 여길 수도 있겠으나, 인정 욕구를 바탕으로 주인공을 살피면 그의 행동을 이해할 수 있는 여지가 마련된다. 인정 욕구는 자신의 가치를 타인으로부터 인정받고 싶어 하는 것으로, 대등 욕구와 우월 욕구, 지배 욕구로 나눌 수 있다. 대등 욕구는 타인과 동등하게 인정받고자 하는 것이고, 우월 욕구는 타인으로부터 자신의 명예심과 자긍심을 인정받고자 하는 것이며, 지배 욕구는 타인의 자유와 존엄성을 빼앗으면서까지 자신의 욕구를 충족하고자 하는 것이다. 첫째, 대등 욕구의 추구는 가족애의 실현으로 이어진다. 장백은 대등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누나 또는 양부인 스승과의 관계를 지속하고자 하는데, 이는 가족으로부터 보호받고 사랑받고자 하는 욕구의 발현이다. 주원장은 장소저와의 결연 장면에서 대등 욕구를 잠시 보이는데 우월 욕구를 달성할 때까지 대등 욕구의 실현을 미룬다. 둘째, 우월 욕구의 추구는 애민의 실현으로 연결된다. 타의로 가족의 품을 떠나게 된 장백은 동료들을 만나 사회적 관계에 눈뜨면서 운명이 다한 나라에서 살아가는 백성의 처지를 이해하게 되고 우월 욕구를 추구하기 시작한다. 주원장은 우월 욕구를 생래적으로 지닌 존재로, 여러 인물의 예언을 통해 그것을 확인 받으며 천명을 이행한다. 셋째, 지배 욕구의 추구는 잠시만 나타날 뿐 곧 대등 욕구로 회귀한다. 장백은 주원장이 먼저 명을 건국했다는 사실 때문에 경쟁의식에 사로잡혀 지배 욕구를 드러낸다. 그러나 누나가 명의 황후라는 것을 알고는 황제의 자리를 과감히 포기하고 누나와 함께할 수 있는 대등 욕구를 선택한다. 주원장은 일찌감치 천명을 실현한 인물이므로 지배 욕구를 가질 필요가 없었다. <장백전>은 상상 속 인물인 장백이 역사 속 인물인 주원장에게 패배하는 이야기이다. 그러나 인정 욕구의 실현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두 주인공 모두 승리한 것이다. 주원장은 황제에 등극하여 천명을 완수하였고, 장백은 가족의 상봉으로 완전한 가정을 이룰 수 있었기 때문이다. 만인의 지도자가 되는 삶이나 따스한 가족의 품으로 돌아가는 삶 모두를 긍정한 것이 이 작품이 지니는 매력이라고 할 수 있다. In Jangbaekjeon, there are two leading characters named Juwonjang and Jangbaek. Those two main characters appearing in this story compete each other. Eventually, the leading figure of the history, Juwonjang becomes a final winner. Even though he had superior military power, his will to make a decision to give up the emperor's place was unusual. In the perspective of desire for recognition, it is easy to understand those two heroic characters and their behaviors. Firstly, the pursuit of equality desire leads to the practice of family love. Jangbaek tried to continue his relationship with his sister or his teacher who was his step father to satisfy his equality desire and this represents his desire to be protected from his family and to be loved. Juwonjang briefly reveals his desire for equality and this stands for his attitude which puts off his equality desire until the superiority desire is achieved. Secondly, striving superiority desire leads to realization of loving people. Leaving his own family, Jangbaek happens to meet colleagues and becomes to open his eyes to social relationships. It makes him understand the situation of the people living in a fateful country and he starts to strive the superiority desire. Juwonjang was originally born with innate superiority desire proven by the prophecies of various figures and he fulfills his destiny. Thirdly, the pursuit of the desire for ruling only appears for a while and soon returns to the desire for equality. Jangbaek becomes competitive with the fact that Juwonjang was the one who found the Ming Dynasty first and reveals his desire for ruling. After Jangbaek finds out that his sister became the empress of Ming Dynasty he boldly gives up the opportunity to be an emperor and chooses the desire for equality which stands to be with his sister. Juwonjang is a person who realized his destiny, so he didn't have to be obsessed with desire for ruling. Jangbaekjeon is a story that Jangbaek, an imaginary man is defeated by Juwonjang, a historical figure. In terms of realizing the desire for recognition, both heroes had won finally. Juwonjang became an emperor and completed his fate. Jangbaek also made a perfect family with his family reunion. The positive attitude for a life as a leader of all people or a life going back to the warm family is the charms of this literary work.

      • KCI등재

        전기(傳記)서사와 역사서사의 비교 연구

        윤보윤(Bo-yoon, Yoon) 어문연구학회 2014 어문연구 Vol.81 No.-

        이 논문은 <박보실긔>와 <쇼듕화역셜>의 '박태보일화'를 중심으로 전기소설과 역사서사의 관계에 대해 비교 연구한 것이다. 두 작품은 동일한 소재를 바탕으로 이루어졌으며, 모두 1916년에 간행 혹은 필사되었다. 역사적 사실에 대한 당시 독자층의 호기심은 이러한 독서물이 인기리에 유통되도록 하였다. 박태보는 인현왕후의 폐비 문제를 반대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숙종의 노여움을 사 참혹한 친국을 당하면서도 간언을 올리다 죽음을 맞은 인물이다. 독자들은 이러한 충신의 이야기에 열광하였고 이것을 소재로 다양한 장르가 재생산되기에 이르렀다. 먼저 <박보실긔>는 박태보의 어린 시절과 환로에서의 이야기를 통해 그의 강직한 성품을 부각하였고, 주변 인물의 꿈 이야기를 활용하여 복선 장치를 마련하기도 하였다. 또한 친국 장면에서는 대화체와 묘사의 방법을 구사하여 소설적 형상화를 이루었다. 박태보를 오직 충신으로 부각하기 위한 목적으로 전체 서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로써 그의 교훈적인 면모가 집중적으로 드러난다. 반면에 <쇼듕화역셜>의 '박태보일화'는 분량의 제약 때문에 친국 장면만을 다룬다. 그러나 당시 사건의 인과 관계를 보여 주어 기사환국과 관련한 여러 인물에 대해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작가가 역사적 안목을 바탕으로 유의미한 사건을 선택하고 배열하면서 박태보의 충신 이야기를 삽입하고 있는 것이다. 사실의 이해와 문학적 효용의 관점에서 두 작품 모두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작품이 활발하게 유통되던 20세기 초반 독자와 작가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당시 역사적 사건을 소재로 한 독서물의 사정 또한 짐작할 수 있다. 이들 작품의 작가는 실존인물의 실상을 독자들에게 정확하게 전달하고 그것을 교훈 삼게 하려는 창작의도를 가지고 있었다. 한편 독자층은 작품 속 주인공이 가진 삶의 가치에 열렬히 동조하였다. 역사서사는 전기소설에 소재적 측면으로 작용하였을 뿐만 아니라 동일한 시기 훌륭한 독서물로 유통되어 양자가 더불어 향유되었음을 알 수 있다. This dissertation examined biographical narratives and historical narratives focusing on ParkTaebosilgi and Park Taebo Ilhwa in Sojunghwayeokdaeseol. The two works are formed based on the same subject matter, and were actively circulated by attracting the interest of the public during the early 20th century. ParkTaebosilgi was published in 1916, and Park Taebo Ilhwa in Sojunghwayeokdaeseol was transcribed in the same year, thus, the curiosity of readers regarding a historical incident at the time can be said to have appeared through the popularity of such publications. Park Taebo encountered death by saying remonstrating words to fulfill his duty as a servant until the end, while suffering direct interrogations by the King Sukjong, due to arousing the anger of the King Sukjong by opposing the disposal of Queen Inhyeon. The story of such a loyal servant was an adequate subject matter for reading, thus, was reproduced in various genres. The entire narrative of ParkTaebosilgi was undertaken only for the purpose of expressing Park Taebo as a loyal subject. The story focused on revealing instructive aspects of the character after setting a historical being that actually existed as the main character. On the other hand, Park Taebo Ilhwa in Sojunghwayeokdaeseol inserts the story of Park Taebo by selecting and organizing the meaningful incidents based on the author's historical perspective. The two works are both worth of attention from the perspective of factual understanding and literary utilit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aders and author at the time in which the works were actively circulated can be understood. Moreover, it is possible to presume the conditions in which the books using historical incidents as subject matters were written in early 20th century based on such. The authors of the works show a creative will to deliver maximum accuracy of truth to readers regarding a human being that existed in real life and to enable readers to take such truth as a lesson. On the other hand, the public enjoying the work fervently sympathized with the value of life of the main character. While the historical narrative was applied to the biographical narrative from a subject-matter perspective, it can be assumed that the two works were enjoyed in a supplementary manner, as the works were circulated as outstanding reading materials during the same time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