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서울 흥천사 극락구품도(極樂九品圖)에 투영된 19세기 이상향

        유경희 ( Ryu Kyunghee ) 동양미술사학회 2017 동양미술사학 Vol.5 No.-

        이 글은 19세기 극락세계의 모습을 불화로 가시화한 <極樂九品圖>에 대해 조성배경과 특징, 그리고 圖像의 연원을 구명한 글이다. 19세기에는 전체 화면을 가로와 세로로 분할하여 나누고, 극락의 세계과 왕생장면을 그린 독특한 형식의 불화가 출현하여 近畿지역 왕실의 願堂을 중심으로 유행하였다. 이러한 불화를 <극락구품도>라고 하는데 이 글에서는 서울 興天寺에 봉안된 <극락구품도>를 통해 불화의 도상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흥천사는 19세기 후반 고종의 私親이자 실권자였던 興宣大院君 李昰應(1820∼1898)의 전폭적인 후원으로 佛事가 후원되었다. 이하응의 후원에 힘입어 흥천사에서는 전각을 重修하고, 불화를 새롭게 조성하여 전각에 봉안하였으며 왕실의 祈福을 기원하였다. 이하응 이외에도 흥천사에서는 상궁들의 후원으로 불화가 조성되었다. 왕실의 안녕을 빌기 위해 흥천사에는 1885년 <극락구품도>를 비롯하여 4점의 불화를 봉안하였다. 이 때 함께 봉안되었다고 생각되는 <극락구품도>는 독특한 형식을 취하고 있는데 이른바 화면 분할식 나한도, 팔상도 등의 불화에도 적용되었으며 19세기에 주로 근기지역에서 유행된 형식이었다. 이 논문에서는 흥천사 <극락구품도>에 보이는 도상을 기본적으로는 극락을 묘사하는 불화나 경전의 變相에서 찾았지만 전각, 기물, 동물의 모티프 등은 당시 현실세계에서 吉祥을 상징하는 郭汾陽行樂圖나 瑤池宴圖에서 차용하였다고 보았다. 길상의 기능을 하던 이런 그림들은 19세기 이후 광통교를 중심으로 민간에 유통·확산되었다. 장수와 영원, 多男과 자손번창, 태평과 복락을 바라는 상징체계가 구현된 회화의 이미지는 극락에 가보지 못한 사람들에게 그 세계에 대한 바람과 이상향의 모델로 차용된 것이다. 또한 이 글에서는 제작연대가 기록되지 않은 흥천사 <극락구품도>의 연대를 비정하였다. 1885년 조성되었다고 전해지는 흥천사 명부전 <十王圖> 10폭을 비교하여 전각, 인물표현 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시왕도>는 <극락구품도>를 그린 畵僧大虛?訓의 화풍과 유사하였다. 따라서 <시왕도>가 <극락구품도>의 제작자였던 대허체훈이나 그 일파에 의해 그려졌을 가능성을 제기해보았다. 흥천사 <극락구품도>는 19세기 왕실 원당에서 조성된 불화로 당대인들이 꿈꾸었던 극락 세계의 일면을 보여준다.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creation, features, and inception of the icons observed in the 19th-century Buddhist painting of nine grades of rebirth the western Paradise(極樂九品圖), which visualizes the world of paradise. In the 19th century, Buddhist paintings with a unique format appeared; they were divided both vertically and horizontally to create nine sections, depicting scenes of paradise and rebirth. Such paintings, titled the Nine Grades of Rebirth th the western Paradise, were popular at the Royal Temple (願堂) in the Seoul and Gyeonggi regions. This essay examines their characteristics based on a Buddhist painting of the type enshrined in the Heungcheonsa Temple in Seoul. In the late 19th century, Heungcheonsa Temple benefitted from the generous support of the Heungseon Daewongun, Yi Haeung(李昰應, 1820∼1898], who was the regent and father of King Gojong. The temple`s reconstructed halls enshrined newly created Buddhist paintings and served as Wondang, which prayed for the good fortune of the royal family. After the regent fell from power, Buddhist paintings were produced under the sponsorship of court ladies to wish for peace in the royal family. In 1885, four Buddhist paintings were completed and enshrined in Heungcheonsa Temple, including Nine Grades of Rebirth of Paradise. During the 19th century, the painting`s unique format was popular in the Gyeonggi region, as were paintings of Arhats and the Eight Great Events. This article traces the origin of icons in Nine Grades of Rebirth of Paradise in Heungcheonsa Temple to the Buddhist paintings that depict paradise and its description in Sutras. However, the motifs of halls, houses, and auspicious animals are believed to be derived from those of Guo Fenyang`s Enjoyment of Life (郭汾陽行樂圖) or Taoist Immortal on Their Way to Xi Wang Mu`s Banquet (瑤池宴圖), which symbolize good auspices in the real world. In the 19th century, paintings of auspicious tokens proliferated among the general public around Gwangtonggyo Bridge. To people who had not been to paradise, paintings that included the symbolic system wishing for longevity, eternity, prosperity of descendants(especially males), peace, and fortune would have provided a believable model of utopia. This article also aims to determine the undocumented production date of Nine Grades of Rebirth of Paradise. The painting`s depiction of halls and figures was compared with that of Ten Kings of Hell by an unknown artist, which is dated to 1885. The style of Ten Kings of Hell` was similar to that of Nine Grades of Rebirth of Paradise by monk painter, Daeheo Chehun (大虛體訓); therefore, a plausible theory is that Ten Kings of Hell` was created by Daeheo Chehun himself or by a member of his school. Nine Grades of Rebirth of Paradise in Heungcheonsa Temple, a Royal Wondang in the 19th century, represents 19th-century Koreans` dreams of paradise. Since they had not experienced the world of death, they could only imagine the afterlife. They were concerned about the possibility of falling into hell and so strove to avoid this fate. They dreamed of a future that was better than the present. The place they imagined would have been modeled on the comfortable and pleasant spaces in the real wor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