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서해안 적황색 반고결 퇴적층의 특징과 형성 연대에 관한 논의: 증도 우전해안 퇴적층과의 대비

        오정식 ( Jeong-sik Oh ) 한국지리학회 2018 한국지리학회지 Vol.7 No.1

        본 연구는 후기 플라이스토세 이후 증도 우전해안의 지형발달과정을 밝히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우전해안의 적황색 반고결퇴적층의 구조와 형성 연대를 밝히고, 한국 서해안 적황색 반고결 퇴적층에 관한 논의와 비교 및 고찰을 위해 진행되었다. 우전해안에서 관찰되는 적황색 반고결 퇴적층은 크게 두 시기를 지시하고 있다. 하나는 우전해안의 기저 퇴적층을 구성하고 있는 적황색 반고결 퇴적층으로 그동안 서해안 곳곳에서 보고되어온 후기 플라이스토세 조간대 퇴적층(간월도층)과 같은 특성을 보인다. 나머지 하나는 홀로세 고해면기에 형성된 고해빈 퇴적층으로 확인된다. 현재의 L.M.S.L보다 높은 수준에서 관찰되는 기저 퇴적층의 특성으로 미루어볼 때, 후기 플라이스토세의 상대적 고해면기(MIS 5e) 동안 오늘날 서해안의 해안사구 지대는 곳에 따라서 조간대 환경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홀로세 해진극상기 동안 형성된 해안 중부의 적황색 반고결 퇴적층은 L.M.S.L로부터의 분포 수준을 고려할 때, 홀로세 이후 한국 서해안이 상대적 고해면기를 경험했음을 지시하는 중요한 증거로 해석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structure and formation age of the reddish-yellow semiconsolidation deposits on the Ujeon coast, and to compare with the reddish-yellow semi-consolidation deposits on the West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reddish-yellow semi-consolidation deposit observed on the Ujeon coast indicates two major formation ages. One is the basal sedimentary layer of the Ujeon coast, which has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e Late Pleistocene intertidal sediments (Ganweoldo Formation) that have been reported on the West Coast. The other one is identified as a sedimentary layer of paleo-beach formed during the relative high sea level of Holocen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sal sedimentary layer observed above the present L.M.S.L, it is presumed that the coastal dune area of the West Coast of the present day may have been the intertidal environment during the relative high sea level (MIS 5e) of the Late Pleistocene. Also, the reddish-yellow semi-consolidation deposits in the central part of the Ujeon coast, which were formed at the Climate Optimum of the Holocene, are also higher than the L.M.S.L. Therefore, it is confirmed as a key bed indicating that the West Coast has experienced a relatively high sea level during the Holocene.

      • KCI등재

        증도 우전 해안사구 퇴적층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형성환경

        오정식 ( Jeong-sik Oh ) 한국지형학회 2018 한국지형학회지 Vol.25 No.2

        Heterogeneous sedimentary deposits with different soil colors and various degree of hardness are exposed in its foredune and tidal zone due to the effects of recently accelerated coastal erosion along the Ujeon Coast in Jeung-do, Shinan-gun.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assumption that these sedimentary deposits were developed in different timing and environments. Thus, we can infer the geomorphic development processes of the area based on evidences like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each sedimentary layer. Several analysis of these sedimentary deposits such as grain size analysis, X-ray Fluorescence Measurement (XRF), and Loss on ignition (LOI) were performed on central (Ujeon A) and southern (Ujeon B) parts of the Ujeon Coast. I found that the foredune sedimentary deposits have four stages of geomorphic development processes. In the initial stage of development, during the peak of the Last Interglacial Period (MIS 5e), basal deposits were accumulated in the low-energy environment of subtidal zones. In the second stage, during the Last Glacial Period (MIS 4~MIS 2), eolian sedimentary layers were developed by terrestrial aeolian processes by which fine materials were transported from the Yellow Sea which became a dry land exposed by lowered sea level. In the third stage, various mechanism existed for the formation of each sedimentary layer. In the region of Ujeon A, sedimentary layers were developed in the littoral zone environment dominated by marine processes during the maximum phase of transgression in the Holocene. Meanwhile, the region of Ujeon B began to form eolian sedimentary layers during MIS 2. In the last stage, thick coastal dune deposits, covered all over the Ujeon Coast. During the late Holocene (0.7~0.6 ka), terrestrial processes kept dominating the region, developing typical eolian sedimentary layers.

      • KCI우수등재

        LiDAR, 수치지형도, 항공사진 기반 수치표고모델을 활용한 중부 양산단층의 선형구조 추출과 비교

        오정식(Jeong-Sik Oh),김동은(Dong Eun Kim) 대한지리학회 2019 대한지리학회지 Vol.54 No.5

        중부 양산단층에서 보고된 벽계단층과 단구단층 일대 약 27㎢ 구역을 대상으로 LiDAR, 수치지형도, 항공사진 기반의 DEM을 구축하고, DEM 유형에 따른 선형구조 인지 특징과 선형구조 추출 결과를 비교했다. 구축된 DEM은 유형별로 다른 시기의 지표를 구현하며, 각각의 해상도는 L-DEM(LiDAR 기반 DEM)이 0.50m, T-DEM(수치지형도 기반 DEM)이 5.00m, 그리고 A-DEM(항공사진 기반 DEM)이 0.46m이다. PCI Geomatica 소프트웨어의 라인 모듈을 활용하여 선형구조를 자동추출한 결과 모든 유형의 DEM에서 산지를 중심으로 높은 선형구조 분포밀도를 보였지만, 분절 길이와 주향, 그리고 추출된 선형구조의 개수는 DEM 유형에 따라 현저한 차이를 나타냈다. 시각적 판독을 통해 추출된 선형구조는 DEM 유형에 따른 추출 개수의 차이가 크지 않았다. 특히, 단층와지, 단층구릉, 삼각말단면과 같이 주변 지형과의 기복 차이가 뚜렷하거나, 수평 변위를 동반하는 굴절하천으로 인지된 선형구조는 DEM 유형과 관계없이 추출 결과가 유사했다. 이러한 결과는 시각적 판독이 단층활동과 직접 관련성이 높은 선형구조만을 감독 분류하여 추출하기 때문이다. 선형구조 추출 결과와 야외조사를 바탕으로 단층활동과 연관성이 높은 21개의 선형구조가 분리 추출되었으며, 이들 중에서 3개는 단층애와 굴절하천과 같은 제4기 지형 변위가 인지된 활성도 높은 선형구조로 평가됐다. DEM 유형별 선형구조 추출결과를 종합할 때, T-DEM은 선형구조의 거시적 특성을 파악하는데 유효하며, 1m 이하의 고해상도로 구축 가능한 L-DEM과 A-DEM은 제4기 지형의 변위를 수반한 선형구조를 추적할 때 유효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활성도 높은 선형구조를 추적하고 선형구조 간 관계와 정확한 분절을 파악하는데 L-DEM의 활용성이 크며, 인위적 영향으로 지형의 변화가 심한 지역은 원지형에 가까운 지표를 구현하는 A-DEM이 효과적인 보완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LiDAR, digital topographic map, aerial photo-based DEMs were generated for the area of 27㎢ including Byuckgae and Dangu fault site reported from the central segment of Yangsan fault. We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lineament detection and the results of lineament extraction based on type of DEMs. The generated DEMs are subjected to different time and have different resolutions of 0.50m for L-DEM (LiDAR-based DEM), and 5.00m for T-DEM (Digital topographic map-based DEM), 0.46m for A-DEM (Aerial photo-based DEM). Automatic extraction of lineaments using the ‘Line Module’ of the PCI Geomatica software resulted in high density of lineament distributions in the mountainous regions, showing similar results in the all types of DEM. However, segment length, strikes (directions), and the number of extracted lineaments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type of DEMs. The lineaments extracted by visual detecting showed similar numbers of extractions in all types of DEM. In particular, the lineaments recognized as fault-related landforms with distinct relief and horizontal displacement such as fault saddles, kernbuts, triangular facets, and deflected streams, had similar extraction results in all types of DEM. These results are because visual detection only classifies the lineament related to fault activation. We extracted 21 lineaments related to fault activ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lineament extraction and field survey. Three of them are identified as a highly active lineament, and displacements of Quaternary landforms, such as fault scarps or deflected streams are identified. We believe that T-DEM is effective for understanding the macroscopic characteristics of lineaments. L-DEM and A-DEM, which can be generated with high resolutions of less than 1m, are more effective when tracking highly active lineaments with displacement of Quaternary landforms. In particular, L-DEM is useful for tracing active lineament and identifying precise segmentation patter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neaments. In areas where the landforms have changed due to anthropogenic effects, A-DEM representing initial landforms can be practically used as a supplementary data.

      • KCI등재

        키르기스스탄 Dead Lakes 암석 애벌런치의 운동 특성과 편년

        오정식 ( Jeong-sik Oh ),성영배 ( Yeong Bae Seong ),알렉산더스트롬 ( Alexander Strom ),유병용 ( Byung Yong Yu ) 한국지리학회 2018 한국지리학회지 Vol.7 No.2

        암석 애벌런치는 산사태의 다양한 유형 중에서도 가장 빠른 속도로 이동하며 규모가 큰 것으로 넓은 지역에 걸쳐 막대한 피해가 발생한다. 본 연구는 키르기스스탄 Dead Lakes에서 발생한 암석 애벌런치의 지형과 운동특성을 밝히고, 우주선유발 <sup>10</sup>Be을 이용하여 발생시기를 규명하였다. Dead Lakes 암석 애벌런치는 산정부 기반암의 붕괴로 시작되었으며, 이로부터 기인한 암설은 두부내벽 최상단(headscarp crown)으로부터 암설사면 말단까지 길이 7.5km, 비고차 1,750m에 걸쳐 이동했다. 암설 공급원의 규모는 평면상으로 폭 2.7km, 길이 2.5km 규모이다. 암설퇴적층의 두께는 평균 150m로 14.65㎢의 면적에 걸쳐 분포하며 추정된 부피는 약 2.2㎦이다. 4개의 구간에서 상이하게 진행된 고에너지 운동은 회전암체(toreva block), 암설능선(debris ridges), 제방(levees), 선구조(linear structures), 단구(terraces), 암설구릉(hummocks)과 같은 독특한 산사태 지형들을 바탕으로 구분된다. <sup>10</sup>Be 노출연대 측정을 통하여 밝혀진 Dead Lakes 암석 애벌런치의 발생시기는 48.3±2.4ka 무렵으로 확인되었으며, 단층 활동으로 인한 대규모 지진 발생이 발생원인으로 추정된다. Rock avalanches are one of the fastest type of landslides and because of their magnitude and energy, can cause huge damage over large area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characteristics of morphology and kinematics of Dead Lakes rock avalanche, Kyrgyzstan and to provide the timing of its occurrence constrained by cosmogenic <sup>10</sup>Be surface exposure dating. The Dead Lakes rock avalanche initiated with the collapse of the entire mountain slope up to its top, composed of bedrock, and moved for ca. 7.5 km with elevation decrease up to ~1750 m if measured from the headscarp crown to the deposit’s tip. Its source zone is up to 2.7 km by 2.5 km in plan view. The deposits thickness is about 150 m on the average and its volume is ~2.2 ㎦ over the area of 14.65 ㎢. Four different motion patterns evolved during high-energetic motion process can be revealed from the landslide-related landforms such as toreva block, debris ridges, levees, linear structures, terraces, and hummocks. The timing of occurrence of the Dead Lakes rock avalanche revealed by <sup>10</sup>Be exposure dating was 48.3±2.4 ka, which was likely to be triggered by huge earthquake.

      • KCI등재

        어청도의 지형경관자원 특징과 지속가능한 관광 제언

        오정식 ( Oh Jeong Sik ),정수호 ( Jeong Su Ho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7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7 No.1

        어청도는 섬의 규모에 비해 심미적, 학술·교육적 가치가 큰 지형경관자원이 다수 산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형발달과 보전에 관한 관심과 연구가 미비하다. 이에 본 연구는 어청도의 가치 있는 지형경관자원을 발굴하고, 지형발달 특징과 지속가능한 관광으로서 활용 방안을 제언하고자 진행되었다. 본고에서 제시한 어청도의 지형경관자원은 총 39개로 크게 해안지형(29개), 산지지형(5개), 기타 미분류 지형(5개)으로 구분된다. 이들 지형은 섬을 이루고 있는 기반암의 구조적 특징과 이로부터 기인한 암석의 풍화 특성을 매우 잘 반영하고 있다. 지속가능한 관광으로서 어청도의 지형경관자원 활용을 위해서는 산악트레일 코스 조성, 환도유람선 운영과 같은 새로운 관광 콘텐츠 도입이 필요하며, 기존에 조성된 해설판의 검증과 보완, 지역주민을 활용한 해설사 양성이 함께 진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시도는 어청도의 침체된 도서관광 활성화와 더불어 지역의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에도 작은 보탬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Although there are many geomorphological landscape resources in Eocheong-do that have large aesthetic and academic/educational value compared to its size, interest and research on the topographic development of the island and reservation of the resources is scarce as of now. This study attempts to discover valuable geomorphological landscape resources in Eocheong-do and its topographic development characteristics and propose ways of using them for sustainable tourism. This paper suggests a total of 39 geomorphological landscape resources in Eocheong-do, including 29 coastal landforms, 5 mountain landforms, and 5 other unclassified landforms. These landforms reflect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bedrock that forms the island and the weathering properties of rocks that originated from it very well. To use the geomorphological landscape resources in Eocheong-do for sustainable tourism, introduction of new tourism contents is required, such as creation of mountain trail course and operation of roundtrip cruise ship. Moreover, investigation and correction of the previously made interpretation board and cultivation of interpreters by using local residents should also be implemented. This kind of change will not only activate the currently sluggish island tourism in Eocheong-do, but also make contribution to the creation of new added value in the region to a certain levels.

      • KCI등재

        영광 불갑천 하구역의 유역환경 특성과 지속가능관리 방안

        오정식 ( Oh¸ Jeong-sik ),김장수 ( Kim¸ Jang Soo ) 한국사진지리학회 2021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31 No.1

        본 연구는 지형·생태적으로 중요한 기능과 역할을 담당하는 불갑천 하구역의 보전과 지속가능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하고자 현장조사를 기반으로 지리공간정보 및 퇴적물 분석을 수행하였다. 불갑천은 1930년대 근대식수리시설이 도입되고 대규모 경지정리가 진행되어 유역환경이 크게 변화하였다. 하지만 불갑천 하구역은 중상류 지역보다 비교적 온전한 자연성을 유지하고 있으며, 다양한 해안지형과 하천지형이 어우러져 지형다양성도 높다. 불갑천은 하구로부터 상류로 약 15.8㎞ 구간이 감조하천이며, 이러한 특징은 퇴적물 입경의 공간분포패턴에서도 확인된다. 퇴적물 입경은 연구지역 내 최하류 구간인 BG1 지점에서 모래가 높은 비율(약 90%)을 보였지만, 중·상류 구간에 해당하는 BG2 및 BG3 지점에서는 실트의 비율(약 80%)이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 퇴적물의 전기전도도, 유기물, 유효인산, 양이온치환용량도 각 구간(BG1∼BG3)에서 큰 차이가 있었으며, 동일 구간 내에서도 퇴적물 고화도, 하도인접성, 식생 피복 정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또한, 대부분의 퇴적물 시료에서 납과 수은 같은 중금속이 검출되어 정확한 중금속 오염실태 파악과 오염원 추적이 필요하다. 불갑천 하구역의 지속가능관리를 위해서는 보와 수문으로 단절된 유역 내 하도 체계를 개방 조성해야 하며, 빠르게 변화하는 토지이용 양상에 조응하는 관리와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We performed geospatial and sediment analysis to document database for sustainable management and conservation of the Bulgap Estuary which has an important function from the point of view of geomorphology and ecology. The watershed environment of the study area has extremely changed due to modern irrigation facilities and large-scale land consolidation in the late 1930s. However, the estuary not only preserves its initial environment compared to the upper and middle streams but also has high geodiversity developing various coastal and fluvial landforms. Bulgap river is a partially tidal river with a length of~15.8 km from the estuary, this tidal characteristic is reflected by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grain size. As a result of sediment analysis, sand accounts for a high ratio (~90%) in the downstream (BG1), whereas silt has a remarkably higher ratio (~80%) than sand in the middle (BG2) and upper (BG3) streams in the study area. The results of electrical conductivity, organic matter, available phosphate, and cation exchange capacity also markedly differ between the BG1, BG2, and BG3 in the river section. Even in the same river section, the result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sediment consolidation, channel adjacency, and vegetation cover. In addition, heavy metals such as lead (Pb) and mercury (Hg) were detected in most of the sediment samples and need to be identified and traced to the resource of the pollution. For the sustainable management of the Bulgap Estuary, it is necessary to make an open environment of the channel system disconnected by weir and watergate and to monitor corresponding to the rapid change of land-u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