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외래 혹파리 침입 현황 및 피해

        이흥식,오시헌 한국응용곤충학회 2014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4 No.10

        혹파리과의 곤충은 작고 매우 연약한 모기 모양의 파리목 곤충이며, 이 과에 속 하는 곤충들은 포식성 천적부터 버섯과 같은 균류를 먹는 균식성, 식물을 가해하는 식식성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한 생태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는 식물에 피해를 주는 혹파리류 중 외국에서국내에 침입한 외래종의 현 황과 피해 상황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현재 식물에 피해를 주는 외국에서 침입한 혹 파리류는 솔잎혹파리, 아까시잎혹파리, 블루베리혹파리, 양란혹파리, 대추나무잎 혹파리 5종이 알려져 있으며, 이 종의 국내 유입 경로는 묘목류 수입 시 함께 들어왔 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 중에서 솔잎혹파리는 현재도 소나무에 대한 피해를 전 국적으로 주고 있어 계속 국가적 방제를 실시하고 있다. 반면에 양란혹파리의 경우 수입묘가 원인인 것을 양란재배 농가에 알려 대처하도록 하여 이제는 국내에서는 거의 발생하고 있지 않다. 지금도 다양한 묘목류의 수입이 계속 이루어지고 있어 새 로운 종류의 혹파리류가 침입할 가능성이 있으며, 국경 검역은 물론이고 새로운 종 류의 해충 피해가 발견될 시에 조기에 방제하여 확산을 막는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 는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식물에 직접 피해를 주지 않지만, 아파 트의 붙박이장에서 발생하는 혹파리류가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아직까지 국내 자연상태에서 발견되지 않고 있는 이종이 아파트에서 발생하게 된 경위에 대한 연 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제주도 및 제주도 인근 부속섬에서 확인된 미기록 나방류 5종에 관한 연구

        박영미,현영권,오시헌,강병효 한국응용곤충학회 2013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3 No.10

        제주지역은 연평균 16.5℃로 사계절이 뚜렷한 아열대성 해양기후이다. 제주도 는 연평균기온이 지난 100년간 지구평균 상승기온 0.74℃보다 2배이상 높은 1.6℃ 상승하여 기후온난화 영향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지역이다. 이에 2012년 3월부터 동년 10월까지 아열대나방류 분포확인을 위해 제주도 및 제주도 인근 부속섬(추자 도, 우도, 마라도)의 13개지역 22개지점을 대상으로 118회 유아등 조사를 실시하 였다. 그 결과 자나방과 1종(Chloroclystis excisa (Butler)), 밤나방과 2종(Hypena perspicua Leech, Phlogophora albovittata (Moore)), 포충나방과 2종 (Analthes insignis (Butler), Syngamia falsidicalis Walker), 총 3개과 5종이 우리나라 미기록 종으로 확인되었다. 추가적으로, 본 조사에서 확인된 종에 대해서는 국내정착 여부 를 위한 지속적인 조사가 필요하다.

      • 제주도 및 제주 부속섬에서 확인된 미기록 나방류 6종

        박영미,현영권,오시헌,채도영,손리나 한국응용곤충학회 2014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4 No.10

        제주도는 우리나라 최남단에 위치한 큰 섬으로 연평균 16.5℃로 사계절이 뚜렷 한 아열대성 해양기후이다. 제주도는 연평균기온이 지난 100년간 지구평균 상승 기온 0.74℃보다 2배이상 높은 1.6℃상승하여 기후온난화 영향이 뚜렷하게 나타나 는 지역이다. 본 조사는 2014년 3월부터 8월까지 제주도 및 제주도 인근 부속섬(추 자도, 우도, 마라도)의 15개지역 24개지점을 대상으로 18회 유아등 조사를 실시하 였다. 그 결과 잎말이나방과 1종 (Phaecadophora fimbriata Walsingham)), 포충나 방과 2종 (Piletocera aegimiusalis (Walker), Pelena sericea (Butler)), 자나방과 1 종(Apochima praeacutaria (Inoue)), 혹나방과 1종(Meganola triangulalis (Leech)), Erebidae 1종 (Asota heliconia (Linnaeus)), 총 5개과 6종이 우리나라 미기록 종으 로 확인되어 보고한다.

      • 제주도지역에 분포하는 미기록 나방 채집 현황

        박영미,현영권,오시헌,채도영,손리나 한국응용곤충학회 2014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4 No.10

        제주지역은 연평균 16.5℃로 온난화가 진행된 아열대성 해양기후이다. 제주도 는 연평균 기온이 지난 100년간 지구평균 상승기온 0.74℃보다 2배이상 높은 1.6℃ 상승하여 기후온난화 영향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지역으로 위도가 높은 섬지역에 도 아열대 나방류가 발견되고 있다. 이에 2010년 5월부터 아열대 나방류 분포확인 을 위해 제주도 및 제주도 인근 부속섬(추자도, 우도, 마라도)에 대해서 4년간 나방 류 채집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2011년도에 자나방과 2종(Heterolocha coccinea (Inoue), Mixochlora vittatas (Moore)), 밤나방과 2종(Adrapsa subnotigera Owada, Adrapsa ablualis Walker), 독나방과 1종 (Calliteara taiwana (Wileman)), 재주나 방과 1종(Quadricalcarifera nachiensis (Marumo)), 총 4개과 6종, 2012년도 자나 방과 1종(Chloroclystis excisa (Butler)), 밤나방과 2종(Hypena perspicua Leech, Phlogophora albovittata (Moore)), 포충나방과 2종 (Analthes insignis (Butler), Syngamia falsidicalis Walker), 총 3개과 5종, 2013년도 포충나방과 1종(Charitoprepes lubricosa Warren, 1896), 2014년도 잎말이나방과 1종 (Phaecadophora fimbriata Walsingham)), 포충나방과 2종 (Piletocera aegimiusalis (Walker), Pelena sericea (Butler)), 자나방과 1종(Apochima praeacutaria (Inoue)), 혹나방과 1종(Meganola triangulalis (Leech)), Erebidae 1종 (Asota heliconia (Linnaeus)), 총 5개과 6종의 미기록종을 발표하였다. 이에 지금까지 발견된 미기록 나방류들이 외래 유입 종인 지 아니면 일시적 비래나 기존 분포종 여부가 아직까지 확인되지 않았으므로, 앞으 로 이에 대한 지속적인 조사가 필요하다.

      • 제주도 및 제주 부속섬에서 확인된 미기록 나방류 6종에 관한 연구

        오세민,박영미,강병효,오시헌 한국응용곤충학회 2011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10

        제주지역은 연평균 16.5℃로 사계절이 뚜렷한 아열대성 해양기후이다. 제주도는 연평균기온이 지난 100년간 지구평균 상승기온 0.74℃보다 2배이상 높은 1.6℃상승하여 기후온난화 영향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기후온난화 영향으로 위도가 높은 섬지역서도 아열대성 나방류가 발견되고(박, 2006)있어 제주지역 및 인근 섬 지역에 분포하는 나방류 분포 및 아열대성 나방류 유입 여부등 나방류 분포의 명료화 할 필요가 있게 되었다. 이에 2010년 5월부터 2011년 5월까지 아열대나방류 분포확인을 위해 제주도 및 제주도 인근 부속섬(추자도, 우도, 마라도)의 9개지역 20개지점을 대상으로 55회 유아등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자나방과 2종(Heterolocha coccinea (Inoue), Mixochlora vittatas (Moore)), 밤나방과 2종(Adrapsa subnotigera Owada, Adrapsa ablualis Walker), 독나방과 1종 (Calliteara taiwana (Wileman)), 재주나방과 1종(Quadricalcarifera nachiensis (Marumo)), 총 4개과 6종이 우리나라 미기록 종으로 확인되어 보고하고자 한다.

      • 濟州道內 農作物을 加害하는 총채벌레 種에 관한 調査

        姜尙勳,高永友,吳始憲,權五均,姜榮吉 濟州大學校亞熱帶農業硏究所 1997 亞熱帶農業硏究 Vol.14 No.-

        本 硏究는 濟州道에서 栽培하고 있는 農作物에 어떠한 총채벌레 種이 加害하는 가를 알기 위하여 1996년 1월부터 9월까지 調査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메밀·콩 등 田作物 11種 작물에서는 대만총채벌레 등 13종이 채집되었고, 대만총채벌레·꽃노랑총채벌레·오이총채벌레·콩어리총채벌레·파총채벌레 순으로 발생량이 많았으나, 그외의 종은 극히 소수만이 발생하였다. 2. 배추·무 등 菜蔬類 19種 작물에서는 꽃노랑총채벌레 등 10종이 채집되었고, 꽃노랑총채벌레·대만총채벌레·파총채벌레·오이총채벌레 순으로 발생량이 많았다. 3. 카네이션, 국화 등 花卉類 5重 작물에서는 꽃노랑총채벌레 등 7종이 채집되었고, 꽃노랑총채벌레·대만총채벌레·오이총채벌레 순으로 발생량이 많았다. 4. 감귤·금감·포도 등 果樹作物에서는 꽃노랑총채벌레 등 8종이 채집되었고, 꽃노랑총채벌레·하와이총채벌레·대만총채벌레·볼록총채벌레 순으로 발생량이 많았다. 5. 결명자·시호 등 4種의 藥用作物에서는 파총채벌레 등 8종이 채집되었고, 파총채벌레·콩어리총채벌레 대만총채벌레·중국관총채벌레 순으로 발생량이 많았다. 6. 꽃노랑총채벌레와 대만총채별레는 기주범위가 넓고, 대부분의 작물에 발생량이 많았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know species of thrips damaging crops grown in Cheju Island from January to September in 1996.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irteen species including Frankliniella intonsa were collected from 11 upland crops such as buckwheat, soybean, etc. The number of thrips collected in the upland crops declined in the order Frankliniella occidentalis, Thrips palmi, Mycterothrips glycines and T. tabaci. The small number of other species was collected. 2. Ten species including Frankliniella occidentalis were collected from 19 vegetable crops such as chinese cabbage, radish, etc The number of thrips collected in the vegetable crops was great in the order Frankliniella occidentalis, F. intonsa, Thrips tabaci and T. palmi. 3. Seven species including Frankliniella occidentalis were collected from 7 floricultural crops such as carnation, chrysanthemum, etc. The number of collected thrips in the floricultural crops was great in the order Frankliniella occidentalis, F. intonsa and Thrips tabaci. 4. Eight species including Frankliniella occidentalis were collected from 3 fruit trees such as satsuma orange, grapevine, round kumquat. The number of collected thrips in the fruit trees reduced in the following orders : Frankliniella occidentalis>Thrips hawaiiensis>T. palmi.>Scirtothrips dorsalis. 5. Eight species including Thrips tabaci were collected from 4 medicinal crops such as cassia seed, balloonflower etc. The number of thrips collected in the medicinal crops was great in the order Thrips tabace, Mycterothrips glycines, Frankliniells intonsa and Haplothrips chinensis. 6. The hosts of Frankliniella occidentalis and F. intonsa were very wide, and the great number of two species of thrips were collected in most crops.

      • KCI등재

        블루베리나무에서 작은상제집나방 피해 보고

        오진보,박명미,오시헌,김동순 한국응용곤충학회 2022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61 No.4

        A Ypsolophid moth Saridoscelis sphenias Meyrick was recorded in 2020 first in Korea, and specimens were collected from Jindo and Wando in Jeonam province from 2016 to 2017. This moth uses host plants such as Pieris japonica (Thunb.) D. Don ex G. Don, Vaccinium bracteatum Thunb. and Leucothoe grayana Maxim. var oblongifolia (Miq.). This species was discovered once in a blueberry orchard in Jeju in August 2014, and since then it has been regarded as not an established species because of no further detection. However, S. sphenias was found again in blueberry orchards grown in vinyl houses in Jeju city and Seogwipo city in 2018 and 2019. Since 2020, this pest has also been found on field-grown blueberries. Hatched larvae first bored into new shoots and fed inside, and the mid-aged larvae escaped from the inside of shoots, attached several shoots with webs, and fed on the leaves in the group. It is considered that S. sphenias will become a severe pest on blueberries; thus, we report the basic life cycle here. 집나방과(Yponomeutidae)에 속한 작은상제집나방(Saridoscelis sphenias Meyrick)은 2016~2017년 전남 진도와 완도에서 채집된 개체를 동정하여 2020 국내 미기록 종으로 보고되었으며, 마취목(Pieris japonica)과 진달래과에 속한 모새나무(Vaccinium bracteatum Thunb.)와 Leucothoe grayana Maxim. var oblongifolia (Miq.)가 기주식물로 알려져 있었다. 이 종은 2014년 8월 제주특별자치도 블루베리 재배지에서 처음 발견된 후 미정착된 것으로 취급되었으나, 2018년에 이어 2019년에도 제주시와 서귀포시 여러 블루베리 농장에서 발생이 확인되었다. 그 후 2020 년부터는 노지 과원에서도 발견되고 있다. 부화유충이 처음 신초 줄기 속으로 침입하여 가해하다가 중간크기로 자란 후 탈출하여 몇 개의 신초를 그물로 철하고 집단적으로 가해하는 등 특이한 피해증상이 나타난다. 향후 피해가 우려되는 해충으로 피해증상과 생활사를 간단히 보고한다.

      • KCI등재

        서양란에서 양란혹피리(Contarinia maculipennis) 발생 및 피해

        강택준,이흥식,오시헌,조명래,김형환,정재아,Kang, Taek-Jun,Lee, Heung-Sik,Oh, Si-Heon,Cho, Myoung-Rae,Kim, Hyeong-Hwan,Jung, Jae-A 한국응용곤충학회 2010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9 No.4

        The blossom midge, Contarinia maculipennis Felt (Diptera: Cecidomyiidae) originated in Southeast Asia and is present in Japan, the continental USA, and Hawaii. Recently, C. maculipennis was intercepted in Japan, USA and the Netherlands by using orchid flowers imported from Southeast Asian countries. This pest is designated as a quarantine pest in Korea because of its potential damages to vegetables and ornamental plants. In Korea, similar symptoms of damage, which mighty be caused by C. maculipennis, have been investigated in western orchids, especially on Dendrobium phalaenopsis, from Mid-2000s. Official recognition was given to C. maculipennis in 2007, followed by an investigation on the occurrences of C. maculipennis and its damages, mainly on D. phalaenopsis, in 2008~2009. We emphasize caution concerning the possibilities that C. maculipennis could infest flower buds of orchids and carry out management strategies for this pest in the future. Contarinia maculipennis Felt (Diptera: Cecidomyiidae)는 동남아시아가 원산인 해충으로 일본, 미국, 하와이에 분포하는 종이며 최근 일본, 미국, 네델란드에서는 태국으로부터 수입된 양란에서 발생이 보고되고 있다. 우리니라에서는 발생시 채소 및 관상식물 등에 피해를 유발할 것으로 예상되어 현재 식물방역법상 관리해충으로 지정되어 있다. 국내에서는 2000년 중반을 전후하여 비공식적으로 양란에서 유사증세가 발생한다는 보고가 있어 왔고 2007년에서야 공식적으로 C. maculipennis의 발생에 의한 피해로 확인되어 양란혹파리로 명명하였다. 이후 덴파레 농가를 중심으로 양란혹파리 발생 피해가 주기적으로 확인되었는데, 이번 조사는 2008~2009년 동안 덴파레를 중심으로 한 양란재배 농가를 대상으로 양란혹파리의 발생과 피해를 집중적으로 조사하였고 위 결과를 근거로 향후 합리적인 방제 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를 확립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