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Backbone assignment of the intrinsically disordered N-terminal region of Bloom syndrome protein

        양민준,박진주 한국자기공명학회 2023 Journal of the Korean Magnetic Resonance Society Vol.27 No.3

        Bloom syndrome protein (BLM) is a pivotal RecQ helicase necessary for genetic stability through DNA repair processes. Our investigation focuses on the N-terminal region of BLM, which has been considered as an intrinsically disordered region (IDR). This IDR plays a critical role in DNA metabolism by interacting with other proteins. In this study, we performed triple resonance experiments of BLM220-300 and presented the backbone chemical shifts. The secondary structure prediction based on chemical shifts of the backbone atoms shows the region is disordered. Our data could help further interaction studies between BLM220-300 and its binding partners using NMR.

      • KCI등재

        해바라기(Helianthus annuss L.)와 강낭콩(Phaseolos vulgaris var.)을 이용한 뿌리여과법(rhizofiltration)의 세슘 (cesiun) 제거

        양민준,이민희,Yang, Min-June,Lee, Min-Hee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8 자원환경지질 Vol.41 No.6

        대표적 오염 방사능 핵종인 세슘(cesium)으로 오염된 수계를 정화하기위하여 해바라기(Sunflower; Helianthus annuus L.)와 강낭콩(Bean; Phaseolus vulgaris var.)을 이용한 뿌리여과(rhizofiltration) 실내 실험을 실시하였다. 해바라기의 경우 뿌리여 과실험 24시간 내에 세슘의 98%를 제거하였으며, 강낭콩은 99%의 제거율을 나타내어 친환경적이며 녹색 정화방법인 뿌리여과법이 세슘으로 오염된 수계 정화에 매우 효과적으로 적용 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수용액의 pH에 따른 뿌리여과법의 세슘 제거 실험 결과, 두 식물 모두에서 오염수의 pH가 $5{\sim}9$인 경우 98%이상의 제거효율을 나타내었다. 뿌리여과법 실험 후 식물에 농축된 세슘량을 부위별로 측정한 결과, 수용액으로부터 식물로 이동한 총 세슘의 80% 이상이 뿌리에 농축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규모 오염 현장에서 뿌리여과법을 적용 시, 농축이 심한 뿌리 부분만을 후 처리함으로써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뿌리여과법 적용 후 식물 뿌리 표면의 SEM이미지와 EDS성분 분석 결과, 수용액 내 세슘은 먼저 뿌리 표면에 이온상으로 흡착한 후 서서히 뿌리 내부로 흡수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Rhizofiltration for cesium uptake by sunflowers (Helianthus annuus L.) and beans (Phaseolus vulgaris var.) was investigated for groundwater contamination. The cesium removal by sunflowers was greater than 98% of the total cesium in solution, and the uptake by beans was also greater than 99% within 24 hours of the rhizofiltration, showing that the rhizofiltration has a great capability to remove cesium from the contaminated water system. Experiments at various pH of solution indicated that a solution of pH $5{\sim}9$ yielded very high cesium accumulation in two plants. Fro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or cesium accumulation in plant parts, about 80% of cesium transferred into the plant from solution was accumulated in the root part and less than 20% of cesium existed in the shoot part (including leaves). Results suggest that only the roots of the fully grown plant used for rhizofiltration should be disposed or post-treated and thus the cost and time to treat massive amounts of grown plants could be dramatically reduced when sunflower and bean are used in the real field. The results of SEM and EDS analyses indicated that the most of cesium were accumulated in the root surface as a ionic phase rather than a soil precipitation phase.

      • Dopamine 및 Prostaglandin 억제제가 쥐의 기초대사율에 미치는 영향

        양민준,윤평진 朝鮮大學校 附設 醫學硏究所 1989 The Medical Journal of Chosun University Vol.14 No.1

        It is well known that the basal metabolic rate is closely related to the thyroid hormone secretion.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opamine and prostaglandin inhibitor on basal metabolic rate in rats. 30 male rats were divided into indomethacin, bromocriptine and indomethacin with bromocriptime groups, and drugs were administered orally for 14 days. The measurements of basal metabolic rates were made on three groups of rats by indirected calorimetry using a oxygen consumption apparatu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Body weight was slightly increased in indomethacin group, but almost no changed in bromocriptine and indomethacin with bromocriptine groups. 2. Basal metabolic rate was almost no changed in indomethacin group, but after 6th day, there is a tendency to decrease in bromocriptine and indomethacin with bromocriptine groups. 3. On the 14th day, basal metabolic rat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domethacin with bromocriptine group as compared with indomethacm group.

      • KCI등재

        해바라기, 갓, 강낭콩을 이용한 수생법(Rhizofiltration)의 우라늄으로 오염된 지하수 정화 효율 규명

        양민준,이민희,Yang, Min-June,Lee, Min-Hee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8 지하수토양환경 Vol.13 No.4

        우라늄으로 오염된 지하수를 정화하기 위하여 해바라기(Sunflower; Helianthus annuus L.), 강낭콩(Bean; Phaseolus vulgaris var.), 그리고 갓(Indian mustard; Brassica juncea (L.) Czern.)을 이용한 수생법(Rhizofiltration)의 우라늄 제거 효율을 규명하기위한 실내 실험을 실시하였다. 안정우라늄 표준 용액을 사용하여 초기 농도를 30 ${\mu}g$/L와 80 ${\mu}g$/L로 적정한 인공오염지하수를 대상으로 72시간 수생법을 실시하여 일정 시간 간격으로 오염지하수의 우라늄농도를 측정함으로써 시간에 따른 식물의 우라늄 제거 효율을 계산하였다. 해바라기의 경우 수생법 72시간 내에 인공오염수 내 우라늄의 81%와 89%가 제거되었으며, 강낭콩은 72%와 80% 제거율을 나타내었고, 갓의 경우에는 80%와 60%가 제거되어 수생법의 우라늄 제거 효율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기 우라늄 농도가 500 ${\mu}g$/L 이상(미국 EPA 수질허용한계농도인 30 ${\mu}g$/L 보다 18배 이상)되는 인공오염수를 대상으로 수생법을 실시한 결과 해바라기, 강낭콩, 갓의 경우 각각 97%, 70%, 77%의 높은 제거 효율을 나타내어 우라늄으로 심각하게 오염된 지하수의 경우에도 수생법을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공 오염수의 pH에 따른 수생법의 우라늄 제거 효율 변화 실험 결과, 오염수의 pH가 증가할 수 록 우라늄 제거 효율은 감소하였으며, 갓의 경우 pH 3에서 pH 9로 증가함에 따라 제거 효율은 83%에서 42%로 감소하였다. 실험 후 식물에 농축된 우라늄량을 습식분해법을 이용하여 부위별로 측정한 결과, 식물로 이동한 우라늄의 99%가 뿌리에 농축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수생법을 적용한 후 성장한 오염식물을 처리하는 경우 농축이 심한 뿌리 부분만을 후처리함으로써 복원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우라늄 농도가 81.4 ${\mu}g$/L인 대전지역에 위치한 천정 지하수를 대상으로 수생법을 실시한 결과, 해바라기의 경우 인공오염지하수 실험 결과와 비슷한 제거 효율이 95.2%인 것으로 나타나, 친환경 정화방법인 수생법에 의한 우라늄 오염지하수 처리 방법이 실제 오염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The uranium removal efficiency of rhizofiltration was investigated in lab scale experiment. Three plants such as sunflower (Helianthus annuus L.), bean (Phaseolus vulgaris var.), and Indian mustard (Brassica juncea (L.) Czern.) were cultivated in artificially contaminated solution by uranium at 30 ${\mu}g$/L and 80 ${\mu}g$/L for 72 hours. The removal efficiencies of three cultivars were calculated from the ICP/MS analysis of uranium mass in solution and the plant. For Helianthus annuus L., more than 80% of initial uranium were removed from the solution and the uranium concentration of residual solution maintained lower than 10 ${\mu}g$/L. For Phaseolus vulgaris var. and Brassica juncea (L.) Czern., their uranium removal efficiencies ranged from 60 to 80%. Even the uranium concentration of solution was higher than 500 ${\mu}g$/L, these cultivars removed more than 70% of initial uranium by rhizofiltration, suggesting that the rhizofiltration has a great capability to remove uranium in the contaminated groundwater. The removal efficiency of rhizofiltration by using Brassica juncea (L.) Czern decreased from 83% to 42% with the increase of pH in solution. Fro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or the uranium accumulation in plants, 99% of uranium transferred into the plant from solution were accumulated in the root and only 1% of uranium existed in the shoot part (including leaves), suggesting that the cost and the time to treat massive grown plants after the rhizofiltration could be dramatically cut down because only their root parts needs to be treated. Finally, the genuine groundwater having high uranium concentration (81.4 ${\mu}g$/L), sampled from Daejoun area, was used in the experiment. The uranium removal efficiency of Helianthus annuus L. for the real groundwater was higher than 95%, investigating that the rhizofiltration is the very useful method to remediate uranium contaminated groundwater.

      • SCOPUSKCI등재

        IC-MS/MS와 내부표준물질을 이용한 식품 중 perchlorate 분석법 개선

        양민준(Minjune Yang),김종성(Jongsung Kim),한종훈(Jonghun Han),허남국(Namguk Her) 한국식품과학회 2011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3 No.5

        본 연구에서는 IC-MS/MS 시스템에 내부표준물질(<sup>35</sup>Cl<sup>18</sup>O4<sub>4</sub>)을 이용하여 식품에서의 정확한 perchlorate 분석을 위한 최적화된 전처리 방법을 제시하였다. Perchlorate를 분석하기 위한 식품의 전처리는 미국 FDA에서 제안하는 perchlorate 분석을 위한 식품 전처리 방법을 변형하여 더욱 재현성이 높은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제시된 분석법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한 유효성의 검토는 음용수, 우유 및 분유, 쌀, 채소류, 해조류 등 다양한 식품들을 대상으로 MDL과 LOQ를 설정하여 외국의 사례와 비교 확인하였다. 또한 시료에 표준물질을 첨가하여 회수율 및 재현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된 5 μg/L 및 5, 10 μg/kg의 perchlorate 회수율 시험 결과 모든 시료에서 %RSD는 적합범위(<20%) 내에 포함되었고 평균 %RSD는 6.4%로 나타났으며, %Recovery도 98-105%로 적합한(80%<x<120%) 범위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정확한 perchlorate 분석을 위한 식품 시료의 전처리 방법은 반복 분석을 통한 시험의 정확도 및 재현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 다른 식품에 대한 perchlorate 분석에도 적용하여 관련분야 연구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internal standard method using ion chromatography combined with tandem mass spectrometry (IC-MS/MS) for quantifying perchlorate in different types of food was established. Because the presence of ions and other biomolecules in matrices usually interrupts accurate determination of perchlorate, it is necessary to develop efficient, reproducible method to determine perchlorate concentrations in food. In this study, the internal standard method was compared with the external standard method to determine perchlorate concentrations in standard samples. The obtained method detection limit (MDL) for perchlorate was 0.005 μg/L for bottled water, 0.12 μg/L for milk, 0.27 μg/kg for rice, 0.16 μg/kg for vegetables, and 0.07 μg/kg for seaweed, respectively. The limit of quantitation (LOQ) was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MDL by 7. The recoveries of perchlorate from food samples spiked with perchlorate ranged from 98 to 105% and their percent relative standard deviation (%RSD) levels were <20%. This method was successfully applied for the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perchlorate in various kinds of food.

      • KCI등재

        원격탐사와 GIS를 이용한 지구환경재해 관측과 관리 기술 현황 2

        양민준 ( Minjune Yang ),김재진 ( Jae-jin Kim ),류종식 ( Jong-sik Ryu ),한경수 ( Kyung-soo Han ),김진수 ( Jinsoo Kim ) 대한원격탐사학회 2022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8 No.5

        최근 전 지구적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기상이변으로 인해 지구환경재해 발생 건수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경제적 손실 및 인명 피해의 규모가 대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도시화 및 산업화에 따라 이상기후의 출현 특성 및 규모가 과거와 다른 양상으로 더욱 복합적이고 대형화되고 있어 지구환경재해 대응 및 관리에 원격탐사와 인공지능 기술의 필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있다. 본 특별호는 원격탐사 및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지구환경재해·재난 관측 및 관리 연구를 살펴보고, 부경대학교 i-SEED 지구환경교육연구단에서 진행하고 있는 가뭄 및 홍수, 대기오염, 해양오염 등 국내에서 발생되는 재해·재난 관련 연구들의 내용 및 결과를 소개하고자 한다. 본 특별호에서 국내 자연재해 관측 및 관리 기술에 대한 정보 공유를 통해 사전에 재해를 예방하고 피해를 저감시킬 수 있는 기술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Recently, the number of natural and environmental disasters is rapidly increasing due to extreme weather caused by climate change, and the scale of economic losses and damage to human life is increasing accordingly. In addition, with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the characteristics and scale of extreme weather appearance are becoming more complex and large in different ways from the past, and need for remote sens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for responding and managing global environmental disasters. This special issue investigates environmental disaster observation and management research using remote sens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nd introduces the results of disaster-related studies such as drought, flood, air pollution, and marine pollution, etc. in South Korea performed by the i-SEED (School of Integrated Science for Sustainable Earth and Environmental Disaster at Pukyong National University). In this special issue, we expect that the results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monitoring and management technologies that may prevent environmental disasters and reduce damage in advance.

      • KCI등재

        원격탐사와 GIS를 이용한 지구환경재해 관측과 관리 기술 현황

        양민준 ( Minjune Yang ),김재진 ( Jae-jin Kim ),한경수 ( Kyung-soo Han ),김진수 ( Jinsoo Kim ) 대한원격탐사학회 2021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7 No.6

        최근 전세계적 자연재해는 도시화, 산업화 및 인구 증가로 인해 대형·복합화 되고있으며, 특히 기후변화로 인한 대규모 자연재해의 발생 건수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심층 분석을 통한 과거 재해에 대한 이해와 향후 발생 가능한 재해의 피해 범위 감소 및 위해성 평가에 관한 연구가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본 특별호는 자연재해·재난분야를 대상으로 원격탐사와 GIS를 이용한 관측과 관리 기술에 관련한 연구들을 살펴보고, 최근 부경대학교 i-SEED 지구환경교육연구단에서 진행하고 있는 폭염, 미세먼지, 홍수, 가뭄, 지진에 관련한 연구 내용 및 결과를 소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 완화 및 향후 자연재해를 대비한 사전 예방과 사후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Natural and environmental disasters are recently increasing in frequency and complexity worldwide due to the rapid expansion of overpopulation,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Thus, analyzing past critical events/disasters in deep and preparing for future disasters in terms of risk identification, assessment and management are imperative requirements. In this special issue, we introduce several interesting studies covering disaster risk management and observation technologies for the heat waves, particulate matters, floods, drought, and earthquake using remote sensing and GIS performed by i-SEED (School of Integrated Science for Sustainable Earth & Environmental Disaster at Pukyong National University). We expect that the results of this special issue provide comprehensive information on the risk management and damage prevention of natural and environmental disasters and offer guidance on the application to future disasters to reduce their risks and impa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