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수영 시의 크로노토프 연구 -<신귀거래(新歸去來)> 연작을 중심으로-

        양경언 ( Yang Kyung-eon ) 국제어문학회(구 국제어문학연구회) 2020 국제어문 Vol.0 No.86

        <新歸去來> 연작은 시인 김수영이 1961년 6월과 8월 사이에 탈고한 작품들로, 시기상으로 ‘5.16 군사 쿠데타’ 이후에 쓰인 시편들이다. 기존 평자들은 거대 역사의 파고에 대응하는 이 연작시에 대해 혁명의 퇴조기에나 확인할 수 있는 퇴행적 주체의 해소되지 않은 분노로 인한 무기력증을 토로하는 어조가 지배 적이라는 평가를 했었다. 그러나 이러한 평가에만 의존하여 해당 작품에 접근한 다면, 그 시기 이후 김수영의 작품들에서 발견할 수 있는 혁명적 에너지가 어떻게 가꿔졌는지에 대해 해명할 수 있는 폭이 좁아진다. 이 연구는 <新歸去來> 연작시편의 ‘반복적 언술’ 및 ‘비(非)- 알리바이적인 방’이 ‘주요 크로노토프’로 부상하는 과정을 살피는 과정을 통해 해당 연작시편 이 다양한 크로노토프들의 원심력과 구심력을 활용함으로써 ‘자유’를 향한 갈망을 계속적으로 언어에 응축시켜나갔음을 증명한다. ‘5.16 군사 쿠데타’로 자유 에 대한 희구가 요원해질 수밖에 없었던 당대 사회적 상황에서 김수영의 시는 무기력, 도피, 퇴행으로 점철되는 듯한 포즈를 취하는 듯싶다가도 도리어 그를 역전시키는 언어의 활력을 선보인다. 반복적인 언술을 활용하여 아이러니와 유 머를 양가적으로 구사하면서 ‘끝’이라는 시간성을 재고하게 하고, 혁명의 과업을 일상에서 수행적으로 구현해나가는 ‘방’이라는 크로노토프를 작동시킴으로써 미래를 도모하는 입체적인 시간성을 조성했던 것이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시인은 ‘혁명의 과업’이 끝내 현재진행형으로 수행될 수밖에 없음을 분명히 알린다. The series of poems in the “Shin Gui Geo Rae” were works of the poet Kim Soo-young, written after “5.16.” Critics at the time said that the series, which responded to the wave of history, was dominated by a tone of lethargy caused by the unresolved anger of the degenerate subject, which can be identified from the deterioration of the revolution. However, these assessments would restrict the scope of the work when seeking to explain how the revolutionary energy in Kim Soo-young’s works has developed since that period. Through the process of “repeated speech” and “non-alibi-like rooms” emerging as “major chronotopes,” the paper proves that the series continued to condense the desire for “freedom” by using the centrifugal and centripetal forces of various chronotopes. In the social situation of the time, when the revolutionary atmosphere did not end but the desire for freedom was frustrated due to the “5.16” military coup, the poetic subject of Kim Soo-young, seemingly posed as lethargy, flight, and regression, instead used repetitive language to create constructions using both irony and humor, creating “room” to build a future in which the task of revolution would be implemented in daily life. The poet clearly indicates that “revolution” is bound to in the present performative form.

      • KCI등재

        전봉건의 「6 · 25」 연작시 연구 ― ‘언캐니’ 개념을 중심으로

        양경언(Yang, Kyung-Eon) 한국시학회 2020 한국시학연구 Vol.- No.64

        The study examines Jeon Bong-gun’s “6 · 25” series as “Uncanny” and argues that the “6 · 25” series needs to be actively reexamined. Jeon Bong-gun is a poet who has been highly praised for embodying the poetic will to embrace fragmentation and division through the “love” method that crosses the violent horrors of war. The tragic situation in reality and the poet’s work to maintain tension have been read as the possibility of modernism poetry, which seeks to overcome reality while keeping critical eye on it. However, the 6 · 25 series seems to have a unique location. This is because the poet’s will is not easily found, even though the series “6 · 25”, which published 59 works for three years from 1985 to 1988, focuses on the single subject of the 6 · 25 War. However, the 6 · 25 series provides important clues as to how the poet is involved in the war. Jeon Bong-gun’s “6 · 25” series shows the memory of the suppressed war, which suddenly returns from familiar daily life, breaks the will of life and makes the war experience itself. From a “Uncanny” perspective, Jeon Bong-gun’s “6 · 25” series, which is a concept that makes people feel unfamiliar with familiarity and cause anxiety, is a collection of poems that appear to have returned terrible memories of the war, which were suppressed unconsciously by the poet, while also expressing the experience of facing the reality of oppression through a tear in the poetic subject. In Jeon Bong-gun’s “6 · 25” series, it can be seen that “Uncanny’s Punktum,”which is caused by the coexistence of disparate things, the situation of “objective coincidence”, which is revealed by repeated compulsive compulsions, the emergence of fragmented body images, and discontinuous writing patterns are being shaped by “Uncanny”. Uncanny, which enables the series “6 · 25”, shows how the psychological state of the poetic subject intervenes in the perception of reality and forms the reality itself, aesthetically proves that the experience of war is destructive enough to bind the subject and nonlinearly return no matter how long it has been experienced. The series is also another “reality” of the poet, who is driving criticism aimed at social realities that are increasingly losing memories of the war. In the series “6 · 25”, Jeon Bong-gun embodies war by displaying the pain itself that cannot be fully reproduced through the language of the divided tongue. This is a way of penetrating the wounds of the war rather than a premature move to “repress” the wounds of the war. It is a way of breaking the boundary between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and not leaping from war. It would be meaningful to read Jeon Bong-gun’s “6 · 25” series as “Uncanny” in that it embodies the way he penetrates wounds to readers through poetic imagery.

      • KCI등재

        전봉건의 『사랑을 위한 되풀이』에 나타난 `사랑` 연구

        양경언 ( Yang Kyung-eon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2 국제어문 Vol.55 No.-

        전봉건은 전쟁에 대한 경험을 끊임없이 시적으로 형상화한 시인 중 한명이다. 그는 전쟁에 굴복하고 마는 시적 주체의 음울한 모습만이 아닌, 시적 주체가 능동적으로 삶을 견지하려는 모습 역시 두드러지게 그리는데 전봉건 시에서 시적 주체의 이와 같은 움직임들은 주로 `에로스`, `생명의식` 등으로 평가됐었다. 그러나 이 말들은 모두 `사랑`이라는 말을 경유하여 설명되어온 것이다. 때문에 `사랑`이라는 말 자체를 시작(詩作)의 형식적인 차원과 결부시켜 전봉건의 시를 바라보는 연구가 요구된다. 본고는 시인이 전쟁 후에 바로 쓴 『사랑을 위한 되풀이』(1959)를 주목하여 이 시집에 나타난 `사랑`의 구축과정과 `사랑`의 효과를 살핀다. 크리스테바의 `사랑의 윤리`를 빌려와 은유적으로 구축되는 사랑과 사랑을 통해 시에서 은유들이 연쇄적으로 생성되고 있음을 보면서, `사랑`이라는 말이 다른 무엇의 매개가 아닌 전봉건의 시적 원리 그 자체임을 증명한다. 2장에서는 시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은유적 원리를 탐색하여 사랑이 어떤 방식을 통해 구축되고 있는지 확인한다. 크리스테바에 따르면, `은유`는 언술 작용의 주체와 대상이 그들 사이의 경계선을 혼동할 때, 언어에 영향을 미치는 의미의 이동이다. 은유가 진행되는 과정은 마치 타인과의 끝없는 동일화를 욕망하는 `사랑`의 체험과 유사한 것이다. 전봉건의 시에서 `사랑`이 만들어지는 원리 역시도 은유적인 방식과 유사하다. 사랑의 은유가 생성되기 위해서는 언술 내용보다는 언술 행위 그 자체가 상기되어야 한다. 이는 곧 생성텍스트(geno-texte)에서 `사랑`을 구축하기 위해서 현상텍스트(pheno-texte)에서 `사랑의 증거`라는 은유를 성립시키는 방식이라 할 수 있다. 「사랑을 위한 되풀이」에서 `사랑`은 은유의 생산현장에서 생성된다. 3장에서는 전봉건의 『사랑을 위한 되풀이』에 수록된 각종 시편들을 분석하여, 은유를 통해 구축이 된 `사랑`이 또 다른 생명들을 어떻게 잉태하는지 그 모습을 확인한다. 은유적 원리는 차이를 가진 대상들의 동일화를 통하여 끊임없이 불안을 야기하는데, 그 불안은 마치 사랑을 지속시킬 수 있는 실천이 있을 때에야 지속 가능한 사랑의 체험을 연상케 한다. `사랑`은 전후(戰後)의 피폐한 상황 속에서도 그 참혹함에 묻히지 않고, 오히려 전후 상황에 거리를 두고 다양한 수사로 상황을 표현해낼 수 있는 원동력으로 작동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전봉건 시의 시적 주체들은 사랑의 생성에 그치지 않고 사랑의 윤리를 실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내 안의 것에 대한 사랑뿐 아니라, 그를 포함하여 새로운 무언가를 만들어내는 크리스테바적인 사랑과 닮은 것이다. 전봉건이 표현하는 `사랑`이란, 전쟁의 입체적인 면모를 도리어 고발하는 통로로 기능한다. 사랑의 함의가 드러날수록 전쟁의 잔혹함은 짙어지지만, 사랑을 지키려는 시적 주체의 의지 역시 강화되므로 `사랑`은 죽음이 만연한 사회에서도 계속해서 시를 쓸 수 있는 원동력으로 자리한다. Jeon Bonggeon is one of those poets who continually embodied his war experience in poetry. He does not stop short of depicting the gloomy aspects of the subject of poetry that kneel before the face of the war; he markedly paints the proactive side of the subject who holds fast to his life. Such behaviors shown by the subjects in Jeon`s poetry have been defined by “eros” or “consciousness of life”. These words however were used in place of the term “love” and there have been demands for the studies of Jeon`s poetry that view "love" with regard to the formality of writing poetry. This study focuses on 『Repetition for Love』(1959) that the poet wrote after the Korean war, exploring how the concept of “love” is built and how its effect is portrayed. It could be learned that Jeon borrows the “ethics of love” from Kristeva and that the series of metaphors are created based on the metaphorical love and love, showing that “love” is not a medium of another but Jeon`s poetic principle itself. Chapter 2 analyzes the long 『Repetition for Love』to discover the varieties of metaphorical principles to see how “love” is built. As Kristeva put it, “metaphor” is “the economy that modifies language when subject and object of the utterance act muddle their border”. The process in which metaphor takes effect and is built is similar to the experience of “love” - a desire to incessantly identify oneself with the other. The way “love” is created in Jeon`s works is similar to how metaphor is formed. For the metaphor of love to be created, the act of utterance itself should be reminded rather than the content of the utterance. That is, the metaphor of the “proof of love” is formed in the pheno text(pheno-texte) in order to build on “love” in the geno text(geno-texte). “Love in 「Repetition for Love」is created while metaphors are produced. In Chapter 3, the poems in 「Repetition for Love」are analyzed to see how “love” built on metaphor acts to give birth to other forms of life. The metaphorical principle brings about anxiety by identifying the different subjects, the anxiety of which allows for the experience of love that lasts only when there is action to continue the love. Devastation of war does not bury “love” under its sheer brutality; instead, it serves as a driving engine that helps describe the situation with diverse expressions, keeping a fair distance to the post-war situation. This process which emerges itself in Jeon`s works is what spurs the subjects to go beyond the creation of love to act on the ethics of love. It is not merely the love for what is inside oneself; it resembles more of the Kristevan love in which something new is created. “Love” as described by Jeon is a channel through which various dimensions of the war are exposed. The more the implications of love reveal themselves, the worse the cruelty of the war becomes. However, this also intensifies the subject`s willingness to protect love. “Love” therefore drives the poets to continue their work even in a world where death is preval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