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홍조류의 영양 성분과 항산화 활성

        신정혜,최덕주,임현철,서종권,이수정,최선영,성낙주,Shin Jung-Hye,Choi Duk-Ju,Lim Hyun-Cheol,Seo Jong-Kwon,Lee Soo-Jung,Choi Sun-Young,Sung Nak-Ju 한국생명과학회 2006 생명과학회지 Vol.16 No.3

        갈래곰보(Meristotheca papulosa (Montagne) Kylin), 진두발 (Chondrus ocellatus, Holmes), 꼬시래기(Gracilaria verrucosa (Hudson) Papenfuss) 및 돌가사리(Gigartina tenella, Harvey) 를 대상으로 영양성분을 분석하고, 에탄을 추출물의 항산화 및 아질산염 소거 활성을 실험함으로서 그 기능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회분의 함량은 시료간의 차가 커 꼬시래기의 경우 $9.8{\pm}0.2g/100g$이었으나 돌가사리는 $17.8{\pm}0.6g/100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이었다. 조섬유의 함량은 $2.0{\pm}0.4{\sim}6.0{\pm}0.7\;g/100g$의 범위였다. 페놀화합물은 꼬시래기에서 $78.4{\pm}1.0mg/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이었으며,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진두발과 꼬시래기에서 각각 $14.9{\pm}0.5mg/g$과 $13.9{\pm}0.8mg/g$으로 정량되어 갈래곰보와 돌가사리에 비해 약 2배 정도 더 높은 함량이었다. 무기물의 총 함량은 갈래곰보에서 12,107.7 mg/kg으로 가장 높았다. 구성 아미노산은 $49.1{\sim}125.6mg/g$으로 시료에 따른 함량 차가 켰으며 대부분의 시료에서 glutam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게 정량되었다. SOD 유사활성은 시료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전체적인 활성은 낮았다. 전자공여능이 가장 높은 돌가사리의 경우 $250{\mu}g/ml$농도에서 $53.96{\pm}0.98%$로 50% 이상의 활성을 보였으며 1000 ${\mu}g/ml$농도에서는 $70.52{\pm}1.09%$로 그 활성이 증가하였다. 100 ${\mu}g/ml$의 농도에서는 시료들의 hydroxy radical 소거활성은 $57.87{\pm}1.70{\sim}62.07{\pm}0.87%$의 범위로 ascorbic acid나 BHT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꼬시래기에서 가장 높았는데 $100{\sim}500{\mu}g/ml$ 농도에서는 $24.04{\pm}1.9{\sim}27.52{\pm}0.82%$의 범위였으나 1000 ${\mu}g/ml$ 농도에서는 $34.81{\pm}1.36%$로 증가하였다. 이상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한 결과 본 실험에 사용된 홍조류 4종은 전자공여능과 hydroxy radical 소거활성이 우수하였다. Nutritional components of 4 kinds of red seaweeds, Meristotheca papulosa, Chondrus ocellatus, Gracilaria verrucosa, Gigartina tenella, were investigated to elucidate their functionality. Antioxidant activity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were analyzed from 70% ethanol extracted from these red seaweeds. Large difference in ash contents was found to exhibit among all samples analyzed in this study; $9.8{\pm}0.2g/100g$ for Gracilaria verrucosa and Gigartina tenella for $17.8{\pm}0.6g/100g$. While its crude fiber content was almost the same as those in other sample within a range between $2.0{\pm}0.4g/100g$ and $6.0{\pm}0.7g/100g$. Phenolic compounds content of Gracilaria verrucosa was also the highest as $78.4{\pm}1.0mg/g$, while the total flavonoids contents of Chondrus ocellatus and Gracilaria verrucosa were $14.9{\pm}0.5mg/g$ and $13.9{\pm}0.8mg/g$, respectively. These amounts were two folds higher than Meristotheca papulosa and Gigartina tenella. The total content of minerals was the highest in Meristotheca papulosa(12,107.7 mg/kg). The amount of glutamic acid was relatively high despite of small variation in measured levels of composition amino acid ($49.1{\sim}125.6mg/g$) for most samples investigated. SOD-like abil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sample concentration, but its activity was lower. Gigartina tenella with highest electron donation ability exhibited increases in activity as $53.96{\pm}0.98%$ in concentration of 250 ${\mu}g/ml$ and $70.52{\pm}1.09%$ in 1000 ${\mu}g/ml$, respectively. In case of concentration of 100 ${\mu}g/ml$, particularly, the level of hydroxy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57.87{\pm}1.70{\sim}62.07{\pm}0.87%$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activity than ascorbic acid and BHT. Nitrite scavenging activity was the highest in Gracilaria verrucosa. Its activity was also increased from $24.04{\pm}1.9{\sim}27.52{\pm}0.82%$ in $100{\sim}500{\mu}g/ml$ concentration tp $34.81{\pm}1.36%$ in concentration of 1000 ${\mu}g/ml$.

      • KCI등재

        아스퍼거 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비가시화 실천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신정혜,김현주 한국상담학회 2018 상담학연구 Vol.1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henomenologically explore ‘the practices of invisiblization’ experienced by mothers of children with Asperger’s disorders and to help acquire in-depth understanding of their experience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our mothers of children diagnosed as Asperger’s disorders at least over one year,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ased on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study method. As a result of the data analysis, 4 major themes and 9 sub-themes were derived. The 4 major themes are : ‘painful but carried a cross on their children’s behalf’, ‘pain and conflict caused by incomprehension of disability’, ‘protect the subjectivity from the objectifying gaze’, and ‘a harsh maze where one must go through alone’. This includes psychological behavioral changes and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experienced by participants in the process of invisibliz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exploring in-depth the practices of invisiblization among mother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ir experience, has significance in providing basic data for professional intervention toward children with Asperger’s disorders and their mothers.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recognition and the institutional system of mental disorders through understanding the in-depth experience of mothers of children with Asperger’s disorders. 본 연구의 목적은 아스퍼거 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비가시화 실천 경험과 의미를 심층적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장애 진단을 받은 지 1년 이상 된 아스퍼거 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 4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진행하였고,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에 기초하여 수집된 자료들을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4개의 주제와 9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4개의 주제는 ‘버겁지만 대신 지고 가는 십자가’, ‘장애에 대한 몰이해로 인한 고통과 갈등’, ‘대상화하는 시선으로부터 주체성을 지켜내고자 함’, ‘홀로 헤쳐 나가야하는 냉혹한 미로’로 나타났으며 비가시화 실천의 과정에서 참여자들이 경험하는 심리적, 행동적 변화 및 사회문화적 특성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스퍼거 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비가시화 실천 경험을 심도 있게 탐색하여 그 경험의 의미를 이해함으로써 아스퍼거 장애 자녀 및 어머니들을 위한 전문적 개입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또한 아스퍼거 장애 자녀 어머니의 심층적인 경험 이해를 통해 정신장애에 대한 인식 및 제도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 아르누보 양식의 금속장신구 특성 연구

        신정혜,이형규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0 디자인지식저널 Vol.16 No.-

        아르누보는 1895년부터 10년간 전성기를 누리지만 1910년경부터 기능과 사회성을 중요시 하는 경향으로 인해 점차적으로 쇠퇴되고 소멸 되었다. 이처럼 짧고 과도기적 양식인 아르누보가 재창조와 예술가의 독창적인 의미와 표현을 강조함으써 '새로운 창조의 결과' 라는 추상적인 양식의 기본적 미학을 제공하였다는 면에서 아르누보 장신구의 조형적 특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전통으로부터 벗어난 새로움을 추구하던 하나의 예술양식이었던 아르누보는 전반적인 사회적 현상의 변화에 의한 인간애와 새로움의 열망이라고 할 수 있다. 아르누보 양식은 초기에 추상적이고 동적인 감각으로 구성하였으며 자연물을 소재로 하여 굽이치는 듯한 유기적인 곡선을 특색으로 한다. 후에 유기적 곡선은 기하학적으로 변모하며 현대적 생산능력을 갖추어 나감으로서 더욱 새로운 양산을 띄게 되었다. 이 양식의 발전에서 뛰어난 두각을 나타낸 장신구는 자유로운 유동적인 선과 자연적 모티브의 사용을 특징으로 하며 새롭고 다양한 소재의 이용으로 창의적 디자인을 선보이고 있다. 전통적 소재의 가치를 뒤바꿈으로서 자유롭고 다채로운 재료의 가치를 확보하고 저렴한 준보석과 금속의 사용을통해 장신구의 대중화를 부흥시켰다. 아르누보 양식은 예술의 거의 모든 분야에서 영향을 끼쳤지만, 장신구 분야에서 기능적인 오브제에 예술가 자신을 표현하는데 있어서 좋은 표현영역이 되었고 예술로서의 장신구 영역을 확보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그리고 이 '새로운 미술' 운동이 현대 장신구에 있어서 선구적 구실을 했다는 점에서 아르누보가 장신구에 미친 영향은 그 의의가 높다.

      • KCI등재
      • 위암 환자의 골수에서 발견된 Cytokeratin 양성세포의 임상적 의의

        신정혜,구기범,박성훈,정호영,배한익,유완식,Shin, Jung-Hye,Ku, Ki-Beom,Park, Seong-Hoon,Chung, Ho-Young,Bae, Han-Ik,Yu, Wan-Sik 대한위암학회 2006 대한위암학회지 Vol.6 No.4

        목적: 암 환자의 골수에서 발견되는 cytokeratin 양성세포와 암의 재발과의 상관관계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많지 않다. 이에 위암환자의 골수에서 발견되는 cytokeratin 양성세포가 위암 환자의 재발과 생존율을 예측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6월부터 2000년 7월까지 경북대학교병원 외과에서 원발성 위암으로 수술받은 환자 41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직전 장골능선에서 골수를 흡인하여 단핵구를 분리하고 항 cytokeratin 항체를 이용하여 면역세포화학적 염색을 하였다. 결과: Cytokeratin 양성세포는 219예(52.4%)에서 발견되었고, 위암의 침윤깊이(P=0.021), 병기(P=0.026)에 따라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암의 위치, 육안형, 림프절전이, 원격전이, 분화도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골수의 cytokeratin 양성세포 유무에 따른 5년 생존율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0.248), 재발여부, 재발부위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위암 환자의 골수에서 cytokeratin 양성세포 유무는 예후인자로 사용되기 어렵고 재발양상을 예측하기도 어렵다. Purpose: Controversy still exists over in the prognostic significance of microscopic tumor cell dissemination in patients with cancer. This study evaluated the prognostic implication of isolated tumor cells in the bone marrow of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Four hundred nineteen (419)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for gastric cancer between June 1998 and July 2000 were enrolled in the study. Bone marrow aspirate was obtained from the iliac crest before removal of the primary tumor. Mononuclear cells were isolated and stained with AE-1/AE-3 PAN-CYTOKERATIN. Results: Cytokeratin-positive cells were found in the bone marrow of 219 patients (52.3%). The incidence varied significantly with the depth of invasion (P=0.021) and the stage (P=0.026). The five-year survival rate of patients with cytokeratin-positive cells was 74.1% and that of patients without cytokeratin-positive cells was 81.1%(P=0.248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currence rate and the site of recurrence according to whether or not cytokeratin-positive cells were present in the bone marrow. Conclusion: The presence of cytokeratin-positive cells in the bone marrow of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did not predict outcome and recurrence. Therefore, it cannot be used as a prognostic factor.

      • KCI등재

        남해군 특용작물의 생리활성

        신정혜,강민정,양승미,성낙주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2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6 No.1

        경남 남해군에서 재배되고 있는 특용작물인 아스파라거스, 알로에, 울금, 백년초 및 마늘을 시료로 하여 각각의 열수추출물을 제조하고, 총 페놀 화합물, 플라보노이드의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을 중심으로 생리활성을 분석하였다. 총 페놀 화합물의 함량은 아스파라거스 열수추출물이 23.79±0.33 mg/100 g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울금 열수추출물이 21.56±0.66 mg/100 g으로 정량되었다.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알로에 열수추출물이 17.10±0.05 mg/100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이었으며, 다음으로 아스파라거스 열수추출물 (11.68±0.83 mg/100 g), 울금 열수추출물 (11.33±0.18 mg/100 g)의 순이었다. 모든 시료에서 전자공여능, ABTs 라디칼 소거능 및 NO 라디칼 소거능은 추출액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그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ABTs 라디칼 소거능은 아스파라거스 열수추출물이 가장 높아 2,000 μg/mL 농도에서 96.10± 0.06%의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NO 라디칼 소거능은 250 μg/mL 농도에서 울금 열수추출물이 45.04± 1.39%로 가장 뛰어난 활성을 나타내었다. 5종의 모든 시료에서 열수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tyrosinase 저해 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α-glucosidase 저해 활성은 250 μg/mL 농도에서 백년초 열수추출물의 활성이 31.38±0.94%로 가장 높았다. 본 연구를 종합하여 볼 때 5종의 남해군 특용작물의 항산화 활성은 아스파라거스가 가장 높아 기능성 식품소재로서 활용이 기대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on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5 kinds of specialized crops (asparagus, aloe, curcumin, backnyuncho and garlic) cultivated in Namhae. All crops were freeze dried and then extracted with 10 folds of 60℃ hot-water, for 8 hours. Collected twice extracted water extract were also freeze dried. Dried extract samples were diluted with deionized water for examination. The total phenolics content was the highest observed in asparagus extract to 23.79±0.33 mg/g and total flavonoids of aloe extract was the highest content 17.10±0.05 mg/g. In all samples, DPPH, ABTs and NO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depends on the concentration of the extract tended to increase.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the highest conducted 96.10±0.06% effect examined at 2,000 μg/mL in asparagus hot-water extract. NO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hot-water extract from curcumin was the highest 250 μg/mL concentration observed in 45.04±1.39%. In all sample, tyrosinase activity was significantly inhibited with increasing of hot-water extract concentration. As a result, α-glucosidase inhibition activity was the highest in hot-water extract from backnyuncho on 31.38±0.94% at 250 μg/mL.

      • 식사를 통한 N-Nitrosamine의 추정 섭취량 평가

        신정혜,김연희,이수정,손미예,성낙주 한국식품영양학회 2002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15 No.1

        단체급식소 12개소의 식단을 수거하여 각 메뉴별 및 1인분 식단별 NA 함량을 분석하였고 인공소화 기법을 활용하여 체내에서 생성 가능한 NA의 함량을 예측하였다. 육류와 어패류를 주재료로 요리된 메뉴들의 인공소화 전·후 NA 함량을 분석한 결과 멸치볶음에서 NDMA 함량이 흔적량 ~ 4.8 ㎍/kg으로 가장 높았고, 채소류를 주재료로 한 메뉴들에서는 불검출에서 흔적량의 NDMA가 정량되었으며, 인공소화 후에도 흔적량 이하로 정량되었다. 1인 분량의 식사를 수거하여 인공소화 전·후의 NA를 분석한 결과 NDMA는 인공소화 전 0.20 ~ 0.78 ㎍/kg의 범위였으나 인공소화 후에는 0.43 ~ 0.80 ㎍/kg으로 약간 증가하였다. 상기의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하여 성인 1일 NA 섭취량을 계산한 결과 0.60 ~ 2.34 ㎍/day/person이며, 인공소화를 통한 체내에서의 생성량을 고려하면 최대 5.15㎍/day/person으로 추정된다. N-nitrosamine (NA) contents depending on simulated gastric digestion were analyzed with 12 kinds of diets collected from institutional food service those diets were estimated the total NA amounts including both intake from food directly and its endogenous formation in human body from simulated gastric digestion. NA was determined in dishes of meats, fished and vegetables before and after simulated gastric digestion. N-nitrosodimethylamine (NDMA) contents were from not detected(ND) to 4.8 ㎍/kg in dishes of meats and fishes. After digestion, its contents increased and the highest level was 3.0 ㎍/kg in panbroiled dried anchovy. In vegetable dishes, NDMA was detected as ND ~ trace before and after digestion. The contents of NDMA in diets collected from institutional food service were 0.20 ~ 0.78 ㎍/kg, 0.43 ~ 0.80 ㎍/kg before and after digestion, respectively. The average intake of Na per day to Korean, based on the above data, was 0.60 ~ 2.34 ㎍/day/person. The maximum daily intake of NA was reduced to 5.15 ㎍/day/person when considering NA amounts formed endogenously by simulated gastric diges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