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춘앵전과 무산향의 미적 특성

        송미숙 한국체육철학회 1997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5 No.1

        Now I`d like to summerize the points of my argument as below : Through insighting various aspects, I come to conclude that, abovementioned two out-standing solo-dancings, `Chun-ang-jeon` and `Musan-hyang`, seem to be similar, in the point of their framwork of story, to other `Jung-jae`s(it means traditional Korean dancings that were created by the same author, maybe Prince Hyo-myungs) in the late of Yi-dynasty. But in their real contents, they have not only many differences but their own characteristics from each other. First in view of their dancing-motions; `Chun-ang-jeon` shows such static Techniques as `I-su-ko-je`, `Su-su-mu`, `Bi-rl`, and `hoe-du` ; while `Mu-san-hyang` reveals such dynamic skills as `Hoe-sun`, `Jyun-hwan`, `Dasu`, `Su-shin-yeo-hap-jerl-i-i-mu`, and `Byun-su`. Secondly, in view of their framework of story : through both works are composed of the general forms of a framework-namely, Starting, Development, Climax, and Ending. But `MTu-san hyang`, has much more stronger impression through using the repetition-technique of returning the Climax once again on the point of Ending part. Thirdly, in view of their using space ; `Chun-ang-jeon` has the beauty of symmetry that may be focussed on the `point`. On the other hand, `Mu-san-hyang` ahs the beauty of respective stream of circle that may be focused on the `line` and `circle`. Morever, though are performed in restrictive space such as on `Hwa-mun-seok` or `Dae-moo ban`, `Chun-and=jeon shows the inddor, static, and tranquil feeling : yet `Mu-san-hyang` reveals the outdoor, dynamic, and stung felling resulted from being performed such places as pavilion and side-flcxr of the Korean traditional house. Briefly speaking, `Chun-ang-jeon` has plani-effect ad static impression, but `:Iu-san-hyartg` reveals cubic-effeca and dynanuc impression, resulted from their own space limitations. There a big musical difference between YUCHOSINZIGOGO of CHUNANGZON and HYANGDANGGYOJU of MUSANHYANG, KOANAKYONGSANHOISANG which give strong feeling orchestrally in the music marching to the dances. The Characteristic of the two dances shows the contrast of strong and tender feeling of the colorific costumes, too. Thus each dance-CHUNANGZON and MUSANHYANG-has contrastive beauty as bright and dark, strong and wead in structural and spatial aspects, the stylings of the dances, costumes, dancing tools and music etc.

      • 어린이집 주임교사의 역할과 보람1

        송미숙,이성희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6 No.1

        본 연구는 어린이집에서 주임으로 근무하고 있는 교사들을 통해 주임교사의 역할과 보람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한 연구문제로 어린이집 주임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주임교사의 역할과 자질, 어린이집 주임교사가 수행하고 있는 역할, 어린이집 주임교사의 역할 수행에 따른 어려움과 보람 등을 탐구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2015년 6월부터 2016년 4월까지 10개월간 2년에서 10년의 주임교사 경력을 가진 어린이집 주임교사 6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주임교사들은 원장과 보육교사로 구성된 어린이집 조직체계 속에서 중간관리자 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책임감과 믿음, 구성원들을 이해하고 귀 기울일 줄 아는 소통의 능력을 교사들이 따르게 하는 리더십을 제안하였다. 둘째, 어린이집에서 주임교사는 담임교사로서 역할, 보육과정 운영관리자로서 역할, 교육 관리자로서 역할, 운영자와 보육교사 간 관계에서 전달자 역할을 수행하였다. 어린이집 주임교사는 원장의 운영철학을 이해하고 교사들의 운영계획을 설정하도록 도우며, 교사들의 경력에 따라 안내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동료들 간 신뢰를 바탕으로 원활한 관계를 유지하도록 역할을 수행하였다. 셋째, 역할수행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들을 극복하고자 먼저 모범을 보이고 개선 방법을 찾아 노력하였다. 교직원들 간의 협력관계 속에서 갈등을 줄이고 업무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하면서 업무에 대한 보람과 주임교사로서 성장하는 과정을 경험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주임교사의 역할갈등을 최소화하여 어린이집 조직운영의 체계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간호대학생의 국외독립운동사적지 탐방 경험

        송미숙,배수진,Song, Mi-Sook,Bae, Su-Jin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18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4 No.3

        This is a qualitative study conducted to understand and explain the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exploring historic sites of independence movement overseas. The study's participants were 24 nursing students in the first and second graders who participated in a program to explore the historic sites of independence movement overseas at a college in C County, Gyeongsangbuk-do.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December 23, 2017 to December 25, 2017. The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in an open self-reporting proces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method of Krippendorff[13].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exploring historic sites of independence movement overseas 19 sub-theme, 10 themes, and 4 categories were derived. The four categories are "Our History Represented in the wake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Footprint projected of an independent activist ", " Rage Boiling But Hope Remaining", "blooming patriotism through refle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d an understanding of nursing students' experience in exploring the historical sites of independence movement and have shown that nursing students had the opportunity to recognize the history of independence movements, inspire patriotism and reflect on their attitude as nurses. In addition, institutional efforts and resources should be supported to address the lack of policies on the preservation of the historic sites for independence movements overseas, which are dependent on the private sector.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국외독립운동사적지 탐방경험을 이해하고 설명하기 위해 수행된 질적 연구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경상북도 C군 일개 대학에 국외독립운동사적지 탐방프로그램에 참여한 간호 대학생 1.2학년 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7년 12월23일부터 12월 25일까지였으며, 자료 수집은 개방형 자기보고서식 성찰일지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Krippendorff[13]의 질적내용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간호대학생의 국외독립운동사적지 탐방 경험을 분석한 결과, 19개의 하위주제, 10개의 주제, 그리고 4개의 범주로 도출되었다. 4개의 범주는 '독립운동의 흔적 앞에서 각인된 우리의 역사', '투영되는 독립운동가의 발자취', '끓어오르는 분노 그러나 남아있는 희망', '반성 속에 애국심의 꽃이 피다' 이다. 본 연구 결과는 간호대학생의 독립운동사적지 탐방 경험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였으며, 간호 대학생들이 독립운동역사에 대한 인식제고, 애국심 고취 그리고 간호사로서의 자세에 대해 성찰하는 기회를 가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독립운동 사적지의 보존에 대한 정책이 미비해 민간에 의지하고 있는 현실임으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제도적 노력과 자원이 뒷받침되어야 하겠다.

      • KCI등재

        중요무형문화재 전승자 명칭 및 선정에 관한 연구

        송미숙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13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9 No.1

        본 연구는 무형문화재 전승자들의 명칭의 변화 및 선정에 따른 문제점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은 1.2차 사료의 각종 문헌들을 고찰하는 방법을 채택하였으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형문화재 대표적 전승자인 ‘보유자(保有者)’ 명칭의 재검토가 필요하다. 문화재 보호법에 무형문화재 보유자라는 명칭으로 쓰이고 있지만, ‘보유자’라는 명칭은 법률적으로 규범 한 명칭일 뿐 실제적으로는 많이 쓰이지 않는다. 널리 알려진 ‘인간문화재’로 명칭을 바꾸어서 법률적으로 규범 하는 명칭과 실질적으로 쓰임이 큰 명칭과의 혼선이 없도록 무형문화재 보유자 명칭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생각한다. 둘째, 무형문화재 전수교육조교의 명칭을 연수에 따라 등급별로 구분해야 된다. 무형문화재 보유자가 지정되면, 그 밑으로 보유자 후보, 전수교육조교, 이수자, 전수자 등의 등급별로 세분화 되었었던 초기와 다르게 보유자 밑으로 전수교육조교로 통일되면서, 여러 문제가 도출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각 년수에 따른 등급시험을 치를 것을 제안한다. 셋째, 이수자 선정에 대한 편파적 성향과 무분별한 이수증 남발은 무형문화재의 보존 및 전승에 대한 올바른 취지에서 벗어나고 있으며, 보유자나 보유단체의 권력을 강화시켜 주고 있다. 이수자 선정을 공정하게 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선행된 체제에서 벗어나 문화재청이 주도하거나 자문을 구할 자문기관의 참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넷째, 전수교육조교 선정 시 보유자의 추천에 의한 기존의 추천제 방식에서 벗어나 자격이 되는 이수자가 누구나 신청할 수 있어야 하며, 이에 대한 자격 조건은 공정하면서 체계적으로 행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oblems accompanying the change of titles for initiates along with the current status of intangible cultural asset transmission. As the study method, this study employed a method of exploring various literary data on primary and secondary historical materials, and following are the conclusions:First, it is necessary to reexamine archetype preservation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Not depending on archetype maintenance and preservation, it is essential to think over how to preserve the archetypes, collecting reliable sources, and through which way to have them applied. Second, it is necessary to reexamine ‘holder (保有者),’ a representative initiate for intangible cultural asset. According to the cultural asset protection law, a title named as ‘a holder of intangible cultural asset’ is used, but since the title of ‘holder’ is only a legally named one, it is not broadly used in reality. This is the right moment to reexamine the title for intangible cultural assets in order to get rid of the conflict between a legal name and a broadly used name by changing it into the title of ‘human cultural asset’ which is broadly well known, Third, it is necessary to classify the titles for the transmission teaching assistant of intangible cultural asset by the level according to the number of years. Different from the beginning that given a holder of intangible cultural asset designated, titles were divided into such as a holder candidate, a transmission teaching assistant, a finisher, a apprentice by their level in a descending order, the tiles were currently unified as a holder and a transmission teaching assistant, bringing about various problems. A minute classification of apprentice titles could prevent from pleas of conflicting problems rather than unifying them into ‘the transmission teaching assist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