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남 서남부지역의 임신중 고혈압 질환의 임상적 고찰

        손은식(Eun Sik Sohn),장은철(Eun Chul Jang),김기중(Ki Jung Kim),최호준(Ho Jun Choi) 대한산부인과학회 200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5 No.6

        목적 : 1996년부터 2000년까지 전남 서남부지역에서 발생한 임신중 고혈압 질환의 현황을 분석하여 산전 관리에 따른 도시와 농·어촌지역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1996년부터 2000년까지 만 5년간 목포 가톨릭병원 산부인과에 입원 분만하였던 산모 총 13,296예중 251예의 임신중 고혈압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적 특징을 조사분석하였다. 결과 : 조사된 기간동안 임신중 고혈압 질환의 발생 빈도는 총 분만중 1.89%이었으며 이중 경증 자간전증이 55.4%, 중증 자간전증이 38.2%, 자간증이 1.2%, 만성 고혈압성질환은 5.2%였다. 연령별 분포는 25∼29세군 이 45.9%로 가장 높았고 초산부가 66.9%, 경산부가 33.1%였다. 입원시 분만주수별 분포는 37∼40주군이 67.3%로 가장 많았고 분만 방법은 경질 자연분만이 총 분만의 33.5%, 경질 유도분만이 15.5%, 제왕절개술이 51%이었다. 태아의 성별은 남·녀 각 48.9%, 51.1%였다. 다태임신은 15.6%였고 신생아 체중은 3,000∼3,499 g 군이 31.7%로 가장 많았다. 모성 합병증은 빈혈 55.7%, 산후출혈 11.4% 순이었고 태아 및 신생아 합병증은 자궁내 발육지연이 12.2%로 가장 많았다. 거주지역과 산전관리횟수의 관계는 0∼1회의 산전관리를 받은 경우가 40.6% 였고 이중 농·어촌 지역에 거주하는 경우는 53.4%로 통계학적 의의가 있었다 (p<.05). 산전관리횟수와 질환의 중증도의 관계는 0∼1회의 산전관리를 받은 102예중 중증 자간전증과 자간증이 각각 52.1%와 66.7%가 발생되어 통계학적 의의가 있었으나 (p<.05) 질환의 중증도와 관련해서 거주지역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p>.05). 결론 : 임신중 고혈압 질환에 대한 원인과 조기진단에 대한 연구, 농·어촌지역의 임산부에 대해 행정기 관과 연계한 산전관리와 교육을 통한 조기발견 및 적절한 치료로써 산모 및 신생아의 사망률과 합병증을 감소 시킬 수 있으리라고 사료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esent conditions of hypertensive diseases in pregnancy so 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urban and rural communities in the southwest region of Chonnam about prenatal care from 1996 to 2000. Methods : We analyze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only 251 out of 13,296 pregnant women who were hospitalized to be delivered in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in the Mokpo Catholic Hospital for the past five years from 1996 to 2000. Results : The incidence of hypertensive diseases in pregnancy was 1.89% of the total deliveries: mild preeclampsia (55.4%), severe preeclampsia (38.2%), eclampsia (1.2%) and chronic hypertension (5.2%). Hypertensive diseases in pregnancy was common in the age group of 25-29 years (45.9%) and in gestational age of 37-40 weeks was 67.3%. The rate of vaginal delivery was 49.0%: spontaneous delivery (33.5%), induced labor (15.5%) but the rate of cesarean section was 51%. As a maternal complications, anemia (55.7%) and postpartum hemorrhage (11.4%) were developed and fetus and neonatal complication due to intrauterine growth restriction showed a considerably high rate of 12.2%. Seen from the interrelation between a residential district and the frequency of prenatal care, 40.6% of pregnant women were undergone an prenatal care at most one time, especially 53.4% of reside in rural area (p<.05).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requency of prenatal care and the seriousness of an illness took up 52.1% of preeclampsia and 66.7% of eclampsia out of 102 women who were got the prenatal care at most one time. This is of great statistical significance (p<.05).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 seriousness of an illness and residential district made little difference (p>.05). Conclusion : Not only a study of the cause and early diagnosis of hypertensive diseases in pregnancy, but also prenatal care, early checkup and education with keeping in close contact with an executive agency will lead to decrease newborn infant mortality and hypertensive diseases in pregnancy.

      • KCI등재

        35세 이상 산모의 임신 및 주간기예후에 관한 고찰

        장은철,손은식,임희택,김기중,이호형,최호준 대한산부인과학회 200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5 No.5

        목적 : 35세 이상의 고령 임신을 고위험 임신으로 간주하고 있다. 최근 고령 임신의 빈도가 증가 추세에 있어서 고령 임신에 대한 분만 및 출산의 경과와 주산기 예후 등에 대한 고찰을 시도하였다. 연구 방법 : 1997년 1월 1일부터 1999년 12월 31일까지 본 가톨릭병원 산부인과에 입원하여 분만했던 총 8285명중 임신 20주 이후에 분만했던 35세 이상의 고령산모 765명을 대상으로 하고, 같은 기간 중 출산한 35세 미만의 임산부 중 무작위로 추출한 800명을 대조군으로 하여 후향적 고찰을 시행하였다. 결과 : 1. 고령 산모의 연도별 분포를 보면 1994년 4.7%, 1996년 5.1%, 1997년 8.2%, 1998년 9.8%, 1999년도에는 10.0%로 증가하고 있다. 2. 연령의 범위는 35세부터 48세까지였으며, 빈도는 35~36세가 46.9%로 가장 많았고, 초산이 13.9%로 총 분만 건수당 고령 초산모의 빈도는 1.3%였다. 3. 태위는 고령 산모에서 두정위 93.6%, 둔위 2.5%, 횡위 1.2%였다. 4. 37주 미만의 조산이 고령 산모군에서는 9.5%, 대조군에서 4.0%, 42주 이상의 과숙 분만은 고령 산모에서 2.0%, 대조군에서 1.0%였다. 5. 총 765예 중 제왕절개 분만이 48.8%, 제왕 절개술의 적응 증에서 기왕 제왕절개술이 40.0% 고령 초산 18.0%, 태아곤란증 10.7%, 아두골반 불균형 7.5%, 이상태위 6.7%, 전치태반 5.1%였다. 6. 고령 산모군에서는 고혈압성 질환이 4.3%, 조기양막파수 3.0%, 자궁근종 2.0%, 전치태반 2.5%였으며, 대조군에서는 각각 2.6%, 1.9%, 0.8%, 1.0%였다. 산전 합병증을 종합해 보면 대상군에서 13.7%, 대조군 7.4%로 대상군에서 유의하게 많았다. 7. 신생아 체중이 2500 gm 이하가 고령 산모군에서 8.9%, 대조군에서 5.5%, 4000 gm 이상은 각각 8.8%, 9.3%였다. 8. 선천성 기형은 고령 산모군에서 1.4%, 대조군에서는 1.3%, 9. 자궁 내 태아사망률은 고령 산모군에서 3.1%, 대조군에서는 0.63%였다. 10. 신생아의 성비는 고령 산모군에서 1.12:1 고령 초산부는 1:1.16 고령 경산부 1.17:1 대조군은 1.23:1으로 오히려 대조군에서 남아의 출산율이 높았다. 결론 : 고령 산모의 빈도증가로 인하여 제왕 절개술에 의한 분만 또한 증가추세이나 충분한 산전 관리로 비교적 양호한 신생아 및 임산부의 건강 상태를 얻을 수 있도록 적극적인 산모의 참여와 의사의 소홀하지 않는 태아상태 감시 노력, 신중한 분만방법의 선택은 제왕절개술의 빈도를 감소시키고, 산전 산후 합병증의 예방 및 적절한 신생아 관리에 도움이 되리라 사료된다.

      • KCI등재

        자궁외임신에 대한 임상적 고찰

        김종대,최호준,정병욱,장은철,손은식,신승권 대한산부인과학회 200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3 No.12

        목적 : 자궁외임신은, 산부인과 영역에서 흔히 발생하는 응급 상황으로, 사망률은 현저한 감소를 보이나, 여전히 모성 사망의 주요 원인중 하나이다. 저자들은, 본원에서 수술했던 자궁외임신 250예를 임상적으로 분석 고찰하여, 자궁외임신의 조기 진단과 치료에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1995년 1월 1일부터 1999년 12월 31일까지, 본 가톨릭병원 산부인과에 내원하여 자궁외임신 진단을 받고 수술을 받았던, 250예를 대상으로 후향적 고찰을 시행하였다. 결과 : 조사된 기간동안, 총 분만수에 대한 자궁외임신 비율은 1 : 63으로, 연도별 빈도는 별 차이가 없었다. 호발 연령 분포는 31∼35세로 33.6%가 발생되었으며, 과거에 인공유산이나 수술받은 경력이 있는 경우에는 발생률이 더 높았다. 임상 증상은, 최종 월경일로부터 6∼8주 사이에 하복부 통증이 가장 흔하게 발생했으며, 복강내 출혈량은 500ml미만이 가장 흔했다. 치료는, 모든 경우에서 개복 수술을 시행하였으며, 대부분이 난관 팽대부에 착상이 되어있어 난관 절제가 80.8%로 가장 많이 시행되었다. 결론 : 산부인과적 응급 질환인 자궁외임신은, 3∼4년 전에는 감소하였으나, 최근 몇년간 그 발생률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자궁외임신의 주요 임상증상들이 초기에 출현하므로, 임신초기의 많은 관심과 복식 또는 질식 초음파, 혈청 β-hCG 측정 및 진단적 복강경 검사등 다양한 검사들은, 자궁외임신의 조기 진단에 꼭 필요하다하겠다. 그리고, 적절한 치료로 증상의 악화와 합병증의 발생을 예방함으로써, 추후 정상 임신의 가능성과 그 예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s : Although the mortality rate of ectopic pregnancy was markedly decreased, ectopic pregnancy is still major cause of maternal death. The authors surveyed 250 ectopic pregnancies for advice to detection and treatment of ectopic pregnancy. Method : The authors studied retrospectively 250 cases which have admitted to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of Catholic Hospital Mokpo for ectopic pregnancy from January. 1, 1995 to December. 31, 1999. Result : The incidence of ectopic pregnancy during 5 years was 1 : 63 normal deliveries. About 33.6% of cases occurred in 31∼35 years old group, and a number of cases were involved in patients who had previous artificial abortion or abdominal operation history. The most frequent interval between first day of last menstruation and onset of symptoms was 6∼8 weeks about 61.2%. The amount of intra-abdominal bleeding was less than 500ml in 47.6%. Most of cases were implanted to ampullar portion of fallopian tube and salpingectomy was done in 80.8% Conclusion : It is necessary to have an interest in early pregnancy for early detection and proper treatments in ectopic pregnancy. It may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subsequent pregnancy possibility and prognosis by preventing from the aggravation of symptoms and occurrence of complications.

      • KCI등재

        양수과다증이 동반된 큰 태반혈관종 1 예

        이호형(Ho Hyoung Lee),김종대(Jong Dae Kim),장은철(Eun Cheol Jang),손은식(Eun Sik Sohn),임희택(Hee Taek Lim),이춘보(Chun Bo Lee),신승권(Seung Kwan Shin) 대한산부인과학회 200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3 No.9

        Chorioangioma is the most common benign tumor of the placenta, which consists of a benign angioma arising from the primitive chorionic mesenchyme. The incidence is reported to be 1% in most large series where systemic section of placentas revealed small tumors. However, the incidence of large chorioangioma varies from 1 in 500 to 1 in 16,000 placentas examined.Most placental chorioangiomas have no clinical significance. However, the uncommon large tumors, particularly those greater than 5cm in diameter may be associated with maternal or fetal complications. For diagnosis of these lesions, the ultrasonography was used. If the chorioangioma is suspected, color doppler study is informative to confirm the presence of the vascular channels. We describe a recent case of chorioangioma and discuss the noxious effects of this benign tumor on the mother and the fet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