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日本語學,日本語敎育學 篇 : 現代日本語の母音連續回避のためのわたり音揷入について -音聲,音韻的特徵を中心として-

        손범기 ( Bum Ki Son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1 日語日文學硏究 Vol.78 No.1

        本硏究は、現代日本語におけるわたり音揷入に關する音聲·音韻的特徵を明らかにすることが目的である。母音連續(V1V2)は、第二母音(V2)の屬する音節が頭子音のない有標な構造であるため、樣樣な方法によってそれが回避される。日本語はその回避方法としてわたり音を揷入が目立っている。わたり音揷入は、第一母音の前後性によって揷入されるわたり音の質が決まるが(前舌母音→ [j], 後舌母音→ [w])、すべての母音の組み合わせ(5 × 5 = 25)でなく、一部の組み合わせ(/ia,ie, io, ea, ua, uo, ue, oa/)にしか起こらないという特徵がある。これを音韻的觀点から見ると、二つの母音の聞こえ度の變化と關わる回避方法の相補性が浮き彫りになる。聞こえ度の上昇しない母音の組み合わせは他の回避方法である二重母音化が起こるため、わたり音揷入は起こらない。それに對し、わたり音揷入の起こる母音の組み合わせは、いずれも聞こえ度の上昇するものであり、日本語の二重母音の條件によって二重母音化が阻止されるため、その代わりわたり音揷入が起こる。また音聲的特徵も聞こえ度の變化と關わりを持つ。わたり音は音聲的にフォルマント構造で形成されており、フォルマントの變化によってわたり音の種類が決まる([j] = F1の上昇, F2の下降; [w] = F1の上昇, F2の上昇)。ここで重要なのはF1の變化(上昇)であり、二つの母音の遷移においてわたり音があると知覺できる母音の組み合わせはいずれもF1の上昇するもののみであり、F1の上昇は聞こえ度の上昇と對應する。

      • KCI등재

        日本語の二重母音について- 二重母音に関する音声的な判断基準 -

        孫範基 ( Son¸ Bum-ki )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2020 日本硏究 Vol.0 No.86

        본 연구는 현대 일본어에서 최적의 이중모음이 무엇인가에 대해 논의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이중모음의 종류와 그 판단기준에 대해서 개관하였다. 그 중에서 Kubozono(2001, 2008, 2015)와 窪薗(2016)는 일본어의 이중모음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로 단일형태소란 형태론적 판단기준과 공명도 하강과 악센트핵 부여라는 음운록적 판단기준을 제시하였고, ‘보다 좋은 음절핵 가설’'을 통하여 어떤 조합의 모음연쇄가 이중모음으로 합리적인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한 판단기준과 음절핵 가설에 대한 재검토를 통하여 이에 문제가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특히 ‘보다 좋은 음절핵 가설’은 粕谷ほか(1968)에서 제시한 F1을 기준으로 설정된 공명도 계층을 가지고 논의한 것으로 두 모음의 공명도 차이가 클수록 더 좋은 음절핵이 된다는 것이 핵심이다. 이를 통하여 /ai/는 이중모음이지만 /aЩ/는 이중모음이 될 수 없다는 것을 설명할 수 있지만, 이 가설에 의하면 다수의 선행연구에서 이중모음으로 인정받은 /oi/와 /Щi/도 이중모음이 될 수 없게 된다는 문제가 생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가설의 대안으로서 분산이론(Lindblom 1986, Flemming 2004, Minkova and Stockwell 2003, 박선우 2007, Peterson 2016, 2018)에 기반한 청각적 거리라는 음성적 기준을 이중모음을 규정하는 음성적 기준으로 제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F1과 F2에 바탕으로 둔 두 모음의 유클리드거리를 산출하여 ‘일반적으로 /oi/, /ai/, /Щi/는 일본어의 이중모음으로 인정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ae/도 이중모음으로 인정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iscuss what is the optimal diphthongs in modern Japanese. We reviewed the inventories of diphthongs which are mentioned in previous studies. Among them, Kubozono(2001, 2008, 2015) and Kubozono (2016) are full-scale discussions on diphthongs in Japanese, presenting one morphological and two phonological criteria that are recognized as diphthongs, monomorphemic and falling sonority, accentuation to head mora. And Kubozono (2008, 2015) propose a Better nucleus hypothesis to explain what the optimal diphthongs are. However, We reexamined three criteria and the better syllable nucleus hypothesis and found some problems. In particular, the better syllable nucleus hypothesis is based on the sonority scale based from F1 presented by Kasuya et al.(1968), and the larger of the difference in the sonority of two vowels, the better as the syllable nucleus. This hypothesis explains that /ai/ is better diphthong but /aЩ/ is not a diphthong.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oi/ and /Щi/, which are recognized as a diphthong in many previous studies, are no longer a diphthong based on this hypothesis. As an alternative, we present the auditory distance of the two vowels based on Dispersion Theory(Lindblom 1986, Flemming 2004, Minkova and Stockwell 2003, Park 2007, Peterson 2016, 2018) and calculate the Euclidean distance of the two vowels and conclude that /oi/, /ai/ and /Щi/ are generally recognized as diphthongs in Japanese, and /ae/ is also accepted as a dipthong in some cases.

      • KCI등재

        일본어 이중모음의 융합-융합에 관한 기능적 관점-

        손범기 ( Son Bum-ki ) 한국일어일문학회 2021 日語日文學硏究 Vol.119 No.-

        本研究は、現代日本語における二重母音の融合の適用条件に関して分析することが目的である。母音融合は母音連続や二重母音のような有標の構造を回避するために起こる現象であるが、これは例外なく適用される現象ではない。 先行研究では、発話状況、性別、品詞、馴染み度,二重母音の種類などによって融合が非対称に適用されると述べている。本研究ではインフォーマルな発話における融合の振る舞いを調査するため、日本国立国語研究所が公開した「日本語日常会話コーパス(モニター公開版)」(CEJC)を対象に、コーパス検索アプリケーション「中納言」を利用し、融合が起こりやすい品詞の形容詞に現れる二重母音の/ai/·/oi/·/ui/の融合を調査した。その結果、先行研究の指摘通り、男性の融合型出現比率が高く、単語親密度と融合率はある程度関連性があることが分かった。そして二重母音の種類による融合を見ると、タイプ頻度上は[ai] > [oi] > [ui]の順で、トークン頻度上には[oi] > [ai] > [ui]の順で融合形が出現した。 このような融合型の出現には語彙の意味など様々な要因が考えられるが、本研究は音声の機能的観点に注目し、融合型出現の非対称性について議論する。 分散理論の観点から日本語の二重母音を見ると、二つの母音の聴覚的距離が広く分散されている組み合わせが最適な二重母音として認められているが、このような知覚の最大化を考慮した分散は、より多くの調音労力を必要とするため、より多くのエネルギーを使うことになる。日常会話というインフォーマルな発話では調音労力の最小化が働き、二重母音でより多くエネルギーを使う[ai]が最も多く融合するようになり、次に[oi] > [ui]の順に融合型が出現したと解釈できる。 This paper analyzes the coalescence conditions in Japanese diphthongs. Vowel coalescence is a phenomenon that occurs to avoid a marked structure such as vowel hiatus or diphthong. It, however, is not the phenomenon that applies without exception.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it is discussed that coalescence is applied asymmetrically according to the speech styles, gender, part of speech, and word familiarit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spect of coalescence in casual speech, we investigated 'Corpus of Everyday Japanese Conversation (monitor edition)', and investigated the aspect of coalescence of diphthongs [ai], [oi], and [ui] in adjectives with a corpus search application 'Chunagon'. As a result, as pointed out in previous studies, it was found that the coalescence ratio of male speaker was high, and word familiarity was slightly related to coalescence. In addition, when looking at the coalescence according to the type of diphthong, the coalescences appeared in the order of '[ai] > [oi] > [ui]' in terms of type frequency and '[oi] > [ai] > [ui]' in terms of token frequency. The emergence of such a fusion type may have various factors such as the lexical meaning, but we discussed the asymmetry of coalescence appearance by paying attention to the functional perspective of sounds. From the perspective of Dispersion Theory, the combination of the auditory distance between the two vowels is distributed as optimal diphthong, and dispersion maximizing the perception requires more energy. In informal speech such as everyday Japanese conversation, articulation efforts are minimized, so [ai], which uses more energy for formatting a diphthong, coalesces the most. And [oi] coalesces second most. Finally [ui] coalesces least.

      • KCI등재

        일본어 신형동사에 나타나는 어기의 길이에 대하여

        손범기 ( Bum-ki Son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8 日語日文學硏究 Vol.106 No.1

        본고는 'ルことば'로 불리우는 일본어 신형동사의 어기의 길이에 나타나는 특징에 관하여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신형동사의 기본적인 어기 길이는 2모라이지만 예외도 존재한다. 구보조노(2002)는 이미 단축이 일어난 어기가 2모라 이외일 경우에 더 이상의 단축 없이 접사 /-ru/에 접속한다고 설명하고 있는 데, 본고의 조사에서는 이외의 유형이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이들의 유형은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첫째, 이미 존재하는 단어에 다른 접사적 요소가 부가된 것으로, 이는 구보조노(2002)가 설명한 유형을 보다 일반화한 것이다. 둘째, 원어가 고유명사일 경우 장음, 촉음을 제외한 대부분의 원어의 형태가 어기로서 나타난다. 셋째, 원어가 한자어일 경우 원어의 마지막에 발음, 장음, 이중모음 후반부이 있을 경우에는 이들이 어기에서 제외되지만 대부분의 경우는 원어가 대부분 어기로 나타난다. 넷째, 원어가 3모라 이상인 어기의 두 번째 모라 위치에 발음 또는 /rV/ 모라가 있을 경우 어기는 3모라가 된다. 다섯째, 원어 길이가 2모라에 두 번째 모라에 /rV/가 있거나, 원어 길이가 4모라 이상으로 네 번째 모라 이후에 ラ행모라가 있는 경우 해당 /rV/ 모라는 접사 /-ru/가 되고 앞부분은 어기가 된다.본고의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 유형은 이 이상 단축될 경우 최소한의 원어 의미를 보존할 수 없는 것으로 의미 보존이란 측면에서 동일한 유형으로 크게 분류될 수 있다. 또한 본고의 네 번째 유형과 다섯 번째 유형은 동사의 형태·음운 제약에 의한 것으로 볼 수 있는데, 특히 네 번째 유형은 원어의 /rV/ 모라의 /r/음을 어간말 자음으로 활용함으로써 동사의 형태적 적형성을 위하여 /r/을 삽입해야하는 음운적 부담을 회피하는 역형성의 결과로 볼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properties of the length of base in Japanese inovative verbs (i.e., ru-kotoba). The basic lengths of these verbal bases are 2 morae. There, however, are inovative verbs with different lengths ― 1 mora, 3 morae, 4 morae, 5 morae, and 6 morae. Kubozono (2002) explained the length of these types of verb as suffixation of '-ru' to already clipped bases (e.g., sutaba-ru 'go to Starbucks', base: sutaba < sutaabakkusu 'Starbucks'). But there are other factors that determine the length.These types can be divided as follows. First, words that already exist affix different, which have more generalized types described by Kubozono (2002). Second, if the source word is a proper noun, most forms of the source word appear as base. Third, if the source words are Sino-Japanese, most forms of the source word appear as base. Fourth, if the source word contains moraic nasal or /rV/ mora in the second position, the length of the base is three morae. Fifth, if the source word has /rV/ mora, that mora alternate to /-ru/ suffix.The first, second, and third types are not able to retain at least the original meaning and can be broadly classified into the same type in terms of semantic conservation. Also, the fourth and fifth types of the verb are retained non canonical length by the morpho-phonological constraints, especially the fourth type is made by back formation.

      • KCI등재

        슈리 방언에 나타나는 구개음화의 양상 : 구개음화의 적용과 저지에 대해서

        손범기(Bum Ki Son,孫範基)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2015 日本硏究 Vol.0 No.66

        The aspects of palatalization in Shuri Japanese -On the treatment of application and its blocking 손범기(Bum Ki Son|孫範基) 913 This paper examines the applicability of palatalization in the Shuri dialect of Japanese. It is occurred that palatalization of /t k/, /d ?/ to /?/, /?/ before high front vowel /i/ or palatal glide /j/ in Shuri dialect. This dialect shows diachronic change from 5 vowel system (/i e a o u/) to 3 vowel system(/i a u/) by mid vowel raising (e.g., e > i, o > u). The is that it is blocked palatalization before /i/ that has been changed from /e/. Miyara and Arakawa (1994) and Miyara (1995) postulate high central unrounded vowel /?/ replacing /i/(< /e/) for the blocking of palatalization before /i/(< /e/). Postulating /?/, however, is very problematic. We analyzed the applicability of palatalization between /i/(< /i/) and /i/(< /e/) based on Stratal Optimality Theory. 本?究は沖?本島首里方言における口蓋化の適用可否を明らかにすることが目的である。首里方言は前舌高母音/i/または硬口蓋わたり音/j/の前の/t d/と/k ?/に口蓋化が起こり、それぞれ[?i]と[?i]に交替するという特?がある。ただし、首里方言は?史的に5母音?系(/i e a o u/)から、中母音の高母音化(/e/ > /i/, /o/ > /u/)により、現代語は[i a u]という3母音?系になっており、/e/から?化した/i/の前には表面上[i]の前でも口蓋化は適用しない。宮良 · 新川(1994) · 宮良(1995)は音?的に同じ[i]でも口蓋化の適用可否が決まることを?明するために、口蓋化を引き起こす[i]に?しては音素/i/を設定し、口蓋化を引き起こさない[i]に?しては音素/?/を設定した。しかし音素/?/の設定は??な面において問題である。本?究は、階層的最適性理論に基づき、/?/を設定せず階層別の制約優先順位の違いから、口蓋化の可否を?明した。

      • KCI등재

        일본어의 두 방언에 나타나는 모음축약의 양상-중모음의 분포 및 교체에 관하여-

        손범기 ( Son Bum-ki ) 韓國外國語大學校 外國學綜合硏究센터 日本硏究所 2016 日本硏究 Vol.0 No.69

        This paper examines the vowel coalescence patterns of two Japanese dialects ― Shuri Japanese in Okinawa and Oita Japanese in Kyushu island ― within the framework of Optimality Theory. These dialects show the peculiar coalescence patterns which are not typologically reported. As a type of coalescence of /ai/ and /au/, two vowels merge to mid long vowel [e:] and [o:], which are very common type of coalescence. /ei/ and /ou/, however, coalesces not to mid long vowel but to high long vowel (i.e., [i:] and [u:] respectively). This pattern has not been reported in academia so far. I will account for this perculier height coalescence with a phonetically based constraint prohibiting mid long vowel, and faithfulness constraints of vowel height which involve a perceptual distance of violation and have intrinsic hierarchy.

      • KCI등재

        韓国語と日本語の母音連続の回避の類型について : ソウル方言と東京方言の母音融合

        손범기(Son Bum Ki,孫範基) 韓國外國語大學校 外國學綜合硏究센터 日本硏究所 2015 日本硏究 Vol.0 No.64

        본고는 한국어의 표준어인 서울방언과 일본어의 공통어인 동경방언에 나타나는 모음축약의 유형을 최적성이론에 기반하여 분석하였다. 양 언어의 유형을 제약 우선순위의 차이와 서로 다른 형태론적 요구에 의해 설정된 위치지정 충실성제약을 도입하여 축약모음의 특징을 통합적으로 설명하였다. 또한 서울방언에 나타나는 축약모음의 세대 간 변이를 제약의 부분적 우선순위의 변동으로써 설명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asymmetric vowel coalescences (Casali 1996) in Seoul Korean and Tokyo Japanese within the framework of Optimality Theory (Prince and Smolensky 1993/2004, McCarthy and Prince 1999). Both Positional Faithfulness constraints by different morphological motivations and Partial Ranking Order were used in the analysis for both coalescence patterns between two languages and generational variation in Seoul Korean.

      • KCI등재

        일본어 외래어에 나타나는 음운 특성 - 음절량과 악센트에 대해서 -

        손범기 ( Son Bum-ki ) 韓國外國語大學校 外國學綜合硏究센터 日本硏究所 2017 日本硏究 Vol.0 No.71

        본고는 일본어 외래어에 나타나는 악센트의 특징을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Kubozono(1994, 2006)는 중음절 강세 제약(Weight-to-Stress Principle)이 일본어 외래어 악센트 부여에 있어 생산적인 제약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이 논의는 한정된 예시를 통한 일반화에서 도출된 것이기 때문에 문제의 소지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대규모 언어 자료의 조사를 통하여 이 제약의 생산성을 검증하였다. `NTT 데이터베이스 일본어의 어휘특성`의 외래어의 악센트를 조사한 결과 3638개의 외래어 악센트에서 중음절 강세 제약이 적용된 예는 2611개로 72%의 출현율을 보였다. 일본어 외래어는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악센트가 부여되는데 중음절 강세 제약은 이러한 요인 중에서 상당한 생산성을 보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accentuation pattern of loanword of Japanese. Kubozono (1994, 2006) argued that Weight-to-Stress Principle (WSP) is a productive constraint in loanword accentuation. His discussion, however, is based on a limited example, so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a problem. To solve this problem, I investigated the productivity of WSP constraints with a large language database. After investigating the word accents from NTT database series Nihongo-no Goitokusei (Lexical properties of Japanese), the author found that WSP is productive constraint with a high frequency of 72 percent from 3638 accent patterns.

      • KCI등재

        일본어와 한국어의 차용어 음운구조 -삽입모음의 유형과 특징에 관하여-

        손범기 ( Bum Ki Son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4 日語日文學硏究 Vol.89 No.1

        본고는 일본어와 한국어의 차용어적응에 나타나는 삽입모음의 유형과 그 특 징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삽입모음의 유형은 크게 기정치 모음, 자음동화,모음 조화로 분류되는데, 일본어는 이 세 가지 유형이 모두 나타나는데 비해, 한국어 는 기정치 모음과 자음동화만이 나타나고 있다. 본고는 일본어 차용어의 모음삽 입 중 원어가 /tw/연쇄일 경우 높이의 모음조화가 일어나는 것을 지적하고 이를 형식적으로 설명하였다. 또한 일본어와 한국어에 일어나는 삽입유형의 하나인 자음동화는 원어가 순음, 구개마찰음, 구개파찰음일 경우 그 순음성에 대한 지 각의 차이로 인해 순음 동화에 의한 /u/와 구개음 동화에 의한 /i/가 삽입되는데, 이러한 원어의 지각은 양 언어 간에 차이가 있다는 점을 논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types of vowel epenthesis and its properties in Japanese and Korean loanword adaptation. There are three possible epenthesis strategies: (i) insertion of a default vowel, (ii) place assimilation from neighboring consonant (i.e., consonant to vowel assimilation), and (iii) vowel harmony (spreading of vocalic properties). Japanese shows all types of epenthesis strategies, but Korean reveals only two types of epenthesis: (i.e., (i)(ii)).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wo-fold. Firstly, I will clarify that there is a vowel height harmony in /tw/-cluster in Japanese loanword and analyze it formally based on autosegmental representation. Secondly, there have effects of perceptual assimilation in consonant to vowel assimilation in Japanese and Korean. In Japanese, /□, □/ of source language have strong acoustic cue, relatively longer duration of friction noise involving lip rounding, that Japanese listeners perceive as [□□, □□], but /□□, □/ have relatively shorter duration of friction noise involving lip rounding, so Japanese listeners perceive them as [t□i, □i] in which high front vowel [i] is inserted. In Korean, the same acoustic cues of /□, □, □□, □/ do not play a role of perception of native vowel [u], so Korean listeners perceive them as [t□i, t□i, t□hi, t□i]. There seems to be disagreement on perception of roundness of /□, □, □□, □/ in Japanese and Korean loanword adaptation.

      • KCI등재

        日本語の音節構造 - わたり音の位置づけについて-

        손범기 ( Son Bum-ki ) 한국일어교육학회 2018 일본어교육연구 Vol.0 No.45

        本硏究は、現代日本語のわたり音([j, w])の音節內の位置について論じることが目的である。多くの硏究は日本語は頭子音を一つしか許さないという言語類型の觀点から「子音+わたり音」の連鎖を二次的口蓋音が付加された一つの子音と捉えており、2000年代以降の日本語敎育に關する事典にもこの表示が使われている。しかし、Parker (2012)の調査によるといくつかの言語は頭子音として一つの子音だけでなく「子音+わたり音」という頭子音群も許容するため、類型的に頭子音は一つという議論は考え直す余地がある。しかも、Nogita (2016)とHirayama and Vance (2018)の音聲硏究から「子音+わたり音」の「わたり音」は獨立した單音として捉えることができるようになった。しかし、これらの音聲硏究からは「わたり音」が頭子音群の一部であると結論づけることには問題がある。本硏究は「バビ語」「ラップでの韻踏み」という言語運用の面からこの「わたり音」が頭子音群の一部であると主張する。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phonological status of onglide (i.e., [j, w]) in Japanese. Previous studies recognize 'consonant + glide' as a single palatalized consonant from the perspective of typological consequence that Japanese is allowed only simplex syllable onset. However, Parker's (2012) research shows that some languages allow 'consonant + glide' onset clusters as well as one simplex onset, so the argument that there is simplex onset in Japanese is open to reconsider. Furthermore, from the phonetic studies of Nogita (2016) and Hiragana and Vance (2018), the glide in 'consonant + glide' sequences can be analysed as a independent segment. These studies, however, have a problem with the argument that glide is a part of the onset cluster. I will claim that the glide is a part of the onset cluster based on the investigation of language performance of 'babibu language' and 'rhyming in freestyle ra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