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특집논문 : 1970년대 『창작과비평』의 이론과 실천 ; 중심/주변의 위상학과 한반도라는 로컬리티 -"〈성지〉가 곧 〈낙원〉이 되는 일"

        소영현 ( Young Hyun So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5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6

        창비`` 고유의 성격 형성과 그것이 만들어낸 관점의 사후효과가 이 글의 주된 관심사다. ``창비`` 고유의 성격은 어떻게 생겨나며 그 효과는 또 무엇인가. ``창비`` 고유의 성격 형성 과정에서 통일에 대한 인식 부족을 근거로그 간 고평되던 김수영의 문학적 가치가 재고되었고 카뮈나 카프카의 작품보다 선진적 측면이 한용운의 시에서 발견되었다. ``농촌분학이 새로운 문학의 이름으로 호명되기도 했다. 1970년대 전반기를 지나면서 『창비』를 통해 이러한 논의들이 이른바``창비`` 고유의 성격으로 수렴되고 압축되었다. 민족문학론이 문학사적 가치 유무를 판정하는 작업을 배면에 깔고 있었음을 고려할 때 ``농촌문학``을 새로운 문학의 이름으로 호명하고 그것을 한국의 근대문학으로 명명하는 작업의 갈피에서 논리적 역전이나 비약의 지점을 발견하게 된다. 따지자면 이 과정의 어느 지점에서 ``창비적인 것``이 형성되었고, ``창작``과 ``비평``, ``문학``과 ``(역사)현실``을 둘러싼 관계의 재배치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본고에서는 종속 이론을 토대로 한 중심/주변의 위상학을 통해 ``창비`` 고유의 성격이 형성되었으며, 그리하여 칭작물의 의미가 한반도의 정치적이고 경제적인 국제적 위상 속에서 확정되고 그 내부에서의 도시와 농촌의 위상으로 반복되는 한반도의 국제적/총괄적 위상 변화를 통해 변동 가능한 것이 되었음을 확인했다r창비』가 보여준 ``창작``과 ``비명``의 낙차가 사회에 대한 역사적 인식에 따라 변화되어간 사정을 포착함으로써, 그 낙차를 논리의 변증법적 진화로 이해하게 한 역전의 동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aims to finding ``the Changbi`` and its effect on literary works in the quarterly magazine Changjakguabipyeong [Changbi]. How can we find and call ``the Changbi`` - the specific color of magazine Changbi- on the literary works? Is it possible to call ``the Changbi`` as the specific color of magazine Changbi? To answer the questions, I examined the paradoxical idea and changing literary viewpoint on the literary works in the magazine Changbi, at first. For example, rural literature had been overvalued as a kind of presentation of the national literature in the magazine Changbi. Writings and literary works in magazine Changbi had been shown a consistent idea throughout the 1970s. The Idea converged on ``the national`` and ``the minjung9 as a national subject. During the making of ``the Changbi``, the relationships between ``creation`` and ``criticism``, ``literature`` and ``(historical) reality`` had been rearranged. This paper reviewed the procedure of ``the Changbi`` formation in terms of the topology of central/peripheral on the basis of the dependency theory, Then the meaning of the literary works would be determined by Korea``s political and economic international status. According to the topology of central/peripheral, Korean international status has been repeated in topology of city/countrysid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ssume that the meaning of the literary works would be determined by the topology of city/countryside. As a result, through the discursive distinction between the ``creation`` and ``criticism`` in the magazine Changbi had been connected with historical cognition of the society, this paper could be shown that the reversing mechanism of the discursive distinction had been confirmed to understand the logic of dialectical evolution.

      • KCI등재

        야만적 정열, 범죄의 과학-식민지기 조선 특유의 (여성)범죄라는 인종주의-

        소영현 ( So Young-hyun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한국학연구 Vol.0 No.41

        그간 식민지기 사회적 관심을 이끈 본부살해는 여성범죄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높은 식민지 조선 특유의 범죄로 다루어졌다. 조선 특유인 본부살해의 원인은 전근대적 구습인 조혼의 폐해로 파악되었다. 본고에서는 본부살해론이 여성과 범죄를 둘러싸고 당시 만들어지던 담론적 지형에 대한 고려 없이 온전히 고찰되기 어렵다는 판단 아래, 본부살해론이 형성된 과정을 전지구적 지식장의 흐름을 고려하면서 검토했다. 구체적으로는 생리학적 분석에 근거한 범죄학과 당대 조선 지식사회에 널리 유포된 우생학의 영향력을 겹쳐놓고 고찰했다. 범죄 발생시 여성이 가해자가 되는 경우가 많지 않으며 전체 범죄에서 여성범죄가 차지하는 비율이 매우 낮은 편임에도, 본부살해가 사회적 관심을 불러 모으며 조선 특유의 범죄로 규정된 과정을 재조 일본인과 조선인 지식인 사이에서 공유되던 식민지기 (근대) 과학적 인식의 저변화 과정 속에서 검토했다. 근대적 사회통치술로 활용된 여성범죄론의 기능에 주목하면서 ‘우연적인 것이 실제적인 것이 되는’ 과정 즉 우연을 통치하는 법칙 형태가 구현되는 과정을 확인했다. Husband Murder had been concerned social issues during colonial Korea and had been treated as distinct crimes with high ratio among the female crimes in colonial Korea. Previous research usually said that husband murder unique to colonial Korea was the problem caused by early marriage. In this article, I presumed that it is difficult to fully understand the husband murder discourse without consideration of contemporary discourse topos about female related crimes. For this, I considered the viewpoints of intellectuals about husband murder at first, and the correlation between Korean intellectuals and Japanese intellectuals about husband murder through overlapping criminology with influence of eugenics at that time. And then I asked why the female crime especially husband murder had been accepted as crime type unique to colonial Korea, although female crimes had very low proportions of the entire crimes in fact. I investigated this procedure (of discourse) through the (modern) scientific awareness at that time. With considering the flow of global fields of knowledge and focusing on the functionality of female criminology used for ruling society, I revealed ‘the process of making coincidence to reality’, that is the process of making rule of controlling coincidence.

      • KCI등재

        제도와 문학 : 문학의 아카데미즘화와 학술적 글쓰기의 형성

        소영현(So Young-hyun) 한국근대문학회 2010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1 No.2

        한국에서 문학을 둘러싼 논의 기반이 양적, 질적 성장의 토대를 마련한 것은 1960년대 이후이다. 대학과 학회, 동인지 등을 중심으로 문학의 생산과 재생산을 가능하게 한 제도의 구조적 기틀이 마련되고 그 결과물이 가시화된 시기였다. 그간 식민지 시기 특히 근대 초기를 중심으로 문학의 자명성에 대한 성찰의 결과들이 축적되어 왔으며, 이러한 연구 경향은 대학 제도와 문학/비평 영역의 상관성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져왔다. 그러나 그간 제도에 대한 관심은 제도가 학술 담론이나 연구 경향에 미친 영향관계에 비교적 무관심했다. 이에 따라 이 글에서는 제도에 대한 관심에 입각해서 문학을 둘러싼 연구방법론과 글쓰기 형식의 영향 관계를 고찰해보고자 했다. 이 작업을 위해 먼저 문학이 학문의 대상이 되는 과정 즉 문학을 다루는 전문적 영역과 주체가 등장하는 과정, 문학을 메타적으로 다루는 방식들 사이의 비균질적 지점들에 대해 검토해보았다. 문학의 아카데미즘화와 과학화가 문학연구와 비평의 경계 설정과 긴밀한 상관성이 있음을 역사적으로 고찰해보았으며, 이러한 경향이 문학연구 방법론과 논문 글쓰기의 형성과 고착에 미친 영향 관계를 밝혀보았다. 이를 토대로 문학을 학문의 대상이자 지식으로 다루어야 한다는 논리, 문학을 과학적으로 다루어야 한다는 논리가 결과적으로 문학을 아카데미즘의 영역에 가두는 결과를 야기했음을 밝혀보았다. A basis of the academic research system on literature has been established in South Korea since 1960s. University system and literary coterie, academic research framework enabled to the production and reproduction of literature at that time and the outcome was visualized at the same tim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and co-relationship of academic research methodology and the academic writing form on the basis of the university system. At first, I examined the meaning of those, the process of the literature dealt as a academic object, the advent of literature as a specialized research area, and the unstable point between the handling method of the meta-literature. And then, I examined that academism and scientific(academic) analysis of literature and literary criticism have close correlations between the boundaries historically. finally, I revealed the co-relationship of formation of literary writing and academic research methodology of literature. As a result, I argued that the logic of literature dealt as a object of knowledge and the scientific methodology put literature into academism area.

      • KCI등재

        참여 과잉 시대의 비-시민 정치와 광장의 탈구축

        소영현(So, Young-hyun) 한국근대문학회 2018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9 No.2

        한국 민주주의가 광장을 통해 진전되어 왔음을 부인하기는 어렵다. 이 글에서는 민주주의 열망의 공간인 광장의 풍경을 둘러보는 한편 광장 민주주의라는 이름으로 다 포괄될 수 없는 광장의 주변, 그 누락의 지점들을 살펴보고자 했다. 이 글에서는 삶을 조형하는 구조를 가시화하고, 보이지 않고 들리지 않으며 만져지지 않는 것들의 감각화를 실현하기 위해 감정연구 방법론을 채택했다. 광장의 현장성이 각종 사적, 공적 미디어를 통해 즉각적으로 다각도로 전달되고 복원되고 있지만, 광장의 의미는 기억과 반추의 과정에서 각종 재현물을 통과하면서 매번 구축되고 탈구축 된다. 이에 따라 광장의 풍경을 재현하는 최근 한국문학과 문화를 대상으로 변화된 광장의 의미와 이질성에 대한 포착의 가능성을 검토해보았다. 광장을 재현한 문학적/문화적 텍스트를 통과하면서 87년 이후 민주주의 실현의 장이 되어온 광장의 계보를 검토하고, 역사적 계보화 속에서 비정상성 혹은 비가시성의 이름으로 배제되거나 은폐되었던 주체와 영역을 재소환하고 복원하고자 했다. 이를 통해 광장의 의미와 범주를 비판적으로 재고하고 나아가 광장의 계급적, 젠더적 탈구축을 시도하고자 했다. Korean democracy has progressed through the agora. The article aims to look at the landscape of the square, which is a space of aspirations for democracy, while also looking at the surrounding areas of the agora. This article adopted an affect theory as a research methodology to visualize the social structure that shapes life, and to visualize things and spaces that are a invisible, an inaudible, and not a touching. The actual situation of the agora is immediately captured through various private and public media. But the meanings of the agora are constructed and deconstructed each time as it passes through various replicas in the course of memory and reflection. Accordingly, the article reviewed the changes in meaning surrounding the square through Korean literature, which represented the landscape of the agora. Through literary texts reproducing the agora, this article examined the genealogy of the agora, which has been a place of realization of democracy since 1987. And I sought to recall and recover the subjects and areas that were excluded or concealed in the name of abnormality or irrationality in the historical genealogicalization. As a result, I critically reconsidered the meaning and category of the agora and tried to classically and genderly deconstruct the meaning and category of the agora.

      • KCI등재

        팜므파탈이라는 장치와 젠더화된 사회적 집합감정

        소영현(So Young hyun)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5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31

        팜므파탈이 아니라 팜므파탈 '현상'의 의미를 검토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한국문학사에서 악녀의 등장을 알린 염상섭의 『사랑과 죄』와 여성 범죄자의 형상을 뚜렷하게 각인시킨 방인근의 『마도의 향불』을 중심으로 팜므파탈의 등장을 근대적 자본주의 소비문화가 점차 무르익던 1920년대 후반에서 1930년대의 정치경제적, 사회문화적 변이와의 상관성 속에서 논의해보았다. 『사랑과 죄』와 『마도의 향불』 분석을 통해 흘러넘치며 잡히지 않은 정념의 유동성을 고착화하려는 시도가 사회적 잔여에 대한 젠더화된 육체적 재현을 통해 구체화되며 그것이 만들어내는 집단적 고정관념에 의해 일상을 떠받치는 견고한 사회 구성원리가 마련되었음을 확인했다. '위험한 여성'으로서의 '팜므파탈'의 호명(/등장) 과정에 대한 이러한 고찰은 식민지 모더니티가 내장한 문제들, 사회적 계층 변동과 재구축의 절합적 국면에 대한 시야를 열어준다. 따라서 팜므파탈의 등장에 주목함으로써 팜므파탈이 계급과 민족(/종족)의 경계를 가로지는 교차점이자 은폐된 흑점임을, 식민지기 정치와 경제 그리고 사회적 제(諸)문제의 스펙트럼을 펼쳐 보일 프리즘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팜므파탈의 등장으로 감춰진 일상 차원의 분리와 차이의 장면들에 대한 추적은 팜므파탈이 젠더화된 사회적 집합감정의 반영이자 그것을 스테레오타입으로 고정화하려는 규율화의 결과물임을 확인하게 하는 동시에 규율화와 젠더화된 감정의 다른 배치 가능성을 가늠하게 해준다. '장치'로서의 팜므파탈에 대한 관심은 보다 근본적으로는 식민/탈식민의 논리로 회수될 수 없는 근대의 불연속적이고 비가시적 영역에 대한 환기라고 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 팜므파탈을 '장치'로 보려는 이 시도는 정념의 젠더적 차별화를 자본주의와 계급관계와의 상관성 속에서 논의함으로써 '가부장제에 구체적 역사성을 부여할 수 있는' 글로컬적 시야를 열어준다고 하겠다. By using methodology drawn from recent developments in the theory of affe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emme fatale frame and (re)arrangement of gendered passion in colonial Korea. Especially, this study attempts to historicize the femme fatale in colonial Korea 1920s-1930s. A Femme fatale is a trans-cultural stereotype of a wish-fulfillment woman image that is ground in male pleasure and fear of the female and micro-powers and (re)arrangement of the gendered passion in our society. A femme fatale is an archetype in literature and art, and we usually imagined her just as a de-historicized cultural stereotype. But the origin of a femme fatale is deeply associated with a global mood of 'the Fin-de-Siècle' that induces the reorganization of the Imperial/colonial, the formation of the (male) national identity, and the morally reformation of the social order. A figure of femme fatale in the 1920s-1930s had been represented as a 'modern girl' and 'new woman criminal' whose appearance was a western style with bobbed hair. She tried to be upgrading state using her sexual attraction but failed in the end by modern police system. It shows that although she is typically villainous, or at least ambiguous, and always connected with a sense of mystification, the characteristic of a femme fatale is related with a local socioeconomic situation. This study aims not to femme fatale but to femme fatale "phenomenon" which is represented by held in 'dangerous woman and new woman criminal' in colonial modernity. A historicization of the femme fatale can show the procedure of the private/public separation, and disclose the social class system changing under the capitalization in colonial Korea.

      • KCI등재

        전쟁 경험의 역사화, 한국 사회의 속물화-‘헝그리 정신’과 시민사회의 불가능성-

        소영현 ( So Young-hyun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한국학연구 Vol.0 No.32

        본고에서는 1970년대 이후로 지속적으로 강화되었다고 여겨지는 한국사회의 속물성을 둘러싸고 그 기원과 형성 그리고 성격을 검토해보았다. 극단적 이기주의와 공공영역의 파괴로 드러난 한국사회의 속물성은 한편으로 한국전쟁과의 영향 관계 속에서, 다른 한편으로 경제적 이윤 구조의 시스템화 과정과의 상관성 속에서 형성되었음을 고찰했다. 구체적으로는 한국사회에서 지속적으로 반추되고 재구되었던 국가적/민족적 트라우마인 한국전쟁에 대한 기억이 재구되는 과정과 한국사회의 속물성 형성의 연관성을 고찰해보았다. 동시에 그러한 과정이 근대화 기획으로 압축되는 경제적 이윤 구조의 시스템화와 결합되는 방식으로 한국사회의 속물성을 강화해간 과정을 검토해보았다. 이를 통해 한국사회의 속물성이 계층적 위계가 확립되는 과정에서 요청되었던 도덕 감정 즉 사회를 결속시킬 수 있는 죄의식과 수치심의 상실을 통해 고착되었으며, 이후로 사회에 대한 무관심과 공동책임의식의 부재 형태의 사회적 성격이 마련되었음을 확인했다. This study attempts to trace the genealogy of a form of modern Korean snobbery that is grounded in extreme egoism and the collapse of the public as a value. This snobbery is a product of the experience of the Korean war and of the compressed modernization wrought by the post-colonial ideological conflict. In fact, this snobbery―which emerged during the 1960s-1970s―enfolded both the type of reformulated social ambition promoted under the slogan “try living well” (chal sara pose) and the type of corruption that made it possible, and it simultaneously served as a designator for both positive and negative forces of social change. Focusing on this elusive fluidity, this study looks beyond the dimension of specific historical agents and specific literary figures in order to trace the genealogy of this snobbery, itself, and it focuses particular attention on the emotion of shame and the formation of certain collective moral sentiments linked to it. Specifically, it investigates shame as both an independent emotion produced by the gap between the self and the ideal as well as an emotion that can be abused and/or purged according to the will of the collective. By tracing how shame is lost, this paper attempts to outline the broader emergence of snobbery in Korean society.

      • KCI등재

        "지(知)"의 근대적 전환 -톨스토이 수용을 통해 본 "근대지"의 편성과 유통-

        소영현 ( Young Hyun So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1 동방학지 Vol.154 No.-

        한국에서 톨스토이에 대한 소개가 시작된 것은 1900년대 후반이다. 이후로 『소년』 지를 비롯한 근대 초기의 인쇄 매체들, 『청춘』, 『개벽』 등 근대적 지식 형성의 토대를 이루었던 매체를 중심으로 톨스토이에 대한 관심이 본격화되었다. 톨스토이에 대한 근대 초기의 관심은 ``사상가로서의 톨스토이``를 중심으로 한 ``선택적 수용``의 형태를 취했다. 초기 수용 단계에서 톨스토이는 문인인 도스토옙스키가 아니라 철학자 니체와의 대비 속에서 논의되었다. 이러한 정황은 톨스토이의 위상을 검토하는 작업이 사상계의 좌표 속에서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말해준다. 무엇보다 톨스토이 수용의 이러한 문맥은 톨스토이 번역을 둘러싼 전반적 특징을 검토하기 위해서 문학 혹은 사상이나 종교와 같은 특정 영역을 넘어설 필요가 있음을 역설한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톨스토이의 ``선택적 수용``의 시대적 맥락을 파악하고, 그 흐름을 추적하면서 예술과 사상의 교착과 분화의 흐름을 되짚고 근대적 지식이 형성/생산/유통되는 과정과 근대적 지식 패러다임이 전환되는 장면을 엿보고자 했다. 구체적으로 1910년대 전후, 1920년대 전후의 톨스토이 수용의 문맥을 개인과 사회의 상관성, 형성과 개조를 둘러싼 사상적 궤적 속에서 검토해 보았으며, 이후로 ``톨스토이``라는 기호가 종교적 실천윤리에서 반문명적 사회비평에 이르기까지 두루 호명되는 사회역사적 문맥을 추적해보았다. 일본에서의 톨스토이 붐과 연동하면서도 톨스토이로 대변되는 러시아의 성격에 대한 관심이 톨스토이에 대한 반복적 호명의 원인이었음을 밝혀보았다. 아울러 톨스토이 수용 주체에 대한 관심을 통해 근대지의 재편성 과정, 그 생산과 유통의 장 자체에 주목해보았다. 이 작업을 통해 외래 사상과 문화의 유입을 ``번역``이라는 틀로 접근하는 연구를 상대화하고, 학술공동체의 존재방식이 근대라는 경계를 관통하면서 거듭된 반복과 차이 속에서 재편성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Tolstoy was introduced to Korean intellectuals in the late of 1900`s. Afterwards, their Interest in Tolstoy was accelerated through the modern print media`s focus on Tolstoy as a thinker. It was a selective adoption. Tolstoy was treated as a thinker not in the vein of Dostoevsky but of Nietzsche. It indicates the research for the topology of Tolstoy, which was needed in the field of scholarship above all. Therefore, we should focus on the intersection of the specific realms of literature, thought, religion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Tolstoy`s adoption in Korea. To understand this adoption, I considered the historical context and examined the modern paradigm of knowledge which produced and distributed modern knowledge. Specifically, I examined the adoption of Tolstoy in term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individuals and society and the development of thought between the formation and the re-formation of individual/society in the pre- and post- 1910`s and 1920`s. I then retraced the social-historical context of the influences of Tolstoy from the religious moral to anti-civilizational social criticism. Furthermore, I examined the repetition of the different forms of adoption of Tolstoy related to the "Tolstoy boom" in Japan and the characteristics of Russia expressed in Tolstoy. Specifically, I focused on the process of re-organizing modern knowledge and the field of production and distribution through the translation issues regarding Tolstoy. As a result, I made inquiries into the introduction of western thought and culture in terms of translation and attempted to reorganize the existing scholarship in those fields throughout modernity through repeated differentiation.

      • KCI등재

        비평의 장소와 비평(가)의 임무 : 사회인문학적 지평에서 ‘비평의 가능성’을 음미하기

        소영현(So Young-Hyun) 사회와 철학 연구회 2011 사회와 철학 Vol.0 No.21

        이 글에서는 사회인문학적 지평에서 ‘비평의 가능성’을 음미해보기 위해, 비평을 둘러싸고 네 가지의 질문을 던졌다. 비평의 새로운 장소에 대한 탐색을 위해 비평은 무엇인가, 비평은 가능한가, 비평은 어떻게 가능한가, 마지막으로 비평은 무엇을 해야 하는가를 질문하면서, 비평이 처한 현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새로운 비평이 나아가야 할 바에 대해 모색했다. 구체적으로는 신자유주의 문학장에서 비평이 ‘리뷰화’되는 현상에 주목하면서, 비평이 비판적 규정력을 상실한 상황을 ‘비평의 에세이화’로 규정해보았다. ‘에세이화’ 경향이 비평을 가능하게 하는 해석 공동체의 붕괴와 판단 기준의 상실이 불러온 현상임을 지적하고, 비평이 처한 이러한 현실 속에서 ‘판단과 평가’로서의 비평의 실현 가능성과 그 방법론을 마련하고자 했다. 구체적 방법론으로서 이 글에서는 ‘타자의 눈’과 ‘망명자의 질문법’을 도입하는 방식으로 비평이 자신의 지반의 정당성을 물어야 하며, 이를 통해 다성적 보편성의 추구로 나아가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다성적 보편성 추구를 통해 아카데미즘/저널리즘 영역 사이에 놓여 있는 비평의 ‘플랫폼’으로서의 성격과 사회인문학적 지평에서의 비평의 위상이 복원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했기 때문이다. This study aims to appreciate the ‘possibility of criticism’ on the social-humanities' horizon with four questions about criticism. Four questions are related to finding a new place for criticism, and those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criticism? 2) is the criticism be practical? 3) how the criticism be practical? 4) what should the criticism do? I research the environments of criticism critically and try to come up with the ideas to tell about the future of criticism with four questions. Specifically I examine the ‘review-ization’ of criticism in new liberalistic literature field and define a contemporary criticism lack of critical ability as the ‘essay-zation’ of criticism. I designate that the ‘essayzation’ of criticism is related with the disintegration of analytical community and loss of judgment standard to criticize. I try to find a way and method to refine the criticism as judgement and evaluation in this situation. I focus on the key words as ‘eye of the other’ and ‘question of nomad’ for researching on the basis of contemporary criticism and then to pursue a polyphonic universality. As a result, this article will contribute to reconstruct the characteristics of criticism as a platform between the academism and the journalism, and the status of criticism on the social-humanities’ horizon through the pursuit of polyphonic universality.

      • KCI등재

        특집 : 문학사의 젠더

        소영현 ( Young Hyun So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4 민족문학사연구 Vol.56 No.-

        문학사에 젠더를 기입하는 일은 무엇이며 또 어떻게 가능한가. 학계와 문단에 폭넓게 근대의 자명성에 대한 회의가 시작된 1990년대 이후로, 근대, 민족, 문학, 역사에 대한신화 깨기가 돌이킬 수 없는 방향성을 획득했다. 이에 따라 탈근대 담론의 영향 아래 문학사서술의 무용성이 의문의 여지없는 귀결로서 인식되었다. 그간의 문학사 서술의 실질을 돌이켜 보건대, 이러한 추론은 역설적으로 문학사 서술의 완전무결성과 실현가능성을 상정하고 있었다고 해야 한다. 문학사 서술의 불가능성이 문학사 서술의 무용성으로 오해된 측면이 있는 것이다. 이는 문학사 기획이 내포한 불가능성과 그로 인한 반복적 재기술의 필요성을 세분해서 사유할 필요를 요청한다. 문학사에 젠더를 기입하는 일이자 그 일환으로서의 ‘여성’ 문학사의 재기술 가능성을 논의하는 작업은 우선적으로 그간 어떻게 ‘여성문학’ 연구가 게토화되었는가에 대한 재검토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문학사에 젠더를 기입하는 작업이 갖는 탈근대적 비판으로서의 성격이 그것의 역설적 불가능성을 입증하게 하는 정체성론에 기반해 있음을 짚어봄으로써 ‘여성문학사’ 기술과 ‘여성문학’ 연구가 갖는 방법론적 딜레마를 단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문학과 정치를 가로지르려는 시도가 직면하는 난점과도 다르지 않은 이 딜레마를 해소하기 위해 ‘여성문학’ 연구는 젠더/ 섹슈얼리티 연구로 통합되어 들어가는 한편, 여성문학에 대한 관심 자체의 저하와 함께 왜소화되고 게토화된 경향이 있다. 여성문학 연구의 왜소화는 현실사회의 ‘여성’의 재배치로부터 야기된 것이다. 이는 여성문학 연구의 게토화가 곧바로 여성문학 연구에의 요청을 무효화하는 것은 아님을 시사한다. 더구나 2000년 이후로 글로벌리즘의 전면화와 함께 가족주의에 함몰된 ‘엄마’의 출현을 야기하고 있는 현실에 비추어보자면 모순의 배리 속에서도 여전한 여성연구의 필요성이 역설된다. 여성문학 연구는 한편으로 새로운 문학연구 방법론으로서의 모색을 전진시켜 나아가는 동시에 글로벌리즘과 결합한 가부장제의 역습으로 대표되는 현실사회의 불평등과 부조리에 비판적으로 대항하기 위해 여성문학 연구를 지속해야 하는 것이다. 이렇게 보자면 여성문학 연구의 유의미성은 여성문학 연구 방법론이 불러오는 ‘차이/ 보편’의 배리의 정치학에서 분출되는 것이라 말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요컨대 여성 문학사를 포함한 복수의 문학사 서술 기획이 반복적으로 요청되어야 하는 것은 여성문학 연구가 문학에 대한 관점의 재조정, 문학에 대한 가치와 독해법을 둘러싼 새로운 발견, 나아가 소수자/ 타자라는 키워드로 불거진 현실사회의 시스템의 재고를 겨냥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What is the gender of literary history and what does it gendering the literary history? It has started to doubt self-evidence of modernity and myth of modernity, nation, literature, history in the field of academia and literary world since 1990’s. Then, It was decided that no need description of literary history under the post-modernity discourse in the field of academia and literary world. I argue that there has been a misunderstanding about the uselessness of description of literary history, it has been recognized the impossibility of description of literary history as the uselessness of description of literary history and then, it has been needed to the deep consideration what is the description of literary history. It needs to rethink the meaning of impossibility of description of literary history. I think that it means the necessity of re-description of literary history repeatedly. For gendering the literary history and re-description ‘women’ literary history, it needs to review what does it make the ‘women literature’ studies minimized at first. I examined that there was a methodological dilemma of description ‘women’ literary history and ‘women literature’ in terms to theory of identity. For resolving that dilemma, ‘women literature’ studies have been changed the field into that of gender / sexuality studies and in other hand, ‘women literature’ studies has been minimized within decreasing the interest of women literature. Paradoxically, it reveals that minimizing of ‘women literature’ studies did not mean the un-necessity of ‘women literature’ studies. Moreover, we also meet represented ‘mama’ in relation to patriarchy in literature within the force of globalism since 2000’s. It emphasizes the necessity of ‘women / women literature’ studies to making the new methodology for criticize the literature and to criticize inequality and absurd of women’s real world / everyday life under the complexity of globalism and patriarchy. It can be said that the meaning of women literature studies would occur in politics of ‘difference / universe’ which made methodology of ‘women literature’ studies work. Eventually, I argue that ‘re-writing the literary history’ including the women literary history can be needed the reason why developing the ‘women literature’ studies means that readjusting the viewpoint of literature, rediscovering the value and evaluation of literature, and rethinking the minority’s real world and that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