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석기시대 토기 제작과정의 실험적 연구 - 토기 소성흔을 중심으로 -

        소상영,이승원,안성민,이종안,박종부,최광훈 한국문화유산협회 2007 야외고고학 Vol.0 No.3

        우리나라 신석기시대 토기에 대한 연구는 문양 및 기형의 차이를 중심으로 편년과 계통연구에 치중해왔다. 토기제작과정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최근에 시작되었으며, 아직은 초보적인 단계에 머물러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실험은 신석기시대 토기의 제작과정을 실험고고학적 방법을 통해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토기는 도치로 성형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며, 대형토기의 경우 기물을 따로 제작하여 접합하는 경우도 있음을 확인하였다. 문양의 시문은 도치와 정치 상태에서 모두 가능하나, 구연부에 단사선문을 시문하는 경우 정치상태에서 시문하는 것이 빠르고 정교하여 보다 효과적이었다. 이번 실험의 가장 큰 목적은 소성전후 토기의 변화를 비교분석하는 것이었다. 토기소성은 자연 상태의 점토가 화학적 변화를 거쳐 변형되지 않고 그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최종단계로 토기제작에서 가장 중요한 과정이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소성실험은 기존 연구결과와 민족지 사례를 검토하여 개방형 야외소성 방식으로 3차례 실시하였다. 소성실험을 통해 흑반, 백반 등 소성흔이 부착되는 과정에 대해 이해할 수 있었다. 특히 직립, 횡치, 도치로 설치된 토기에서 관찰되는 소성흔의 차이와 규칙성을 확인한 것은 이번 실험의 가장 큰 성과라고 하겠다. 금번 실험은 민족지 사례에 대한 검토가 불충분하였고, 실험계획 및 과정에 있어서도 여러 문제점이 노출된 단점도 있었다. 그러나 선사시대 토기에 대한 실험고고학적 연구가 부족한 현실에서 그 제작과정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자료를 확보하였다는 데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번 실험에서 노출된 문제점은 후속실험과 유적에서 출토된 토기와의 비교연구를 통해 보완해 나갈 것이다. Research on the earthenware of Neolithic Korea has tended to focus on pottery typology and style, as a means of investigating chronology and culture groups. The study of earthenware manufacturing processes is a relatively new undertaking which remains at a pioneering stage. It is in this context that an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through means of experimental archaeology, o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Korean Neolithic earthenware. From the results of experiment,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at the most effective method of forming Neolithic vessels was to lay it upside down; in the case of large vessels, it appears that two vessels were manufactured separately and then later joined together into a single vessel. It was also possible to confirm that patterns could be incised onto the surface regardless of the lying position of the vessel (i.e. either upside down or upright). However, in the case of patterns incised around the vessel rim, it appears that the act of decoration could be carried out in a quicker and more precise manner when the vessel was in an upright position. The key purpose of this experiment was to conduct a comparative analysis on changes observed before and after firing. As the firing of pottery brings about a chemical change in the natural clay, thereby allowing the vessel to maintain its shape and function, it can therefore be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stage in the manufacture of earthenware. Our experiment on the firing stage was conducted three times by means of open field firing, based on ethnographic examples and existing research. The results provided insight into the formation of firing clouds (such as black and white marks). It was also possible to confirm that these firing clouds coincided with the different positions (upside-down, upright, at an angle) in which the vessels were fired. In conducting the current experiment, certain problems were exposed with respect to the research program. They derive from an insufficient review of the ethnographic literature, as well as certain defects in th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of the experiment. However, it can be argued that the current research has been successful in that it has contributed to furthering our understanding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Neolithic earthernware; this issue has been under investigated within the current archaeological climate. The problems exposed in this experiment will be addressed in the future by means of comparative studies between subsequent experiments and those earthenware vessels actually excavated from Neolithic sites.

      • KCI등재

        14C연대 분석을 통해 본 후기 구석기시대 편년 시론

        소상영,이정철 백산학회 2015 白山學報 Vol.- No.103

        최근 우리나라 학계에서는 14C연대에 대한 관심과 활용도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지만, 아직 후기 구석기시대에 대한 관심은 높지 않다. 이는 우리나라 구석기 유적의 특성상 시료가 명확한 유구에서 채집된 경우가 거의 없고, 시료의 종류도 토양인 경우가 많아 14C연대의 신뢰도에 대한 평가의 어려움에 기인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경기도 지역 후기 구석기시대 유적의 14C연대를 평가하는 기준을 마련하여 신뢰도가 높은 연대를 채택한 후 이 자료의 분석을 통해 분기 설정을 시도하였다. 14C연대 평가결과 문화층에서 측정된 79개의 연대 중 44개가 채택되었다. 이를 교정연대의 범위와 평균연대 등을 고려하여 먼저 5단계로 구분한 후 석기공작과의 비교를 통해 4분기로 구분하였다. 모든 시기에는 석영계 소형석기가 우세하게 확인된다. Ⅰ기(40,000~31,000calBC)에는 중기 구석기시대의 대형석기가 유지되며, 긴격지를 활용한 슴베찌르개 및 돌날기법이 등장한다. Ⅱ기 (30,000calBC) 전후에는 돌날 이용 석기(슴베찌르개)가 확인되며, 대형석기는 급감한다. Ⅲ기 (26,000~21,000calBC)에는 석영계 소형석기의 다양화, 돌날 이용 석기(밀개 등)의 증가, 좀돌날기법(흑요석 중심)이 등장한다. Ⅳ기(20,000~17,000calBC)는 Ⅲ기와 유사한 석기공작이 유지되나, 석영계 소형석기는 더욱 소형화되고 좀돌날 석기에는 흑요석 외의 기타 돌감이 증가한다. 본고의 분석에 사용된 14C연대 44개는 충분한 숫자라고 하기 어려워 분기설정은 시론적인 성격이 강하다. 또한 23개의 연대가 남양주 호평동 유적에 집중된 것과 15,000BP 내외의 연대가 분석에 포함되지 못한 문제도 있다. 하지만 14C연대의 흐름에 따른 석기공작의 변화양상과 문화 층의 세분화 가능성을 확인한 것은 후기 구석기시대 편년연구에 14C연대측정법 활용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 KCI등재

        제주 고산리 유적의 편년과 성격-방사성탄소연대와 유적 재검토를 중심으로-

        소상영 한국신석기학회 2017 한국신석기연구 Vol.- No.33

        Gosan-ri Pottery are presumed to have been used until around 4,500calBC, which is the lowest limit of raised pattern pottery, having begun around 7,600calBC, considering the analysis result of radiocarbon dating, however the possibility to exceed 10,000calBC is not high, considering OSL chronicle of Ⅳ·Ⅴth phase. The insistence that formation period of Gosan-ri site is before 10,000calBC is not convincing only with the similarity to early Russian Neolithic site artifact combination figure and only one radiocarbon dating(10,180±65BP). Hundreds of dwelling sites and pit features were reported in Jeju cultural heritage research institute excavation research region, however considering layer relation of the site, inner land sedimentation, and excavation aspect of artifact, they are difficult to acknowledge as artificial features, since they were mostly natural sediments on irregular curved sides of pyroclastic deposit. Based on this, the opinion of insisting a possibility of sedentism of Gosan-ri site is unacceptable. Those that can be definitely acknowledged as artificial features in Gosanri site are a few open-air hearthies, pit features, and the traces of on ground houses. Considering such poor features and stone tools composition in high proportion of hunting and cooking, Gosan-ri area was presumed to be repeatedly occupied in a short term through long term by hunter-gatherer group who frequently move their residence. Organic temper is less efficient in pottery production compared to mineral temper, however it is determined to be utilized to rapidly produce the pottery suitable for mobile groups. The point that Gosan-ri Pottery is in a simple form without pattern based on rough groundmass can be understood that the living vessels were not specially decorated, since they were used a short term and thrown off after cooking.

      • 한국 신석기시대 환경과 문화변동

        소상영 한국고고미술연구소 2015 고고학지 Vol.21 No.-

        본고는 남한지방 홀로세 환경을 화분분석과 해수면 변동을 통해 4기로 구분하고 신석기시대에 해당하는 온난 1·2기, 한랭 1기의 환경변화와 신석기문화의 변동과의 관련성을 고찰하였다. 온난 1기(10,000~5,300 cal BC)는 플라이스토세가 끝나고 기온과 해수면이 빠르게 상승하는 시기로 신석기시대 초창기~전기에 해당한다. 온난 2기(5,300~3,700 cal BC)는 세계적인 기후최적기에 대응하며 기온과 해수면이 가장 높은 시기이다. 제주도를 제외한 남한지방의 신석기문화는 온난 1기 중반 이후에 동·남해안에서 시작된다. 이는 해수면의 빠른 상승이 정체되어 해안지형의 안정과 주변 식생대의 확장과 관련 된다. 온난 2기 중반 이후(4,600 cal BC)에는 동해안 해안사구에 위치한 유적이 소멸하고 중서부지역에서도 본격적인 신석기문화가 시작된다. 동해안 유적의 소멸은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해안사구가 해빈으로 변모하고 해수온도의 상승으로 주 식량자원인 한류성 어종의 감소 때문으로 추정된다. 남부지역은 풍부한 바다자원을 활용하여 해안지역을 중심으로 신석기문화가 전개되지만 내륙지역까지 확산되기 시작한다. 중서부지역은 해안과 강 하구의 생태계가 안정됨에 따라 생계경제의 복합도가 높아지면서 잦은 거주이동을 하던 수렵채집사회가 조달이동을 통해 다양한 자원을 공급하는 정주성이 높은 사회로 전환된다. 한랭 1기(3,700~400 cal BC)는 신석기시대 중기 이후에 속한다. 기후는 소나무속의 증가 경향으로 볼 때 대체로 한랭건조화 된다. 해수면은 약간 하강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비교적 큰 진동 폭을 보이고 있어 불안정한 기후를 반영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 시기에는 중서부 지역 중심이었던 침선문 토기와 잡곡재배가 남한 전역으로 확산되는 시기이다. 식량자원의 공급은 어로의 비중이 여전히 높은 것으로 보이지만, 초기 농경의 확산으로 생계복합도가 증가하고 지역에 따라 다양한 적응전략이 활용된다. 따라서 이 시기는 환경변화보다는 집단에 따른 다양한 적응전략의 선택이 신석기시대 문화변동에 주요 동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This paper divided the Holocene environment of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into four periods based on the analysis of pollens and changes in the sea levels. It focuses on the relevance between changes in the environment of the Warm Periods-1/2 and Cold Period-1, which correspond to the Neolithic Age and changes in the Neolithic culture. The Warm Period-1(10,000-5,300 cal BC) refers to the early period of the Neolithic Age, when the temperature and sea levels rose rapidly after the Holocene. The Warm Period-2(5,300-3,700 cal BC) refers to Climatic Optimum Period, when the temperature and sea levels were at the highest.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except for Jeju Island, the Neolithic culture started on the east and southern coasts in the mid-Warm Period-1 and thereafter. During this period, the rapid rise in sea levels stopped, the coastal topography was stabilized, and nearby vegetation zones were expanded. In the mid-Warm Period-2(4,600 cal BC) and thereafter, the sites on the dunes along the eastern coast of Korea disappeared, and the Neolithic culture commenced in the mid-western regions. The Cold Period-1(3,700-400 cal BC) refers to the mid-Neolithic Age and thereafter. During this period, the climate became colder and drier and saw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pine trees. The sea levels declined slightly, but showed a wide range of fluctuations, which is interpreted to indicate an unstable climate. During this period, earthenware with linear patterns and the practice of growing miscellaneous grains, which were primarily in the mid-western regions, spread to the entir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As for food resources, fishing still occupied a high share, but farming practices started to become widespread, and people learned to adopt diverse strategies in their adaptation to the environment. It is concluded that the diverse strategies learned in adapting to the environment, rather than changes of the environment, served as a major factor in the changes of culture in the Neolithic Age.

      • KCI등재후보

        고성 문암리 유적 경작유구의 재검토

        소상영 한국신석기학회 2019 한국신석기연구 Vol.- No.38

        In 2012, Neolithic fields were excavated in Munam-ri at Goseong. Two layers of fields were excavated from the ruins, of which the upper layer was reported as Joseon Dynasty and the lower layer was reported as Neolithic. Neolithic fields were first excavated not only in Korean Peninsula but also in East Asia. However, it is unlikely that it was used during the Neolithic period based on the overlapping patterns of the settlements and the lower field cultivation layer, the level relationship, and the results of natural science analysis. Rather, it suggests that the field is likely to be a cultivated layer after the historic period or a lower part of the upper field cultivation layer. Of course, this field may have been created during the Neolithic period. But it should not be accepted uncritically without careful analysis and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