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기후변화 소송에서 국제규범의 역할 : 네덜란드 판결을 중심으로

        배연재 대한국제법학회 2022 國際法學會論叢 Vol.67 No.2

        기후변화와 그로 인한 생태계 파괴 및 사회경제적 피해는 전 세계 인류가 직면한 현실이다. 국가는 위험한 기후변화로 인한 위협으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보호할 적극적인 의무가 있고, 기업은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는 방향으로 사업을 영위할 책임이 있다. 그러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국제적 대응체계가 마련된 이후에도 전 세계의 온실가스 배출은 계속적으로 증가하여 파리협정상 기후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가능성이 매년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다. 세계적으로 국내 기후변화 소송이 증가한 배경에는 기후변화 대응에 대한 국제적 차원의 노력이 기후변화 문제 대처에 충분하지 않다는 판단이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국내 기후변화 소송을 통한 사법적 접근은 국제적 대응체제가 미흡한 상황에서 인간의 생명과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필수불가결한 노력의 일환으로 모색되었고, 기후변화에 대한 국가와 기업의 책임이 더 이상 간과될 수 없다는 점을 보여준다. 국내 기후변화 소송이 기본적으로 각 국가의 고유한 법과 제도에 근거하고 있기는 하나, 국제규범은 국내 기후변화 소송에서 국가와 기업의 책임 근거로서 활용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기후변화 소송에서 각 국가의 국내법이 적용되는 경우에는 그러한 법리가 다른 국가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없는 한계가 있을 수 있지만, 국제규범은 기후변화와 관련된 일관된 법리가 적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기후변화 소송이 개별 국가의 사법기관에서 수행되더라도, 기후과학에 근거한 기후변화 목표 설정, 국가나 기업의 의무 인정 근거, 책임 인정 범위 등 국제법상 공통의 핵심적 법적 문제를 중심으로 기후변화 법리가 발전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네덜란드의 우르헨다 사건과 쉘 사건과 같은 적극적 판결의 내용이 다른 국가의 기후변화 소송이나 국제적 대응체계에 어느 정도로 영향을 미칠지는 지속적으로 살펴봐야 하겠으나, 이러한 국내 기후변화 소송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은 국제규범의 해석과 적용을 통한 국가 간 공통의 이해를 모색하고, 국제적 차원에서 국가와 기업의 책임을 강화하여 현재 및 미래의 기후변화 문제 해결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계기가 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SCOPUSKCI등재

        꼬마잠자리 (Nannophya Pygmaea Ramber: Libellulidae, Odonata)의 형태, 서식처 및 분포 기록

        배연재,염진화,차진열,윤일병 한국곤충학회 1999 Entomological Research Vol.29 No.4

        한반도의 남서부에서 꼬마잠자리(Nannophya pygmaea Ramber)수컷과 암컷 성충 및 유충이 채집되어 기재되었다. 꼬마잠자리의 서식처, 생태, 분포 및 보존에 관한 정보를 수록하였다. The male and female adults and larva of Nannophya pygmaea Ramber were described from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Their habitat, ecological, distributional, and conservational information was provided.

      • KCI등재

        Nannophya koreana sp. nov. (Odonata: Libellulidae): A new dragonfly species previously recognized in Korea as the endangered pygmy dragonfly Nannophya pygmaea Rambur

        배연재,Jin Hwa Yum,김동건,서경인,강지현 국립생물자원관 2020 Journal of species research Vol.9 No.1

        A new dragonfly species, Nannophya koreana sp. nov., is described from Korea on the basis of morphology and mitochondrial cytochrome oxidase c subunit I (COI) gene sequences. Nannophya materials from Korea and other areas in Southeast Asia were compared. The new species was previously recognized in Korea as the endangered pygmy dragonfly Nannophya pygmaea Rambur, 1842, which is widely distributed in insular and peninsular Southeast Asia. However, male adults of the Nannophya population in Korea could be distinguished from other N. pygmaea populations by the presence of a thick, incomplete black stripe on the lateral synthorax that terminated at half-length (vs. continuous to wing base), light orange (vs. red) anal appendages, and 4-5 (vs. 2-3) black teeth on the ventral superior appendages. In addition, the body length of N. koreana was generally larger (1.2-1.4 times) than that of N. pygmaea, regardless of life stage. COI gene sequences from the two groups exhibited substantial genetic differences (>12%), thereby sufficiently substantiating their differentiation. The taxonomic status, distribution, and habitat of the new species are discussed.

      • 국내 담수 무척추동물을 이용한 수환경 평가 연구에 대한 고찰, 현황 및 과제

        배연재 한국응용곤충학회 2016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6 No.10

        담수 무척추동물은 다양성, 풍부성, 생태계 대표성, 민감성, 채집의 용이성 등의 특성으로 담수 환경을 평가하는 지표생물로서 널리 이용되어 왔다. 담수 무척추동물을 이용한 수환경 평가는 1960년대에 국내에 도입된 이래 1980년대 이후 지속된 범국가적 모니터링 사업에 힘입어 비약적인 발전을 하였다. 주로 하천을 대상으로 개발된 생물지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종다양도지수(Shannon diversity)를 적용한 방법, 오수생물지수(Saprobic Index), 종합생물점 수(TBS), 군오염도지수(GPI), 저서무척추동물 생태점수(ESB), 한국오수생물지수(KSI), 저서동물지수(BMI), BMWP-K, 다변수 메트릭을 이용한 수질평가법(KB-IBI), 하천생물지수(SBI)등 다양한 평가방법이 개발되었다. 본 강연에서는 국내에서 개발된 생물지수를 고찰하고, 습지, 강 본류, 댐호, 퇴적물 등 특이 서식처에 적용되는 생물지수 연구의 최신 동향과 과제를 논의하고자 한다.

      • KCI등재

        한반도 자생생물 조사·발굴 연구사업 고찰(2006~2020)

        배연재,조기종,민기식,김병직,현진오,이진환,이향범,윤정훈,황정미,염진화,Bae, Yeon Jae,Cho, Kijong,Min, Gi-Sik,Kim, Byung-Jik,Hyun, Jin-Oh,Lee, Jin Hwan,Lee, Hyang Burm,Yoon, Jung-Hoon,Hwang, Jeong Mi,Yum, Jin Hwa 한국환경생물학회 2021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39 No.1

        Korea has stepped up efforts to investigate and catalog its flora and fauna to conserve the biodiversity of the Korean Peninsula and secure biological resources since the ratification of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CBD) in 1992 and the Nagoya Protocol on Access to Genetic Resources and the Fair and Equitable Sharing of Benefits (ABS) in 2010. Thus, after its establishment in 2007, the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NIBR)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of Korea initiated a project called the Korean Indigenous Species Investigation Project to investigate indigenous species on the Korean Peninsula. For 15 years since its beginning in 2006, this project has been carried out in five phases, Phase 1 from 2006-2008, Phase 2 from 2009-2011, Phase 3 from 2012-2014, Phase 4 from 2015-2017, and Phase 5 from 2018-2020. Before this project, in 2006, the number of indigenous species surveyed was 29,916. The figure was cumulatively aggregated at the end of each phase as 33,253 species for Phase 1 (2008), 38,011 species for Phase 2 (2011), 42,756 species for Phase 3 (2014), 49,027 species for Phase 4 (2017), and 54,428 species for Phase 5(2020). The number of indigenous species surveyed grew rapidly, showing an approximately 1.8-fold increase as the project progressed. These statistics showed an annual average of 2,320 newly recorded species during the project period. Among the recorded species, a total of 5,242 new species were reported in scientific publications, a great scientific achievement. During this project period, newly recorded species on the Korean Peninsula were identified using the recent taxonomic classifications as follows: 4,440 insect species (including 988 new species), 4,333 invertebrate species except for insects (including 1,492 new species), 98 vertebrate species (fish) (including nine new species), 309 plant species (including 176 vascular plant species, 133 bryophyte species, and 39 new species), 1,916 algae species (including 178 new species), 1,716 fungi and lichen species(including 309 new species), and 4,812 prokaryotic species (including 2,226 new species). The number of collected biological specimens in each phase was aggregated as follows: 247,226 for Phase 1 (2008), 207,827 for Phase 2 (2011), 287,133 for Phase 3 (2014), 244,920 for Phase 4(2017), and 144,333 for Phase 5(2020). A total of 1,131,439 specimens were obtained with an annual average of 75,429. More specifically, 281,054 insect specimens, 194,667 invertebrate specimens (except for insects), 40,100 fish specimens, 378,251 plant specimens, 140,490 algae specimens, 61,695 fungi specimens, and 35,182 prokaryotic specimens were collected. The cumulative number of researchers, which were nearly all professional taxonomists and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taxonomy across the country, involved in this project was around 5,000, with an annual average of 395. The number of researchers/assistant researchers or mainly graduate students participating in Phase 1 was 597/268; 522/191 in Phase 2; 939/292 in Phase 3; 575/852 in Phase 4; and 601/1,097 in Phase 5. During this project period, 3,488 papers were published in major scientific journals. Of these, 2,320 papers were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and 1,168 papers were published in Science Citation Index(SCI) journals. During the project period, a total of 83.3 billion won (annual average of 5.5 billion won) or approximately US $75 million (annual average of US $5 million) was invested in investigating indigenous species and collecting specimens. This project was a large-scale research study led by the Korean government. It is considered to be a successful example of Korea's compressed development as it attracted almost all of the taxonomists in Korea and made remarkable achievements with a massive budget in a short time. The results from this project led to the National List of Species of Korea, where all species were organized by taxonomic classification. Information regarding the 생물다양성협약(1992년)과 나고야의정서(2010년)의 체결 이후 우리나라는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보전과 생물자원 확보를 위한 자생생물의 조사·발굴 연구에 박차를 가하였다. 이러한 계기로 2007년에 설립된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의 주도로 "한반도 자생생물 조사·발굴 연구사업"이 진행되었다. 본 사업은 2006년 이후 현재까지 15년 동안 5단계(1단계 2006~2008년, 2단계 2009~2011년, 3단계 2012~2014년, 4단계 2015~2017년, 5단계 2018~2020년)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연구의 결과, 본 사업의 이전에 29,916종(2006년)이던 한반도 자생생물이 본 사업의 각 단계가 마무리되는 시점에서 누계로 집계하여 볼 때, 1단계 33,253종(2008년), 2단계 38,011종(2011년), 3단계 42,756종(2014년), 4단계 49,027종(2017년), 그리고 5단계 54,428종(2020년)으로 급속히 증가하여 본 사업 기간 동안 한반도 자생생물 기록종이 약 1.8배 증가하였다. 이 통계자료는 이 기간 동안 연평균 2,320종의 한반도 미기록종이 새로이 기록된 것을 보여준다. 또한 전체 발굴종 중에서 총 5,242종의 신종을 기록하는 학술적 큰 성과를 거두었다. 분류군 별로는 총 연구 기간 동안 곤충 4,440종(신종 988종 포함), 무척추동물(곤충 제외) 4,333종(신종 1,492종 포함), 척추동물(어류) 98종(신종 9종 포함), 식물(관속식물과 선태식물) 309종(관속식물 176종, 선태식물 133종, 신종 39종 포함), 조류(algae) 1,916종(신종 178종 포함), 균류와 지의류 1,716종(신종 309종 포함), 그리고 원핵생물 4,812종(신종 2,226종 포함)이 한반도에서 새로이 기록되었다. 생물표본은 각 단계별로 집계하여 볼 때 1단계 247,226점(2008년), 2단계 207,827점(2011년), 3단계 287,133점(2014년), 4단계 244,920점(2017년), 그리고 5단계 144,333점(2020년)이 수집되어 연평균 75,429점, 총 1,131,439점의 생물표본이 채집되었다. 그중에서 곤충 281,054점, 곤충 이외의 무척추동물 194,667점, 척추동물(어류) 40,100점, 식물 378,251점, 조류(algae) 140,490점, 균류 61,695점, 그리고 원핵생물 35,182점이 채집되었다. 본 사업에 참여한 각 단계별 연구원/보조연구원(주로 대학원생)의 수는 1단계 597/268명, 2단계 522/191명, 3단계 939/292명, 4단계 575/852명, 그리고 5단계 601/1,097명으로 전체년도의 참여연구자는 연평균 395명, 총 연인원 약 5,000명이 참여하여 전국의 거의 모든 분류학자와 분류학 전공의 대학원생이 참여하였다. 본 사업 기간 동안 전문학술지 논문 3,488편(국내학술지 논문 2,320편, SCI급 국제학술지 논문 1,168편 포함)이 출판되었다. 본 사업 기간 중 자생생물 조사·발굴 사업 및 생물표본 확보 사업에 투입된 예산은 총 833억원(연평균 55억원)이다. 본 사업은 국가 주도의 대형 연구 프로젝트로서 전국의 거의 모든 분류학자가 참여하고 대규모 예산이 투입되어 단기간에 이루어 낸 한국식 압축성장의 한 성공 사례로 볼 수 있다. 본 사업의 종발굴 성과는 최근의 생물분류 체계로 분류되어 국가생물종목록으로 만들어졌으며, 전문가와 학생 및 일반 시민에게 제공되고 있다(https://species.nibr.go.kr/index.do). 본 사업에서 파생된 기재문, DNA 염기 서열, 서식처, 분포, 생태, 이미지, 멀티미디어 등 각 종의 정보는 디지털화되어 생물의 계통, 진화 연구 등 학문적 발전에 기여하였고, 기후변화에 따른 지표종의 변화 같은 생물분포 모니터링 사업과 바이오산업의 생물소재를 탐색하는 기반이 되었다. 본 사업을 통하여 젊은 분류인력(주로 대학원생)의 양성을 지원할 수 있었던 것

      • 강원도 방태천의 수서곤충 군집

        배연재,박선영,이성진,박재홍 서울여자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2003 자연과학연구논문집 Vol.15 No.-

        An aquatic insect community was investigated from the Bangtae stream, a preserved mid-sized stream in Gangwon-do, Korea, using a quantitative sampling (Surber sampler, 50 x 50 cm, mesh 0.25 mm: riffle 2 replicates and pool/run 2 replicates per site) in September 1995 and May 1996. A total of 103 species of aquatic insects in 67 genera, 34 families, and 6 orders were sampled: Trichoptera 27 spp. (26.2%), Ephemeroptera 25 spp. (24.3%), Diptera 25 spp, (24.3%), Plecoptera 20 spp. (19.4%), Odonata 3 spp, (2.9%), and Coleoptera 3 spp. (2.9%). In the tributary stream (headwater and St. 1), a total of 72 species were sampled including the species limited to headwaters and cold upstream areas (e.g. Ameletus sp., Protonemoura KUa. Yoraperla KUa. Scopure sp., and Psychomyis KUa). In the area, a dipteran family Deuterophlebiidae (Deuterophlebia sp.) is record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In the main watercourse (St. 2-6), the number of species at each study site (per 900 cm²) ranged 31-44 species (mean 37 spp.), and the number of individuals ranged 339-1741 individuals (mean 650 inds.): EPT-group and chironomids (white), typical aquatic insect taxa in unpolluted streams, were predominant at most of the sites. Dominance indices (DI) ranged 0.22-0.71 (mean 0.43): diversity indices (H') ranged 2.46-4.50 (mean 3.59). In general, the aquatic insect community of Bangtae stream. well reflects a very good habitat condition throughout the stream reaches.

      • 국내 박물관 해충의 실태조사 및 방제방안

        배연재,박선영 서울여자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1996 자연과학연구논문집 Vol.7 No.-

        A preliminary study on museum arthropod pests was conducted not only to know the status of key pest species in Korean museums but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ir control strategies. Representative museums, previous National Central Museum, Yongsan War Memorial Museum, and 3 university museums in Seoul, were chosen for this study. Two university facilities and 2 private houses were additionally sampled. Arthropods were collected from storage rooms and exhibition rooms by aspirators, sticky traps, and pitfall traps. As results, 69 species of arthropods in 15 orders of insects (60 spp.), spiders (7 spp.), crustaceans (1 sp.), and milliapods (1 sp.) were collected. Among the collected arthropods, cockroaches, dermestids and other some beetles, silverfishes, and booklice were regarded important museum pests in Korea. More arthropods were found from university museums (2-18 spp. per room; mean 8.4 spp.; dominance index 0.35-1.00; diversity index 0.37-3.47) than from NCM (3 spp.) or YWMM (1 sp.); dermestids were dominant in most rooms of university museums. Basic control strategies on above pest specie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