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국문화의 발전에 끼친 영국의 종교적ㆍ이념적 영향 : 청교도주의와 계몽사상을 중심으로 Puritanism and Ideas of Enlightenment

        박우룡 한국외국어대학교 북미연구소 2000 영미연구 Vol.6 No.-

        It has been widely known that, from the colonial times on, Puritanism and the Enlightenment of modern England have exerted profound influences on forming the basis of American values and culture.Puritanism has been the backbone of American culture, and the Enlightenment laid a cornerstone of American liberal and republican politics.But it seems difficult to acquire systematic materials to clearly elucidate those processes.And if finding some articles concerned, there remains something undesirable. So,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trace those historical backgrounds and concrete facts concerned, and to make clear these processes.Firstly, I arrange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backgrounds explaining occurrences of the Puritanism and the thought of the Enlightenment in England. Secondly, I ascertain the truth of how Puritanism put down roots in American soil and spread the Christian way and spirit of its own to minds of Americans, and lay the foundation of new culture. Thirdly, how those values of the Enlightenment had concretely permeated into American minds and influenced on enhancing their political consciousness and making liberal and democratic constitutions is studied.

      • KCI등재

        아담 스미스의 도덕사상 :『도덕감정론』을 중심으로

        박우룡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2014 중앙사론 Vol.0 No.39

        It is frequently believed that the great eighteenth-century Scottish moral philosopher Adam Smith was an Extreme dogmatic defender of laissez-faire capitalism. It is also frequently held that Smith was totally in favour of the system of capitalism. Both of these common, popular interpretation of Smith are actually erroneous. He was not a dogmatic propenent of laissez-faire capitalism. In the US(as well as in several other areas of the world) the 1980s saw attempts to promote a regressive, ideologically reactionary form of capitalism. The US wittnessed attempts to redistribute income from the poorer to the economically more advantaged members of society, rhetoric in favour of a dogmatic laissez-faire form of capitalism, as well as increases in government defence spending and the government deficit. Often, many of these policies were advocated in the name of Adam Smith's vision. In fact, these economic programmes fragrantly misused Smith's authoruty. Smith was not for deficit spending, increases in military spending, income redistribution schemes in favour of the rich, or dogmatic laissez-faire forms of capitalism. Moreover, Smith himself was not an equivocal supporter of the system of capitalism. This paper wil be an attempt to testify that these arguments are proper. Focusing on The Theory of Moral Sentiments, the only other book Smith published in his lifetime first book(1759). A careful exposition of the book will show that Smith actually had severe misgivings about the moral desirability of the system of capitalism. This book is based on a single and familiar principle, that of sympathy. This book stresses interpersonal empathy,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an impartial spectator within the moral adult, as the foundation of Adam Smith's attempt to develop a science of morals.

      • KCI등재

        소형 원자로용 모듈화 격납구조의 내진성능 분석

        박우룡,임성순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1

        The seismic performance of a containment structure should be secured to maintain the structural soundness of a containment structure under various earthquakes that occur globally. Therefore, an analysis of the seismic performance of a modular containment structure for a small modular reactor is also required. To analyze the seismic performance of modular containment, FEM models with contact surfaces between the modules and tendon were prepared and the modal and seismic analyses were performed. The displacement, stress, and gap size of modular containment under earthquake wave were analyzed. The effects of the tendon force, friction coefficient, and earthquake wave on the seismic performance were analyzed. The seismic performance of monolithic containment was also analyzed for comparison. In the 1st and 2nd natural modes, which most likely affect, the modular containment showed horizontal dynamic behavior, which is similar to monolithic containment, because of the combined effects of the tendon force and friction force between modules. When the combined effect is sufficient, the seismic performance of the modular containment is secured over a certain level. An additional increase in seismic performance is expected when some material with a larger friction coefficient is adopted on the contact surface. 전세계적으로 다양한 규모의 지진이 계속하여 발생하고 있으므로 원자로용 격납구조가 구조적인 건전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내진성능의 확보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소형 원자로용 모듈화 격납구조의 경우에도 내진성능의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소형 원자로용 모듈화 격납구조의 내진성능 분석을 위해 콘크리트 모듈 간 접촉면과 긴장재를 반영한 유한요소 모델을 작성하여 고유진동해석과 지진해석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입력지진파에 의한 모듈화 격납구조의 변위, 응력 및 연결부 접촉면 갭 크기의 변화특성을 분석한다. 그리고 긴장력, 연결부 접촉면 마찰계수 및 입력지진파의 변화가 내진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비교를 위해 일체화 격납구조의 내진성능도 분석한다. 긴장재의 긴장력과 모듈 연결부 접촉면의 마찰력에 의한 합성효과로 모듈화 격납구조는 발생 가능성이 가장 높은 1, 2차 고유모드에서 일체화 격납구조와 유사한 횡방향 동적거동을 한다. 긴장재의 긴장력과 연결부 접촉면의 마찰력에 의한 합성효과가 충분히 발휘될 경우, 연결부를 갖는 모듈화 격납구조에서도 일정수준 이상의 내진성능이 확보된다. 연결부 접촉면 재질을 마찰계수가 더 큰 재료로 바꿀 경우 추가적인 내진성능 향상이 기대된다.

      • KCI우수등재

        영국의 신자유주의와 지식인의 사회개혁 : 1881 - 1914

        박우룡 한국서양사학회 1996 西洋史論 Vol.48 No.1

        이 논문은 영국의 신자유주의를 '지식인의 사회개혁이념'이라는 시각에서 새롭게 조명해 보려는 시도이다. 그 이념에 대한 기존의 연구동향은 자유당과 관련하여 그 실효성을 묻는 것이 주류를 이루어 왔다. 1950, 60년대에는 그 이념을 자유당의 몰락과 더불어 그 운명을 다 한 '실패한 이념'으로 보는 견해가 압도적이었다. 그러나 1970년대에 들어와서는 1차대전 직전 자유당의 개혁노선의 이념적 기반으로, 계급간의 '진보적 연대'를 가능케 한 이념으로 그에 대한 적극적인 평가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기존의 정당중심의 해석만으로는 신자유주의에 대한 올바른 인식에 도달할 수 없다는 것이 필자의 견해다. 그것은 무엇보다도 그와 같은 연구는 그 이념의 역사적 역할을 이해하는 데 가장 핵심적 사항이 되는, 영국의 정치문화가 '방임주의적 국가관'으로부터 '간섭주의적 국가관'으로 변화되도록 기여한 내용을 다루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정당에 대한 연구만을 통해 그 이념의 전체상을 파악하려는 시도는 필연적으로 무리가 뒤따르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그와 같은 방법상의 오류를 반복하여왔다는 것이다. 더욱이 그 이념을 부정적으로 보는 시각 중 일부는 그것을 19세기 중간계급의 개혁이념인 '자유주의적 급진주의'와 동일시한데서 생겨난 오해라는 것이 최근 밝혀져 오고있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할 때, 자유당과 관련하여 신자유주의를 파악하는 기존의 연구방식은 그 한계가 분명하다고 할 것이다. 필자는 시각을 달리해서 신자유주의를 세기 전환기 지식인들의 사회개혁의 이념의 차원에서 파악함으로써 그와 같은 방법상의 한계를 극복해 보려고 한다 즉, 그 이념은, 19세기 말 빈곤과 실업의 산업문제들이 그 심각상을 더해가면서, 노동계급의 정치세력화에 따른 '계급정치'의 문제가 대두했을 때, 당시 개혁지식인들이 기존 자유주의의 이념으로는 감당할 수 없는 그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추구한 이념이었다는 것이다. 그들은 '공동선', '유기체적 사회관', '사회적 부(富)' 등의 개념을 통해서 '집단주의적 사회개혁'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그를 위한 '국가간섭'의 정당성을 부여하려고 시도하였다는 것이다. 그들은 이와 같은 사회개혁의 이론적 바탕을 제공했을 뿐만 아니라, 그들이 소속된 사회 각 단체와 언론 등을 통해서 그와 같은 개혁론들을 전파하고 실천하는데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였던 것이다. 그 결과, 신자유주의는 영국의 새로운 정치문화를 선도하는 대표적 이념으로 자리잡게 되었으며, 20세기 복지국가의 사상적 기반을 제공한 이념이 되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필자의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서 이 논문은 특히 신자유주의 이념을 수립하는데나 그를 실천하는 데 있어서 대표적인 역할을 한 인물이라고 평가받는 홉하우스(L.T. Hobhouse)와 홉슨(J.A. Hobson)을 비롯한 당시 개혁지식인들의 활동상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다.

      • KCI등재

        1980년대 대처 정부의 ‘뉴 라이트 프로그램’의 또 다른 실패: 런던 도클랜드(Docklands) 재개발 사업

        박우룡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15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0 No.36

        Another Failure of the New Right Program of Thatcherite Government in the 1980s: The London Docklands Redevelopment Project Woo-Ryong Park In essence, 'the New Right program(Thatcherism)' is a marriage between two apparently contrasting ideological traditions. The new right thus attempted to fuse economic liberalism with state and social authoritarianism. The unavoidable result of attempting to reinvent the free market was highly invasive state. As the new right thrust market forces into every corner of British life with the aim of 'rolling back the frontiers of the state', the state grew ever stronger. The result was far-reaching change in British life that created a society different from any the new right envisioned or desired. The new right programs such as monetarism, privatization, creating property-owning democracy, booming economy and so on have been estimated to have virtually failed. The London Docklands redevelopment project also became an another example of those great planning failures. Since 1979 the new right government has seen the London Docklands area as one of national significance in terms of urban redevelopment. The government set up and empowered the London Docklands Development Corporation(LDDC) to regenerate the designated area, in line with the new right's economic policies, which were firmly on the 'neo-liberal' free market philosophies. But it seems reasonable to make three critical points on the development. First is the loss of local democracy and interests. Second is the problem of speculative over- production. The third point is about possible technological obsolescence.(Hankoo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1980년대 대처 정부의 ‘뉴 라이트 프로그램’의 또 다른 실패: 런던 도클랜드(Docklands) 재개발 사업 박 우 룡 사실상 뉴 라이트 프로그램(대처주의)은 일견 상반되어 보이는 이데올로기적 전통들의 결합이다. 즉 뉴 라이트는 경제적 자유주의와 국가 또는 사회적 권위주의를 혼합시키려고 한다. 자유 시장을 재창출하려는 뉴 라이트의 시도는 불가피하게 매우 간섭적인 국가를 만들었다. 뉴 라이트가 국가의 경계선을 후퇴시키려는 목적으로 영국인들의 삶 구석구석에 시장의 힘을 밀어 넣으면서 국가는 더욱 강화되는 역설적인 상황이 초래되었다. 그 결과 영국인들의 삶에서 방대한 변화가 발생하였고 이는 뉴 라이트가 그리거나 추구하던 사회와는 전혀 다른 사회였다. 통화주의나 민영화, 재산소유 민주주의나 경제적 급성장 등과 같은 뉴 라이트 프로그램들은 잠재적으로 실패한 것으로 평가받아 왔다. 런던 도클랜드 재개발 사업 또한 이러한 거대계획 실패의 또 다른 사례가 되었다. 1979년 이래로 뉴 라이트 정부는 런던 도클랜드 구역을 도시재개발의 차원에서 국가적 중요성을 지닌 곳으로 봐왔다. 정부는 ‘신자유주의’ 자유 시장 철학에 굳건히 기댄 뉴 라이트 경제정책들과 함께 런던 도클랜드 개발공사(LDDC)를 설립하고 지정된 구역을 개조하기 위해 힘을 실어줬다. 그러나 이 개발은 세 가지 측면에서 비판을 받게 된다. 첫째는 지역 민주주의의 후퇴와 주민 이익의 상실이고, 둘째는 과잉 투기가 불러온 부작용의 문제이며, 세 번째는 기술 쇠퇴의 가능성과 관련한 것이다.

      • KCI등재후보

        19세기 영국 사회개혁 전통의 감성적 기원 -러스킨(John Ruskin)의 자연과 예술-

        박우룡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09 호남학 Vol.0 No.45

        The intelligent and minute love of Nature which showed itself so early in John Ruskin's life must be taken as the starting point in the just appreciation of his work. In time and in intensity it took precedence of his interest in art. Ruskin's two great masters were J.W. Turner and Thomas Carlyle. These two men were chief instruments in determining Ruskin's career. Turner made him an art-prophet, Carlyle a social reformer. In 1842 Ruskin's eyes were opened to the true mission of higher art as the interpreter of Nature in her deeper attributes and motives by the capacity of human sincerity. It was the perception of the distinctive qualities of Turner's landscapes which drove this conviction home. In his first volume Modern Painters (1843), we find the three main canons which Ruskin later carried from art in its narrower connotation to the art of life. Firstly, All art must be based upon patient, thorough, detailed knowledge of facts of its subject-matter in Nature. Secondly, still more important is, from the very outset, the introduction of moral sense as the criterion of art, at once the standard of valuation for ideas and the fountain of pure taste. Thirdly, humanity is at once the standard and the end of art. Having once reached the position that art is the presentation of true and worthy ideas seen in nature by the penetrative and constructive power of the imagination, Ruskin never swerved from it. Technique is taken for granted as the instrument of art, and not its essence. But all art which involves no reference to man is inferior or nugatory. And all art which involves misconception of man, or base thought of him, is in that degree false and base. So art must justify itself by human service. The root of Ruskin's theory of art is its service to humanity through the presentation of noble ideas. 본 논문은 감성이 역사 발전의 동인으로서 어떤 역할을 했는가를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해 보려는 한 시도이다. 특히 19세기 영국의 대표적인 예술비평가이자 사회사상가인 러스킨(John Ruskin, 1819~1900)의 자연과 예술에 대한 관점과, 사회개혁 사상의 내용을 통해 감성적 요인이 역사발전에 기여한 바를 살펴보기로 하겠다. 러스킨은 그림의 첫 번째 중요한 원칙은 자연에 대한 세밀한 관찰과 묘사를 통해 높은 진리를 파악하고 표현할 수 있다는 신념을 가지고 있었다. 실제로 그는 모든 진실은 시각적으로 이해될 수 있다고 믿었다. 또한, 러스킨은 자연 현상들에 대한 이해는 그에 대한 상상과 연결되어야만 한다고 주장한다. 러스킨은 모든 예술은 자연 속의 주제가 되는 대상의 내용을 끈기 있고, 철저하고, 상세하게 파악한 지식을 토대로 추구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는 가장 최고의 예술은 자연 속 사물의 개별적인 특성을 파악하고, 그것을 발전시키고 설명하고, 풍경 속에 그 적절한 위치를 부여함으로써, 그림이 전달하고자 하는 위대한 가치를 향상시키고 강화시켜주는 것이라고 보았다. 또한 러스킨은 예술에서 보다 중요한 것은 처음부터 도덕의식을, 관념들에 대한 평가의 기준으로, 그리고 순수한 감각의 원천이 되도록, 예술의 표준으로 도입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무엇보다도 러스킨이 우선적인 가치로 생각한 인류애(humanity)는 예술의 우선적 기준이자 목적이었다. 러스킨은 “인간에 관해 어떠한 언급도 포함하지 않는 모든 예술은 열등하거나 무가치하다. 그리고 인간에 관한 그릇된 생각, 혹은 비열한 생각을 담고 있는 모든 예술은 그 정도만큼 그릇되고 상스러운 것이다”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예술은 인간에 관한 봉사를 통해 그 자체를 정당화해야만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자연관과 예술관을 기초로 러스킨은 산업화가 초래하고 있는 영국 사회 의 부정적 단면을 강력하게 비판하고 그에 대한 개혁의 방법론을 줄기차게 모색하였다. 특히 그는 물질주의적·이기적 가치관이 팽배해가던 당시 영국의 개인주의적 사회풍조에 대응하여 유기체적 사회관 혹은 ‘총체성’이라는 가치를 제시함으로써 공동체 의식과 개혁주의의 가치관이 영국인의 사고방식 속에 자리 잡도록 하고, 개혁 사상의 발전해 나가는 데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

      • KCI등재

        영국의 문화유산 산업(Heritage Industry)과 역사 인식: 1980년대 헤리티지 영화(Heritage Film)

        박우룡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2013 중앙사론 Vol.0 No.38

        The radical economic and social reconstructions of Britain in the 1980s required Thatcher government to find novel ways of managing the conflict between old and new, tradition and modernity. They identify the key concepts in this process as "heritage," with its connotations of continuity with the past and the preservation of values and traditions, and "enterprise," with its connotations of change and innovation. The terms are vitally interconnected. What has come to be called 'the heritage industry' is itself a major component of economic redevelopment, an 'enterprise,' both in terms of large scale civic programmes and the proliferation of private commercial activity around 'the past' in one commodified form or another. Whatever the true figures for production and employment, the country is gripped by the perception that it is in decline. The heritage industry is an attempt to dispel this climate of decline by exploiting the economic potential of British culture. During the 1980s, the word 'heritage' has become the principal label for a variety of often very different evocations, projections and embodiments of national and local 'pastness' and pride. It has become the keyword in organizing, and frequently in institutionalizing, that intensified concern with historical reference which characterizes the decade at many levels of its political, cultural and economic formation and which has given rise to an astonishing growth in historical tourism. The heritage industry has thus developed as a vital part of contemporary tourism and related service industries such as the leisure industry, which of course embraces cinema. While the obligation to succeed internationally requires to some degree an effacing of the specifically national, certain films have used the national itself-or at least, one version of the national past-as their prime selling point. Images of Britain and Britishness(usually, in fact, Englishness) became commodities for consumption in the international image market. The heritage cycle is only one strand in the British cinema in the 1980s. This paper will analyze heritage films about the way they represent the national past, and about how this representation works for contemporary spectators. I criticise the heritage films not simply because so many of those products are fantasies of a world that never was. Not simply because at a deeper level it involves the preservation, reassertion, of social values that the democratic progress of the twentieth century seemed to be doing away with, but because, far from ameliorating the climate of decline, it is actually worsening it. Nostalgia can have an integrative effect by helping us to adjust to change. At best, the heritage film only draws a screen between ourselves and our true past. In addition, hypnotised by images of the past, we risk losing all capacity for creative change.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영국의 하위계급 논쟁 : 위험한 계급인가, 아니면 희생양인가? Dangerous Classes or Victims?

        박우룡 한국서양사학회 2003 西洋史論 Vol.0 No.78

        The notion of the underclass has a history which can be traced back to Victorian times. There has been a recent growth of speculation and debate about the emergence of an underclass in British and American socicty. The idea will involve a biological argument, a moral judgement. a view of changing class structure, and the idea of inadequate socialization and a deviant 'sub-culture'. Open debate on the underclass accelerated in 1977 when Time magazine announced the emergence of a menacing underclass in America's inner cities. Drugs, crime, teenage pregnancy, and high unemployment defined the "underclass," most of whose members were young and minorities. With the publication of Ken Auletta's Underclass, the word secured its dominance in the vocabulary of innercity pathology. In America debate on the underclass has been divided between cultural determination and sturucturalism. The former blame the underclass for idelness, defiant behaviors. teenager pregnancy, and crime. The latter find the cause of unemployment poverty in the change of industrial and economic policies and structure and lack of jobs. It was revived and re-enterd British political discourse in the 1980s. There are several competing definitions of the underclass. The version which has aroused most political controversy is one which suggest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minority of the population who share a common culture characterized by lack of motivation to gain employment and willing dependancy on the state for subsistence. To portray people in this way is to suggest that they are personally responsible for their own unemployment, poverty and exclusion, rather than the unfortunate victims of structural economic change and inadequate institutional solutions to social problems. In Britain Thatcherite policies promoted a striking growth in economic inequality. Since 1977 the proportion of the population with less than half the average income more than trebled. Still more striking was the growth of an underclass. Britain today around one in five households contains not a single working person. This dramatic growth of an underclass occurred as a direct consequence of neo-liberal welfare reforms. While recognizing multiple deprivations among the poor, deriving primarily from unemployment and lone motherhood, British scholars argue that sections of the population at the greatest risk of poverty do not constitute a group with shared culture of dependancy on the st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