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박완서 동화에 나타난 생태의식 고찰

        박산향 ( Park San-hyang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7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69

        1970년대 이후 한국사회는 산업화와 도시화로 급격하게 발전했지만 그에 따른 부작용도 만만치 않았다. 물질중심주의와 배금주의가 팽배했으며 기계화에 따른 가족 간의 단절 등 인간소외 현상도 심각해졌다. 이에 생태문제는 사회의 관심 대상이 되었고 문학계에서도 생태위기에 대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박완서의 동화를 텍스트로 자연과 인간의 유기론적 관계를 규명하여 생태문학으로서의 가치를 고찰하였다. 「옥상의 민들레꽃」, 「시인의 꿈」은 고도의 경제성장과 함께 야기된 자본주의 경제체제하의 물질 중심적 속물근성과 이기주의 풍조를 비판한다. 「자전거 도둑」에서도 수남이를 내세워 도덕성보다 물질적 가치를 우선시하는 어른들의 세태를 비꼬고 있다. 도시문명으로 가려진 자연의 생태적 가치를 회복시키려는 작가의 의도는 「달걀은 달걀로 갚으렴」에서 드러난다. 머레이 북친은 사회와 자연의 조화로운 관계 회복을 통해 합리적이고 생태적인 사회를 만들 수 있으며, 인간이 환경문제 해결의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믿는다. 따라서 자연과의 공존, 타자에 대한 사랑을 담은 박완서의 동화는 북친의 생태의식과 긴밀한 연관성을 지니고 있다. 포용력과 배려의 생명의식은 박완서 동화의 기반이기도 하다. 「보시니 참 좋았다」에서는 신부님이 가난한 소년에게 사랑을 베풀고, 『이 세상에 태어나길 참 잘했다』의 복동이 이모는 조카인 복동이와 가족을 이루며, 다문화가정의 아이들에게 교육의 기회를 제공한다. 이들은 모두 타인을 보살피고 사랑함으로써 생태적인 삶을 실천하고 있는 인물들이다. 바로 박완서 동화가 추구하는 방향성이기도 하다. 이 밖에도 『엄마 아빠 기다리신다』와 『손』은 다른 사람을 배려하는 마음을 요구한다. 자연이 파괴된 도시 환경에 대한 위기감을 『7년 동안의 잠』의 매미의 일생을 통해 잘 표현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물질 중심적 사고를 비판하며 생태적인 감수성을 일깨워주는 박완서 동화를 통해, 그가 조화로운 생태사회를 지향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Since the 1970s, Korean society has developed dramatically since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but the resulting side effects have remained relatively serious. Also materialism and mammonism were rampant, and human alienation caused by mechanization such as family failure resulted in serious setbacks. The ecological problem has become a subject of concern for society, and in the literature community, it is voicing its concerns about the ecological crisis. The study explored the value of organic literature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humanity in the text of Park Wanseo. 「The dandelion of the Roof」 and 「A poet`s Dream」 are critical of the materialistic snobbery and egoism of the capitalist economic system that resulted in a high economic growth. Also, 「Bike Thief」 criticizes the tendency of adults to prioritize material values rather than morality. The author`s intention to restore the ecological value of nature, which is overshadowed by urban civilization, appears to be 「Eggs are eggs for you」. Murray Bookchin believes that friendly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and natural can create a rational and ecologically society, and that humans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solving environmental problems. Therefore, the Park Wanseo`s tale which contains coexistence with nature and the love of others has a close association with the ecological consciousness of Bookchin. The life consciousness of catholicity and consideration is also the foundation of the Park Wanseo fairy tale. 「It`s nice to see you」 says the padre gives the poor boy love. Bokdong`s aunt became a family with Bokdong and, provided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in 「What is born in this world is good」. They are all practicing their ecological lives by taking care of others and loving them. It is also the direction that the Park Wanseo Fairy Tales pursues. Besides, 「Mom, Dad, wait」 and 「Hand」 ask for a caring mind. Crisis about urban environment`s natural destruction are illustrated by the life of a cicada in 「Seven-year sleep」. In conclusion, the study found that Park Wanseo was oriented toward a harmonious ecological society through his tales that criticized materialism and reminded him of ecological sensitivity.

      • KCI등재

        일제강점기 박화성 소설에 나타난 노동자에 대한 폭력성 고찰

        박산향 ( Park San-hyang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15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69 No.-

        이 논문은 일제강점기 박화성의 소설 중 노동시장의 모순을 재현하고 있는 「추석전야(秋夕前夜)」(1925)와 「하수도공사(下水道工事)」(1932)를 중심으로 노동자에 대한 폭력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박화성은 「추석전야」의 ‘영신’을 통해 시대적 모순과 여성 노동자의 삶을 생생하게 그려내고 있다. 이 작품은 근대화로 인한 자본의 유입과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노동자에 대한 폭력, 특히 여성노동자에 대한 폭력의 실상을 알게 하였다. 노동법이 보장되지 않는 상황에서 여성 노동자들은 성희롱 등의 성폭력과 물리적 폭력에까지 시달리며 기계적인 삶을 강요받았음을 방직공장 여공들을 등장시켜 재현한다. 다음으로, 일제강점기의 식민지 자본주의에 의한 노동현장에서의 폭력과 이에 대한 저항의 측면은「추석전야」와 「하수도공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정치적으로 식민지배 하에 있었고, 경제적으로도 피지배자의 위치에 있던 노동자들은 구조적으로 불평등한 폭력에 노출될 수밖에 없었다. 일제는 자본의 본원적 축적과정에서 빈번히 인간적 폭력을 행사했다. 부당함에 대해 저항을 해보지만 식민지 자본주의 구조는 노동자를 여전히 타자로 살게 한다. 위 소설로 박화성은 식민체제의 모순, 자본주의의 불평등 구조, 여성에 대한 차별과 폭력, 가부장제의 모순 등 노동 현장에서의 구조적 폭력의 실태를 현장감 있게 그려내고 있다. This study examined violence against laborers focusing on Park Hwaseong’s novels 「Chuseokjeonya(秋夕前夜)」 and 「Hasudogongsa(下水道工事)」 that reproduce the contradiction in the labor market. Through ‘Youngsin’ in 「Chuseokjeonya」, Park Hwaseong vividly describes the contradiction of the time and female laborers’ lives. This work informs readers of the inflow of capital due to modernization and violence against laborers, especially female laborers. In the situation that labor laws were not guaranteed, female laborers in a textile factory suffered from sexual violence including sexual harassment and physical violence, being forced to live mechanical lives. Next, 「Chuseokjeonya」 and 「Hasudogongsa」 inform readers of violence and resistance in the workplace caused by colonial capitalism in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ism. As laborers were under colonialism in the political aspect and were the ruled in the economic aspect, they had no choice but to be exposed to structurally unfair violence. Japan used violence often in the capital accumulation process. Although laborers resisted, the structure of the colonial capitalism made laborers live as others. As a result of examining Park Hwaseong’s two novels, it turned out that they vividly describe the contradiction of the colonial system, the unequal capitalism structure, discrimination and violence against women, the contradiction of patriarchy, and the structural violence in the workplace.

      • KCI등재

        어문학 : 고려인의 디아스포라와 장소애 - 문영숙의 『까레이스키, 끝없는 방랑』을 중심으로 -

        박산향 ( San Hyang Park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인문학연구 Vol.0 No.49

        본 논문은 청소년 소설 문영숙의 『까레이스키, 끝없는 방랑』을 텍스트로, 디아스포라의 세월을 살 수밖에 없었던 고려인(까레이스키)과 그들의 장소 정체성을 고찰하였다. 주인공 동화를 비롯한 까레이스키들은 연해주에서 강제로 집을 떠나카자흐스탄의 우슈토베로 이주하게 된다. 이민족으로 배척당하며 살아가야 했던 까레이스키들은 우슈토베에서 오랜 시간을 거주하며 새로운 장소를 만들어 나갔지만, 그곳에 대한 진정한 장소감을 가질 수는 없었다. 집이나 고향에 대한 생각은 정체성의 원천이기 때문에 까레이스키의 장소 정체성은 고국 또는 떠나온 고향을 향해 있었다. 1986년 소련 정부가 강제 이주의 잘못을 인정했지만 그들의 삶을 보상해줄 수는 없었다. 이 연구에서 보듯이 까레이스키를 비롯한 재외한인에 대한 우리의 관심과 정책이 필요하다고 본다. This paper considers Koryo-saram(Kareisky) who were forced to experience diaspora and their place identity based on an adolescent novel called The Kareiski’s Endless Wandering by Moon Young-sook. Kareiskys including the protagonist named Dong-hwa were force to leave their homes in Primorsky Krai and then to move into Ushtobe in Kazakhstan. Although Kareiskys who were excluded as a different ethnic group resided in Ushtobe for a long time, they could not have a true sense of place. Thought of home or hometown is a source of identity. Therefore, Kareiskys’ place identity was toward their homeland or hometown where they had left. In 1986, the Soviet Government admitted a mistake of the diaspora, but their lives could not be compensated. As shown in this study,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take an interest in Korean nationals abroad including Kareiskys and to develop policies for them.

      • KCI등재후보

        권정생의 『몽실 언니』로 본 여성에 대한 폭력

        박산향(Park San hyang)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4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5 No.2

        본 논의는 『몽실 언니』의 주인공인 '몽실'을 중심으로, 전쟁기의 빈곤과 여성에 대한 폭력에 집중하여 고찰하였다. 재혼한 친어머니, 병든 아버지, 병약한 몸 때문에 동생 난남을 낳자마자 세상을 떠난 새어머니, 난남, 친어머니가 낳은 동생인 영득과 영순이까지 주위 인물들은 모두 몽실에게 고통을 안겨준다. 그러나 몽실은 이 혹독한 현실을 묵묵히 받아들인다. 인내와 희생적 삶을 강요하는 사회구조, 가부장제는 여성주의 관점에서 보면 폭력이다. 즉 어린 몽실이 가사 일에 육아까지 맡으면서 온갖 고생을 하는 것을 인간 승리가 아니라 아동착취, 여자 어린이에 대한 폭력으로 보는 것이다. 아버지가 어머니와 몽실에게 신체적 폭력을 행하는데도 그녀들은 그것을 운명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이 점은 그녀들에게 가부장적 사고가 얼마나 뿌리 깊이 박혀있는지 알 수 있게 한다. 한편, 『몽실 언니』가 제시하고 있는 여성 인물들은 동화를 읽는 어린이들의 성정체성 형성에 문제가 될 여지가 많다. 특히 어린이나 여성이 폭력에 노출되고 권력과 제도로부터 소외되거나 배제되어 있다면 그것은 이미 개인적인 일이 아니라 사회문제이다. 여성에 대한 강제나 폭력의 문제는 사회적 · 정치적 · 법적 정당화를 통한 사회 전체의 의식변화가 절실하다. This dissertation deals with the miserable life of the main character "Mongshil" in 『Sister Mongshil』, based on the impoverished life by war and violence against women during that time. Remarried mother, sick father, step-mother who died right after giving a birth to a younger brother, her half brother, "Nannam", and her younger brother and sister, "Young Deuk" and "Youngsoon" all give her pain. But Mongshil accepts her life challenges. Her social circumstances force Mongshil to sacrifice herself and put up with all the suffering. From female perspectives, the social convention during her life time is another violence. Her responsibility for taking care of her family is not her motivation but social expectations forced her to take on the whole responsibility. Even her father's physical violence against her mother is accepted as women's destiny in this story. We can figure out how deeply the patriarchal family system is rooted in the society of that time. We need to consider the unfair social structure of that time in which women were treated unfairly and their independence and individuality were ignored, only requiring women to be patient and submissive. This conventional social perception can have negative effects on children's sexual identity who read this kind of fairy tales. In particular, women and younger children's exposure to violence and their isolation from social, institutional power is no longer a personal issue. This must be regarded as a social problem. To resolve social compulsion and violence against women, social awareness about justifying social, political, and legal fairness should be needed.

      • KCI등재

        김말봉 단편소설의 서사적 특징 연구

        박산향(Park Sanhyang)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5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6 No.3

        이 논문은 김말봉의 대표 단편소설 9편을 텍스트로 하여 서사적 특징을 고찰한 글이다. 김말봉 단편소설에서는 우선, 여성의 운명론을 찾을 수 있다. 「어머니」, 「망령(亡 靈)」, 「바퀴 소리」, 「전락(轉落)의 기록(記錄)」에서 재현된 여성들은 그들이 겪어야 할 경제적 어려움과 사회적 관습으로 인해 남성의 타자로 존재하게 된다. 즉 이들 작품에서 김말봉은 모성애적, 여성적 운명을 벗어나지 못하는 인물을 제시하여 가부 장제 사회의 부당함과 모순을 보여준다. 둘째, 젠더 정체성의 반영이다. 「망명녀(亡命女)」, 「여적(女賊)」에서는 순종적인 여성이 아닌 강한 여성의 이미지를 재현한다. 여성의 사회활동과 사회적 역할에 대한 작가의 관심이 이들 여성인물을 매개로 드러난 것이며, 새로운 여성 이미지는 작가의 젠더 정체성을 반영하고 있다. 셋째, 반전과 유머를 들 수 있다. 극적 반전과 의외의 전개, 익살과 해학적 요소는 작품의 재미를 더해준다. 「편지」, 「고행(苦行)」, 「여심(女心)」등을 통해서 작가 김말 봉이 유쾌하게 세상을 바라보고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살펴본 바와 같이 김말봉은 단편소설을 통해서 여성의 심리를 섬세하게 묘사하고 있으며, 여성들의 생활상, 욕망, 사회적 문제까지 작품의 서사를 통해 접근하고 있다. This paper is a review article on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Kim Malbong’s representative 9 short stories. First, there can be found women’s fatalism in her short stories. The women represented in the novels, Mother, Spirit, Sound of the Wheels, and Record of a Downfall, come to become the others of men due to the hardships and the social conventions they had to undergo. That is to say, these novels show the unfairness and the contradiction of a patriarchal society by presenting the characters who cannot escape from their maternal and feminine destinies. Second, they present the formation of a gender identity. A Female Exile and A Female Thief represent the images of not submissive but strong women. These novel reveal with the female characters as media the writer’s interest in the social activities and roles of women, and the images of new women are reflecting the writer’s gender identity. Third, these novels carry the humors and the aesthetics of laughter. The dramatic reversals, unexpected developments, and the elements of jokes and humors add to the fun of the works. Trough the works, The Letter, Mortification, and The Feminine Mind, we find the writer, Kim Malbong, looking at the world delightfully. As mentioned above, she is delicately depicting the women’s psychology, and is dealing with their living conditions, desires, and even their social issues through the narration of her works.

      • KCI등재후보

        김말봉 소설 『꽃과 뱀』에 나타난 양면성 고찰

        박산향(Park, San-hyang)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3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4 No.1

        신문이나 잡지에 소설을 연재하면서 ‘대중소설가’임을 자처했던 김말봉의 『꽃과 뱀』은 남녀의 애정문제를 소재로 종교적인 색채와 판타지적 요소를 함께 보여주는 소설이다. 지금까지 김말봉 문학연구는 『찔레꽃』에 집중되어 있었고, 통속성의 범주를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기 때문에, 문학연구 범위의 확대와 다양화를 위해 『꽃과 뱀』을 텍스트로 하였다. 특히 본고는 대중소설과 본격소설이라는 이분법적 사고를 벗어나 그의 소설이 가지고 있는 양면성에 집중해서 고찰하였다. 김말봉은 이 소설에서 대중성과 예술성, 욕망의 세계와 종교의 세계, 현실과 판타지 등의 양면성을 그려내고, 독자의 흥미와 정서에 부합하는 이야기와 구성으로 인기 소설가로서의 면모를 보여주었다. 『Flower and Snake』 of Kim Mal-bong, who posed as ‘a public novelist’ while publishing novels in installments in a newspaper or a magazine, is a novel that shows both a religious tinge and a fantasy element with a material of man and woman’s love. So far, studies of Kim Mal-bong’s literature have been made with a focus on 『Wild Rose』 and they couldn’t get out of a popular vein. Therefore, 『Flower and Snake』 was selected to expand and diversify the scope of the literature studies. Especially, this dissertation was studied with a focus on ambilaterality expressed in his novel, getting out of dichotomical thought as a popular novel and a serious novel. Kim Mal-bong described the ambilaterality in this novel: popularity and artistry, a world of desire and a world of religion, reality and fantasy, and so on. Moreover, he was showed as a popular novelist by constructing the story consistent with reader’s interest and emotions.

      • KCI등재

        김일엽 소설로 보는 타나토스의 양상

        박산향(Park Sanhyang)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7 인문사회과학연구 Vol.57 No.-

        자유연애, 자유결혼이 유행하던 근대 시기는 여성소설도 남녀의 연애 이야기가 주를 이루었다. 그런데 사랑에 빠져들었던 여성 주인공들은 ‘죽음’을 선택함으로써 생을 마치는 경우가 많았다. 사랑의 에로스(Eros)와 죽음의 타나토스(Thanatos)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신의 이름으로, 프로이트(Sigmund Freud)는 이 개념을 심리학에서 사용하였다. 그는 사랑의 욕망과 죽음의 충동을 인간의 본능으로 보았다. 바타유(Georges Bataille)도 죽음까지 인정하는 삶이 에로티시즘이라고 하였다. 그렇다면 왜 사랑과 죽음을 같은 맥락에서 보게 되는 것일까. 죽음으로써 완전한 사랑을 이루고자 하는 것은 결코 에로스와 타나토스가 분리될 수 없는 영역이기 때문일 것이다. 김일엽 소설 속의 신여성들은 가부장제의 억압 속에서도 자기의 정체성을 자각하고 세상에 저항하는 면모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이 여성들이 스스로의 삶을 개척하며 독립적으로 살아가기에는 사회적 인습이나 부모의 강요가 매우 거세었다. 가부장제의 악습에 대한 최대의 저항으로 여성들은 죽음을 선택하였다.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의 고통에서 벗어나는 길 또한 죽음이었다. 죽음으로써 사랑을 완성한다고 여기는 것은 에로스가 타나토스로 굴절되는 양상이라 할 수 있다. 에로스와 타나토스의 관점으로 김일엽 소설을 고찰한 결과, 여성 인물들의 ‘죽음’은 ‘인간의 본질’에 대한 탐구였으며, 이는 작가의 철학적, 종교적 사고가 드러나는 부분이었다. In the modern era of free love and free marriage, the love story between men and women became the main theme of women’s novel. However, the female protagonists who fall in love often ended their lives by choosing death . Eros and Thanatos, in Greek mythology, were used by Sigmund Freud in psychology. He saw the desire of love and the impulse of death as human instincts. Georges Bataille also said that the life of the dead is called Eroticism. But why do we see love and death in the same context? To achieve complete love by dying, it is probably because Eros and Thanatos are inseparable areas. The modern woman in novel of Kim Il-yeop displayed their identity and showed reluctance in the oppression of the patriarchal system. However, the social convention or parental pressure was very strong for women to carve out their own lives and live independently. With the greatest resistance to patriarchal customs, women chose death. The road to escape from the painful misery of love was also death. To complete love by death is what Eros transforms into Thanatos. In conclusion, in Kim Il-yeop’s novel based on death the death of female characters was a part of the author s philosophical and religious thinking as an exploration of human nature .

      • KCI등재

        사할린 한인문학의 현황과 의의

        박산향 ( San-hyang Park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人文論叢 Vol.47 No.-

        이 논문은 러시아 사할린 한인작가와 그들의 작품에 대한 기초 자료이다. 사할린 한인문학은 사할린으로 이주(강제이주 포함)한 한인이거나 사할린에서 출생한 한인, 그리고 사할린 한인1세대뿐만 아니라 그 후손들까지 포함한, 사할린을 근거로 하고 있는 한인들의 문학을 말한다. 이들은 신문 『레닌기치』를 중심으로 중앙아시아 고려인 문학인들과 함께 활동하였지만 사할린 문학만을 분리시킬 필요성이 있다. 강제징용과 귀환의 거부로 사할린 한인의 역사는 중앙아시아와는 다르게 전개되었으며 지리적으로도 러시아 본토와는 떨어져 있기 때문이다. 사할린 한인 작가들은 대부분 사할린의 조선학교에서 우리말을 배웠고, 모스크바나 하바롭스크에서 대학을 마치거나 사할린에서 전문학교를 마쳐 우리말과 러시아어에 두루 능통했다. 이들은 신문사나 방송사 기자로 일하면서 작품 활동을 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사할린 작가들의 합류로 러시아 지역의 고려인문학은 더 풍부하고 섬세해질 수 있었다. 이 논문에서는 남경자, 리정희, 박성훈, 성점모, 장윤기, 정장길, 주영윤, 최영근을 비롯해 아나톨리 김, 허 로만 등의 약력과 작품 목록을 살펴보았다. 일제의 식민지를 경험했으며 척박한 이국땅에서 주변인으로 살아야했던 이들은 사회적 정치적 약자이자 타자로서의 생생한 경험을 글쓰기를 통해 증언해냈던 것이다. This paper is a basic data on Russian Sakhalin Korean writers and their works. Sakhalin Korean Literature refers to Sakhalin-based Korean literature, including Koreans who migrated to Sakhalin (including forced migration), Koreans born in Sakhalin, and the first generation of Sakhalin as well as their descendants. They have worked with the Central Asian Korean writers based on the newspaper "Lenin Gichi", but there is a need to separate Sakhalin literature. Due to the forced recapture and refusal of return, Sakhalin Korean history has developed differently from Central Asia and is geographically separated from the Russian mainland. Most Korean writers in Sakhalin learned Korean at the Joseon School in Sakhalin, and were fluent in Korean and Russian after finishing college in Moscow or Khabarovsk, or finishing vocational school in Sakhalin. They often work as journalists and reporters, and with the addition of Sakhalin writers, Korean literature in Russia has become richer and more sophisticated. In this paper, I have reviewed the biographies and works of Nam Kyung-ja, Lee Jeong-hee, Park Sung-hoon, Jang Yoon-ki, Jung Jang-gil, Joo Young-yoon, Choi Young-geun, and Anatoly Kim. Who had experienced colonial rule and who had to live in the outskirts of a barren foreign country, testified through writing that they had experienced vivid experiences as social and political weak and hitter.

      • KCI등재

        김명순 소설에 나타난 근대여성에 대한 시선

        박산향(Park Sanhyang)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7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8 No.1

        근대는 여성의 자유와 평등이 요구되며 신여성이 등장하던 때였다. 당시 김명순은 제1세대 여성작가로 활발한 활동을 했으나 신분적 한계와 매체를 통한 소문을 이기지 못하고 ‘실패한 신여성’이라는 오명을 남기고 말았다. 이 논문은 자신을 주체적으 로 바라보지 못하고 타자의 시선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던 근대여성의 현실을 김명순의 소설을 통해서 고찰하였다. 순수한 사랑과 결혼이라는 제도는 늘 대치되면서 갈등을 일으킨다. 「돌아다볼 때」의 소련과 「꿈 묻는 날 밤」의 남숙은 사랑하는 남자를 가슴에만 두고 자신의 현실을 바꾸지 못한다. 「나는 사랑한다」의 영옥은 남편에게 이혼을 요구하며 사랑하는 사람 을 찾아가지만 행복한 결말을 얻지 못하고 죽음을 맞게 된다. 이들 여성을 통해 사랑과 결혼, 그리고 이혼에 대한 가부장적 관습을 깨트리지 못하는 신여성의 현실을 보여준다. 신여성의 이상적 사랑과 여성의 정체성은 근대적 가치로 인식되었지만 ‘전통’적인 여성에 대한 요구는 여전히 강력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여성의 몸에 대한편견은 「탄실이와 주영이」, 「모르는 사람 같이」를 통해 알아보았다. 김명순은 「탄실이와 주영이」를 발표함으로써 서자의 신분과 사생활을 두고 자신에게 쏟아졌던 비난 을 해명하고자 하였으나 의혹만 키웠을 뿐이다. 「모르는 사람 같이」에서도 소문에희생당하는 순실의 이야기를 풀어냈다. 근대적 삶과 신념이 현실에서는 받아들여지지 않는 시대적 혼란 속에서 김명순과 김명순 소설속의 여성들은 철저하게 소외되고 타자화 되었다. 이들 작품으로써 가부장적남성의 시선과 함께 여성마저도 남성의 시선으로 자신을 바라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modern era was a time when women s freedom and equality were required. At that time, Kim Myeong-sun was active as a female writer of the first generation, but brought dishonor which is ‘a failed modern woman‘ by failing to overcome the limit of position and the media. This paper looked at the realities of modern women who were unable to view themselves others by novels that were written by Kim Myeong-sun. Pure love and a system of marriage is always confrontational and creates conflict. So-reon in 「When Looking Back」 and Namsuk in 「I Love」 can not change her reality with her beloved man. Also, Yeongok in 「I Love」 asked her husband to divorce and found her love, but she died without a happy ending. Through these women, they show the reality of the modern woman, unable to break the patriarchal tradition of love, marriage, and divorce. The modern woman s ideal love and identity has been recognized as a modern value, but one can assume that the demand for traditional women is still strong. Prejudice against women s bodies is recognized by 「Tansil And Juyeong」, and 「Like As A Stranger」. Kim Myeong-sun tried to explain the blame for her identity and privacy by announcing 「Tansil And Juyeong」, but it made raise suspicions. And she also talked about the story of Sunsil who was a victim of gossip in 「Like As A Stranger」. Women in Kim Myeong-sun’s novels and Kim Myeong-sun were completely alienated and typed in the midst of an anachronistic period in which modern life and beliefs were unacceptable. With these works, women were able to see themselves at the sight of men s eyes.

      • KCI등재

        이주홍 노년소설에 나타난 노년의 정체성

        박산향 ( Park San-hyang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8 石堂論叢 Vol.0 No.72

        이주홍은 자신이 노년기를 겪기 시작한 1970년대 작품에서 자연스럽게 노년에 대한 불안과 노년의 문제를 다루기 시작하며 노년소설을 발표하기 시작하였다. 죽음은 아무도 대신해 줄 수 없으며 시시각각으로 죽음과 마주 서서 살아간다는 생각을 가졌던 그는 마지막 작품인 「미로의 끝」에서도 죽음의 문제에 천착하였다. 그러나 이주홍의 소설을 노년소설로 규정하고 본격적으로 개별 작품을 논의한 연구는 아직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주홍의 노년소설에 대한 고찰로써, 가족으로부터 외면당하고 타자화되고 있는 노년의 모습을 「바다의 시」, 「산장의 시인」, 「촌수상경기」, 「수병」을 통해서, 노화와 죽음을 수용하는 작가의식은 「낙엽기」, 「풍마」, 「수병」, 「미로의 끝」을 텍스트로 살펴보았다. 경제활동에서 은퇴한 노인들은 사회적으로 ‘폐물’ 취급받는 것보다 가장 가까이 생활하는 가족 구성원에게서 소외당하는 것이 더 힘든 일일 것이다. 「바다의 시」에서는 자식들의 외면으로 쓸쓸히 죽어간 시인 ‘유남’의 이야기이며, 「산장의 시인」에서는 폐병 말기를 앓는 시인 ‘우민’이 자신을 따돌리는 가족들 때문에 상처를 받는다. 「촌수상경기」는 시골에서 찾아온 아버지와 자식세대간의 단절을 다루고 있으며, 「수병」은 며느리에게서 구박받고 자살을 선택한 ‘운허’의 노년이 그려진다. 한편, 지성이나 문학성이 절정에 달하기도 하고, 삶을 달관하여 정신적 풍요를 경험하는 때가 노년기이기도 하다. 완숙미를 가지게 된 노년 세대는 자식 세대들에게 권위를 내세우기 보다는 존경받는 삶을 영위한다. 이주홍은 노화와 죽음을 담담히 받아들이는 성숙한 노인상을 「풍마」의 ‘임교수’와 「미로의 끝」의 ‘관암’에게 투영시켰으며, 「낙엽기」와 「수병」에서도 죽음을 두려움 없이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노인상을 담아냈다. Lee Ju-hong started to publish old-age novels when he began to deal with the anxiety about old age and the problem of old age in his 1970s works, He had idea that death could not be done on his behalf, and that he had to live by facing death every moment, and he came to death in his final work, “The End of the Maze.” This paper examines the old age that has been ignored and typified by the family through “The poem of the sea”, “The poet of the mountain lodge.” And through “The End of the Maze,” it examined the artist's consciousness that embraces aging and death. It is more difficult for elderly people who are retired from economic activities to be neglected by family members who live nearest to their social abuse. It is the story of ‘Yunam’ in “The poem of the sea”, and ‘Wumin’, who suffers from the end of lung disease, is hurt by his family in “The poet of the mountain lodge.” On the other hand, the intellect and literature are at the peak, and the time of experiencing the mental abundance of life is also the old age. Elderly generations that have matured live a respectable life rather than authority on their children's generation. Lee Ju-hong projected the mature old man's image, which accepts aging and death, to the ‘Gwan-am’ in “The End of the Maz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