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영조(英祖) 어제첩(御製帖)에 나타난 영조(英祖)의 생애인식

        노혜경 ( Hye Kyung Roh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인문학연구 Vol.38 No.1

        I had a research on the Time-Recognition of King Yeongjo by dividing periods of time: past, present and future in his writing. The scene of recollection was fixed on the special time point when events happened. His recognition of the past was full of the royal family history, showing a very personal concept. I had reconstituted his works based on his personal history and as a result, the background of his works was related with his father, King Sukjong(肅宗); the queen consort, Inwon(仁元王后); his mother, Sukbin Choissi(淑嬪崔氏); his elder brother, King Kyengjong(景宗); his sister-in-law and the queen consort, Seoneu(宣懿王后); his early dead son, Hyojang Seja(孝章世子); and his grandson, King Jeongjo(正祖). The key connection with King Yeongjo`s past and present were the Ten Heavenly Stems and the Twelve Earthly Branches(天支). There are sixty combinations and its designation comes once every sixty years, sixty months, sixty days, and sixty two-hour periods. Consequently, they had big effect on the connection of his past and present. The writing date and place were marked at the end of his works. The writing date has a word showing how King Yeongjo thought about the present as well as one character from the Ten Heavenly Stems and one from the Twelve Earthly Branches(天支) that he though highly of. This fact shows how he made a comparison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and his feeling on them. King Yeongjo`s recognition of the future was the world of tomorrow made by his grandson, King Jeongjo(正祖). He had written about education, lecture and request to his grandson. He hoped his grandson would keep up with the tradition of the royal family and figure out his aim.

      • KCI등재

        공시당상(貢市堂上)을 통해서 본 조선후기의 비변사와 이정(釐正) 행정

        노혜경(Roh, Hye Kyung) 역사실학회 2020 역사와실학 Vol.71 No.-

        공시당상은 1752년(영조 28) 공시인에 대한 침탈을 막고 공시인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되었다. 공시인을 관할하는 선혜청, 호조, 평시서등의 관서가 있었음에도 이들을 묶어서 공시인을 보호하라는 특정 임무를 전담하는 최고 상위 기구라는 점에서 새로운 성격의 당상이었다. 대동법 이후 전국적으로 장시가 발생하고, 화폐가 통용되면서 국가가 유통을 장악하는 재분배 체제에 위기가 닥쳤다. 18세기 도성에서는 난전문제가 발생했다. 전통적인 공시인의 국역부담이 커졌고, 왕실, 군문, 권세가로부터의 침탈도 심해졌다. 정부는 만성적인 재정적자에 시달렸고, 공물체계 또한 흔들렸다. 공시인을 비롯하여 난전, 사상 집단이 실제로는 권력층과 각층의 관서와 기구들과 복잡하게 관계가 얽혀 있어서 더욱 문제가 복잡했다. 이 시기 조선의 사회변화 상황은 비변사와 같은 상위의 권력기구의 지원이 필요했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에서 찾아낸 방법이 비변사당상을 투입하는 것이었다. 공시인에 대한 문제는 공물체계와 상품유통구조 등 조선의 경제, 재정구조 전반에 걸친 복잡한 문제였다. 비변사의 처결과 역할은 조정과 조선정부의 근간에 흐르는 원칙을 유지하는 것이었다. 공시당상의 설치와 활동임무는 조선후기 이정책의 일환이었다. 변화하는 현실에 맞춰 새 법과 제도를 수립하기 보다는 행정기관의 능력을 최대한 동원하여 공시인 문제를 대증요법으로 시행하는 것이었다. 변화의 본질을 인정하지 않고 국가행정력으로 보완하려고 했지만 그 행정력이 제대도 작동되지 않아서, 더 강력한 권력으로 접근한 것이 비변사 당상체제였고, 최종적인 형태가 공시 당상이었다. Gongsi-dangsang was established in 1752 (Article 28)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encroachment on Gongsi-in and protecting them. Although there were government offices in charge of public officials, such as Seonhyecheong, Hojo and Pyeongsi, it was a new kind of party image in that it was the highest organization dedicated to the specific task of protecting public officials by tying them together. After Daedong Act enforcement, the market has occurred nationwide, and currency has been used, and a crisis has hit the redistribution system in which the nation controls distribution. In the 18th century, There was problem of Nangeon in the capital city. The national burden of traditional Sigeon-merchant has increased, and the erosion from the royal family, military and power has intensified. The government suffered from a chronic fiscal deficit, and the system of public offerings also faltered. The problems were even more complicated as Gongsi-in, as well as Nangeon and personal merchant were actually intertwined with government offices and organizations from all walks of life. The situation of social change in Joseon at this time needed the support of a higher power organization such as Bibyeonsa. In this situation, the method found by the government was to deploy Bibyeonsa-dangsang. The problems of Gongsi-in were complicated issues across the entire economic and financial structure of Joseon, including the public offerings system and the distribution of goods. Bibyeonsa"s treatment and role was to maintain the principles that flow within the foundation of the Joseon government. The establishment and activity of Gongsi-dangsang was part of Igeong-chaek in the late Joseon Dynasty. Rather than establishing new laws and systems in line with changing realities, the government was to implement the issue of Gongsi-in, by using the capacity of the administrative body as much as possible. It was the Bibyeonsa-dangsang system that tried to supplement the nature of the change with the national administration, but the administrative power did not work, so it was the Bibyeonsa-dangsang system that approached it with more powerful power, and the final form was Gongsi-dangsang.

      • KCI등재

        경상(京商)과 송상(松商)의 상거래 유통망에 관한 비교 연구

        노혜경 ( Hye Kyung Roh ),노태협 ( Tae Hyup Roh ) 한국경영사학회 2010 經營史學 Vol.54 No.-

        본 연구는 조선 시대 사상(私商)의 상행위 활동 중 경상과 송상의 유통망을 중심으로 그 특징과 상품별 생산 및 유통과정에 대한 차이를 고찰하였다.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두 사상인 경상과 송상의 상품 유통망을 비교함으로써 기존 연구에서 개별적으로 다루어진 시장 경제의 발전상을 종합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각 상단에서 중점적으로 취급한 상품들에 대한 유통공급망의 흐름 사례를 중심으로 두 상단을 비교하였다. 경상과 송상의 상품 유통망의 가장 큰 특징은 경상은 한양이라는 위치적 장점을 활용한 대자본의 유통 독점을 시도하였고, 송상은 전국적인 조직을 활용하여 인삼과 포목 등의 특정 상품의 생산부터 유통, 국외무역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공급망상에서의 우위를 차지한 점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두 사상(私商)들은 전국적인 장시와 이를 연결하는 교통망, 각 상단의 조직력 및 상품 흐름 및 가격의 정보 등을 종합적으로 장악하고 이를 상업 활동에 적극 활용함으로써 당시의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처한 공통적인 면도 보여 주었다. 상품의 유통망에 있어서 도고 활동은 독점적인 유통방식으로 인해 다소 부정적인 시각으로 연구되어 왔으나, 두 사상들의 조직 및 유통망과 자본력의 결합을 통한 활발한 상업 활동은 현대 한국 시장 경제 하의 기업 및 상업 활동의 원류를 보여 주고 있다. This study contemplates comparativ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production and distribution networks focused on the commercial activities of the private merchant group, Kyungsang and Songsang in the Joseon dynasty. Through the comparative study of these representative private merchant group, Kyungsang and Songsang, we show a general progress state of commercial trade in market economy of Korean middle age contrary to the separate prior researches. And also, we compare the distribution supply chains of each private merchant group`s main commodities by case study. The main features of two private merchant groups` distribution networks are as follows; First, Kyungsang, based on the capital city Han-Yang, had tried to dominate the distribution market taking the best advantages of location and the capital strength. Instead, Songsang had the competitive advantage such as ginseng and the dry goods in supply chain from production to distribution and international trade making use of the nationwide organization networks. Second, two private merchant groups have common thing with dominating the national markets and traffic networks and using these advantages to the commercial activities. That is the most effective strategy in those days` circumstance. Although there are some negative perspectives and research results because of the exclusive distribution system, the vigorous commercial activities of these two private merchant groups through the combination of organization, distribution networks and capital, show historical consideration about the origin of modern Korean market economy.

      • KCI등재

        일본 속의 조선 도공과 한류

        노혜경(Roh, Hye-Kyung) 역사실학회 2017 역사와실학 Vol.62 No.-

        본 연구는 한류의 범위 확대 및 해외 현지 기업에서의 활용 방안을 일본의 근대도자기 산업을 통하여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일본의 근대 도자기 산업은 문화 원형으로서 임진왜란 이후 조선 도공에 의한 도자기 기술을 바탕으로 일본의 적극적인 산업지원책과 함께 중국 도자기 기술을 접목하여 발전을 시작했다. 여기에 명청 교체기 중국의 유럽시장이 일시적으로 폐쇄되자, 일본이 그 수출시장에 진입하게 되었고 서구의 취향을 반영한 새로운 디자인 개발로 호황을 누리게 되었다. 일본 근대도자기 산업 분석 결과, 한류의 시각 확대 방안으로 먼저 한류의 범위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문화원류’라는 기본적이고 탄탄한 우리 문화, 기 술을 기반으로 하여 문화복합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현지 기업에서도 그 지역의 문화뿐만 아니라 주변 여러 형태의 문화를 개방적이고 포용적인 태도로 받아들이고 접목하는 직접적인 방식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생산허브화의 작업이다. 국내를 비롯한 전 세계를 사업무대로 볼 때 각 지역의 필요와 욕구를 분석하여 생산에서부터 유통, 판매에 이르기까지 허브의 역할을 할 수 있는 플랫폼을 만들어야 한다. 이 과정은 모두 세계시장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각 시장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대응할 수 있는 전략을 세워야 한다. 마지막으로 이런 대응방식을 효과적으로 지속하기 위해서는 시스템화 된 교육을 통하여 노하우를 전수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춰야 한다. 한류는 다양한 요소를 지니고 있다. ‘세계 속의 한류’란 숨은 요소가 시장을 만나 변화의 계기를 만들고, 허브를 구축하는 것이다. 이런 요소를 적극적이고 의도적으로 찾아 나가야 한다. This study suggests a recipe for expanding the Korean wave’s coverage and the application of local businesses through modern Japanese pottery industry. As a cultural archetype, modern Japanese ceramics industry that based on Korean potter’s technology after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has developed by Japanese aggressive industrial support and combining Chinese pottery technology. In addition, China’s European market has temporarily closed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of Ming to Qing. Then Japan has entered European market instead of China, and enjoyed boom by new design development that reflected Western preference. From a result of analysis on modern Japanese ceramics industry, perspective range of the Korean wave should be expanded for its extension. Also, as the base of fundamental and robust Korean culture and technology called cultural archetype, culture complex is necessary. It is important to local businesses are open to local cultures but also other multiform cultures and combine them in a straightforward way too. Next is making a hub of production. From a global perspective as a place of businesses, the platform needs to be formed which can make a role of productive hub such as, analyzing each region’s needs and wants, production, distribution, and sales. Because the process targets on world market, immediate reaction to the each markets’ change and making strategies are required. At last, a structure that can hand down know-hows through systemized education is needed to sustain these strategies effectively. The Korean wave has various factors. A forbidden factor, ‘Being together with Korean wave’ can be utilized with markets and influence to be changed, also construct the hub. These factors needs to be found aggressively and deliberately.

      • KCI등재

        조선후기 어염업의 경영방식 연구

        노혜경(Hye-Kyung Roh) 韓國經營史學會 2015 經營史學 Vol.75 No.-

        본 연구는 조선시대 어염업을 대상으로 기업적 경영방식의 시초를 추적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어염업에서 발생한 자본의 투자와 경영방식의 변화 및 경영 주체의 문제를 국영, 관영, 민영의 관점으로 고찰했다. 조선의 전통적 어염업 정책은 ‘산림천택 공유론’을 기반으로, 어장과 염전을 지정하고 수산물과 소금을 국가와 관청에서 현물로 수세했다. 국가가 직접 생산자의 작업 방식과 경영에는 간여하지 않았다. 그러나 임진왜란 이후 어염정책이 변했다. 상업, 유통경제가 발달하고 시장과 상인의 증가로 어염의 수익성에 주목했다. 민영론을 살펴보면 자본과 권력을 모두 가진 궁방이 어염업의 경영 변화를 주도했다. 생산시설에 자본을 투자하고 영리사업까지 하는 직접 경영방식과 ‘감관’을 통한 위탁 경영방식으로 운영했다. 그러나 민간 경영을 보호하는 제도의 논의까지로는 발전하지 못했다. 관청의 경영에서는 생산에 군사를 동원하고, 자재조달, 생산, 판매에 행정망을 이용하는 특징을 보였다. 그러나 경영수익이 낮고 불안정했으며, 지방관의 방만한 경영과 관리체제가 허술했다. 시장이 협소했고, 관청간의 충돌이 있었다. 국영론에서는 조선전기와 같은 수세론이 주장되었고, 수세담당기관을 단일화하는 방안도 나왔다. 특히 박문수의 방안은 자본은 호조와 선혜청이 내고 생산은 병영(군사지휘관)에서 주관하며, 판매는 감영(관찰사)에서 주관하는 것이다. 국영기업 기원의 시초에 가깝다. 어염업에 대한 국영화론은 균역법으로 정리되었다. 이런 경영방식의 변화와 논의는 근대 기업의 경영 형태에 반영되었고, 현대인의 인식속에 자리잡은 기업관, 경영관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고 하겠다. The study progressed to trace the fish and salt industry’s original management style of enterprise in Joseon Dynasty period. Also, capital investment, change of management, and matters of manager from the industry were considered with perspective on the state and private operation. Joseon dynasty’s policy of fish and salt industry was based on the theory of sharing Sallimcheontaek. Thou, the government assigned fishery and salt pond, and collected the products for tax. However, it did not intervened producer’s manufacturing and management directly. After the Imjin War(1592-1598), the policy had changed. Commerce and logistic economy had developed. According to increase of markets and merchants, profits of fish and salt attracted a lot of attention. As for private theory, the royal family, that had capital and power, lead the change of fish and salt industry’s management. They invested capital to productive faculty and managed commercial business. Besides, they entrusted management to supervisors. However, the arguments to protect private management had not accomplished. In the case of the departments’ management, the government office mobilized military to fish and salt production, and introduced the administrative network to material procurement, production, and marketing. In contrast, because of limited market, the profit was low and unstable. In addition, local officials were slack in their business and management system. It brought conflict among departments. As for state theory, a doctrine of raising tax had asserted like as Early Joseon Dynasty, and unification of the National Tax Service were claimed too. Especially, Park Mun-Su’s issued a plan, that Hojo and Sunhyechung pay capital. Also military commander supervises production, and provincial office conducts selling. This plan is similar as an origin of national enterprise. As a result, a theory of nationalization about fish and salt industry had concluded with Gyunyeok. This kind of changes and arguments of management style were reflected in modern corporations’ management form. As well as, they influenced modern people’s cognizance of company and management.

      • KCI등재후보

        영조어제첩에 나타난 영조노년의 정신세계와 대응

        노혜경(Roh Hye-kyung) 한국학중앙연구원 2006 장서각 Vol.0 No.16

        영조의 노년기는 우리나라 전통 인식에 비추어 볼 때, 기로소에 들었던 51세 정도부터라고 할 수 있다. 이 시기에 그는 최고의 연장자임과 동시에 원로였으며, 君師였다. 그런데 영조가 노년기의 신체적 증상을 자각하기 시작한 것은 70대 중반이었다. 그가 느낀 증상은 보고 듣고 먹는 것에 대한 불편함뿐만 아니라 거동의 불편, 불면증, 성욕 감퇴 등이 있었다. 심리적으로는 약간의 우울증의 증세를 보이기도 했지만, 건공탕으로 인해 장수하고 있다는 자부심도 가지고 있었다. 영조가 노년기에 느낀 현실에 대한 인식은 매우 부정적이었다. 시류에 따라 사람들이 몰려 다니고, 아첨과 침묵이 가득 찬 혼탁한 세상이었다. 이런 곳에 영조 자신은 혼자 깨어있으며, 자신의 마음을 알아주거나 자신이 믿을 만한 사람이 없다고 탄식했다. 이에 따라 그는 인재를 갈구했다. 또 訓書나 ?進類의 御製書를 통해 교훈을 내리는 방법을 쓰기도 했다. 영조 어제에 나타난 노년기의 내면화 경향은 시간과 공간, 시공간, 사물, 소리 등을 통해 과거를 회상하는 방법으로 표현되어 있다. 또 자신을 대상화한 가상의 인물을 만들어서 대화하는 기법으로 영조 자신의 의지를 나타냈다. 行幸이나 제사 등의 국가행사를 강화하고 先代의 업적을 기념하여 정치적으로도 '孝悌'를 강조하는 의지를 보였다. 영조는 노년기의 부정적인 특징과 폐해를 능동적으로 극복했다. 활발한 창작활동으로 마음의 응어리를 풀어냈고, 자신의 의지를 관철시키려 노력했다. 또 후계자인 왕세손을 믿고 의지했으며, 교육시키고 훈련시키는 노력이 드러났다. 이런 그의 활동은 개인적인 측면에서 보면 노년기의 폐해를 극복하는 차원이었다. 정치적으로 보면 영조자신의 정치적 신념을 적극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이었고, 더 나아가 정국을 蕩平으로 이끌어내려는 고도의 정치술의 하나였다. It is considered that King Yeongjo arrived at his senescence when he became 51 years old and joined Giroso reflecting on traditional senescence in this country. At the moment, he was the eldest man and the authority in the country. Yet, he started feeling physical symptoms of senescence as he was in his middle of 70s. He felt uncomfortable not only with seeing, listening and eating, but also with moving, insomnia, loss of sexual appetite, etc. Psychologically, he also had symptoms of slight depression, but, he had self-confidence that he could live long, because of Geongongtang. King Yeongjo very negatively recognized the reality in his senescence. It was realized that people were moving around in a group by the current of the world, and the corrupt world was full of adulation and silence. He believed that he was the only man who awakened the reality and felt sorry not to have a person who could consider his mind or was faithful. Therefore, he was eager to find talent. On the other hand, he taught lessons through writings by king such as a lesson book and a kind of Gaengjin. Internalized tendency of senescence appeared in writings by King Yeongjo was described by reflecting on the past through time and space, space-time, things, sound, etc. Also his intention was displayed by using a conversational method with an imaginary person who was the object of himself. He intended to emphasize 'filial piety and brotherly love' to strengthen national events like 'an honored going' and 'sacrificial rites' and to memorize accomplishment of the predecessor in the political aspect. King Yeongjo affirmatively overcame negative properties and bad effects of senescence. He converted his discomforts into vigorous creative activities and tried to fulfill his intentions. Moreover, he trusted and counted on his eldest grandson as his successor, always tried to teach and train him. Above activities were to overcome bad effects of senescence for himself. Meanwhile, the activities were the methods to express his political belief and furthermore, high political techniques to draw impartiality in the political aspect.

      • KCI등재

        18세기 한 嶺南 南人의 관직생활

        노혜경(Roh Hye-Kyung) 한국사학회 2007 史學硏究 Vol.- No.88

        이 연구는 권상일의 일기인 『청대일기』를 통하여 그의 초입사인 承文院 權知副正字와 蔚山府使 생활을 검토한 것이다. 그는 많은 관직을 제수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역임했던 것은 그리 많지 않았으며 그 기간도 짧았다. 권상일은 1710년(숙종 36) 6월에 급제하여 謝恩肅拜를 거친 후 10월 말에 승문원에 分館되었다. 당시 영남인으로서 유일하게 들어갔다는 자부심도 있었지만 免新禮에 대한 염려 때문에 上京이 늦어졌다. 1711년 4월에 한양에 도착한 후, 그는 『槐院古例』에 의하여 면신례를 거쳤다. 승문원의 면신례는 혹독했으며 밤에 鬼服차림으로 선배들의 집을 돌면서 자신의 명함을 돌리는 回刺와 許參의 과정이 있었다. 권상일은 그 과정에서 많은 굴욕을 참아야만 했다. 권상일 재직 시에 제작된 『槐院契帖座目』을 통하여 당시 승문원의 인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들이 나아갔던 다음 관직도 찾아낼 수 있었다. 권지부정자의 업무는 크게 回公과 製述로 나눌 수 있다. 회공은 외교문서를 가지고 여러 관료들 집에 들러서 회람시키는 일이었고 제술은 외교문서를 짓는 일이었다. 특히 회공은 하루에도 몇 차례씩 말을 타고 여러 관료들을 찾아다녀야 했기 때문에 병약했던 권상일은 상당히 곤혹스러워 했으며 결국 下鄕하기에 이르렀다. 승문원은 규율이 엄격했던 관청이었던 만큼 受由, 褒貶, 分館 등에 대한 규정도 까다로웠다. 울산부사는 지역적인 특성상 군사적인 역할이 강조되었던 직책이었지만 남인으로서 퇴계의 학통을 이어받아 학문에 더 큰 뜻을 두었던 권상일은 교육의 문제에 더 큰 관심을 보였다. 鷗江書院의 東西齋를 건립했고, 儒生들을 모아 놓고 직접 講을 하기도 했다. 또 최초의 울산읍지인 『鶴城誌』 편찬에도 힘을 기울였다. 백성들의 생활과 직접 관련이 있는 賦稅행정 면에서는 원칙을 지키려고 노력했다. 울산부 영역 밖의 업무로는 差倭에 대한 일이 많았다. 당시 왜에서는 수시로 표류민을 인솔한 漂差와 특정 사안을 해결하기 위한 裁判倭 등을 파견했다. 이 문제로 인해 권상일은 접위관으로 뽑히거나 행사에 참여하고, 그 접대 비용을 마련하는 등의 업무를 수행했다. 또 兼官제도로 인해, 권상일은 당시 언양겸관과 경주겸관을 동시에 맡게 되었다. 이로 인해 그는 업무의 과중함을 겪었다. 결국 그는 포폄에서 3번 中점을 받아 파직되었다. 그러나 그는 관직보다는 학문에 대한 열정이 컸으므로 오히려 이 사실을 반기고 있었던 면모를 보여주었다. 문과급제자로 출사하기 시작한 권상일의 관직생활은 南人이라는 배경, 학문과 교육을 추구하려는 개인적인 성향으로 인해 그의 관직 생활은 그리 길지 않았다. 또 당시의 정치상황도 그로 하여금 학문과 교육에 치중하도록 한 면이 있다. 그러나 이런 성향으로 경관직과 외관직에서 모두 학문과 관련된 사안들은 매우 적극성을 띠었다는 공통점이 있었다. 실제로 업무를 수행했던 관직자에 대한 사례연구로서 이 분야에 일조를 기대하는 바이다. This study is a review of both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administration through Cheongdae-ilgi(淸臺日記), diary of Kwon, Sang-il(權相一). He started his career as the Kwonji-Bujeongja(權知副正字;intern-third copyist), of Seungmunwon(承文院;Office of Diplomatic Correspondence) and later held Ulsan Busa(蔚山府使) as a local administrative officer. Joseon(朝鮮) government had offered him many officer positions. However, he accepted only a few and served for a short time. In 1710, Kwon, Sang-il passed the Mungwa(文科) exam and he was appointed the Kwonji-Bbujeongja of the Seungmunwon. He was proud of his achievement as a Yeongnam(嶺南) province resident. There was a hazing ritual called Myensilye(免新禮;hazing rituals) in Seungmunwon to be recognized as a co-worker. Newcomers should be disguised as ghosts and drop in at their seniors' home to give cards. He suffered from anguish such as eating humble pie during this process. The main task of Kwonji-Bujeongja was Hyoigong(回公) and Jesul(製述). Hyoigong means to deliver diplomatic documents to some officers in person and let them look over. Jesul is to make diplomatic notes. Hyoigong required to visit many places a day by horse, which was a burden to him and finally made him quit the job. The position of Ulsan Busa was more important as a commander than a administration officer. But Kwon, Sang-il who was an heir to Toege(退溪)'s scholarship was also interested in education. So he restored the Gugang seowon(鷗江書院) in a large scale and taught the Confucianism. Besides he made efforts to keep the principles of taxation and compulsory labor which affected people life directly. There was extra duty regarding Chawae(差倭;a delegation from Japan). Wae(倭) government frequently sent the delegation repatriating drifters or resolving some diplomatic issues at that time. The local officer of Dongnaebu (東萊府) and near area should bear the expense for receiving Chawae. Kwon, Sang-il often took care of it and suffered from the expense. Besides he took charge of two more areas; Eonyang(彦陽) and Kyeongju(慶州) at the same time, which was an exceptional case. Eventually he was dismissed because he did not get a good grade in his evaluation. This was a chance for him to concentrate on learning rather than administration. The life of Kwon, Sang-il as an officer didn't last for a long time because of his background and propensity to follow the Confucian scholarship. On the other hand, his personality was reflected on managing issues related with the Confucian learning in common. This study is worthy of consideration in that Cheongdae-ilgi tells the central and local administrative positions of that time from his specific experience during his appointment period.

      • KCI등재

        일본 백화점계의 조선 진출과 경영전략

        노혜경(Hye-kyung Roh) 韓國經營史學會 2017 經營史學 Vol.82 No.-

        Mitsukoshi has formed as a modern department store through Ousuke Hibi`s `the Declaration of Department Store`. Mitsukoshi took the head of embracing modern western culture and creating Japanese new culture by setting up roles of their department store which were small profits and quick returns, improvement of living, and `diplomacy by the people(國民外交)`. Mitsukoshi has succeeded to make a corporate image that a department store leads popularizing culture which can be enjoyed by every people. Mitsukoshi has got through to the Joseon first of all by The Residency-General`s full support. They played a role of spreading Japanese culture by selling Japanese product to Joseon and making Joseon people to accept it, which was intended by The Residency-General. Mitsukoshi`s management in Joseon was different from a department store`s cultural role in Japan. Unlike in Japan, Mitsukoshi made a role of window that hwa-yang compromised(和洋折衷) Japanese culture and interest are spread to Joseon. Management of Mitsukoshi Kyungsung branch was executed with merging American sales strategy, that Mitsukoshi pursued in Japan, and The Residency-General`s political publicity. Even though Japanese department store succeeded in Joseon, because the department stores` marketing strategy and demand of modern culture and urban culture were coincided with Joseon`s custom and culture. 미쓰코시는 히비 오스케의 `백화점 선언`으로 근대적 백화점이 시작되었다. `박리다매, 생활개선, 국민외교`라는 백화점 역할을 설정하여 서구 근대문화의 수용과 일본의 신문화 창출을 선도했는데, 이는 사실상 문화, 생활마케팅 전략이었다. 구체적 시행 방법으로 학자, 지식인, 예술인이 참여하고 양성하는 `학속협동`을 전개했고, 전통문화 요소와 서구문화를 결합해서 새로운 고급문화를 창출하는 `화양절충`에 주력했다. 또 `유행과 취미의 창조`라는 관점에서 대중화, 실용화 전략을 썼다. 고급문화를 향유할 수 있는 취미와 유행을 만들고 계몽함으로서 라이프 스타일을 개조한 것이다. 미쓰코시는 고급문화를 모든 사람이 향유하는 문화대중화에 백화점이 그 선봉에 섰다는 기업이미지 창출에 성공했다. 미쓰코시는 조선통감부의 전격적인 지원을 통하여 조선에 가장 먼저 진출했다. 통감부에서 의도한 일본의 상품이 조선에 진출하여 일본의 문화를 진출시키고 조선인이 수용하게 하는 역할을 착실히 수행했다. 미쓰코시 경성점은 매출규모 2위를 기록할 정도로 성공을 거두었다. 조선에서의 미쓰코시 경영방식은 일본에서 시행했던 백화점의 문화적 기능과는 달랐다. 일본 자국에서와는 달리 미쓰코시는 화양절충된 일본의 문화, 일본의 취미가 조선으로 이식되는 창구의 역할을 했다. 경성점에서 시행된 전시, 박람회는 조선통치를 위한 정책성 전시나 이벤트, 조선의 특수 상황을 반영한 것이었다. 경성점 운영은 일본에서의 미쓰코시가 추구했던 미국식 판매 전략에 총독부의 정책홍보 기능이 부가되어 시행된 것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계 백화점이 조선에서 성공할 수 있었던 원인은 근대적 신문화, 새로운 도시문화의 수요와 일본계 백화점의 영업 전략이 조선의 관습과 문화와 맞아떨어지는 부분 때문이었다.

      • KCI등재

        조선후기 평시서(平市署)의 기능과 변화

        노혜경(Roh, Hye-Kyung) 역사실학회 2018 역사와실학 Vol.65 No.-

        본 연구는 조선시대 시장의 관리감독 및 물가관리 기구로 알려진 평시서가 조선 후기에 실제적으로 행했던 기능과 그 의미를 고찰한 것이다. 평시서는 조선 전기에 도량형의 관리기능, 시전관리 기능, 시전상인의 보호 기능을 수행했다. 후기에 화폐유통의 실태 조사 기능, 난전 단속 기능, 물자유통과 시장유지기능이 확대되었다. 조선 후기 상업이 발달하여 도시가 확장되고 유통구조의 변화를 가져오자 조선 정부는 유통망에 대한 국가관리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평시서를 운영했다. 기존의 생산지, 유통 판매 구조를 유지, 고정화시키는 방식으로 재분배 체제를 유지시키려고 했다. 당시의 물가 급등의 근본적인 원인은 수요증가에 따른 물품의 공급부족이었다. 하지만 조선 정부는 난전의 증가, 도고의 독점을 경제문제의 주범으로 파악했다. 따라서 난전을 금하고 독점적인 도고행위를 적발하여 시장 질서를 바로 잡는 것이 평시서의 최대 업무가 되었다. 신해통공 이후 평시서의 폐지논쟁 또한 독점을 경제문제의 주범으로 인식한 까닭이었다. This study is consideration of Pyeongsiseo, Joseon dynasty’s control of market and office of price administration, researched its actual function in the late period and the meaning. In the early Joseon period, Peongsiseo had performed management of measures and Sijeon, protection for Sijeon merchants. In the late period, Peongsiseo’s role expanded to investigation of money circulation, regulation of Nanjeon, physical distribution, and stabilizing market. The commerce of Joseon had developed and cities expanded in the late period. It brought changes in distribution structure. Then Joseon’s government managed Pyeongsiseo to strengthen national management towards distribution network. By freezing established production area and distribution structure, the government tried to maintain structure of redistribution. The essential cause of boom price at the time was short supply of commodity from increased demand. However, the government had judged the problem was increase of Nanjeon and monopoly of Dogo. Therefore, to maintain orderly market, prohibiting Nanjeon and prosecuting Dogo became Pyeongsiseo’s major du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