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기영 감독의 제국체험과 식민지적 무의식 -김기영 영화의 포스트-콜로니얼리티 연구-

        김청강 ( Kim Chung-kang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23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93 No.-

        이 논문은 “인간의 본능을 해부하면 검은 피가 나온다”라는 말을 남기며, 한국 영화사에서 가장 독특하고도 ‘기괴한 영화’를 만든 감독으로 잘 알려진 김기영(1919~1998)의 제국체험과 이 체험이 해방 후 그의 영화에 어떻게 반영되어 나타났는지를 살펴본다. 특히 식민시기와 이후까지 이어지는 제국문화 체험의 흔적들을 추적하며, 이 제국적 문화체험이 그의 영화의 어떤 특질로 발현되는지 분석한다. 그러나 이러한 추적이 단순히 괴기한 한 영화감독의 과거 행적을 추적하여 그의 영화의 특수성만을 살피려는 것은 아니다. 그의 경험은 식민지 교육을 받고 일제하에서 청년기를 보냈으며 이후 한국의 문화적 주류를 형성했던 많은 지식인들의 경험과 통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방 이후 식민지를 겪은 대부분의 문화엘리트들은 민족주의적 견지에서 식민과거를 암울한 일제의 지배와 억압의 역사로 재서술하거나 다양한 식민 기억을 삭제, 은폐하곤 했다. 반면 김기영은 식민기간과 자신의 청년시절을 회상하며 다수의 엘리트적 민족주의의자들과는 해석과는 다른 시각을 보였다. 또한 김기영의 영화는 일본영화와의 혼종성, 모방(mimicry), 친연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에 대해 특별한 반감을 보이지 않았다. 오히려 공식 민족주의 담론과 달리 한국 문화계가 일본 문화의 흐름을 따라잡기 위해 암암리에 밀항과 밀수를 통해 일본과의 문화적 교류를 했던 비공식적 경험과 통한다. 이러한 현상은 해방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한 ‘제국’이자 ‘식민자’로서의 일본에 대한 분열적 태도가 드러나는 식민지적 무의식이 작동한 결과라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이 논문은 김기영 개인의 제국 경험과 해방 이후 그의 영화에 발현된 일본 문화/영화와의 접촉지점을 추적함으로써, 대한민국이 국민국가로의 전환과정에서 공식적으로는 억압하였으나 여전한 힘을 발휘하고 있었던 일본문화가 한국인들에 의해 어떻게 전유되었는지, 그리하여 어떤 한국만의 ‘독특함’을 만들어 내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 논문은 이러한 ‘독특함’을 한국인의 식민지적 무의식이 드러난 포스트-콜로니얼리티로 파악한다. 특히 김기영의 식민지말기의 제국 선망의 행보와 해방 후 정치적, 문화적 교류가 공식적으로 단절된 상태에서 일본영화를 잡지나 시나리오 등 ‘문자’ 매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흡수하여 영상화하였던 김기영의 영화만들기 방식은 일본 영화와는 일정한 차이를 만들어낸다. 그리고 이 차이는 군부독재로 폐쇄성과 파괴적 상태의 한국의 역사와 포스트-콜로니얼리티를 여실히 드러낸다. This paper examines the imperial experience of Kim Ki-young (1919-1998), a director known for making some of the most unique and “bizarre films” in Korean cinema, and how this experience is reflected in his films after liberation. In particular, it traces the traces of imperial cultural experience from the colonial period to the post-colonial period, and analyzes how this imperial cultural experience manifests itself in the characteristics of his films. However, this is not simply a case of tracing the past of an eccentric filmmaker to examine the particularities of his films. His experience is shared by many intellectuals who received colonial education, spent their youth under Japan, and later formed the cultural mainstream in Korea. Nevertheless, most cultural elites who experienced colonization after liberation often rewrote the colonial past as a grim history of Japanese domination and oppression from a nationalist perspective, or erased or concealed various colonial memories. On the other hand, Kim Ki-young’s recollections of the colonial period and his own youth were different from the interpretations of many elite nationalists. In addition, Kim Ki-young’s films had hybridity, mimicry, and affinity with Japanese cinema, and he did not show any particular antipathy to it. This is in line with the fact that, contrary to official nationalist discourse, Korean cultural circles engaged in cultural exchanges with Japan through smuggling and stowaways in order to keep up with Japanese culture. This phenomenon can also be seen as the result of a colonial unconsciousness that manifests itself in divisive attitudes towards Japan as an unconsciousness that manifests itself in divisive attitudes towards Japan as an “empire” and “colonizer” despite its liberation. By tracing Kim Ki-young’s personal experience of empire and the points of contact with Japanese culture and cinema expressed in his films after liberation,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post-colonial phase of Korean cinema in terms of how Korea appropriated Japanese culture, which had been officially suppressed during the country’s transition to a nation-state, and thus created its own ‘uniqueness’. In particular, Kim Ki-young’s filmmaking method, which indirectly absorbed Japanese films through “textual” media such as magazines and screenplays while political and cultural exchanges were officially cut off after liberation, is identified as a shift from “text to image,” and I argue that the specificity of Korean post-colonial cinema can be found at this point.

      • KCI등재

        냉전과 오락영화

        김청강(Kim, Chung-kang)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한국학연구 Vol.61 No.-

        한국전쟁은 대상이 모호하고 추상적이었던 ‘반공(anti-communism)’ 개념이 ‘반북(anti-North Korea)’이라는 구체적 대상을 찾고, 김일성을 대중적인 수준에서 국민의 ‘주적’으로 대상화하기 시작한 새로운 냉전의 시작을 알렸다. 미국이 대외적으로 추구한 냉전이 민주주의적 지향성(democratic orientation)을 교육하고자 하는 “문화적 냉전”이었다면, 남한의 냉전은 휴전 상황의 불안 심리에 기반하여, 언제 있을지 모르는 침략에 대비해 강한 군대를 구축해야한다는 호전적, 권위주의적, 남성주의적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성격은 일제 전시체제하 군사주의 성격에서 기인한 바 크다. 이에 이 글은 미-소중심의 냉전 맥락에서 벗어나 한국 냉전의 군사주의적 남성성을 포스트-식민적 관점에서 재서술하고자 한다. 특히 영화는 일제의 전시체제하에서부터 사상전에 뛰어난 능력을 가진 매체로 인정을 받았고, 한국전쟁을 통하여 남한의 ‘냉전적 사상전’에도 큰 역할을 하였다. 이 글에서는 한국전쟁 이후의 대중 영화들 중 군대와 훈련소 생활을 소재로 하여, 군대를 국민 생활에 가까운 것으로 만들고, 남성을 반공정신이 투철하고 강한 남성성을 가진 주체로 만들기 위해 기획된 일군의 오락 영화 중 ‘훈련소영화’와 ‘전쟁영화’를 중심으로 영화가 어떻게 국민을 반공적 주체를 만드는데 기여하였는지를 밝힌다. 더불어, 국가의 반공문화 기획이 항상 성공적이지 않았으며, 영화의 텍스트는 종종 병역기피의 상황이나, 반미적 감정, 약한 남성성(emasculinization)을 보여주며 뜻하지 않은 균열을 보이기도 했음을 분석한다. After the Korean War, to defend the free South Korean society from brutal North Korean aggression, it was the national imperative to promote a strong Korean army, which motivated and justified oppressive universal conscription of the entire South Korean male population. However, the devastating individual war experience, the ongoing suffering of disabled war veterans, and relatively weak Korean military to American military forces residing in Korea, prevented people from voluntarily joining the army. To avoid such endemic evasion, state officials turned to a variety of cultural apparatus to propagate positive images of the military camp as a social institution that was bright, happy and modern. Although such propagandic tool was much inherited from the Japanese colonial military conscription system, it was refurbished as a new anti-communistic cold war politics for Koreans. This paper explores the socio-cultural and political aspects of anti-communism films made in South Korea in 1950-60s. I focus particularly on a film, A Dry-bones and a Fatty Go to the Nonsan Training Station (1959) and other war films of the 1960s, I argue that the highly gendered and state-orchestrated consolidation of militaristic anti-communism was critical to the image production, film language, and frame and narrative structures of these films. This type of ‘cold war entertainment’ ultimately functioned to promote the interaction of ideology and emotions for a national audience, despite the fact that the film also contained the ‘porous’ part which deviates the whole anti-communistic, male-centered and militaristic national consolidation.

      • KCI등재

        “조선”을 연출하다: 조선악극단의 일본 진출 공연과 국민화의 (불)협화음 (1933~1944)

        김청강 ( Chung Kang Kim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62 No.-

        이 논문은 1930-40년대 전시체제기 조선악극단의 일본 진출 공연을 중심으로 식민지 조선의 대중문화가 어떻게 제국의 정치 및 자본의 전략 그리고 관객의 정체성과 깊은 연관을 가지며 공연되었는지 탐구한다. 식민지 조선에서 1930년대는 대중 공연문화가 규모나 영향력 면에서 매우 융성했던 시기였다. 이 중 악극은 서구와 일본의 대중문화의 영향을 받아 화려하고 근대적인 무대를 만들어내며, 조선뿐만 아니라 일본과 만주에서 해외 순회공연을 펼칠 정도로 인기 있는 대중문화로 성장하고 있었다. 특히 조선악극단은 식민지시기를 통틀어 악극단 중에서 가장 큰 규모와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이들은 1930년대에 조선에서 큰 인기를 얻기 시작해서, 일본(내지)과 만주(북지)까지 원정 공연을 펼친, 조선을 대표하는 공연단이었다. 그러나 이들이 공연을 통해 쌓은 대중적 친밀성은 1940년대 전시체제기에 돌입하면서 국가(일본)에 의해 적극적으로 수용되었고, 점차 오족 협화와 내선일체의 슬로건 아래에 ‘조선적’이며 ‘국민적’ 공연을 하는 극단으로 변화했다. 더구나 1942년에 조선의 연예단체들이 연극문화협회로 통합되면서부터 악극은 일본의 ‘대동아공영’과 전쟁을 위한 동원문화의 선두에 섰다. 이 논문은 1930~40년대 조선악극단의 행적을 해외 공연을 중심으로 추적하여, 악극단의 세계진출을 위한 꿈과 제국의 국민화 정치가 어떻게 악극 공연에 녹아 ‘연출’되었는지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한다. 전시체제기 제국의 동화와 국민화 정치가 식민지인과 식민지 악극단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협력의 최전선에 있었던 조선인 악극단은 어떤 방식으로 이러한 시기를 생존하였는가? 다양한 제국의 관객들은 조선인 공연을 어떻게 소비하였는가?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 이 논문은 ‘연출’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조선악극단이 ‘조선의 기업’이라는 외피를 어떻게 전략적으로 ‘연출’하였는지, 이것이 ‘조선붐’이 한창이던 제국의 일본인들에게 어떻게 젠더화, 인종화 된 방식으로 받아들여졌는지를 분석한다. 또한 1941년 이후 제국의 ‘국민화’ 정치가 공연의 내용에는 어떠한 변화를 만들어 내었는지, 또 이 과정이 공연자와 관객에게 어떤 사회적 의미를 만들어 냈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이 논문은 조선악극단의 일본 진출 공연은 대중문화가 국가의 정치에 깊이 개입하면서도, 일본 내지의 일본인, 조선인, 만주에 주둔한 일본인 군인 등 다양한 관객과의 만남 속에서 다채롭게 변주하였음을 밝힌다. 또한 조선악극단의 해외공연에 참여한 기획자, 공연자, 그리고 관객의 문화적 횡단의 경험은 자신들의 정체성(identity)에 대한 다양한 자각(identification)을 만들어 내었음을 주장한다. In the late 1930 and 1940s` colonial Korea, akguk, a popular vaudeville performance reached a commercial pinnacle in term of its production quantity, popularity to general Korean audience and influence in constructing visual modernity. Fueled by the commercial success in Choson, many recording companies, which owned giant size of akguk troupes, strove to expand their companies` influence beyond their national boundary, targeting transnational audience within Japanese empire. Among these akguk troupes, I pay close attention to OK Grand Show Troupe(later changed their name as Choson akguk troupe),one of the biggest Korean akguk troupes in colonial Korea. Owned by OK Record Company, this troupe initiated a bifurcated commercial strategy depending on audience`s geo-political location. They had endeavored to construct transnational modern performance style in Korea, whereas they highlighted their performance style resonated from“tradition”and local Korean idiosyncrasy when they started marketing in Japan and Manchu area. Through a careful analysis on the transformation of OK Grand Show Troupe`s performance repertories and iconic hybridity in the course of changing historical situation, and invented style of“Koreanness,”I argue that the commercial marketing strategy of Choson akguk troupe, in fact, dually functioned to reposition Koreans as participants of modern popular art industry as well as exotic local subjects in a multi-ethnic Japanese empire.

      • KCI등재

        ‘위안부’는 어떻게 잊혀 졌나? 1990년대 이전 대중영화 속 ‘위안부’ 재현

        김청강 ( Kim Chung-kang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71 No.-

        1990년대 초반 김학순의 (최초)증언을 시작으로 전세계적으로 공론화되기 시작한 ‘위안부’문제는 아직까지도 ‘해결되지 못한 역사(unresolved history)’의 하나로, 첨예한 대립이 계속되고 있는 기억 투쟁의 장이다. 과거 위안부 피해자들의 증언을 중심으로 촉발되기 시작한 이 암울하고도 놀라운 ‘감추어진 역사’의 발견은 일본의 식민주의, 전쟁과 폭력, 남성주의와 젠더와 섹슈얼리티, 그리고 하위주체(subaltern)에 관한 많은 사회적 관심과 각성 그리고 새로운 연구와 교육의 촉발 계기가 되었다. 식민지 군대에서 벌어졌던 처참한 기억들은 재소환되었고 이 문제는 ‘인권’ 유린의 관점에서 전세계적 이슈로 확산되었다. 이는 즉시 다큐멘터리로 제작되었으며, 영화는 ‘말해지지 않은’ 것에 대한 시각적 재현을 통해, ‘문자’로 기록되지 않은 하위주체 여성을 바라보는 방식을 전했다. 그런데 1990년대에 들어서야 ‘위안부’ 문제가 한국 사회의 수면 위로 드러났다는 일반적 인식과는 다르게, ‘위안부’에 관한 재현은 1990년대 이전에도 ‘대중물 (대중소설과 대중영화)’을 중심으로 상당수 존재해왔다. 이 논문은 1990년대 이전에 만들어진 대중물이 위안부를 재현하는 방식을 살펴보며, 대중문화 속 ‘위안부’의 재현이 ‘위안부’를 바라보는 가학적이고, 남성중심적인 시각을 만들어내었음을 주장한다. 영화 속 ‘위안부’ 아이콘이 남성의 소비물로 유통되면서 궁극적으로는 이들을 수치스러운 ‘망각’의 대상이라는 대중적 사회 인식을 만들어 내었기 때문이다. 연구 대상은 1965년작 <사르빈 강에 노을이 진다>, 같은 해 일본 감독 스즈키 세이준에 의해 만들어진 <작부이야기>, 1975년 작 <여자정신대>, 1985년작 <여자정신대> 그리고 1991년작 <에미 이름은 조센삐였다>이다. 이 영화들은 동아시아 사회의 뿌리 깊은 남성중심주의와 가부장적 문화 속에서 ‘위안부’라는 하위주체가 어떻게 폭력적으로 재현되어 왔는지를 명징하게 보여준다. 또한 이 영화들은 서로 상당한 참조성(referenciality)과 간텍스성(intertextuality)을 가지고 만들어졌으며 이 과정에서 식민자였던 일본 남성이 조선인 ‘위안부’를 대하는 남성주의적 시각이 피식민자였던 한국 남성에게 공유되고 있었음도 확인이 된다. ‘위안부’ 여성에 대한 ‘순수한 피해자 (pure victim)’ 혹은 ‘타락한 여성(fallen woman)의 이분법적 태도를 시각적으로 각인시켜온 것은 물론이다. 동시에 ‘순수한 피해자’든 ‘타락한 여성’이든 관계없이 여성의 신체나 성폭력의 장면은 남성 관객의 시각적 쾌락(visual pleasure)을 위한 스펙타클로 재현된다. 이러한 방식의 ‘재현’은 ‘기억하기’ 위한 방식이라기보다 여성들의 ‘부끄러움’을 드러내 ‘잊기’을 것을 강요하는 방식이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1990년대 이전의 ‘위안부’ 재현을 추적하는 것은, ‘위안부’가 ‘잊혀지는’ 방식을 파악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분명히 하지만 이 연구의 목표는 1990년대 이전의 대중 영화가 ‘위안부’를 기억하는 방식이 동아시아 남성주의의 폭력성과 민족주의의 공모 속에서 만들어졌음을 밝히는 것이지, 한국사회의 폭력성을 드러냄으로써 식민주의의 폭력을 축소하거나 대체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이러한 남성 폭력적 재현을 드러내고 이 과정에서의 한-일 남성간의 성적 공모를 밝히는 것은, 한국 남성중심주의의 후기-식민주의적 발현을 드러내는 것이고 현재에도 지속되는 ‘위안부’에 대한 남성들의 성적판타지나 가학성의 근원을 들춰보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동아시아 남성중심의 폭력적 문화가 사회의 이면에 도사리고 있는 한‘위안부’ 문제는 어떤 의미에서 ‘해결되지 않는 역사’로 끊임없이 재소환 될 가능성을 가지고 있음을 환기시키는 것이다. In the 1990s, beginning from the first testimony of Kim Hak-soon who was mobilized as a sex slave for the Japanese imperial army during the Asia-Pacific War, the issue of ‘comfort women’ have become the most ‘unresolved’ history between Korea and Japan. While the previously unrecorded testimonials of former comfort women have enlivened the academic discourses of Japanese colonialism, war crime, feminism and subaltern studies, bringing them into conversation, they also ignited the controversies over the politics of ‘history and memory.’ On the one hand, some (often) Japanese historians emphasize the ‘fact’ in historical writing that heavily relying on conventional historical sources, which minimized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memories’ of comfort women. On the other hand, other (mostly feminist) scholars take more careful approaches arguing that history is always ‘situational,’ and testimonial process itself reveals not just ‘fact’ of the past but signifies the history of ‘the present.’ While still precarious how to integrate memory into history, many realize that the conventional historical sources have restricted the historical writing within the realm of ‘official’ history, and ‘private memory’ could challenge official history, and make the history retold. In the course of historical ‘retelling,’ the most notable was the rise of small budge independent filmmakings. Starting with serial documentary of Nazun moksori 1, 2, 3 (The Murmur, 1995, 1997, 1999) by Pyon Yong-ju, these films functioned to deliver the ‘reality’ or the ‘fact’ of the comfort women issues by authenticating and visually documenting the ‘memory’ of comfort women. The visual representations of these independent documentary films provided the present images of comfort women provocatively revealing the traumatic histories embedded in these women’s bodies. ‘Minor’ filmmaking, in this sense, was a significant medium bringing private memory into history, and relocate ‘marginal voice’ into a central political realm. However, it is should be also noted that there had been popular and dominant representations of comfort women suggesting strikingly different images before this film movement. Mostly produced before 1990s, some popular historical films (saguk) surprisingly present graphical gaze of comfort women’s bodies and sexual violence, and erase the voices of comfort women in the movie, which displays the reasons for the silence of comfort women issue prior to 1990s. This paper, thus, explores the representations of ‘comfort women’ in South Korean popular cinema produced from the 1960s to the early 1990s.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re are few public records of the comfort women remaining before 1990s, popular films’ representations of comfort women in pre-1990s period are small outlets revealing the historical perceptions of comfort women, and explain the ways in which the history of comfort women had been silenced until 1990s. This paper particularly focuses on three films that mainly deal with comfort women issue: Sarubin kang e noul i chin-da (Sunset in the River Sarubin, 1965), Yoja chongsindae 1, 2(The Comfort Women, 1974, 1985) and Emi irum un chosenppi yotta (Your Ma's Name Was Choson Whore, 1991). The aim of this paper, however, is not on discovering historical ‘fact’ of the comfort women in pre-1990s period, but on critically examining how ‘major’ films marginalized the comfort women’s image in given historical time and contributed to create a collective memory of ‘comfort women’ as a national shame in male-dominant South Korean society.

      • KCI등재

        국가를 위해 죽을 “권리” : 병역법과 "성(聖/性)스러운" 국민 만들기(1927-1971)

        김청강 ( Chung Kang Kim ) 법과사회이론학회 2016 법과 사회 Vol.0 No.51

        이 논문은 주권 권력이 병역법을 통하여 국민의 범주를 민족과 젠더의 차이에 기반한 ‘성스러운 국민’으로 구성해왔던 역사를 탐구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국가 형성과 권력 장악의 핵심은 국가의 운용에 필수적인 치안(police)의 권한을 확보 하여 국가 구성원을 수용, 복속시킴으로써 이들 전체를 관리하고 통제하는 권한을 누가 전유할 것인가에 있다. 병역법은 국가의 치안의 권한을 확보하는데 가장 핵심적 인 법이었으며, 이에 대한 국가 구성원의 수용을 이끌어 냄으로써 법적 구속력을 가질 수 있었다. 이를 위해 국가는 인구를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과 이에 대한 법적 합리성을 확보하는 과정을 통해서 통치성을 발휘하였다. 이 논문은 국민국가가 탄생 되었던 시기의 병역법이 병역에 적합한 국민을 ‘구성’해 나가는 과정, 즉, 국가를 위해 죽을 수 있는 충성도를 가진 ‘신성한 국민’을 구분해내었던 역사를 이 법이 처음 실행되었던 식민지시기부터 안정화된 1970년대까지의 변화를 중심으로 하여 계보적으로 추적한다. This paper explores the historical making of ‘holy citizen’ by analyzing the way in which the Military Conscription Law decides the belonging of people based on gender and race. In the history of modern nation-state, military conscription system have functioned to mobilize and disciple people as ‘proper’ citizen in the course of exercising its sovereign power. However, in order to substantiate the idea of ‘self-guarded’ nation, the state needed to acquire the technology to calculate and control the population of the nation, and rationalize its own legal procedures. Once the sovereign power was able to police and manage the national people`s population, it could create certain belief system such as national homogeneity and solidarity. In this sense, the Military Conscription Law was a significant way to make new modern nation-state`s sovereign power through the domination of the way of ‘policing,’ and to discipline the mind of citizen within that system. This paper traces how certain part of Korean population have been located and relocated as the people who has such ‘properness’ for the military service from the colonial time to the 1970s, and discusses the politics of belonging that sought to make the idea of ‘honorable death’ for the nation. Through this exploration, this paper ultimately argues that the Military Conscription Law have socially and culturally functioned to decide the belongings of people based on the ‘properness’ of people’s gender, race, and ethnicity in modern Korean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