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우리나라 참나무과 성숙림의 매토종자 다양성과 종조성

        구본열 ( Bon Youl Koo ),김한결 ( Han Gyeoul Kim ),신재권 ( Jae Kwon Shin ),피정훈 ( Jung Hun Pee ),손성원 ( Seoung Won Son ),조용찬 ( Yong Chan Cho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성숙림의 매토종자는 교란 후 즉각적인 식생재생 및 식물상 저장고로서 중요한 생태적 역할을 수행함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는 관련 연구가 수행된 바 없다. 본 연구는 성숙한 졸참나무-서어나무림 (광릉숲 18개소), 신갈나무림 (점봉산 30개소) 및 너도밤나무림 (울릉도 8개소)에서 매토종자의 다양성과 종조성, 그리고 지상부 식생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졸참나무림에서 37분류군, 신갈나무림에서 46분류군 및 너도밤나무림에서 17분류군의 매토종자를 확인하였다. 매토종자 중요 종은 졸참나무림에서 큰까치수염 (233.7/ha), 병꽃나무 (110.6/ha) 등, 신갈나무림에서 국수나무 (328.7ha), 노루오줌 (238.6/ha), 등 그리고 너도밤나무림에서 섬황벽 (83.1/ha), 등수국 (72.5/ha) 등이었다. 서열분석 결과, 너도밤나무림이 내륙의 것과 이질적인 종조성을 나타내었다. 지상부 식생과의 유사도는 졸참나무림 평균 10 %, 신갈나무림 평균 21 %, 너도밤나무림 3 %로 분석되었다. 우리나라 참나무과 성숙림의 매토종자에서는 숲 종보다 임연부 종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여 일반적 매토종자 구성 특성을 잘 반영하였으며, 비교적 큰 임분 교란에 즉각적으로 반응할 수 있는 잠재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지상부와 지하부 식생의 낮은 유사성은 매토종자의 지속성을 잘 나타낸다. The seed banks of mature forest exhibit important ecological role in flora storage and spontaneous revegetation process after disturbance but related research has not been performed in South Korea. We analyzed species composition and diversity, and relationship between aboveground vegetation in soil seed banks in mature Quercus serrata forest (Gwangneung forest and n = 18), Q. monogolica forest (Mt. Jumbong-san and n = 30) and Fagus engleriana forest (Ulleung-do and n = 8). 37 species in Q. serrata forest, 46 species in Q. monogolica forest and 17 species in F. engleriana forest were germinated in soil. Majority of species in soil seed bank was edge or early successional species such as Lysimachia clethroides, Stephanandra incisa, Astilbe rubra, and Rubus takesimensis. Species composition of F. engleriana was different to that of in-land forest. Mean vegetation similarity between below and aboveground was higher in the order of Q. monogolica forest (21 %), Q. serrata forest (9 %) and F. engleriana forest (3 %). The seed bank of mature Fagaceae forest in South Korea well exhibited general pattern of high proportion of early seral species. Thus, high potential to severe forest disturbance was clarified. Low similarity between above and below vegetation means long term persistence of soil seed banks.

      • 광릉숲 생물권 보전지역 봉선사천의 하천식생

        구본열 ( Bon Youl Koo ),김한결 ( Han Gyeoul Kim ),신재권 ( Jae Kwon Shin ),김은혜 ( Eun Hye Kim ),김성식 ( Sung Sik Kim ),조용찬 ( Yong Chan Cho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봉선사천은 광릉숲 생물권 보전지역의 핵심 하천생태계이며, 보호지역의 생태계 건강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봉선사천 하변 식생과 자연성 증진에 관련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는 봉선사천 일부 구간 (3 km)을 6개 구간으로 세분한 후, 구간 별 식물상 및 식생을 조사하였으며, 주요 귀화식물 (중국굴피나무, 단풍잎돼지풀 등)의 개체수를 측정하였다. 또한 주요 지점의 식생 단면 및 평면도를 작성하였다. 조사구역 내에는 62과 118속 119종 32변종 4품종 전체 155분류군 출현하였으며, 귀화율은 18 % (28종)이었다. 식생 단면 조사 결과, 수로로부터 혼합초지(개별꽃, 쑥 등), 달뿌리풀, 중국굴피나무, 산림식생 순으로 정착하고 있었다. 봉선사천에 분포하는 외래식물은 중국굴피나무 (455.1/ha), 단풍잎돼지풀 (154/ha), 돼지풀 (54/ha) 순으로 개체수가 많았으며, 하류구간에서 밀도가 높았다. 봉선사천의 핵심 교란종인 중국굴피나무는 성장이 빠르고 내음성이 있어 봉선사천에 활발히 정착하고 있으며 적극적인 제거와 자연성 증진이 필요하다. 조사구간 상류 지역의 위락시설, 주거지 및 농경지에 대한 적극적인 억제는 불가능하다. 따라서 적극적인 하변 식생 강화를 통하여 하천생태계 기능을 증진해야 한다. Bongseonsa-cheon stream (BCS) is a core of stream ecosystems in Gwangneung forest biosphere reserve and significantly affects to ecosystem health of the protected area. Thus, study on the health of riparian vegetation and improvement plan was required. We analysed site level flora, vegetation and its profile, and spatial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BCS (3 ㎞) with 6 sections that included in FGBR. In the study area, we observed 155 taxa with 62 families, 118 genera, 119 species, 32 varieties and 4 forms in which 28 species of naturalized plants were existed and the naturalization rate was evaluated to 18%. From the water course, vegetation was distributed in the order of mixed grassland ( Pseudostellaria heterophylla, Artemisia princeps, etc.), Phragmites japonica community, Pterocarya stenoptera community and riparian forest (mainly with Quercus aliena). As a major naturalized species, Pterocarya stenoptera (455.1 stems/ha) exhibited the highest density and followed by Ambrosia trifida (154 stems/ha) and A. artemisiifolia (54 stems/ha). Density of those species was higher in the direction of downstream. Pterocarya stenoptera is a special plant that need to manage, because of rapid growth and shade tolerant naturalized tree species. Futhermore the tree species is actively settling in BCS. It is hard to control accomodation facilities, residential area and agricultural land in upper stream. Thus, through the strengthening on riparian vegetation, healthy ecosystem function in BCS and GFBR will be secured.

      • 광릉숲 생물권보전지역 관통도로의 귀화식물 분포 특성

        김한결 ( Han Gyeoul Kim ),구본열 ( Bon Youl Koo ),신재권 ( Jae Kwon Shin ),정지영 ( Ji Young Jung ),김성식 ( Sung Sik Kim ),조용찬 ( Yong Chan Cho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광릉숲 생물권보전지역을 관통하는 도로는 다양한 귀화식물이 정착하고 있는 하나의 침입 창으로써, 보호지역의 식물상 및 식생의 자연성과 건강성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광릉숲 관통도로 (4.2 ㎞)를 186개 구간으로 구획한 후, 각 구간의 중심에 방형구 (1㎡)를 설치하여 출현종과 피도 (%), 각 구간의 식물상, 그리고 광량 및 수관열림도를 분석하였다. 관통도로에서 총 325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9 % (32분류군)의 귀화율을 보였다. 평균 풍부도는 22종, 그리고 귀화식물 풍부도는 평균 2종이었다. 방형구의 광량은 평균 42.2 mol/m-2/d-1이며 수관열림도는 평균 37.2 %로 분석되었다. 귀화식물의 식피율은 광량 ( rs = 0.207) 및 수관열림도 ( rs = 0.251)와 양의 상관성을, 그리고 풍부도는 광량 ( rs = -0.247) 및 수관열림도 ( rs = -0.294)와 음의상관을 보였다. 귀화식물은 주로 인위적 활동이 많은 지점과 광량이 높은 지점에서 풍부하였다. 광릉숲 관통도로는 차량과 사람의 통행이 빈번하며, 풀베기와 같은 높은 강도의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귀화식물의 억제는 거의 불가능하다. 따라서 관통도로와 인접한 숲 지역의 가장자리의 식생을 보강하여 귀화식물이 숲 내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식생 장벽을 조성하는 것이 타당하다. The road that passing through the Gwangneung forest biosphere reserves being a invasion window of naturalized plants, thus affects to naturalness and health of flora and vegetation in the reserved area. We analysed flora (include naturalized species), vegetation and light availability and canopy openness in the passing road (4.2 ㎞) by dividing into 186 sections (about 20 m interval) with 1 ㎡plots. In the study area, 325 plant species were identified and the naturalized index was evaluated to 9 % (32 species). Mean species richness was 22 and that of naturalized species was 2. Mean light availability and canopy openness were 42.2 mol/m-2/d-1 and 37.2 %, respectively. Richness of naturalized species exhibited positive correlation with light (rs = 0.207) and canopy openness (rs = 0.251) and cover revealed negative relationships with light (rs = -0.247) and canopy openness (rs = -0.294). Naturalized plants established mainly in spots with high light availability and artificial activities. Control of naturalized plant in the passing road in GFBR is very difficult because the road have been managed regularly and have many pedestrian. Thus, vegetation barrier by strengthening the edge area of forest for preventing penetration of naturalized plants into the forest adjacent to the passing road is strongly recommended.

      • KCI등재
      • KCI등재

        Ⅰ분과 : 천연기념물 제432호 제주 상효동 한란 자생지의 환경 및 식생

        신재권 ( Jae Kwon Shin ),구본열 ( Bon Youl Koo ),김한결 ( Han Gyeoul Kim ),손성원 ( Sung Won Son ),조현제 ( Hyun Je Cho ),배관호 ( Kwan Ho Bae ),양형호 ( Hyung Ho Ryang ),박정근 ( Joeng Geun Park ),이종석 ( Jong Suk Lee ),조용찬 ( 한국임학회 2014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3 No.3

        천연기념물 제 432호 제주 상효동의 한란 자생지(39 ha)를 대상으로 2013년 10월부터 2014년 2월까지 생물(식물상, 식생다양성 및 임분 구조) 및 비생물 환경(미기상, 수관열림도, 임내 광량 및 토양 온·습도)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한란 자생지의 일평균온도(5.7℃)는 서귀포시 보다 3.3℃ 낮았고, 일평균습도(75.8%)는 서귀포시 보다 15%높았다. 토양 온도는 평균 16.5℃, 토양습도는 평균 37.3%, 그리고 낙엽층 두께는 평균 4.3 cm이었다. 수관열림도 및임내 광량의 평균은 각각 15.5%, 및 8.5 mol·m-2·day-1 이었다. 한란 자생지 보호구역 내 관속식물은 총 221 분류군이며,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로는 한란, 죽백란 및 꼬리족제비고사리 등이 확인되었다. 식생다양성 평가 결과, 구실잣밤나무군락 등 총 6개의 식생단위가 분석되었다. 조사구역의 임분구조는 구실잣밤나무가 가장 높은 밀도(1,777 개체/ha) 및 흉고단면적 (90.3 m2/ha)을 나타내었다. In the Natural Monument (No. 432) Jeju Sanghyo-dong Cymbidium kanran Habitat (39 ha), flora,vegetation diversity, stand structure, mirco-climate, canopy openness, light environment and soil temperature andmoisture were quantified from Oct. 2013 to Feb. 2014. Compare to Seogwipo-si, daily mean temperature (5.7oC)and moisture (75.8%) in study area were lower at 3.3oC and 15%, respectively. Mean soil temperature andmoisture were 16.5oC and 37.3%, respectively, and mean litter layer depth (n = 81) was 4.3 cm. Mean canopyopenness and light availability at forest floor were 15.5% and 8.5 mol·m-2·day-1, respectively. Total of 22species including vascular and bryophyte plants and 6 vegetation group were observed. Castanopsis siebildii wasdominant species in study area, and density and basal area were 1,777 stem/ha and 90.3 m2/ha.

      • 우리나라 참나무 성숙림에서 관찰된 곤충 섭식 유형 및 비율

        신재권 ( Jae Kwon Shin ),구본열 ( Bon Youl Koo ),김한결 ( Han Gyeoul Kim ),박정근 ( Joeng Geun Park ),권혜진 ( Hye Jin Kwon ),조용찬 ( Yong Chan Cho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곤충의 식물 섭식은 숲 재생 및 식물다양성 유지와 밀접한 상관을 나타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 식물-곤충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는 수행된 바 없다. 본 연구는 광릉숲 (9개소) 및 점봉산(10개소)의 참나무 성숙림에서 방형구 (100 ㎡) 내 교목종 치수를 대상으로 각 치수의 잎 수, 각 잎에서의 섭식 유형과 양 (엽면적에 대한 섭식의 비율, %)을 기록하여 6개 곤충 섭식 기능군의 유형과 비율을 분석하였다. 광릉숲 (n = 469) 및 점봉산 ( n = 363) 임내 치수의 평균 초식 비율은 각각 52.5% (잎 수 = 1,468) 및 46.9% (잎 수 = 1,236)로 나타났다. 광릉숲 섭식율은 팥배나무가 100 %로 가장 높았고, 졸참나무가 80.3 %로 가장 낮았다. 점봉산 섭식율은 당단풍이 97.1%로 가장 높았고, 층층나무가 78.5 %로 가장 낮았다. 잎의 초식 피해 비율은 광릉숲 (11.2 %) 및 점봉산 (5.7 %)로 광릉숲이 2배 높았다. 곤충류의 섭식 기능군 별 비율은 가장자리형 (44.2 %)이 가장 높은 빈도였으며, 천공형 (32.2 %), 천흡형 (23.1 %) 등의 순으로 높았다. 본 연구는 식물-곤충 상호작용 모니터링을 위한 하나의 선행연구로서 실시되었다. 우선, 섭식 곤충의 실체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식생 재생에 대한 곤충의 역할, 즉 교목종의 생활사 (생장 및 사망)와 곤충 섭식의 상관성을 밝힐 수 있도록 대상 개체를 선정하고 관찰해야 한다. There were limited research on evolutionary ecology of plant-insect interaction in South Korea although forest regeneration and plant diversity were correlated with insect`s plant feeding. In this study, we analysed pattern and ratio of 6 insect feeding functional groups through observing type and amount of feeding on leaves of tree species seedling in mature oak forest of Gwangneung forest (GF, n = 469) and Mt. Jumbong-san (JB, n = 363). Mean herbivory ratio of seedlings was higher in GF (52.5 %, leaves n = 1,468) than that of JB (46.9 %, leaves n = 1,236). In GF, Sorbus alnifolia (100 %) exhibited the highest feeding ratio and Acer pseudosieboldianum(97.1 %) in JB. Proportion of feeding area of leaves in GF (11.2 %) was 2 folds higher than that of JB (5.7 %). Marginal feeding (44.2 %) was the most common type and higher in the order of hole feeding (32.2 %) and piercing and sucking in ratio of feeding functional group. As preliminary study on plant-insect coevolution, more clarification on feeding insect and relationship between seedling fatality and insect activities was required.

      • KCI등재후보

        천연기념물 한란 보호구역의 개체군 구조 및 미세 서식처 선호성

        신재권 ( Jae Kwon Shin ),구본열 ( Bon Youl Koo ),김한결 ( Han Gyeoul Kim ),권혜진 ( He Jin Kwon ),손성원 ( Sung Won Son ),이종석 ( Jong Seok Lee ),조현제 ( Hyun Je Cho ),배관호 ( Kwan Ho Bae ),조용찬 ( Young Chan Cho ) 한국하천호수학회 2014 생태와 환경 Vol.47 No.3

        There are no population ecological research on the natural monument (No. 191) Jeju Cymbidium kanran in South Korea.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population structure and fine-scale habitat affinity of C. kanran in Sanghyo-dong, Jejudo Island from Oct. 2013 to Feb. 2014. We observed total of 1,237 individuals (4,341 pseudobulbs) of C. kanran (989.6 population ha-1) within (1.25 ha) and only 17 (1.4%) individuals were inflorescent. In 60.9% of the entire populations, disease symptoms such as spots and blight leaves were observed. C. kanran populaton exhibited reverse-J shaped size distribution based on leaf area classes as individual size parameter. The three size related attributes of C. kanran (no. of pseudobulb rs=-0.159, no. of leaves rs=-0.148 and leaf arera rs=-0.114) and soil temperature revealed a negative relationship (p. 0.0001). Most of C. kanran (95.4%) were grown under Castamopsis cuspidata and spatially, C. kanran were strongly clumped at all distances. Population characteristics of C. kanran in the study area were likely originated from species habitat affinity and successional environment. Through this study, base line data for C. kanran`s habitat monitoring was established and conservation measures based on population characteristics were discussed.

      • KCI등재

        용현자연휴양림 일대의 산림군락분류와 식생구조

        신재권 ( Jae-kwon Shin ),변준기 ( Jun-gi Byeon ),윤충원 ( Chung-weon Yun ),구본열 ( Bon Youl Koo ),김한결 ( Han-gyeoul Kim ),김인식 ( In-sik Kim ),김동갑 ( Dong-kap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7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1 No.2

        본 연구는 국립용현자연휴양림일대 산림의 식생조사를 통하여 산림의 군락분류와 식생구조를 연구하였다. 2014년 4월부터 9월까지 약 26개의 방형구(20×20m)를 설치하여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신갈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고로쇠나무군락의 3개 군락으로 구분되었으며, 신갈나무군락은 소나무군과 전형군, 고소뢰나무군락은 회나무군과 전형군의 4개 군으로 세분되었다. 국립용현자연휴양림일대 산림식생유형은 3개 군락 4개군의 분류체계를 가졌으며, 총 5개의 식생단위로 구분되었다. 식생단위별 중요치 분석을 보면 교목 및 관목의 목본식물에서 식생단위 1은 소나무 (65.1%), 식생단위 2는 신갈나무(73.6%), 식생단위 3은 굴참나무(75.1%), 식생단위 4는 회나무(33.3%), 식생단위 5는 비목나무(21.7%)가 높게 나왔으며, 초본층에서 식생단위 1은 주름조개풀(19.3%), 식생단위 2는 실새풀(16.9%), 식생단위 3은 땅비싸리(17.3%), 식생단위 4와 5는 개별꽃이 각각 14.8%, 24.7%로 높게 나왔다. 지표종 분석결과 총 33종이 유의한 종으로 분석되었다(p<0.05).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orest community classification and vegetation structure in NYNRF(National Yonghyeon Natural Recreation Forest). We studied by 26 plots(20×20m) from April to September 2014. NYNRF were classified into the Quercus mongolica Community,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and Acer pictum community in the 3 community units. The Q. mongolica Community was subdivided into the Pinus densiflora group and Typical group and A. pictum community was also subdivided into the Euonymus sachalinensis group and Typical group. NYNRF were classified into 3 communities and 4 groups and 5 VU(vegetation units). According to the result of importance value analysis between vegetation units, VU 1 P. densiflora(65.1%), VU 2 Q. mongolica(73.6%), VU 3 Q. variabilis(75.1%), VU 4 E. sachalinensis(33.3%) and VU 5 Lindera erythrocarpa(27.1%) were highly showed in tree layer and VU 1 Rhododendron mucronulatum (19.3%), VU 2 Calamagrostis arundinacea (16.9%), VU 3 Indigofera kirilowii(75.1%), VU 4 and VU 5 Pseudostellaria heterophylla(each other 14.8% and 24.7%) were highly showed in herb layer. In INSPAN(INdicator SPecies ANalysis) of vegetation units, 33 species were analyzed significantly(p<0.0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