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초제의 효능과 약해 평가상의 당면과제

        權容雄 韓國作物學會 1978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23 No.3

        Use of herbicides in Korean agriculture has increased rapidly in recent years accompanying with ever-increasing pressure of farm labor shortage. Herbicides occupied already the second place in the rank of pesticides consumption in 1977. The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s have carried out over 50 trials of chemical weed control each year since 1968. These research works and registration trials contributed much to the present wide use of herbicides. The pesticide management act amended in 1977 requires reevaluation of pesticides for their efficacy every 5 year-term. However, the development of sound weed control program and recommendations has been hempered very much by the lack of qualified workers of weed control research in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s and in the institute for pesticide registration trial. Critical review of the past research works on herbicide evaluation and the present status indicates strong need for 1) the characterization of the nature of local and national weed problem, 2) the improvement of ability of the staffs in charge of weed control research through appropriate training on the basics and experimental techniques, and 3) organization and activities of weed control research committee. Furthermore, the present article attempts to clarify commonly misled points in the establishment of herbicide evaluation plan, in the design and execution of field trials, and in the assessment of trial results of the past works from the viewpoint of the basic principles with some case studies for resolution of specific enigmas

      • KCI등재

        작물건조제 Diquat의 벼 수확전처리 건조효과 및 이용성

        權容雄,申鎭澈 韓國作物學會 1981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26 No.2

        벼를 곡립함수율(습양기준) 28~20%인 시기에 예취하고 논에서 곡립함수율 17% 정도까지 일시 건조한 후에 탈곡하고 정조를 곡립함수율 14~15%까지 재건조한 후 유통 또는 저장하는 일반적인 우리나라 관행 수확조제체계에서는 정조 수확손실이 크고 완전미수율이 떨어지기 쉬워 그 개선이 요구되는 바, 국내에서 최근에 작물 수확전 처리 건조제로 등록 사용허가된 diquat의 효용성과 문제점을 밝히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공시품종은 인·일형 품종 수원 26004와 밀양2003, 일본형 품종 진흥이었고, diquat의 처리시기와 처리량이 곡립함수율, 정조천발중, 벼알탈입성, 제책율 및 정백률과 동할미율, 수미율, 심복백미율, 청미율, 색택 및 냄새 등 품종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Diquat의 수확전처리 벼 건조효과는 인·일형품종들에서는 뚜렷하나 일본형 품종에서는 무처리구와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다. 2. 인·일형 품종들에 대한 처리적기는 벼의 생리적, 성숙기 2일전~3일후의 기간이었고, 처리기량은 diquat ion 336g/ha (diquat dibromide 20% 함유한 상품 Region 액제 300cc/10a) 수준이었으며, 처리적기에 적량을 살포할 경우 수확기의 곡입을 함수율은 15~16%로써 무처리구 20~24%에 비하여 5~8%의 건조효과가 있었고 예취와 탈곡작업을 연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수분조건이었다. 3. Diquat을 처리하면 벼알의 탈립성은 무처리구에 비하여 10~15% 정도 감소되었다. 4. Diquat을 적기에 철포하면 정조수량, 제해율 및 정백률에 영향하지 않았다. 5. Diquat 처리는 동할미, 수미 및 심복백미율에는 영향하지 않고 청미율은 현저히 감소시켜 품종을 향상시켰다.TEX>textsck 품종(‘Kanto 51’), 통일계 신품종에 강한 병원성을 나타내었으나, ‘신002’, ‘Fukunishiki’, ‘진흥’ 등의 품종에 중도저항성 반응을 보였고, ‘농백’에는 병원성이 없었다. 국제판별 품종이나 일본신판별 품종으로써는 정확한 race 유별이 불가능했다. 각 환경수건에 따라 판별품종의 반응이 약관씩 다르게 나타났지만 대체로 blast nursery 성적과는 반응이 비슷하였다. 6. 정도 저항성 및 이병성으로 나타난 ‘Kanto 51’, ‘Yashiromochi’, ‘Ishikari-shiroke’ 등의 품종들에서는 접확후 병반형 및 병반수의 변이가 매우 심하였다. 급성형(이병성, PG형) 병반을 많이 형성하는 품종들(‘애지욱’, ‘Caloro’, ‘Norin 6’ 등)은 고도의 이병성이었고 저항성 품종들은 대개 병반이 없거나 저항성 병반(hypersensitivity 반응, b 혹은 bg 형)을 나타내었다.. 발뢰까지는 수확기를 지연시킬 수록 건엽수량은 현저하게 증가되었으며 발뢰 이후에는 수확기를 지연시켜도 수량 차이는 인정되지 않는다. Stevioside 함량은 발뢰기에 가장 높았고 이보다 빠르거나 늦게 수확할 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건엽수량과 Stevioside 함량을 고려한 수확적기는 발뢰시부터 개화전까지이고 수원 지방에서는 9월 10일~9월 15일경이었다. 11. 영양계의 Stevioside와 Rebaudioside 함량범위는 각각 5.4~l4.3%, 1.5~8.3%로 변이폭이 크며 Stevioside와 Rebaudioside 함량간에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저온처리에 의한 임실장해정도와 출수기의 저온처리에 의한 임실장해정도간에는 유의한 정의 상관을 보였으며 또한 저온에 의하여 이삭 추출도가 낮거 Most of the currently available rice threshers in Korea are of head-feeding type originally developed for threshing paddy at grain moisture content of 15 to 17% on wet basis. And prevailing rice harvesting system is swathing or cutting and bundling upright rice crop at a maturity stage of grain moisture content of ca. 28 to 20%, followed by transient natural drying in the field and threshing at grain moisture content of about 17%. The system often allows rather high field loss of rice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These necessitate use of a preharvest desiccant, and diquat has been registered recently as a rice desiccant.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determine the best time and rate of diquat application and to evaluate its utility as a rice desiccant under its optimal usage conditions in Korea. Diquat was not so effective for japonica rice varieties while it was very effective for the new varieties bred from indica x japonica crosses. The best time of application was the period from 2 days before to 3 days after physiological maturity of grain (moisture content of 28% w.b.) and the optimal rate was about 330g of diquat ion/ha. Applying diquat at the right time and rate dropped grain moisture to 15 to 16% (w.b.) within a week after treatment in contrast to that of 20 to 24% in untreated rice. Desiccation of rice crop with diquat resulted in 10 to 15% increase in grain resistance to shattering and significant reduction in percent green rice. However, there was no reduction in milled rice yield and percent whole kernel and was no change in the percent chalky rice and percent tinted rice. Diquat use appears highly desirable, if there is no residue problem which has not been studied in the present study.

      • 窒酸化作用 抑制劑가 作物의 生長 및 窒酸態窒素同化作用系에 미치는 影響

        權容雄 서울大學校 農科大學 1976 서울대농학연구지 Vol.1 No.1

        Nitrification inhibitors, 2-chloro-6-(trichloromethyl)-pyridine (nitrapyrin) and 2-amino-4-chloro-6-methyl pyrimidine (Am) were tested for their phytotoxicity in pot experiments of their soil incorporation at seeding at concentrations ranging from 1 to 500 ppmW. Also, studied was the effect of the inhibitors on the catalytic as well as in vivo synthesis of nitrate reductase and nitrite reductase. 1. The lowest concentration of soil incorporation causing 10% reduction (??) in early shoot growth was 7, 10, 12, 13, 23, 32, and 72ppmW for wheat, radish, soybean, tomato, corn, barley and rice, respectively for nitrapyrin, and was 36, 60, 82, 112, 153 and 224 ppmW for soybean, barley, radish, wheat, corn, and rice, respectively for 2-amino-4-chloro-6-methyl pyrimidine. 2. The ID? in early root growth was 1, 2, 3, 4, 9, 13, and 23ppm Wfor radish, corn, barley, soybean, wheat, tomato and rice, respectively for nitrapyrin, and was 30, 36, 38, 41, 60, 119, and 224 ppmW for soybean, corn, rice, barley, wheat, radish, and tomato, respectively for 2-amino-4-chloro-6-methyl pyrimidine, indicating a greater sensitivity of root growth than shoot growth in their phytotoxicity in most species. 3. Catalytic activity of both nitrate reductase and nitrite reductase was not inhibited by the presence of the inhibitors in reaction mixture at concentrations ranging from 0.1 to 25ppm Was tested under substrate limiting (around Km for NO₃- and NO₂-, respectively) and substrate nonlimiting reaction conditions. 4. Soil incorporation of nitrapyrin at seeding inhibited in vivo synthesis of both nitrate reductase and nitrite reductase in wheat seedlings approx. by 10 to 35% at concentrations of 1 to 5 ppmW where no significant reduction in growth was observed. 5. Soil incorporation of 2-amino-4-chloro-6-methyl pyrimidine at seeding inhibited in vivo synthesis of nitrate reductase at concentrations above 50 ppmW while the in vivo synthesis of nitrite reductase was not inhibited at all at concentrations upto 200 ppmW. 6. The differential inhibition of in vivo synthesis of nitrate reductase and nitrite reductase as observed for both chemicals appears indicative of their ability of specific inhibition of the enzyme synthesis concerned rather than of their inhibition of protein synthesis in general.

      • KCI등재

        수도의 유초기 냉해에 관한 연구 1 : 유묘기 엽령별 냉해발현 및 회복양태

        權容雄,金柱憲,安壽奉 韓國作物學會 1979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24 No.1

        수도 유초의 초분별 냉해발견의 특성을 구명하고자 품종 진흥, 철원 001, 통일, 유신을 재료로 주간 26℃ 13시간 (광도 20,000 lux) / 야간 18℃ 11시간의 인공기상실에서 생장한 유초를 초령 1, 2, 3, 4, 5 엽기에 각각 처리기간을 2, 4, 6, 8 일간으로 달리하여 주간 11℃ 13시간 (광도 20,000lux) / 야간 6℃ 11시간의 저온처리를 한 후 주간 26℃ / 야간 18℃ 조명실로 옮겨 파종일로부터 30일간 생장시킨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저온처리 후 냉해에 의한 유초의 고사 현상은 처리후 3일간에 종료되었으며 초령별 유초생존율은 Japonica 품종 진흥은 모두 100%, 철원 001는 2엽기와 3엽기에 각각 8일간 저온 처리구에서만 95% 정도이었고 그 밖에는 100%이었으며, IndicaxJaponica 교배품종들은 품종, 초령, 기간별로 내냉성이 달랐는데 제 1, 2, 3, 4, 5 엽기 별로 95% 이상의 생존율을 보이는 저온처리 최장기간은 통일의 경우 4, 6, 1, 4, 8 일이었고 유신은 6, 6, 1, 4, 2일이었다. 2. 저온처리 종료후 과온에 3일간 냉해를 발견시켰을 때 진흥과 철원 001는 1~5 엽기 모두에서 8일간 처리를 하여도 냉해로 인해 엽신이 고사하지 않고 6~8일간 처리할 경우 극미한 백반이 다소 형성될 뿐이었으나 통일과 유신은 엽신의 황적변고사현상이 심하였는데 처리기간이 길수록, 노엽일수록 심하였고 완전전개한 신엽이 처리후 엽면적의 10% 이하 고사하는 범위의 내냉한계는 4일 미만의 저온이었다. 3. 저온처리기간중에는 모든 품종이 각엽기 모두 초장의 신장이 거의 정체 되었으며 처리종료 후에는 신장을 재개하였으나 각엽기 모두 저온기간이 길수록 신장속도가 감소되었으며, 진흥은 1, 4, 5 엽기, 철원 1 호는 1, 4 엽기, 유신은 1 엽기에 2일간 처리할 경우에만 무처리구와 같은 정도로 회복되었고, 그밖에는 저온기간중 생장이 정체된 차이를 보상하지 못하였다. 4. 파종후 30일간 생장한 묘의 건물중은 저온처리후 엽신이 정상이었고 표생존율도 95% 이상이었던 처리구의 묘에서도 감소가 있었으며 건물중이 무처리구묘의 90% 이하가 되지 않는 저온처리한계기간 (최대가역장해기간)은 제 1, 2, 3, 4, 5 엽기별로 진흥 2, 3, 4, 4, 4 일간, 철원 001 4, 1, 1, 2, 1 일간, 통일 2, 0.5, 0.5, 1, 2 일간, 유신 4, 1, 0.5, 1, 1 일간이었다. 5. 냉해에 의한 엽신변색고사와 초장신장억제는 실용상 중요한 묘고사율 및 묘건물중과의 관계가 뚜렷하지 않았고 품종 및 묘령별 내냉성의 차이를 분화시키지 못하였으나 묘고사율은 뭄종간 내냉성의 차이를 충분히 분화시켰으며 묘건물중은 외견상 냉해치상이 없을 경우에도 감소되고 품종간 차이를 보였으므로 유묘내냉성검정은 고사율과 건물중증가억제율 두 요인을 함께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6. 저온처리 및 내냉발견 후에 95% 이상의 생존율을 보이는 최장처리기간과 생존묘의 묘대말기 건물중이 무처리구의 90% 이하가 되지 안흔ㄴ 최장처리기간은 품종별 묘령별로 각각 달랐음로 이둘 두 요인의 값을 곱하여 내냉성종합평점으로 표시하면 진흥은 1, 2 엽기, 철원 001는 2, 3 엽기 통일과 유신은 3엽기에 약하였고 최저기온 0℃ , 최고기온 15℃ , 평균기온 8℃ 의 온도조건하에서 육묘할 경우 비가역적 생장조해를 받을 위험이 없는 최장저온기간으 대체로 보아 진흥 3일, 철원01 2일, 통일과 유신 각각 1일이었다. 7. 주간 11℃ /야간 6℃ 의 저온조건하에서 유묘기내냉서의 품종간 차이를 가장 잘 분화시키는 방법은 묘령 2~3 엽기에 6일간 저온처리한 후 10일간 상온에서 발견시키고 고사율과 건물생장억제율을 조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To characterize elastic and plastic chilling injury, rice seedlings grown at 28/16~circC day/night temp. under 20K lux (13hrs.) in a phytotron were subjected to a 11/6~circC , 20K lux condition for 2, 4, 6 or 8 days at 1, 2, 3, 4 or 5th leaf-stage, respectively, followed by further growth under 28/16~circC condition till 30th day after seeding. Japonica variety Jinheung and Chulwon No.1 survived almost 100% without any significant , discoloration and death of leaves due to chilling even under the chilling of 8 days at all seedling ages tested. Tongil and Yushin, varieties from Indica x Japonica cross, showed increasing discoloration of leaves and death of plants with increase in chilling intensity. The longest chilling duration shown seedling death less than 5% was 4, 6, 1, 4, 8 days for Tongil, and 6, 6, 1, 2, 2, days for Yushin at 1, 2, 3, 5th leaf-stage, respectively. The degree of discoloration and death of leaves or suppression of height growth was not explicitly related to seedling death or the dry weight reduction. The degree of seedling death or dry weight reduction could differentiate chilling tolerance of varieties and seedling ages, but somewhat differently. Reduction in dry weight due to chilling occurred even without any visible injury or seedling death. These suggest that both the degree of seedling death and reduction in dry weight should be considered in the test of varieties for chilling tolerance. Combined evaluation of seedling death and dry weight reduction indicated the most susceptible seedling age to chilling injury to be 1 to 2nd leaf-stage for Jinheung, 2 to 3rd leaf-stage for Chulwon No.1, 3rd leaf- stage for Tongil and Yushin, respectively.

      • Japonica 및 Indica ×Japonica 品種의 細胞核 DNA의 特性 硏究

        權容雄,蘇昌鎬 서울大學校 農科大學 1985 서울대농학연구지 Vol.10 No.2

        벼의 品種群間 染色質 및 核 DNA의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Japonica 品種인 삼남, 설악과 Indcia×Japonica 品種인 삼강, 풍산을 파종하여 5葉期에 뿌리를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核當 DNA 함량은 설악 2.16×10??g, 삼남 2.07×10??g, 삼강 2.21×10??g, 풍산 2.42×10??g으로 Japonica보다 Indica×Japonica가 약간 많은 경향이었다. 2. 핵당 RNA, 核단백질中 염산에 용출된 단백질(大部分 histones) 및 기타 단백질의 DNA에 대한 함량비는 각각 0.14∼0.18, 0.87∼1.02, 2.99∼3.54로 품종간 차이는 있었으나 一樣性을 보이지 않았다. 3. DNA의 denaturation 온도 특성(Tm)은 설악 70.5℃, 삼남 71.0℃, 삼강 71.5℃, 풍산 69.5℃이었고, GC함량은 설악 40.5%, 삼남 41.7%, 삼강 42.9%, 풍산 38.6%으로 일정한 경향은 없었다. 4. DNA의 renaturatron (50℃)은 설악 62.8%, 삼남 66.3%, 삼강 54.0% 및 풍산 54.3%으로 Japonica 품종이 Indica×Japonica 품종보다 renaturation이 잘 되었다. Some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hromatin and nuclear DNA isolated from rice roots were compared for Japonica varieties, Samnam and Seolak, and Indica×Japonica varieties, Samgang and Pungsan. Hydroponically grown rice roots were harvested at the 5th leaf stage. The roots were washed three times or more with distilled water and then the nuclei and the chromatins were isolated and purifi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DNA content per nucleus was 2.16×?? in Seolak, 2.07×?? in Samnam, 2.21×?? in Samgang, and 2.42×?? in Pungsan. The DNA content per nucleus was smaller in the Japonicas than in the Indica×Japonicas. 2. Content ratio of RNA to DNA was 0.14 to 0.18, HCl-soluble proteins (mostly histones) to DNAwas, 0.87 to 1.02, and NACl- and Chloroform/MeOH soluble proteins (non-histones)to DNAwas, 2.99 to 3.54. 3. Transition temperature of DNA occurred at 70.5℃ in Seolak, at 71.0℃ in Samnam, at 71.5℃ in Samgang, and at 69.5℃ in Pungsan. GC content ratio was 40.5% in Seolak, 41.7% in Samnam, 42.9% in Samgang, and 38.6% in Pungsan. 4. Renaturation percent was 62.6% in Seolak, and 66.3% in Samnam, and 54.0% in Samgang, and 54.3% in Pungsan when heated DNA at 95℃ for 5 minutes was slowly cooled to 50℃, Japonica varieties being renatured to a greater degree than Indica×Japonicas.

      • KCI등재
      • KCI등재

        불량식미쌀에 대한 우량식미쌀 및 찹쌀의 혼합과 쌀의 품종간 혼합이 밥맛에 미치는 영향

        權容雄,全遇滂,崔海椿 韓國作物學會 1991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36 No.4

        우리나라에서의 미곡의 유통은 통일계와 일반계는 구분되어 이루어지고 있으나 식미가 다른 품종간에는 대부분 구분되지 않고 혼합되어 관리·유통되고 있다. 그러나 쌀의 식미는 품종간에 차이가 크고 국민들은 양식미쌀을 선호하므로 저식미쌀에 찹쌀, 또는 고식미쌀을 일정비율 혼합하여 식미향상효과를 얻을 수 있는지와 밥맛이 다른 품종들의 쌀을 일정비율로 혼합했을 때 밥맛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시료는 1987년 및 1989년산 통일계벼, 1990년 고성 및 부여산 일반계, 1989년산 통일계 삼강벼. 일반계낙동벼. 1990년산 추청벼, 동진벼 및 진부10호를 식미관능검사 1주일 전에 12분게로 도정하여 사용하였고 시판되는 최고가의 이천쌀과 일반계 찹쌀 상품을 공시하였으며, 식미관능검사는 국립농산물검사소 검사반과 작물시험장 미질 검정실에 의해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저식미찰(일반계)에 시판 고식미쌀을 중량비 80%까지 혼합하여도 식미향상은 없었으나 동진벼쌀(고식미)을 80% 혼합했을 때에는 동진벼쌀과 동등한 평점을 얻는 식미향상효과가 있었다. 중식미쌀에 시판 시판 고식미쌀을 80% 혼합한 경우는 식미가 크게 향상되었다. 2 식미가 불량한 통일계 고미('87, '89년산)에 시판되는 일반계 찹쌀상품을 20% 혼합하였을 때 식미가 향상되었으나, 중하위 식미의 통일계 중상위 식미의 일반계쌀에는 찹쌀 20% 혼합시에도 유의적 효과가 인정되지 않았다. 3. 중위 및 상위 식미품종인 낙동벼, 동진벼, 추청벼 간 여러가지 비율로 혼합한 경우 단일품종과 비교하여 일정한 경향의 유의적 식미 변화가 인정되지 않았다.1989년산간에 평균평점차이가 뚜렷해졌으나 통일계벼는 1987, 1988, 1989년산간에, 일반계벼는 1989년산과 1990년산간에 밥맛평가에서 통계적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3. 정부양곡보관창고들 중 특급창고와 1급창고에 보관했던 일반계 벼간에는 3개조사지역 모두 현미지방산도와 밥맛평가면에서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2급창고는 3개지역 모두에서 지방산도가 약간 높고 밥맛평점이 약간씩 낮았다. 4. 저온저장(4℃ , RH 50%)한 벼는 2년반 저장한 벼도 밥맛의 변화가 거의 없었다. 5. 1988년산 및 1989년산 일반계를 10분도와 12분도로 도정하였을 때 도정도에 따른 밥맛의 차이는 없었다.X>CoOx는 Co3O4 로 존재하고, 반응 전의 경우에는 이와는 다른 chemical state를 보여주었다. XRD 및 XPS 결과를 바탕으로, 촉매표면에 존재하는 Co3O4 의 외부표면이 Co2TiO4 와 CoTiO3 같은 CoTiOx 로 encapsulation되어 있는 모델구조를 제안할 수 있고, 이는 반응시간의 함수로 나타나는 촉매활성에 있어서 전이영역의 존재를 잘 설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XRD와 XPS에서 얻어진 촉매의 물리화학적인 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다. 나타냈고, 골격근과 눈 조직에서 피루브산에 대한 LDH의 친화력이 상당히 크므로 LDH가 혐기적 조건에서 효율적으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5) and "Cleanliness of clot Demand for the rice of better eating quality is ever increasing in recent years. However. the rice is presently handled by the government and merchants as mixture of the rice of different varieties from the purchase of the rough rice to storing and milling. It is well known that the eating quality of rice varies significantly by variety. The present study aimed at evaluation of the effect of blending different rices on the change in palatability of low and high eating quality rices. The eating quality of a low quality japonica rice was improved significantly on sensory panel test by blending it with the Dongjin rice. one of the highest eating quality. only when the Dongjin was blended to 80 percent by weight. and also it was same for blending an ordinary quality rice of mixed varieties which has been stored by a governmental storehouse with a top class rice on free market. The eating quality of aged Tongil type rice. produce of 1987 and 1989 and a mixture of varieties, was improved significantly by blending it with a high quality glutinous rice on market to 20 per cent by weight. But Samgang rice. a high eating quality Tongil type variety. and an ordinary quality rice of Japonica varieties were not significantly improved by blending them with the glutinous rice by 20 per cent. Blending rices of the variety Nagdong. ordinary quality among varieties and low quality among Japonicas, Chucheong, a high quality rice among Japonicas. and Dongjin. one of the best eating quality rice among Japonicas, each other in different ratios did not affect significantly the sensory scores.

      • 稻熱病 常發地 土壤에 對한 改良劑 施用의 效果

        金容雄,金廣植 全南大學校 農漁村開發硏究所 1980 農業科學技術硏究 Vol.15 No.-

        全南地方의 稻熱病 常發地 土壤改良을 위하여 常發地 土壤을 分析하고 土壤改良 效果試驗을 하여 얻어진 結果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稻熱病 常發地 土壤은 大部分 砂壤土이고 珪酸含量이 낮아 水稻體의 葉中珪酸 含量이 낮고 窒素含量이 높았다. 2. 水稻의 收量은 密陽 30號는 400∼480kg/10a로 維新은 200∼400kg/10a로 窒素量을 增加할때 減少했고 珪酸施用을 增收되었으나 客土의 效果는 確實하지 않다. 3. 水稻의 收量과 收量構成要素中 登熱率민 이高度의 有意性있는 負相關을 나타내고 다른 要素는 有意性이 없었다. 이것은 生育後期 목稻熱病의 發生으로 登熱率이 減少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4. 珪酸肥料의 施用으로 土壤의 珪酸含量이 增大되고 水稻의 珪酸吸收가 增大되었다. 5. 稻熱病 發病과 植物體 成分과의 相關은 珪酸과 珪窒比에서 有意性있는 負相關을 나타냈다. 6. 稻熱病 發生은 維新이 密陽 30號에 比하여 훨씬 심하였다. 7. 以上의 結果로 稻熱病 常發地 土壤改良 手段으로 珪酸肥料의 施用과 窒素窒肥料의 減少로 制限的인 環境下에서는 效果가 있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il improving materials on the soil in which rice blast annually occurs in the Province of Chonnam.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texture of soil in which the rice blast occured annually were largely sandy loams and the silica content in these soils and in the rice plants was lower than that in normal soils while the nitrogen content in rice plants cultivated in rice blast soils was higher than that in normal soil. 2. The yields of Milyang 30 and Yusin was 400 to 480kg/10a and 200 to 400kg/10a respectively. The yield was decreased by applying a content of nitrogen but increased by applying a silicate fertilizer while the effect of "soil addition" did not appear clearly. 3. The rice yield was effected by the percentage of filled grains and it is thought that the outbreak of panicle blast in the latter growth stage decreased the percentage of filled grains. 4. The silica content in the soils and the rice plants was increased when silicate fertilizer was applied to the soil. 5.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outbreak rate of rice blast and silicate or SiO₂/N in the rice plants was high. 6. The outbreak of rice blast in Yusin was more severe than Milyang 30. 7. Considering the above results, it is thought that the soils in which rice blast occurs annually could be improved by increasing silicate application and decreasing the nitrogen application under a limited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