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타이와 베트남에서 수집된 텍타이트의 화학조성과 지구화학적 의의

        이승구,Tsuyoshi Tanaka,Yoshihiro Asahara,Masayo Minami 한국암석학회 2017 암석학회지 Vol.26 No.3

        We determined chemical compositions like abundance of major and trace elements, Sr and Nd isotope compositions for two tektites from the Thailand and Vietnam. Their chemical compositions are similar to each other, and seem to be similar to those of PAAS (Post Archean Australian Shale) rather than upper continental crust. In particular, primitive mantle-normalized spider diagrams and chondrite-normalized REE patterns for two tektites are the same, suggesting that they might be derived from the same source material. The 87Sr/86Sr and 143Nd/144Nd ratios from Thailand tektite are 0.718870±0.000008 (2σm) and 0.512024±0.000012 (2σm), respectively, and those from Vietnam are 0.717022±0.000008 (2σm) and 0.511986±0.000013 (2σm), respectively. The 87Sr/86Sr and 143Nd/144Nd ratios from Thailand tektite are slightly enriched than those of Vietnam tektite. 87Sr/86Sr ratios from the Vietnam and Thai tektites were plotted on the range of Australasian tektites reported previously. 143Nd/144Nd ratio of Vietnam tektite from this study was lower than the range of 143Nd/144Nd ratio from the Australasian tektite reported previously whereas that of Thai tektite was included in the range of 143Nd/144Nd ratio from the Australasian tektite. Th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from two tektites in this study indicate that they may be derived from the very similar source materials. 타이와 베트남산 텍타이트의 주원소 조성, 희토류원소를 포함하는 미량원소 조성, Sr과 Nd의 동위원소 화학조성을 측정하여 상호간의 연관성을 비교하였다. 두 텍타이트의 주원소 조성은 서로 유사하며, 상부지각의 화학조성보다는 PAAS(Post Archean Australian Shale)의 화학조성에 더 유사하다. 거미도와 희토류원소의 분포도는 서로 간에 일치하는 특성을 보여주며, Eu의 부(−)의 이상과 더불어 경희토류가 부화되고 중희토류가 결핍되어 있는 특성 또한 PASS의 희토류원소 분포도와 유사하다. 타이산 텍타이트의 87Sr/86Sr과 143Nd/144Nd 비는 각각 0.718870±0.000008 (2σm), 0.512024±0.000012 (2σm)이고 베트남산 텍타이트의 87Sr/86Sr과 143Nd/144Nd 비는 0.717022±0.000008 (2σm). 0.511986±0.000013 (2σm)으로 타이산 텍타이트가 베트남산 텍타이트보다 더 부화된 동위원소 값을 갖고 있다. 그리고 현재까지 알려진 오스트레일리아와 동아시아에서의 텍타이트의 87Sr/86Sr과 143Nd/144Nd 비와 비교했을 때, 이 연구에서의 두 지역 텍타이트의 87Sr/86Sr비 값은 모두 기존에 알려져 있는 Australasian 텍타이트에서의 값들의 범위에 포함된다. 143Nd/144Nd 비의 경우 타이산 텍타이트는 현재 알려져있는 Australasian 텍타이트의 143Nd/144Nd비 값 범위에 들어가는 반면에, 베트남산 텍타이트의 143Nd/144Nd비 값은 현재까지 알려진 143Nd/144Nd 비보다 낮았다. 이 연구에서의 두 텍타이트의 지구화학적 특성의 유사성은 두 텍타이트가 거의 동일한 기원물질로부터 유래되었을 가능성을 지시해준다.

      • KCI등재후보
      • 텍타이트와 흑요석의 특징 및 성인 비교 : Their Characteristics and Origin

        김원사,신현숙 충남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003 忠南科學硏究誌 Vol.30 No.1

        During the past fifty years, the origin of natural glassy objects, called tektite, has long been a topic in the science community. In this study mineralogical and chemical data for tektites, collected from China, have been investigated. Obsidian, a very similar resemblance, has also been studied, in the hope to characterize it better and also to compare it with tektites. It is confirmed, on the basis of presently obtained data, that the Chinese teckites are believed to originate from terrestrial rocks melted by hypervelocity impacts of large and extraterrestrial objects. In contrast, obsidian is a volcanic glass of rhyolitic composition and is originated from magma during volcanic eruption.

      • KCI등재
      • KCI등재

        중국 百色분지의 구석기 유물군 성격에 대하여

        유용욱(Yong-wook Yoo) 한국구석기학회 2013 한국구석기학보 Vol.- No.28

        본고는 중국 广西壯族自治區에 위치하는 百色분지의 유적과 구석기 유물군의 성격을 고찰 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동아시아 주먹도끼의 의미를 되짚어 보고자 한다. 百色분지는 홍적세 이래 다양한 지질학적 과정을 겪으면서 右江 주변의 다단계 단구면으로 발전해 왔다. 구석기 유물은 대부분 네번째 단구면의 紅土 퇴적층에서 발견되었으며, 주먹도끼를 필두로 하는 아슐리안 공작과 유사한 양상을 보여준다. 이러한 유물군의 연대는 퇴적층에서 발견된 유리 운석의 절대 연대에 의존해서 중기 홍적세 초반(0.75~0.85 Mya)으로 인식되고 있지만, 보다 정밀한 조사를 통해서 이 일대의 지질사 및 유적 형성 과정에 대한 적절한 복원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百色분지의 주먹도끼 및 한국 임진-한탄강 유역 주먹 도끼에 대한 성격은 그 동안 아슐리안이나 모비우스 선과도 같은 개념적 범주를 통해서 인식이 되어 왔지만 동아시아 구석기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이러한 다양성의 일면으로서 주먹도끼의 의미에 대한 새로운 고찰이 요구된다. This article suggests significance of East Asian handaxe to be discussed in a critical context and surveys the Bose Basin of southern China and its palaeolithic assemblages as an example. The Bose Basin, located at the Guangxi Autonomous County, was formed in the course of various Pleistocene geological processes and developed multistepped river terraces near the Youjiang River; Acheulian-like palaeolithic artifacts are discovered within and around the laterite sediment of the T4 terrace. The age of lithic assemblages is, albeit arguable, estimated ca 0.75-0.85 Mya based on the date of tektites discovered within the laterite layer; future research for the reconstruction of site formation process in a more reliable way are necessary though.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 of handaxe from the Bose Basin and the IHRA, Korea, have been hitherto discussed via such western conceptual categories as Acheulian and Movius Line. It would be, however, appropriate to understand East Asian handaxe per se in the context of diversity: the significance of East Asian handaxe will be elucidated by accepting the diverse nature of East Asian palaeolith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