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육교사의 교직 전문성에 대한 인식과 요구도 분석

        조은제,김태경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of child care Teachers’ Perceptions of Professionalism and Required level.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349 in - service child care teachers in private and home nurseries in Gyonggi-do and t-test and one-way ANOVA were us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perceptions of teachers' professionalism were not different between private nursery schools and home nurseries. 40th child care Teachers showed higher recognition of professional knowledge and technology needs than 20th child care Teacher. And the level of professional ethics recognition was also Third, teachers with higher career and age groups are more actively involved in the child care process, Not only actively participate in childcare activities and management but also have a high perception of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and socioeconomic status. Four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of childcare teachers according to educational background, major and first entry route. Fifth, the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home daycare centers had higher demands for occupational expertise than the private day care center childcare teachers. Sixth,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level of teacher's demand for teachers' professionalism according to age, career, and initial entry route. And childcare teachers who graduated from four - year regular college were actively performing childcare activities compared to teachers who graduated from college. Childcare teachers who majored in social welfare were required to consider their academic background and major compared to teachers who majored in child care. The quality of Childcare teachers is important through the results, and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specialization, education, career, and work organization in order to enhance professionalism. 본 연구는 보육교사들의 교직 전문성 향상을 위한 방안의 하나로, 보육교사들의 전문성 인식과 요구수준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내 민간·가정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현직 보육교사 349명을 대상으로 2018년 7월 1부터 9월 3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t –검정과 일원변량분석(One-Way-ANOVA)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정도에서 민간어린이집과 가정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에는 차이가 없었다. 둘째, 40대의 보육교사들은 20대 보육교사에 비해 전문적 지식과 기술요구에 대해 높은 인식을 보였고, 직업윤리에 대한 인식 수준 역시 높게 나타났다. 셋째, 경력이나 연령대가 높은 교사들이 보육과정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보육활동이나 운영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뿐 아니라 전문적 지식과 기술요구 및 사회경제적 지위에 대한 인식 역시 높게 나타났다. 넷째, 보육교사의 학력, 전공 및 최초 진입경로에 따른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 가정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가 민간어린이집 보육교사 보다 직업 전문성의 요구 수준이 더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보육교사의 요구 수준에 있어서 연령, 경력, 최초 진입경로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4년제 정규대학을 졸업한 보육교사는 전문대학 졸업 이하의 교사에 비해 보육활동을 적극적으로 수행하고 있었고, 사회복지를 전공한 보육교사는 아동보육을 전공한 교사에 비해 자신들의 학력이나 전공 등이 감안되어야 함을 적극 요구하고 있었다. 나타난 결과들을 통해 보육교사의 질은 중요하며, 전문성 신장을 위해서는 전공, 학력, 경력 및 근무기관에 따른 고려가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