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예비특수교사의 반성적 사고 증진을 위한 저널쓰기 활용 방안

        강영심,박창언 한국학습장애학회 2010 학습장애연구 Vol.7 No.3

        As society is changing rapidly, school in the process of educational reform necessarily demands the reflective thinking of teachers for performing teaching activities as a exper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important role and meaning of reflective thinking in teacher education and to examine the use of journal writing for improving special education preteachers' reflective thinking. The conduct of this study comes from a literature review the personal education and resend arch experience of using journal writing for special education preteacher’reflective thinking. Journal has various types and formats such as literature logs, reflective journal, and dialogue journals. Procedures how to apply a journal writing in special teacher education were reviewed in this paper. The development of personal meanings attached to journals should be encouraged. Once a learning community is created, journal writers should be prepared possess the attitudes of openmindedness, responsibility, and wholeheartedness. In the writing phase, a systematic guideline for writing journals can be provided. The process and the content of journal writing were explained in detail. Journal writing helps special education preteachers to develop reflective thinking and shared meanings, construct personalized theory, and promote critical thinking. Journal writing is certainly a time consuming activity. Even though journal writing is not free from its limitation, it is a very useful learning and teaching tool in special teacher education. It is especially a economic tool for assisting preteachers in becoming better thinker and reflective practitioner. 본 연구는 교사 양성 대학의 교육과정 속에서 예비특수교사의 반성적 사고를 증진시켜 주기 위한 교사 교육 전략을 모색하고자 시도되었다. 구체적으로 사범대학 특수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수업을 하거나 연구를 수행한 실제적인 경험을 토대로 반성적인 사고가와 실천가로서의 유능한 특수교사를 양성하는데 유용한 저널쓰기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교사교육에 있어서 반성적 사고가 중요한 이유와 저널쓰기가 반성적 사고에 미치는 효과성과 유용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저널쓰기를 활용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과 유의점을 중심으로 다음의 7가지 사항을 제안하고 있다 : 1) 개방적이고 수용적인 학습공동체를 만들어야 한다. 2) 저널쓰기에 대한 내적인 동기를 유발시킨다. 3) 저널쓰기에 대한 기본적인 지침을 제공한다. 4) 저널에 대한 적절한 피드백이 주어져야 한다. 5) 저널쓰기를 위한 다양한 교육경험을 개발하여 제공해야 한다. 6) 저널쓰기 활동 과정이나 결과를 성적 평가의 일부로 활용한다. 7) 저널의 내용을 공유하는 학습문화를 조성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이 새롭게 제정되면서 교육 전반에 걸쳐 큰 변화가 예고되는 현실에서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특수교사를 양성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예비특수교사의 반성적 사고 증진을 위한 저널쓰기 활용 방안

        강영심(Kang, Young Sim) 한국특수교육학회 2010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10 No.-

        본 연구는 교사 양성 대학의 교육과정 속에서 예비특수교사의 반성적 사고를 증진시켜주기 위한 교사 교육 전략을 모색하고자 시도되었다. 사범대학 특수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수업을 하거나 연구를 수행한 실제적인 경험을 토대로 반성적인 사고가와 실천가로서 능력 있는 특수교사를 양성하기 위한 저널쓰기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교사교육에 있어서 반성적 사고가 중요한 이유와 저널쓰기가 반성적 사고에 미치는 효과성과 유용성에 대하여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저널쓰기를 활용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과 유의점을 중심으로 구체적인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직전교육, 현장 교육, 재교육에 시사 하는 바가 클 것이다. 특히 특수교육진흥법이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으로 새롭게 제정되면서 교육 전반에 걸쳐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현실에서 창의적이고 적극적으로 특수교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important role and meaning of reflective thinking in teacher education and to examine the use of journal writing for improving special education preteachers' reflective thinking. Journal writing is a technique that has been used extensively in university contexts as a means of facilitating reflection, deepening personal understanding and stimulating critical thinking. That's why teaching is a learned profession, and reflection plays a crucial role during a teacher's learning process. The conduct of this study comes from a literatures review and the personal experience as a teacher educator and researcher of using journal writing for special education preteachers. Journal has various types and formats such as literature logs, reflective journal, and dialogue journals. Guidelines how to apply a journal writing in special teacher education were suggested in this paper. The first and foremost thing is to make a supportive learning community which encourages special education preteachers to develop personal meanings attached to journals and to feel free to express in writing their understanding and response to an event, experience or concept. In addition to this explanation of the process and the content of journal writing, provision of a systematic guideline for writing journals and a variety of practical experience, elicit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to write a journal, integrating method of the product of journal and grading system are suggested in detail. In conclusion journal writing helps special education preteachers to develop reflective thinking and shared meanings, construct personalized theory, and promote critical thinking. Even though journal writing is certainly a time consuming activity and not free from its limitation, it is a very useful and economic tool for assisting preteachers in becoming better thinker and reflective practitioner.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