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적장애인 및 발달장애인을 위한 중등이후 교육: 미국 대학 내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김은하,박승희 한국특수교육학회 2010 특수교육학연구 Vol.45 No.3

        This study is a literature and program review study on post-secondary education for person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Two types of the data used for this study include peer-reviewed articles, published from 2000 to 2009, on the post-secondary education for person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s which are currently implemented throughout colleges in the USA. 32 articles and 23 different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s in colleges were selected based on the pre-determined criteria for the review of this study. The contents of post-secondary education articles were categorized into 5 distinct themes; the overview of post-secondary education and programs, post-secondary education related laws, the transition into the post-secondary education, the supports provided in post-secondary settings, and other post-secondary education related issues. The models of the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s were classified into 3 different models including substantially separate model, mixed program model, and inclusive and individual support model. The operation of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s was analyzed with 6 aspects including settings, staffs, funding, referral and practice for enrollment, program components and program evaluation. An overview of 23 different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s in colleges was summarized. Issues related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s in colleges constitute logistical issues, inclusion in college classes, job training issues, lack of interagency collaboration, lack of follow-up and documentation and other issues. Finally, some suggestions for the advancement of developing and implementing of the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s for person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Korea were provided. 본 연구는 지적장애인 및 발달장애인의 중등이후(post-secondary)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문헌 연구로서 중등이후 교육 관련 연구논문(2000-2009년)과 미국 대학 내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의 실제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연구자료는 2가지로 논문과 실제 프로그램이었는데 각기 선정기준에 의거하여 미국의 중등이후 교육 관련 논문 총 32편과 전국 대학 내의 23가지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이 선정되었다. 중등이후 교육 논문의 연구주제는 크게 5가지: 중등이후 교육의 개관과 프로그램, 중등이후 교육과 관련한 법률, 중등이후 교육으로의 전환, 중등이후 교육의 다양한 지원, 기타 중등이후 교육과 관련한 쟁점으로 분류되었다.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의 개관은 프로그램 유형, 운영, 프로그램의 실례를 중심으로 알아보았다.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 유형은 실질적 분리모델, 혼합 프로그램 모델, 통합적 및 개별적 지원 모델로 나눌 수 있었으며, 프로그램 운영은 환경, 스텝, 재정, 입학의뢰 및 입학의 실제, 프로그램의 구성요소 및 프로그램의 평가라는 6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대학 내 프로그램 실례는 장소, 대상, 기금, 스템, 교육내용 및 교육과정으로 요약되었다.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의 실행에 관한 쟁점은 프로그램 실행관련 문제, 대학 수업에 통합되는 문제, 직업훈련 관련 쟁점, 기관간 협력의 결여, 프로그램의 사후지도 및 문서화 결여 및 기타쟁점으로 지적될 수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는 국내의 지적장애인 및 발달장애인을 포함한 중도장애인을 위한 중등이후 교육의 개념정립, 정책 수립 및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실시의 필요성이 높은 현 시점에 시의적으로 유용한 기초 자료를 처음으로 제공하는 의의를 가지며 우리나라 중도장애인의 중등이후 교육의 활성화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발달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 경험과 의미

        최연진,임경원 한국평생교육학회 2019 평생교육학연구 Vol.25 No.4

        이 연구는 최근 발달장애인을 위한 고등교육 서비스가 확대되어감에 따라, 현재 대학생활을 영위하고 있는 발달장애 대학생의 대학생활에 대한 경험과 그 의미를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발달장애인을 위한 학위과정의 고등교육서비스를 제공하는 Y대학 Z학과에 재학 중인 발달장애 대학생 5명을 참여자로 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발달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에 대한 경험과 의미는 ‘대학, 내 삶의 터닝 포인트’, ‘학과, 비로소 내가 섞일 수 있는 곳’, ‘대학은 큰 사회로 나가기 전 작은 사회’, ‘대학생활의 목표, 좋은 곳에 취업하는 것’의 4가지 상위범주와 17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54개의 의미단위가 도출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첫째, 발달장애인 당사자가 구성하는 고등교육의 의미에 대해서 파악할 수 있었으며 둘째, 고등교육이 발달장애대학생에게 중요한 성장의 장이 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셋째, 발달장애인을 위한 지원과 환경 조성에 필요한 여러 가지 조건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With the recent expansion of higher education service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university life experiences and meaning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re is only one university that has a department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Korea.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five students in the department.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this research.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s a result, four upper themes were categorized: (1) university, turning point of my life; (2) major, the group that I can mix with; (3) University, a small society before bigger society; and (4) The purpose of university life is finding a good job. These upper themes have 17 sub-themes and 54 meaning units.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was able to identify the experiences and meanings of university life that were composed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econd, higher education means a place for growth for the students. Third, this study was able to get information about various conditions required for support and environmental development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