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한국인의 젠더정체성과 젠더갈등

        김기동(Kim, Gidong),정다빈(Jung, Da Bin),이재묵(Lee, Jae Mook) 한국정치학회 2021 한국정치학회보 Vol.55 No.4

        이 연구는 한국인들의 젠더정체성에 대한 직접적인 측정을 통해 생물학적인 성별이 아닌 사회학적인 젠더정체성을 이용하여 젠더갈등을 분석한다. 특히, 젠더갈등에 대한 간접적인 측정방식에서 벗어나, 사회정체성 이론에 근거하여 내집단 성별과 외집단 성별을 구분하고, 각각에 대한 정서적 태도격차로서 표현되는 젠더갈등을 측정함으로써 분석을 실시한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에 따르면, 첫째, 한국인들의 젠더정체성은 성별과 소속집단에 따라 그 수준이 상이하다. 둘째, 사회정체성 이론이 제시하듯이, 젠더정체성이 높을수록 젠더갈등의 수준도 높다. 또한, 이러한 패턴은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더욱 두드러진다. 셋째, 다른 연령집단보다 20대가 더 높은 젠더갈등 수준을 보인다. 넷째, 젠더갈등 수준이 높은 사람들일수록 정당정치에서의 정서적 양극화 수준도 높은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젠더갈등의 정치화 가능성을 시사한다. We examine gender identity and gender conflicts among South Koreans. By measuring gender identity, we analyze gender conflicts via sociological gender, instead of biological sex. In addition, relying on social identity theory, we provide direct measures of gender conflicts based on in-group and out-group gender. According to our findings, first, the level of gender identity is different depending on one’s sex, income level, residence region, religion, and partisanship. Second, individuals with higher levels of gender identity are more likely to show higher levels of gender conflicts. And, this pattern is more salient among women than among men. Third, the twenties are more likely than other age groups to have higher levels of gender conflicts. Lastly, as individuals have higher levels of gender conflicts, they are more likely to show higher levels of partisan affective polarization as well, which implies the possibility of politicization of gender conflicts.

      • KCI등재

        한국 사회 내 젠더갈등과 편향성의 동원

        구본상 서강대학교 현대정치연구소 2023 현대정치연구 Vol.16 No.2

        This study examines the potential mobilization of gender conflict, a topic that gained prominence in the milieu of the presidential election. Drawing upon data from a series of surveys conducted during the campaign of the 20th presidential election, immediately in its aftermath, and at a subsequent point in time, this study analyzes the gender gap in policy attitudes, gender-based perceptions of conflict, and their sustained presence within the South Korean societal context. The empirical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during the election campaign, distinct differences in policy attitudes between men and women in their 20s were observed, and a politically conservative cluster was detected among young men. Second, in the April 2022 survey, relationships between political variables and gender-based perceptions of conflict were observed, but these relationships disappeared in the January 2023 survey. In particular, the strong association between gender-based perceptions of conflict and political polarization no longer appeared. Third, while the abolition of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has already become a distinct political issue, separate from sexist perceptions, other issues, such as the physical fitness standards for women police officers, remain on the periphery of political debate. In conclusion, the manifestation of gender conflict observed in Korean society appears less a reflection of deeply-rooted cleavages, and more indicative of a political mobilization of the gender disparity observed among the younger generationthrough targeted issues. 본 연구는 대선과정에서 주목받은 젠더갈등이 정치적으로 동원되었을 가능성에 주목한다. 제20대 대통령선거 과정, 선거 직후, 그리고 선거 이후 일정 시간이 지난 시점에서의 조사결과를 활용하여 우리 사회에서 젠더 간 이념적 차별성, 젠더갈등 인식에서의 성차, 젠더갈등 인식의 지속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한다. 경험적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거운동 과정에서 20대 남녀의 정책이념 간 차별성은 뚜렷해졌고, 청년 남성층 가운데 정치적으로 보수성이 강한 군집이 감지되었다. 둘째, 성별, 연령, 세대 외에도 다양한 정치변수와 젠더갈등 인식 간 연관성이 2022년 4월 조사에서 확인되었으나, 2023년 1월 조사에서는 사라졌다. 특히, 젠더갈등 인식과 정치적 양극화 간 강한 연관성이 더 이상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여성가족부 폐지는 성차별주의적 인식과는 별개로 이미 정치 쟁점화된 반면, 여경 체력검정 기준과 같은 쟁점은 아직 정치적으로 동원되지는 않았으나 정파적 변수와도 연계를 보임으로써 향후 정치적 동원 가능성이 감지되었다. 결국, 현재 한국에서 드러난 젠더갈등 양상은 근본적인 균열에 기반을 두고 있다기보다 청년층에 존재하는 성차가 특정 쟁점을 통해 정치적으로 동원된 것이라고 추론해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