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위법수집증거의 배제 - 최근 대법원 판례의 흐름에 관하여 -

        박이규 경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慶南法學 Vol.26 No.-

        이 글은 형사소송법 제308조의2(위법수집증거의 배제)와 관련하여 최근 선 고된 대법원 판결의 흐름을 정리하면서 그 취지를 나름대로 음미해 보기 위하여 작성되었다. 대법원 2007. 11. 15. 선고 2007도3061 전원합의체 판결은 적법한 절차 에 따르지 아니하고 수집한 증거에 관하여 원칙적인 증거능력 배제, 예 외적인 증거능력 인정이라는 법리를 선언하였다. 위 판결은 ‘헌법과 형 사소송법에 마련된 절차 조항’ 자체가 ‘적법한 절차’를 구현한 것이고, ‘그 조항을 따르지 아니한’ 것 자체가 바로 ‘적법한 절차에 따르지 아니 한’ 것이라고 선언함으로써 절차 조항의 규범력을 강조하고 있다. 또, 비 교형량을 고려하기는 하지만, 증거능력 배제의 원칙이 흔들리지 않아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대법원은 위 법리를 진술증거와 비진술증거에 모두 용하고 있다. 대법원은 위법수집증거를 기초로 하여 획득한 2차 증거에 대하여도 원칙 배제, 예외 인정의 법리를 적용한다. 이때는 인과관계 희석 또는 단 절 여부를 중심으로 한 비교형량이 중요한 문제로 부각된다. 한편 대법 원은 수사기관이 영장주의에 위반하여 수집한 증거에 대하여 당사자의 동의에도 불구하고 증거능력을 인정할 수 없다는 태도를 취하였다. 또, 권리나 이익을 직접 침해당한 사람이 아니라도 증거능력 배제를 주장할 수 있다고 한다. 대법원은 수사기관이 아닌 사람이 위법하게 증거를 수집한 경우에는 제반 사정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증거능력의 인정 여부를 판단하고 있 다. 이는 수사기관의 경우와는 사뭇 다른 판단 방법인 것으로 보인다. 모름지기 원칙은 원칙답게 규범력과 지배력을 인정받고 실제 기능하 여야 하고, 예외는 말 그대로 드물게 눈에 뜨이는 예외의 자리에 머물러 야 한다. 일부에서는 수사 및 증거수집에 관한 현행 법령 조항 중에는 실 무상 준수하기 어려운 불합리한 부분들도 남아 있음을 지적한다. 그러한 조항들에 대한 합리적인 수정과 보완 없이 함부로 위법수집증거의 배제 를 강행하는 것은 사회 방위와 피해자 보호에 심각한 위기를 초래할 것 이라고 경고하기도 한다. 위와 같은 문제는 시급히 위 조항들을 재정비 하여 합리적이고 현실적인 수사 및 증거수집 절차 조항을 도출하는 방법 으로 해결하여야 한다. 위법수집증거의 배제 조항이 제대로 기능하지 않 는다면 위와 같은 재정비 노력의 필요성조차 인식되지 못할 것이다. 이 는 법 따로 실무 따로 흘러가는 왜곡된 모습으로 귀결될 수밖에 없다. 결 국, 위법수집증거의 배제 조항이 확고하게 자리잡도록 하는 것은 수사 및 증거수집 절차 조항을 합리적이고 현실적으로 재정비하고 이들 조항 이 수사 실무에서 실제로 행동 준칙으로 기능하도록 함으로써, 헌법이 선언한 법치주의와 적법절차를 실현하는 출발점이라고 생각한다. This paper sets out to savor the significance of the recent decision of the Supreme Court on the ‘Exclusion of Illegally Obtained Evidence’ as prescribed in Article 308, Section 2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while attempting to explore the overall underpinnings of the decision. The Supreme Court in the case 2007Do3061, through an En Banc decision rendered on November 11, 2007, recognized that evidence collected without following lawful procedures would be inadmissible as a matter of law. In respect to such evidence, only in exceptional cases would the evidence be admissible. In its decision, the Court emphasized the normative aspect of the provision in the Criminal Procedure Act by recognizing that the provision, as prescribed according to the Constitution and the Act, is the realization of lawful procedures. This further indicates that failure to adhere to the provision, in itself, implicates lawful procedures were not followed. In addition, though a balancing test is applied, the Court called to attention that the exclusionary rule should be firmly applied to establish its principles. The Supreme Court applies these principles to both testimonial and non-testimonial statements as well. The Court recognized the applicability of the exclusionary rule to secondary evidence gathered through illegally obtained evidence. The balancing test, in this case, focuses on the distortion and severance of causation. The Supreme Court holds the position that even if the parties consent to the investigating authorities to collect evidence, when the agencies violate the principles of the warrant requirement, the evidence becomes inadmissible. In addition, persons who were not violated of their rights or interests directly may also argue the inadmissibility of evidence collected through such means. In cases where an individual, and not the investigating authorities, has collected the evidence illegally, the overall circumstance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determining the admissibility of the evidence. This, compared with investigative agencies, is to some extent different. Although norms and governing authorities need to remain as close to the underlying principles while its actual functions are recognized and acknowledged, the exceptions, on the other hand, must be limited to those exceptional cases without overwhelming the general rules. Some have noted the difficulties of following the current law on investigating and collecting evidence in practice. Furthermore, others warn, without sensible modifications and amendments of the current provisions, enforcing exclusion of illegally collected evidence is a disaster bound to occur. Yet, the aforementioned issues must be resolved through re-evaluating the provisions and ensuing provisions that will allow reasonable and accurate investigation and evidence collecting as well. Without the exclusion of illegally obtained evidence provisions functioning properly, the need for efforts to improve the provisions will not be adequately recognized. This, unquestionably, will inevitably result in a separation between law and practice as a consequence. Eventually, to allow the provisions to effectively take effect means improving the investigation and evidence collection procedures provisions as reasonable and accurately as possible to operate as standards to follow in practice for investigations. It is only then that the possibility of achieving constitutionalism and due process of law under the Constitution becomes feasible.

      • KCI등재

        프랑스의 위법수집증거 취급방법 개관

        한제희(Hahn, Jae-Hui) 한국형사소송법학회 2011 형사소송 이론과 실무 Vol.3 No.2

        2008년 1월부터 시행되고 있는 우리 개정 형사소송법은 신설된 제308조의2에서 《적법한 절차에 따르지 아니하고 수집한 증거는 증거로 할 수 없다.》라는 내용으로 위법수집증거 배제원칙을 명문화하였고, 이에 따라 위법수집증거 배제원칙의 활발한 적용과 다양한 해석을 기대해 볼 수 있게 되었다. 위법수집증거 배제원칙과 관련한 쟁점으로는, 위 제308조의2에서 규정한‘적법한 절차’의 의미가 무엇이고 위법한 증거로 취급되어 배제되는 기준이 어떠한지, 독수과실이론의 적용범위는 어떠한지, 비진술증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위법한 진술증거의 경우에도 예외적으로 증거능력을 인정할 수 있는지, 제3자로부터 위법하게 수집된 증거를 피고인에 대한 유죄의 증거로 사용할 수 있는지, 사인이 수집한 증거에도 위법수집증거 배제원칙이 적용되는지 등을 들 수 있다. 다만, 최근 위법수집증거 배제원칙에 대한 다양한 비교법적 연구에서도 프랑스의 논의상황을 본격적으로 연구하거나 소개하는 예는 매우 드문 것으로 보이는 점에 착안하여, 프랑스 형사절차에서도 위법수집증거 배제원칙이 인정되고 있는지, 그리고 우리의 위법수집증거 관련 쟁점을 연구하는 데 있어 어떤 참고할 만한 논의내용이 있는지 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프랑스 형사증거법의 대원칙은 증거자유의 원칙과 자유심증주의인바, 이에 따라 증거능력의 측면에서는 원칙적으로 모든 증거방법에 대해 증거능력이 인정되고, 증명력의 측면에서는 법관이 자유심증에 의해 각 증거의 증거가치를 평가할 수 있다. 다만, 증거자유의 원칙은 적법한 증거의 사용을 전제로 해야 한다는 제한이 있는 원칙이다. 여기서 프랑스 형사절차는‘절차의 무효’라는 형사소송법상의 제도와 판례에 따른 ‘적법절차 원칙’을 마련하여, 위법하게 수집된 증거가 증거로서 수집되거나 사용되지 않도록 통제하고 있다. 프랑스의 경우, 본질적으로 중요한 절차의 위반, 그리고 그 절차가 보호하려는 이익과 그 위반으로 침해되는 이익과의 비교형량 등이 위법증거를 판단하는 기준인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어느 한 행위의 위법은 그 행위 자체와 필연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행위를 무효화시킨다고 하여 독수과실이론이 인정되고, 그러한 필연적인 관련이 없는 행위에 대해서는 독수과실이론의 예외가 인정된다. 아울러, 사인이 수집한 증거에 대해서는 위법수집증거 배제원칙이 적용되지 않는다는 프랑스의 확립된 판례를 살펴보았다. Our amended Criminal Procedure Code, which is being undertaken since January 2008, stipulates the principle of excluding illegally collected evidence. There seems to be a very rare example of introducing and studying the discussion status of France in various comparative studies of law about the principle of exclusion of illegally collected evidence in recent time. Through this, this paper examines whether the French criminal procedure also recognizes the principle of exclusion of illegally collected evidence and there are any such discussions worth noting as studying the issues to our illegally collected evidence cases. The principles of French criminal evidence law recognize, in principle, admissibility of evidence in all the evidence methods in terms of admissibility of evidence due to the principle of evidence freedom and the principle of free evaluation of evidence. And in terms of evidentiary, judges assess the value of each evidence by free evaluation. However, the principle of freedom of evidence should be limited to the legitimate use of evidence. French criminal procedure establishes 'the principle of due process' according to the system of Criminal Procedure Code, called 'invalid procedure' and the previous judgments and controls so that illegally collected evidence is not used as legitimate evidence. In the case of France, the violation of important procedures and comparative sentence between procedures to protect its interests and benefits and that would be infringed by the breach are essentially the criteria to determine illegal evidence. And, an act, which is unlawful, nullifies the other acts, which are consequently related to the act itself, so fruit of the poisonous tree doctrine is recognized. And such consequent non-related acts are recognized by exceptions of fruit of the poisonous tree doctrine.

      • KCI우수등재

        임의제출과 유사한 사례에서의 위법수집증거 판단기준 검토 - 대법원 2014. 2. 27. 선고 2013도12155 판결 -

        서원익 법조협회 2020 法曹 Vol.69 No.5

        The recent Supreme Court sentence was judged to be legitimate as the confiscation of items arbitrarily submitted by the arrestee, even in cases where the arrest of a current criminal or an emergency arrest, etc., or the superior situation of the investigative agency were premised. And, if the submitted object is a mobile phone, the photo printed from the mobile phone is regarded as evidence obtained through a legal procedure. This judgment was regarded as evidence of illegal collection, as the electronic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seizure and search warrant was not related to the allegations in the warrant. Nevertheless, for new evidence acquired using the electronic information as a clue, different judgments were made depending on the situation in which the electronic information was presented. By differentiating the judgment of the illegality of the secondary evidence obtained by presenting the printout and the secondary evidence obtained without presenting it, the evidence ability was recognized only for the latter secondary evidence. However, after the seizure of the storage media, if the confiscated person organizes the restored data and submits it to an investigative agency, and if randomness is recognized in such a process, it should be considered similar to the effect of the seizure as a voluntary submission. In addition, even if the evidence is collected regardless of the allegations stated in the warrant, for the results of the relationship investigation based on the evidence and the materials to be submitted voluntarily, It is the realization of criminal justice to see the causal link between the violation of legal proceedings and the collection of secondary evidence diluted or broken. 최근 대법원은 현행범 체포나 긴급체포 등 긴급하거나 수사기관의 우월적 상황이 전제되는 경우임에도 피체포자가 임의로 제출한 물건에 대해서는 임의제출물에 의한 압수로서 적법하다고 선고하였다. 또한 임의제출된 물건이 핸드폰일 경우 핸드폰에서 출력한 사진도 적법한 절차에 의해 취득한 증거로 판시하고 있다. 대상 판결은 압수수색영장을 통해 취득한 전자정보가 영장에 기재된 혐의와 무관하다고 보아 위법수집증거로 보면서도, 그 전자정보를 단서로 하여 취득한 새로운 증거에 대해서는 전자정보 출력물 제시 상황에 따라 다른 판단을 하였다. 수사기관이 출력물을 제시하여 취득한 2차 증거와 제시하지 않고 취득한 2차 증거에 대한 위법성 판단을 달리 하여 후자의 2차 증거에 대해서만 증거능력을 인정한 것이다. 그러나, 저장매체물의 압수 후, 피압수자가 복원된 자료를 정리하여 수사기관에 제출하고, 그러한 과정에 임의성이 인정된다면 임의제출물로서 압수의 효력과 유사하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자백증거의 증거능력에 관한 법해석론적 고찰

        김성진(Sung Jin Kim ),이춘산(Chun San Lee) 중앙법학회 2015 中央法學 Vol.17 No.3

        As the principle of exclusion of evidence illegally obtained is expressly stipulated expressively under Article 308-2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the change with respect to the scope of application of confession rule under Article 309 which is used by the criterion of probative value with confession is also inevitable. 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confession illegally obtained, the probative value of the confession can be excluded under the Article 308-2 without applying to the confession rule under Article 309. In this regard,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fession rule and principle of exclusion of evidence illegally obtained in order to decide the probative value of confession evidence. In addition, it explores a reasonable method with respect to the decision of the probative value of confession evidence. The detailed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a relationship between the confession rule under Article 309 and principle of exclusion of evidence illegally obtained under Article 308-2. Article 309 gives the examples such as torture, violence, threat, etc. as an illegal way to obtain illegal evidence so that an essential content is seen as excluding the probative value of confession evidence which is doubtable of voluntariness. By contrast, Article 308-2 is comprehended as the principle of exclusion of evidence with respect to all of the evidence obtained by illegal ways regardless of confession or not. Therefore, in the case of confession, there are two things, one of which is related to the case of excluding evidence by the confession rule under Article 309 and the other is related with the case of excluding evidence by the principle of exclusion of evidence illegally obtained under Article 308-2. As a result, not only the evidence without voluntariness obtained by an legal procedure, but also the confession obtained by violating the legal procedure which has voluntariness can not be denied as probative values. Second, it is the order of application with respect to both principles. In principle, the probative value of confession shall be decided by the confession rule and it shall be applied by the principle of exclusion of evidence illegally obtained only if the probative value of confession illegally obtained is problematic. This regard is not a problem even though the probative value is decided by the perspective of theory of voluntariness through applying to the confession rule with torture, violence, threat, illegal long-term period of restriction of body, fraud under Article 12(7) of the Constitutional Law and Article 309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Third, it is about whether or not there is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illegality of procedure and confession. In the case of confession, it is necessary to prov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illegality of procedure and confession in order to apply the confession rule. On the other hand, it is not necessary to prove it in order to the principle of exclusion of evidence illegally obtained. Lastly, it is the criterion of exclusion of evidence. The evidence of confession denies the probative value with no exception because it affects a value of evidence with confession evidence by violation of procedure of confession obtained unlike material evidence. Therefore, there is not problem to secure the effectiveness of exclusion of evidence despite the principle of exclusion of evidence illegally obtained with respect to confession evidence.

      • KCI등재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

        류지영(Ryu Jee-Yeong) 한국법학회 2008 법학연구 Vol.29 No.-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은 그동안 학설과 판례로서 널리 인정되어 왔으나 개정된 형사소송법에서는 이를 명문으로 규정하여 법적근거를 지닌 일반원칙으로 작용하게 되었다. 그러나 명문규정에도 불구하고 표제어와 법내용이 상이하여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을 가지게 되었다. 적법절차원리는 우리 헌법상에 명문으로 규정된 헌법상의 원칙이고 모든 국가권력이 기속을 받는 헌법상의 일반 원리이다.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은 형사소송에서 적법절차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은 미국법에서 유래한다. 이에 필자는 미국, 일본, 독일, 영국의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의 운영현황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경우와 비교ㆍ검토하였다. 신설된 형사소송법상의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의 명문규정의 문제점은 표제어와 내용이 불일치하여 실제 해석상에서 위법수집된 증거의 증거능력을 인정하는 범위를 기준에 따라 달리 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신설된 조항이 의미를 가지려면 엄격한 해석을 통하여 적법절차에 위반하면 증거능력을 부인해야 실질적 기능을 하며, “적법한 절치에 따르지 아니하고 수집한 증거”의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여 법적안정성을 기할 필요가 있고, 그런 의미에서 비진술증거에 대한 배제법칙의 선언도 필요하며 법적용기관의 노력도 수반되어야 한다. This Paper studies the Exclusionary Rule of Illegally Collected Evidence in Criminal Procedure Code, especially in Relation to Revision Criminal Procedure Code §308-2. The Exclusionary Rule of Illegally Collected Evidence is the part of Criminal Procedure Code that it does not admit as Evidence ability of the Illegally Collected Evidence. The Illegally Collected Evidence is constituent in ways of human rights infringement. The administrative problem of permissibility of Evidence ability is based on two ideas: how to achive harmony in mutual contradiction between the free conviction doctrine and the substance true discovery doctrine, or ask of the movement of the enemy safeguarding fundamental human rights. The problem of harmony doesn't solve the conflict between voluntary search and the idea of safeguarding human rights in Criminal Justice. This important problem is widely discussed. Fragmentary and Superficial approachment is not problem solution of systematic, more synthesis and inclusive studies. As a result, It considered in the Exclusionary Rule of Illegally Collected Evidence in Criminal Procedure Code in Korea, especially in Relation to Revision Criminal Procedure Code §308-2. It approach how to develop the Exclusionary Rule of Illegally Collected Evidence. In Criminal Procedure Code, about evidence ability or recognize of Illegally Collected Evidence, ask of true discovery doctrine and from this point of safeguarding human rights, what point of harmony to constitutional ideas in asking the movements of the Due Process.

      • KCI등재

        위법하게 수집한 증거의 예외적 허용에 관한 소고

        한성훈(Han, Sung Hoon)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法學硏究 Vol.15 No.1

        우리나라 형사절차에서 초법규적 일반원칙으로 기능하고 있던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은 2008년부터 시행하고 있는 개정형사소송법 제308조의 2에 "위법수집증거배제"라는 제목으로 명문화 되었다.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의 명문화는 진술증거와 비진술증거를 연결하는 중요한 법적근거를 가진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형사소송법 제308조의 2의 적용근거 즉, 피의자·피고인의 인권보호와 실체적 진실발견이라는 충돌하는 양대 이념의 타협의 산물의 근거를 "적법절차"라는 개념으로 규정하고, 이 개념을 우리 입법자가 실체적 진실발견의 이념보다는 적법절차의 준수에 따른 피의자·피고인의 인권보호에 보다 더 비중을 둔 인권의 우월성을 전제로 한 개념으로 이해함으로써 현 시점에서 많은 논란이 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의 해결방안으로 충돌하는 양대 이념의 타협의 결과로 만들어진 형사소송법 제308조의 2는 규정이 단지 상징성과 선언적 의미에 그치지 않고 정당성과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위법하게 수집한 증거의 예외적 허용과 그 기준이 필요하다. 이는 위법하게 수집한 증거의 예외적 허용이 갖는 함의가 매우 크기 때문이다. 비교법적으로도 현재 위법하게 수집한 증거의 예외이론이 많이 발달되어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한편 위법하게 수집한 증거의 예외적 허용과 그 기준은 형사소송법 제308조의 2가 피의자·피고인의 인권보호뿐만 아니라 실체적 진실발견이라는 충돌하는 양대 이념의 적절한 조화를 이루어낸 타협의 산물이 되어야 한다. 그러한 점에서 볼 때 헌법재판소와 대법원이 제시하고 있는 기준들이 피해자의 기본권 보장의 측면도 고려한 기준으로 보여진다. 또한 미국의 선의의 예외이론도 우리나라 현실에 적용할 수 있는 예외적 허용 기준이 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즉 수사기관이 의도하지 않은 경우뿐만 아니라 수사기관이 수사활동시 흔히 범하는 절차위반여부에 대한 행위준칙을 제공해 줄 수 있기때문이다. 형사소송법 제308조의 2는 충돌하는 양대 이념의 조화를 위해 만들어진 규정이다. 따라서 동 규정은 피의자·피고인의 기본권 보장에 한정되어 있지 않고 실체적 진실발견에 의한 피해자의 권리보호 또한 포함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점들 고려하여 형사소송법 제308조의 2를 적용하는 경우에 비로소 적법한 절차와 인권보호는 물론 실체적 진실발견의 이념을 고려한 균현 잡힌 결론에 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지금이라도 2007년 형사소송법 개정을 통해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을 명문으로 규정한 의미와 그 속에서의 우리의 선책, 즉 현재 시민들이 요구하는 것이 무엇인지 다시 한 번 생각 볼 필요성이 있다. 이는 바로 위법하게 수집한 증거의 예외적 허용이 갖는 의미가 적법절차원칙과 실체적 진실발견과의 희생과 양보를 통한 조화 또는 절충이 현재 시민들이 형사소송법 제308조 2에 기대하고 있는 것이라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Before this, we meditated undertone of exceptionally permissible range of illegally collected evidence by reviewing necessity and standard of range of application of the law of exclusion of illegally collected evidence. The Criminal Procedure code title 308 section 2 is a rule that stipulated The law of exclusion of illegally collected evidence which has acted as supralegal principal in traditional Korean Criminal law procedure, it became very important general principal that perform connecting between testimony evidence and opponent one with a legal basis. But by absence of detailed standard of Criminal law title 308 section 2 caused by a rough-and-ready lawmaking, an interpretation is occureed. That is, because a lawmaker regarded "legal procedure" more likely the protection of suspects or defendants by following legitimate process than ideology of truth. So, because it protect basic human rights, if Criminal law title 308 section 2 is applied to illegally collected evidence, the constitutional function can be hold. However in Criminal Procedure code area, protection of victim"s right is also a guidance ideology of not only Constitution but Criminal Procedure code, if Criminal law title 308 section 2 is applied this way, a well-balanced reult can be made. In this point, undertone of a exceptionally permissible range of illegally collected evidence is very meaningful. furthermore, to secure justification and effectiveness of Criminal law title 308 section 2, exceptively acceptable standard of illegally collected evidence is needed. That should be detailed and effective to be applied to court and investigation. Good faith exception and not being infringed basic rights might be exceptively permitable standards of illegal collecting evidences. For effective working of Criminal law title 308 section 2, Because considered and suggested standards aren"t enough to be exception or appliance of it, mutual efforts between court and investigation agency to establish the rule of getting and preferring legitimate evidences is needed.

      • KCI등재

        긴급 압수수색에 대한 사후영장의 성질과 효력

        이완규(Lee, Wan-Gyu) 한국형사소송법학회 2012 형사소송 이론과 실무 Vol.4 No.1

        2007년에 개정된 형사소송법에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이 명문화되어 그 배제가 물적 증거에 까지 적용되게 되었다. 종래에는 증거물의 취득절차상위법이 있어도 그 증거능력을 인정하여 왔기 때문에 긴급 강제처분에 관한 해석론이나 입법론과 관련한 논의가 깊고 충분하지 못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러한 연구상황에서 갑자기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이 규범화되니 개정법 시행 후에 긴급 강제처분의 위법성 여부에 대한 다툼이 빈발하게 발생하게 되는데 반하여 실무는 이와 같이 나타나는 각종의 문제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이론구성이 시급해졌다고 하겠다. 또한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을 규범화하려면 그 전제로 수사기관으로 하여금 증거물을 합법적으로 취득할 수 있는 절차의 보완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 부분도 미흡하여 실무상 공백이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실무상의 불합리한 공백에 대한 보완적인 입법화도 시급하다. 그러나 입법론은 별론으로 현행법의 해석론으로서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부분은 적절한 해석론이 전개됨으로써 해결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할 것이므로 이에 대한 노력이 시급한 실정이다. 현행법상의 긴급압수수색에 대한 사후영장의 성질은 헌법해석을 토대로 한 입법자의 입법적 선택의 틀 안에서 해석되어져야 할 것이고 새로 도입된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을 적용하기 위한 영장주의위반의 문제도 이러한 해석론에 따라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The law of illegal collection evidence exclusion was stipulated in the modified Criminal Procedure Code in 2007 so that the exclusion has been applied to material evidence. Previously, the evidence ability was recognized even if there was illegality in the process of obtaining the evidence. Thus, there was no deep and sufficient discussion regarding interpretation or legislation about urgent coercive measure. In such research situation, the law of illegal collection evidence exclusion was suddenly regulated and there have been frequent conflicts about illegality of urgent coercive measure but it became pressing to organize a theory to respond to diverse problematic situations in the field. Moreover, the process of legal obtainment of evidence should be supplemented in the investigation organizations if the law of illegal collection evidence exclusion would become regulated, but it is not enough so there is a blank in the field. It is urgent to legalize supplementary for irrational blank in the field. However, the theory of legislation is a separate theory that it is proper to solve parts those can be solve rationally with the theory of interpretation in existing law, so that the efforts for this is also pressing. The properties of post-warrant for urgent seizure and search in the existing law should be interpreted within the legal selection frame of the legislator based on the interpretation of constitution, and the problem of warrant system violation for applying newly introduced the law of illegal collection evidence exclusion also should be reviewed according to such theory of interpretation.

      • KCI등재

        정보저장매체 임의제출 후 집행과정의 참여권 보장과 증거능력 - 대법원 2023.9.18. 선고 2022도7453 전원합의체 판결 -

        이창현 한국형사소송법학회 2023 형사소송 이론과 실무 Vol.15 No.4

        In the case of the target judgment, when the principal offender A handed over the information storage medium to B and ordered it to be concealed, B received it and concealed it, he was criminally charged with concealing evidence and submitted the information storage medium to the investigative agency. The investigative agency guaranteed B and his attorney the right to participate in the process of searching, copying, and outputting electronic information stored in the information storage medium, but did not guarantee A and others the right to participate.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existing precedent that the right to participate is recognized if the suspect who is not the confiscated is exceptionally considered a real confiscated person, the majority opinion judged that the right to participate was recognized because the right to participate was legally guaranteed, while the opposition judged that the right to participate was not guaranteed because A and others were recognized as actual confiscated. As Article 219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applies mutatis mutandis to the seizure and search procedures for the accused during the trial, Article 121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shows that the right to participate should be guaranteed to the suspect, and Articles 118 and 129 show that the right to participate is confusing, so legislative improvement should be realized as soon as possible. If the right to participate is guaranteed to all of them if the suspect and the confiscated person are different, the discussion of the majority opinion and the dissenting opinion is meaningless, and even if not, it is reasonable to guarantee the right to participate by recognizing A as a substantial confiscated person, as in the objection of the target judgment. However, it is reasonable to acknowledge the evidence capability of the illegal collection evidence exclusion law by acknowledging the exception of the law of exclusion of illegal collection evidence, as well as actively confirming the right to participate in cases where there are several people, such as the suspect, the confiscated, or between the suspects, but if it is difficult to identify the suspects at the time or their interests are consistent or very similar, it is reasonable to admit the evidence capability by acknowledging the exception to the law of exclusion of illegal collection evidence.

      • KCI등재

        위법수집증거의 증거능력배제 기준에 관한 고찰

        이광수 ( Kwang Soo Lee )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08 一鑑法學 Vol.14 No.-

        The Exclusionary Rule of Illegally Collected Evidence is introduced in the recently revised Criminal Procedure Act in Korea. From the viewpoint of the idea of truth-finding and due process, as is the principal of the constitutional law, both are not correct to recognize the illegally collected evidences and to deny totally. It must be testified case by case in deference of the meaning of the clause, the contents and the grade of the violation, the reason and the possibility of avoidance, the character of the rights or the benefits and protections of the law which the procedure clause protects, the grade of the violation, the relation with the accused, the causation between the violating acts and the collection of the evidences and the recognition and the intention of the investigator. Generally the principals such as the principal of the writ, the protection of the privacy and the personal rights can be criterion of the exclusion of the evidences. I studied the several cases from the viewpoint of those principals in this paper. Also, the interpretation of the clauses must be correspondent with the purpose of those clauses, especially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Act of the Protection of the Secrets of the Communication. It will be developed by the accumulation of the judicial precedents and the theories.

      • KCI등재

        디지털증거 압수,수색에서 유관정보 확인 이후 절차와 증거능력

        박민우 ( Min Woo Park )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16 고려법학 Vol.0 No.81

        일명 종근당 사건으로 불리는 대법원 2015. 7. 16.자 2011모1839 결정으로 디지털증거에 대한 영장실무에는 큰 변화가 있었고, 그동안 디지털증거를 둘러싼 논쟁의 많은 부분이 일단락되었다. 주요 내용을 살펴보자면 유체물이 아닌 정보 그 자체가 압수의 대상이라는 점을 전제하여 정보의 탐색과 추출을 영장집행의 일환으로 보게 되었으며, 압수목록에는 저장매체가 아닌 정보의 상세목록을 기재해야 함과 관련성 없는 정보를 폐기해야 한다는 의무를 확인하였다. 이는 디지털증거 압수·수색에 관하여서는 영장발부의 적법성이 아닌 영장집행의 적법성이 가장 중요한 쟁점이 될 것임을 시사하고 있는 대목이다. 그런데 영장집행의 적법절차에 관한 논의는 주로 집행의 착수부터 그 종료까지 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었고, 집행종료 전후를 둘러싼 문제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관심이 적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압수목록의 교부, 압수된 디지털증거의 정보주체에 대한 통지, 관련성 없는 정보의 폐기의무에서 문제되는 위법요소와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의 적용 여부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디지털증거 압수·수색의 종료시점은 저장매체의 반출이 아닌 정보의 탐색과 추출이 끝난 시점임을 확인하였으며, 증거능력의 배제를 위해서는 적법절차의 실질적 내용이 침해되었을 뿐만 아니라 그 침해가 증거수집 과정에서 이루어졌어야 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압수목록 교부의 경우 집행종료와의 불가분적인 관계를 감안, 증거수집 과정임을 인정하고 ``시간``과 ``내용`` 두 가지 측면에서의 하자를 살펴보았다. ``시간``의 경우 피압수자가 관련성 없는 정보가 압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어권을 침해받을 정도의 지체가 있었는지를 기준으로 증거능력의 유무를 판단해야 하며, ``내용``에 관하여는 디지털증거 특성상 빠짐없는 기재가 어려운 만큼 수사관이 압수목록 기재를 위해 ``통상적으로 요구되는 수준``으로 성실하게 직무에 임하였는지를 증거능력의 판단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 한편 정보주체에 대한 통지의무는 증거수집 과정이 아닌 그 이후의 절차에 해당하여 설령 의무위반이 있다 할지라도 증거능력에는 영향을 미칠 수 없다. 마지막으로 관련성 없는 정보의 폐기의무는 법령의 명시적 근거가 없더라도 헌법과 형사소송법에서 당연히 도출되는 요구이기에 법관이 영장별지를 통해 부과했더라도 정당성에 흠결이 있다고 할 수 없고, 폐기의무는 영장집행 과정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기 때문에 그 위반에는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이 적용된다. Decision of 2015. 7. 16. JA 2011 MO 1839 called Chong Kun Dang case by supreme court of Korea has led a great change in practice of issuing a warrant for digital evidence and major part of dispute about digital evidence has been concluded. An author of this paper considered search and extraction of information as a part of execution of warrant on the assumption that information itself not material things is the object of seizure and confirmed obligation that detailed list of information which is not storage media should be entered in seizure list and irrelevant information should be discarded which suggests that legitimacy of execution of warranty rather than legitimacy of issuance of warranty in search and seizure of digital evidence will be the most important issue. Discussion about legitimate procedure of execution of warranty has focused on execution of warranty and has shown little interest in matters around the end of execution of warranty. This study reviewed illegitimate elements that matter in issuance of seizure list, notification to subject of digital evidence seized, obligation of discarding irrelevant information and application of exclusionary rule. This study confirmed that time of completing search and seizure of digital evidence is the time when search and extraction of information are finished not carrying out of storage media and it is necessary that substantial content of legitimate procedure should be infringed and the infringement should be made in the course of collecting evidence to exclude admissibility of evidence. This study examined degree of delay of issuance of list and omission of entry so that delay of issuance of list and omission of entry can be taken as violation of legitimate procedure considering the fact that issuance of seizure list and completion of execution are inseparable from each other. This study examined focusing on whether obligation of notifying a subject of information is part of course of collection of evidence. This study examined whether it is legitimate for a judge to impose obligation of discarding irrelevant information without explicit basis of la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