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성통합적 복지국가재편 논의를 위한 여성주의적 비판 : Feminist Critiques on the 20th Century Welfare State

        이혜경,홍승아 한국사회보장학회 2003 사회보장연구 Vol.19 No.1

        최근 20여년간 복지국가 재편논의의 흐름에서 간과할 수 없는 변화는 사회복지정책에 어떻게 하면 양성평등 시각을 통합할 수 있을까 하는 질문에 현실적인 무게가 실리고 있다. 사회복지정책의 여성주의 비판은 전후 복지국가의 모형이 가족과 노동시장의 변화 속에서 더 이상의 현실적 정합성을 잃고 있으며, 기존의 복지정책이 성에 의해 분화되었다면 이후의 발전모형은 성이 통합된 모형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여성주의 연구들은 기존의 복지국가가 "남성-생계부양자, 여성-가정주부"라는 성별분업구조에 기반하고 있으며, 이를 기초로 임금노동에 기반한 복지수급권과, 여성의 경제자원에의 접근권 배제, 여성의 보살핌노동 책임 등이 결과되고, 궁극적으로 여성의 경제적 의존성 및 남편을 통한 파생적 복지수급권 등으로 나타나, 복지체계가 성에 의해 구성되고 있음을 비판한다. 한편 여성주의 연구자들은 Esping-Anderson(1990)의 기존의 복지국가 유형론이 분석대상 과 분석변수가 성변수를 간과하고 있다는 점을 비판하고, 성관점이 통합된 비교연구를 통하여 레짐별, 레짐내 차이들을 확인함으로써 성관점을 통합함으로써 복지국가 논의를 발전시킬 수 있음을 주장한다. 한편 탈상품화, 탈 가족주의 논의가 남성임금노동자를 주요대상으로 한 논의여서, 노동시장 바깥의, 유급노동을 하지 않는 사람이나 보살핌노동을 하는 사람의 문제가 방치되어 있으므로, 유급노동과 무급노동을 모두 포괄할 수 있도록 이론적 논의의 지평이 확대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성통합적 복지모델의 대안모색을 위해서는 "국가-시장-가족"의 관계에 대한 재인식과 남성생계부양자 모델에서 개별모델로의 이전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우선 기존의 "국가-시장"의 관계에서 방치되었던 가족을 재발견함으로써 복지공급에 있어서 가족의 역할과 가족이 국가와 시장을 연결하는 중요한 매개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또한 전후의 남성생계부양자 모델은 시민권의 개념에 기반한 개별모델로의 이전이 필요함을 살펴보았다. Over the last 20 years there has beer many critics on the welfare state, one of them is from the feminists. Feminists have criticized the existing welfare states are structured by gender which absolutely need to be changed by engendering them, Firstly, they emphasize the existing welfare state is based on the assumptions of"man-breadwinner/ woman-housewife" stereotype and gender division of labor. On the basis of these assumptions social policies have been developed by gender and the distribution of the welfare provisions also has been structured by gender. Secondly, from the standpoint of feminist, the welfare state regimes theory and the term of "de-commodification" of Esping-Anderson(1990) have serious faults, which are based on the (male) paid labor and neglected the unpaid carework and other domestic labor. Therefore they demand the horizon of the discussion of welfare state should be extended through encompassing both paid and unpaid labor which are simultaneously fundamental to the societies. Thrifty, we ran endeavor alternative model of welfare state by engendering welfare states. Here we propose two rudimentary themes, the reidentification of the relationship of the "state-market-family" and individual model of welfare model instead of male breadwinner model,

      • 복지국가 유형론에 대한 여성주의적 비판과 한국의 복지국가 성격 논의에 대한 함의

        황정임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센터 2002 이화사회복지연구 Vol.1 No.-

        Recently it is active to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welfare state which is based on the concept of Esping-Anderson's welfare state regime-types in social welfare discourse. However, it has been criticised for the possibility that Esping-Anderson's welfare state regime types could be a proper indicator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welfare state. In particular, it is pointed out the lack of consideration for new issues, such as the shift of family function, women's participation in labour market. Western feminists have also tried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welfare state since Esprng-Andersen's publication of Three Worlds of Welfare Capitalism. They analyzed that three indicators, - "de-commodification", "stratification", "the relations between the state and the market"- of Esping-Andersen's analytical scheme, cannot reflect female lives due to no consideration of gender dimension. It can be the linear process of the raised question of patriarchal characteristics of welfare state. Therefore, the welfare state models of Esping-Andersen attempted to categorize the welfare state regime through the fundamental standards of the feature of the visual regime. However feminists analyze that this phenomenon i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triarchal welfare state, including the gender division of labour and gender-biased citizenship. 최근 사회복지학계에서는 Esping-Andersen의 복지국가유형론에 근거한 복지국가 성격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Esping-Andersen의 복지국가유형이 한국의 복지국가 성격규명을 위한 적절한 기준이 되는가에 대한 논란도 있고, 특히 가족기능의 변화, 여성의 사회참여 등과 관련한 새로운 문제상황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다는 지적도 있다. 서구 여성주의자들도 Esping-Andersen의 복지국가유형론 발표 이후 복지국가의 성격 규명 을 시도해 왔다. 이들은 Esping-Andersen이 제기한 기준-탈상품화, 계층화, 국가와 시장과의 관계-이 성(gender)을 고려하지 못함으로써 여성의 삶을 반영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고 보았다. 이는 복지국가의 가부장적 속성에 대한 문제제기의 연속선상에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는데, Esping-Andersen의 복지국가유형론은 가시화된 제도적 특성을 가장 본질적으로 설명하는 기준에 근거해 유형화를 시도한 반면, 여성주의자들은 이러한 현상이 내재하고 있는 특성 즉 성별분업, 성중립적이지 않은 시민권 동의 가부장적 복지국가 속성에서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 Evaluating Welfare State in Gender Perspective

        오은실 한국사회학회 2008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Vol.2008 No.6

        Welfare state had been affecting women’s economic status, gender relationships, and rights as citizens.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paper is in feminists’ argument on welfare state. Since 1990s, gender perspectives on welfare state began to flourish. In the first part of this paper, I organize the suggestions by feminists on welfare policy. Adding up the arguments about gender balanced welfare policy, we can clearly see how feminists strived to form a framework for analyzing the gender content of the policy. However, even though there are a lot of conceptual work and argument about what is a gender balanced policy, there is no suggesting of the measuring the gender aspect of welfare state. On the second part, I show how OECD had been working on building index measuring gender. Gender index that OECD is making is not yet published material, rather a working on subject. I add four measurements to existing two index, GEI2007 and GID2006 based on the feminists argument mentioned in the first part. On the third section of the paper, a measurement tool called ‘Gender Index’ which is a combination of GEI2007 and GID2006 and additional index made based on the gender perspective is suggested. Gender Index is composed of six categories each having about four subcategories. The six categories are Education, Work and Care, Empowerment, Family Code, Physical Integrity, Civil Rights.

      • 한국 복지국가 성격의 새로운 조명과 그 대안 - 시장노동과 무급케어노동에 대한 대응을 중심으로

        최은영(Eun Young Choi)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2008 생활과학연구논총 Vol.12 No.1

          Past 17 years have witnessed diverse welfare state regime discourses represented by Esping-Andersen"s monumental comparative work. Mainstream theories, however, have continuously neglected gender division of welfare, dynamics of paid work and unpaid care work in general. Meaningful reorientation and modifying research have been performed mainly by feminist scholars with less systematic comparisons.<BR>  Kim Daejung administration in Korea had made several major welfare reforms after financial crisis of 1997. The Korean debates of welfare state regime arose from close examination of DJ administration"s policy changes and the restructuring scheme. Although several scholars had joined the heated debates on Korean welfare state"s basic characteristics 2000 through 2002, on-going debates has not continued nor synthesized various aspects. Alternative welfare regime typologies including gender regime theory of Sainsbury have not fully integrated into Korean academics neither. These limitations have brought about under-developed theorization on welfare state as well as lack of empirical and thorough comparative studies.<BR>  This study, therefore, attempts to elaborate and combine both mainstream theories and alternative research. This effort will shed light on a better understanding on the importance of gender relations in welfare system, and will contribute not only to more vigorous debates on recent Korean welfare state regime but also to comprehensive conceptualization and elaborated analyses.

      • KCI등재

        젠더의 렌즈로 본 복지공간

        안숙영(Ahn, Sook-Young) 한국여성학회 2012 한국여성학 Vol.28 No.1

        복지국가 혹은 복지공간이라는 개념은 20세기의 유럽이 남긴 가장 중요한 유산의 하나이다. 그러나 복지국가가 남성의 얼굴을 하고 있고 복지공간에서 활동하는 대표적 행위자도 남성의 얼굴을 하고 있다는 점에 대해서는 오랫동안 침묵이 이루어져왔다. 1990년대 초반 이후 복지공간의 남성중심성에 대한 비판이 본격적으로 전개되기 시작한 가운데, 이 글의 목적은 복지와 젠더의 관계를 둘러싼 1990년대 초반 이후의 논쟁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통해 젠더중립적 복지공간이라는 이미지 뒤에 숨겨져 있는 복지공간의 젠더성을 가시화하는 한편으로, 이를 바탕으로 젠더평등에 기초한 복지공간을 새로이 구성해 나가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Ⅱ장에서는 국가와 시장이라는 카테고리를 중심으로 한 기존의 복지공간 분석이 갖는 젠더적 한계로 시선을 돌리며 복지의 생산에서 가족이 갖는 의미를 조명한다. 이어지는 Ⅲ장에서는 여성의 복지 수급자격을 둘러싼 논쟁, 즉 어머니인가 아니면 노동자인가라는 쟁점을 둘러싸고 전개된 논쟁의 흐름을 짚어보고 노동자로서의 여성의 지위를 강화해 나갈 필요성 및 돌봄노동의 탈여성화의 필요성에 주목한다. 나아가 Ⅳ장에서는 지구화 속에서 국민국가의 경계가 약화되고 있는 가운데 일국적 복지공간으로부터 초국적 복지공간으로 복지의 공간을 확장해 나갈 필요성을 강조한다. 마지막으로 결론에 해당하는 Ⅴ장에서는 21세기의 보다 풍부한 젠더복지를 향한 디딤돌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우리에게 새로운 유토피아적 상상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Welfare state or welfare spac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legacies of 20th century Europe. But for a long time the fact has been suppressed that it has a male face and that representative actors who are active in welfare space also have male faces. It was not before the beginning of the 1990s that feminist critique of male-dominance of the welfare space has been voiced. By a theoretical review of the debat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and the welfare space, this paper aims to visualize the specific gender characteristics of the welfare space which are hidden behind it’s gender-neutral image, and to explore, resting on this review, the possibilities of constructing new welfare spaces which are based on gender equality. In chapter Ⅱ, this study analyses the limits of debates on the welfare state which have focused on the two categories of state and market. It emphasizes the meaning of family in the production of welfare. Chapter Ⅲ concentrates on the position of women in relation to the welfare state, and examines which women receive benefits from the state as mothers or as workers. The analysis concludes that we need to strengthen the position of women as workers and to defeminize care work. Chapter Ⅳ emphasizes the necessity of expanding the welfare space from national to transnational, because the welfare state as a national project is weakening in the process of globalization. Lastly, I suggest that we need to dream a new utopia towards the construction of more fruitful welfare from a gender perspective in the 21<sup>th</sup> century.

      • KCI등재

        한국인의 복지태도에서 성별 격차

        김수정 ( Sujeong Kim )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5 여성학연구 Vol.25 No.1

        이 연구는 한국인의 복지태도에서 성별(gender)은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성별 태도차이가 나타난다면 왜 그러한가를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복지태도는 정부 재정책임, 지출확대, 증세에 대한 태도로 구성되었고, 정부재정책임과 지출확대는 각 복지영역별로 태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첫째, 아동, 노인 등 돌봄관련 영역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정부책임에 대한 선호가 높았다. 둘째, 지출 확대에서 전통적인 복지영역인 노인, 장애인, 빈곤층 지원에 대해서는 남성의 확대요구가 더 높고, 여성은 주거 및 고용과 같이 가처분소득과 연관이 높고 현재의 소득 및 지출 불안과 관련되는 영역에서 확대의 필요성을 지지했다. 마지막으로 증세에 대한 태도는 연령, 교육, 소득계층, 복지지위를 모두 통제하더라도 여성의 증세태도가 남성보다 부정적이었다. 그간 한국사회의 복지태도 연구에서는 계급 및 계층이 복지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탐구가 주로 이루어져왔고, 성별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취약했다. 이 연구는 한국인의 복지태도에서 성별의 영향을 본격적으로 탐구했으며, 그 결과 서구와는 다른 성별효과가 나타남을 발견했다. 결론부분에서 그 함의를 토론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gender difference in welfare attitudes in Korea and explore the meaning of this gender gap. Welfare attitudes are composed of three variables: government financial responsibility among various welfare areas, government expenditure increase for different welfare services and opinions about tax increase for welfare purpose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omen are more supportive for governmental financial responsibility in children and elderly services, reflecting their interests in care. Second, in terms of government expenditure increase, women are more likely to support the expansion in housing and unemployment welfare than men. On the other hand, men are more willing to support more expenditure in services for elderly, disabled and the poor than women. Lastly, men are more supportive for tax increase. These results are quite different from the findings of the studies of public attitudes in western welfare states. The meaning and implication of this gender gap is discussed in conclusion.

      • 한국 가족정책과 복지국가의 과제 : 돌봄 정책을 중심으로

        장부년 인하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5 인하사회과학논총 Vol.30 No.-

        본 연구는 한국 가족정책과 복지국가 역할의 연계성에 초점을 두고, 가족정책과 관련된 주요 개념들과 돌봄으로 대표되는 가족정책을 둘러싼 주요쟁점을 분석했다. 먼저 탈 가족화와 가족화 관련 검토에서 가족정책의 핵심 개념으로 볼 수 있는 탈가족화 개념이 독립적 개념으로 이해되기보다는 복지국가 논의의 핵심 개념인 탈상품화 개념과 연관선상에서 논의되어야 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러한 개념은 부모 노동력의 탈상품화는 부모 노동력의 가족화와 동반되어 나타나는 것에 주목하고 여기서 가족화란 부모 자신의 노동력을 상품화하지 않고 가족 내에서 자녀를 돌보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그러나 아동 돌봄 자유선택의 쟁점에서는 사회적으로 보육서비스가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확충되지 않은 가운데 부모들이 할 수 있는 선택은 그들이 처한 사회구조적 제약, 즉 부모의 경제적 지위나 소득수준과 같은 계층지위나 가족구조, 내 부모의 성별 지위에 의하여 선택이 제한될 수 밖에 없는 현실적 격차가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했다. 가족정책을 토대로 복지국가 유형화에서는 복지국가의 유형을 탈가족화와 가족화에 대한 정책수준을 통해 4가지로 유형화 했다. 그러나 내용적으로 복지국가의 유형화 논의가 가족정책을 통해 본 복지국가 유형화에는 적합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근거를 토대로 한국 가족정책의 현실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동시에 복지국가의 역할에 대한 체계적 이해와 과제를 제시했다. 더불어 한국가족정책의 핵심은 구 사회위험의 대응만이 아닌 돌봄과 관련된 새로운 사회위험 (고령화, 노동시장재편, 가족구조 변화 등)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한국 복지국가의 대응을 사회정책으로 변화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link between Korean family policy and a role of welfare state. It analyzes the main issues of family policy as represented as caring and key ideas of family policy. First, it is confirmed that it should be discussed as concept of de-commodification which is the core concept of a welfare state debate. instead of understanding de-family trend concept as independent concept. Such kind of concept is focusing on de-commodification of parents’ labor which shows up accompanied with family trend of parents’ labor. In this paper, family trend is defined as caring for children in their own family without commodification of parents’ labor. About the issue of free choice of child care, under negative expansion of child care service in both quantity and quality,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reality gap with limited choice for parents due to social structural constraints such as their income level, social status and family structure of the parent select by a gender status. Based on family policy, the welfare state is typed as four types by de-family trend and policy level of family trend. But it shows that debate of welfare state do not fit to the welfare state types through family policies. This paper proposes a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e role of welfare state as well as better understanding the reality of Korean family policy nowadays. In addition, the core of Korean family policy should be change into social policy which does not just response on old social risks, but actively response to newly appearing social risks related with caring such as aging population, labor market reorganization, the family structure changes and so on.

      • KCI등재

        헌법상 성평등 개념의 한계와 재정립

        석인선 梨花女子大學校 法學硏究所 2012 法學論集 Vol.16 No.3

        현재 우리나라 법체계는 성평등의 확고한 헌법규범의 정립에도 불구하고 이에 충돌되는 성차별적 실정법 규범이 광범위하게 존재해 왔으며 그와 관련된 부당한 관행이 널리 행해져 왔다. 헌법상 명백히 성별에 의한 차별을 금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통이란 방패로 건재해왔으며 가족제도나 사회제도 속에서 여성의 불평등한 지위를 존속시키는데 상당한 영향을 미쳐왔다. 형식적 평등론에서는 누가 비슷한 상황에 있는가의 문제는 여성과 남성이 오랫동안 다른 상황에 있었기 때문에 적절한 비교대상자를 선정하기 어렵고 결과적으로 남성과 동일하다고 인정된 여성만이 동등한 대우를 받게 된다고 하겠다. 결국 형식적 평등론은 남성중심적인 기준에 의해 평등을 추구하게 되며 여성으로 하여금 남성중심적 사회로의 동화를 요구하는 결과에 이르게 된다. 또한 여성의 남성과 다른 삶의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법은 입법자의 의도와 관계없이 불평등과 부당함을 야기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따라서 평등지위의 실현을 의미하는 실질적 평등의 단계를 이루기 위하여는 평등권의 개념을 사회적 여건에 적응하는 것으로 발전시키면서 부분적으로 동등하지 않은 권리로 동등한 결과 또는 적어도 동등한 기회를 형성할 수 있는 조정적 조치가 필요하고 그러한 조치의 헌법적 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한편 성평등 개념을 정립함에 있어서 헌법에 차별금지로 규정되어 있어도 그것을 해석하는 법관들이 얼마나 성인지적으로 이를 해석하는가하는 문제는 또 다른 중대한 문제이다. 헌법상 성평등 개념은 구체적인 차별의 경우에 사법부의 해석을 통해 확립된 내용이 규범력을 가지고 현실세계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 현실적으로 법관들은 성인지적 관점이 상당히 결여되어 있어서 여성주의 법학자들이 추구하는 정도에는 미치지 못하는 상태에 있다. 우선 헌법상 성평등 개념은 헌법상 평등개념을 규정하고, 그 규정에 근거한 성평등개념에 대한 사법부의 해석으로 이어지는 단계를 가지고 있다. 우선 헌법상 성평등이 안고 있는 문제 특히 평등과 보호 개념의 관계를 헌법상 규정들 속에서 어떻게 정립규정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있으며, 둘째로 여성과 관련된 규정으로서 성차별적 의심을 받고 있는 법률들에 의한 성차별문제가 제기되었을 때 헌법상 규정된 성평등 개념을 사법부가 어떻게 해석하고 법리를 정립하는가하는 문제가 있다. 평등과 차이의 관계 정립은 특히 우리 헌법상 기본원리인 복지국가원리 속에서 여성의 노동, 가족, 연금 등 여성의 사회적 지위와 사회보장문제와 관련한 구성요소들을 어떻게 정립할 것인가 하는 문제와 맞물려 있다. 진정한 성평등이 달성되기 위해서는 여성주의 관점에서 이러한 모든 요소들이 검토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헌법상 성평등 개념을 재정립하기 위해서는 여성주의 시각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제2장에서는 헌법상 성평등 규정 형태와 평등의 개념을 형식적 평등과 실질적 평등의 개념으로 구분하여 고찰하고 실질적 평등 실현의 당위성을 논한다. 또한 현실적 논의로서 성평등과 관련한 판례 분석을 통해 헌법상 성평등 개념에 대한 사법부의 해석논의와 그에 대해 비판적 견해를 제시한다. 제3장에서는 사법부의 해석논의에 대한 비판을 통해 헌법상 성평등 개념의 한계를 인식하고 성평등 개념의 재정립의 필요성을 논의한다. 헌법상 가족과 관련한 성평등 조항의 한계를 인식하고 재정립하기 위해서는 전제 작업으로 젠더관계와 복지국가에 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하며 복지국가의 위기에 대한 여성주의 논의들과 특히, 여성주의 시각에서 가족, 복지체제, 노동, 연금 등에 관한 논의를 고찰할 필요가 있다. 이처럼 성평등 개념의 재정립을 위한 논의는 여성주의 관점과, 복지국가와 젠더관계분석을 통해 이루어져야 함을 제시한다. 제4장에서는 마지막으로 성평등 개념의 재정립의 방향이 논의된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controversy over the concept of gender equality in constitutional law and attempts to reconstruct the concept. In Korea, the matter of the gender equality and gender classification-based discrimination has not been systematically discussed by the judicial branch. On the contrary, U. S. Supreme Court has started to review the gender equality concerns since 1970, striking down a number of women-discriminative laws and acts in marriage and family, army, social welfare field. The decisions of the Korean Constitutional Court and the U.S. Supreme Court about gender discrimination and equality will give us a lot of lessens as they are important measures for essential access to substantial equality. Therefore, this article attempts to analyze the decisions of both Courts about gender classification-based discrimination so that we recognize the limitation of the concept of gender equality in constitutional law. It is necessary to reestablish the concept of gender equality. For this purpose, I discuss the existing concept of gender equality and the judicial interpretation of the gender equality and the critique of the interpretation in part Ⅱ. After suggesting the limitedness of the concept of gender equality through analyzing constitutional cases, Part Ⅲ explores an analysis and critique of the concept of gender equality and presents the necessity of reestablishment of the concept. I examines the analysis of the concept of gender equality from the feminist jurisprudence point of view and from the viewpoint of the relational analysis of welfare state and gender. Finally, I would like to close by dealing with a prospect and direction in reconstructing the concept of gender equality in Part Ⅳ.

      • KCI등재

        복지국가 가족지원정책의 젠더적 차원과 유형

        김수정(Sujeong Kim) 한국사회학회 2004 韓國社會學 Vol.38 No.5

        지원정책은 부양과 돌봄(care)의 집합적 공유 및 분담이라는 측면에서 그 자체 ‘탈가족적’이고 사회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 그러나 젠더와 관련하여 보았을 때, ‘탈가족화’의 방향 및 정책대안에 관한 논의는 젠더 평등(equality) 혹은 형평(equity)을 증진시키는 방법과 관련하여 상이한 이론과 정책 대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글은 여성의 가족의존으로부터 자율성을 의미하는 ‘탈가족화’의 차원을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를 지원하는 노동중심적인 것과 돌봄노동을 하는 여성들이 소득안정성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모성지원적인 것으로 나누고, 이 같은 ‘탈가족화’의 이중적 차원을 고려하여 서구 복지국가의 가족지원정책의 젠더적 성격과 유형을 분석하였다. 서구 복지국가의 가족지원정책을 구성하는 대표적 프로그램인 네 개의 프로그램, 즉 가족수당, 0-2세보육, 3-6세보육, 출산휴가를 중심으로 분석했을 때, 서구 복지국가들은 제도적 복지의 수준과 ‘탈가족화’ 지원의 방향(모성지원/노동지원)에 따라 ‘강한 모성중심주의,’ ‘약한 모성중심주의,’ ‘제도적 노동시장참여지원’형, ‘잔여적 복지’형의 4개의 유형으로 구분된다. ‘탈상품화’를 기준으로 서열적으로 배치되었던 기존의 세 가지 복지레짐 분류(사민주의, 보수적 조합주의, 자유주의)와 비교했을 때, ‘탈가족화’에서는 두 개의 중심, 즉 ‘강한 모성지원’형, ‘제도적 노동시장 참여지원’형이 나타나며, 기존 보수적 조합주의 국가들로 묶여졌던 국가들은 두 개의 상이한 유형으로 구분됨을 알 수 있다. 복지국가의 ‘탈가족화’ 프로그램들은 기존의 탈상품화 유형론으로 환원되지 않는 독자적인 차원과 유형을 구성한다. Institute for Social Development and Policy Research, Seoul National University This paper analyzes and classifies the gendered characteristics of family support policies in western welfare states using the concept of defamiliarization, particularly focusing on its double functions of supporting carers (mainly mothers) on one hand and facilitating women’s participation in the labor market on the other. Family support policies include four programs such as family allowance(child allowance), child care for 0-2 years old, child care(or education) for 3-6 years old and (paid) maternity leave. With the level of institutionalization of family welfare along one axis and defamailiarizing direction(motherhood support /work support) on the other, 14 western welfare states are clustered into four groups: strong maternalist, weak maternalist, institutional worker centered and residual welfare. Compared to Esping-Andersen’s three worlds of welfare states ranked by decommodification and class stratification indexes, this typology shows defamilization makes a different regime typology, making two contrasting country groups(strong maternalist vs. institutional worker centered groups) conspicuous. Here, the Scandinavian states are quite different from other welfare states, highly institutionalizing the family support programs to facilitate women’s participation in the labor market. Continental european welfare states are not a monolithic regime and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according to the scale of support for mothers and children: Strong Matnernalist and Weak Maternalist This study suggests that family and gender dimension in family support policies has its unique structuring mechanism and double ness of defamiliarization should be considered as a main factor to explain the diversity of welfare states.

      • Gender and the Welfare State: The British Feminist Critiques

        Park Mee-Sok,Han Jeong-Won,Song In-Ja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2002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Vol.3 No.1

        The important argument explored in this article is women's position in welfare regimes. By examining feminist critiques on the welfare state, we intend to look into whether the welfare state is designed to promote the equal status of both men and women. In the post-war period, it was believed that social provision, together with full employment and rising real wages, would improve the welfare of all citizens. However, women were inevitably treated as second class citizens by the new welfare legislation and were assumed to be economically dependent on their husbands. As a result, though welfare provision plays a significant and liberating role in women's lives in some ways, it may also serve to restrict women by defining them in certain ways. This contradictory situations is especially true in successfully developing third world countries such as Korea. This is because the western welfare state can be misconceived as an idealistic model in which men and women obtain equality in terms of social contex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