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 탈비행의 유형 및 예측변인에 관한 연구

        전선영 ( Sun Young Jun ),문성호 ( Sung Ho Moon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3 청소년복지연구 Vol.1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들의 탈비행 유형을 파악하고, 이를 예측하는 변인들을 실증적으로 확인하는 것이다. 청소년들의 탈비행 과정은 횡단적인 자료로는 확인하기 어렵고 종단적인 연구설계가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설계에 적합한 대표적인 자료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 청소년패널조사(Korea Youth Panel Survey)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추적 조사한 1차년도부터 6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였다. 탈비행 유형을 구분하기 위해 준모수적 집단중심모형(semi-parametric group-based model)을 사용하였고, 예측변인을 확인하기 위해 다항로지스틱 분석(multinominal logistic model)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탈비행 유형은 발달궤적의 특징에 따라 세 개의 집단으로 구분되었고, 이를 ‘고수준 비행감소 집단’, ‘저수준 비행감소 집단’, ‘조기 탈비행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탈비행 예측변인으로는 부모애착, 교사애착, 자아통제감, 성별 변인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부모애착과 교사애착, 자아통제감이 높을수록 ‘조기 탈비행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게 나타났으며 성별이 여자청소년일수록 남자청소년보다 ‘조기 탈비행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들의 탈비행을 위한 적절한 정책 및 실천적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observe the process of desistance from delinquency in adolescence. It is focused on classifying the types of developmental trajectories and inquiring into the predicting variables that desist from delinquency. For this, the 2003-2008 Korea Youth Panel Survey carried out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was used as analysis reference. A Semi-parametric Group-based Model that uses PROC TRAJ of SAS 9.0 was adopted to classify the types of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adolescent desistance from delinquency. Also, to inquiry into the predicting variables, a multinominal logistic model of PASW 18.0 was implemented. The analyzation indicated that the types of developmental trajectories are divided into three groups. Each group was labeled ``reduced high-level delinquency group``, ``reduced low-level delinquency group`` and ``early desistance of delinquency group.`` Results of the multinominal logistic analysis showed variables that predict desistance from delinquency were attachment to parents, attachment to teachers and sense of self-control. This research helps understand the types of desistance from delinquency and identifies the predicting variables that directly influences them.

      • KCI등재

        소년보호관찰대상자의 탈비행 성공 요소에 대한 개념도 연구

        권해수(Kweon Haesoo),강호성(Kang Ho Sung) 한국공안행정학회 2020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9 No.2

        본 연구는 장기보호관찰 처분을 받은 소년범죄자 중 처분 후 1년 이상 탈비행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청소년 87명을 대상으로 개념도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탈비행을 촉발하고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 성공 요소를 그들의 입장에서심층적으로 이해하고, 핵심 본질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 결과, 탈비행의성공 요소의 핵심 문장은 84개로 정리되었으며, 핵심 문장에 대해 다차원척도분석과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탈비행의 성공 요소는 탈비행 변화 수준(1차적탈비행과 2차적 탈비행)과 탈비행 변화 영역(행동 변화와 인지 변화)의 2개차원으로 구성되었고, 군집은 총 7개로 분류되었다. 각 군집은 ‘비행 유발 환경으로부터의 단절과 거부’, ‘미래의 꿈 설정 및 실천 의지와 노력’, ‘책임감 있는 행동과 주변의 좋은 평판’, ‘가족ㆍ친구ㆍ사회 자원으로부터의 지지와 격려’, ‘비행 수치감과 주변 사람에게 상처주고 싶지 않은 마음’, ‘과거 비행 후회와 비행을 바라보는 관점 변화’, ‘재비행으로 발생가능한손실에 대한 자각’ 으로 명명되었다. 7개 군집별 중요도를 평정한 결과, ‘비행 수치감과 주변 사람에게 상처주고 싶지 않은 마음’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1여년 동안 탈비행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소년범죄자를 대상으로 하여 탈비행을 촉발하고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 요소의 개념적 구조를 연구 참여자의 입장에서 규명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at identifying the success factors that helped to trigger and maintain desistance using conceptual analysis methods for 87 adolescents who have been delinquent for more than one year after disposition among the delinquent adolescents who have been subject to long-term protection observation. From their point of view, they tried to understand in depth and explore the essential essence. As a result of the study, 84 key sentences of the success factors of desistance were organized, and as a result of conducting multidimensional scale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on the key sentences, the success factors of desistance were the level of change of desistance (primary desistance and secondary desistance). And post-flight change domain (behavioral change and cognitive change) were composed of two dimensions, and the cluster was classified into seven. It was named ‘behavior and environmental control to avoid delinquence’, ‘future dream setting and practice will and effort’, ‘responsible behavior and good reputation around’, ‘support and encouragement from family, friends and social resources’, ‘reintegration shaming’, ‘identity as a desistance youth’, and ‘awareness of possible losses due to re-deliquence’.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importance of each of the 7 clusters, ‘reintegrated shaming was the highes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nceptual structure of elements that helped to trigger and maintain the desistance who have been desistant for one year. There is. Finall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presented

      • KCI등재

        비행청소년의 탈비행 너머: 돕는자로서의 삶

        김시아,김하은,정익중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9 사회복지연구 Vol.50 No.1

        본 연구는 탈비행 그리고 돕는자의 삶을 살고 있는 비행청소년의 생애사 연구이다. 이를 위해 연구참여자 5명을 대상으로 16회의 생애사적 내러티브 면담(Biographical-Narrative Interview)을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생애사 자료는 Mandelbaum(1973)이 제안한 생애사 분석 틀을 재구성하여 ‘삶의 영역’과 ‘전환점’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삶의 영역’은 ‘비행의 늪에 갇힌 삶 - 탈비행으로 전진하는 삶 - 돕는자로 생활하는 삶’으로 범주화할 수 있었으며 하위 13개 개념이 도출되었다. ‘전환점’은 ‘비행의 늪에서 탈비행으로 전진’과 ‘탈비행에서 돕는자로 전향’ 2개의 범주와 하위 6개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비행청소년의 탈비행과 그것을 넘어 돕는자로 전향한 그들의 새로운 삶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끝으로, 비행청소년의 돕는자로서의 긍정적인 모델링을 제시하였고 그들의 자립을 위한 정책적 개선 및 실천적 지원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ife history of adolescents who are living as helpers, desisted from delinquency. Life history data was collected from five participants with 16 sessions of biographic-narrative interview. The collected life history data was analyzed utilizing the life history analysis framework proposed by Mandelbaum(1973). The data were reconstructed to analyze ‘the realm of life’ and ‘turning point’. As a result, ‘the realm of life’ is classified as ‘a life trapped in the frame of delinquency’, ‘a life advancing from delinquency to desistance’, ‘a life as a helper’ and 13 subcategories were found. ‘Turning point' is classified as 2 categories and 6 subcategories were foun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hows the new lives of adolescents who became helpers by overcoming delinquency and moving beyond desistance. Lastly, this research shows positive modeling of delinquent youth by accentuating the lives of helpers. The policy and practice suggestions for independent living of delinquent youth are proposed.

      • 스토리맵(Story Map)을 통한 청소년 탈비행 유형 분석 연구

        이상인 한국사회안전범죄정보학회 2019 한국사회안전범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02

        비슷한 처벌을 경험한 청소년들 중에서 처벌 후 일정 기간이 지났음에도 계속 비행 단계에 머무르는 청소년들과 조금씩 탈비행의 단계로 이행되는 청소년들이 있다. 이 연구는 서울시에 거주하면서 비행 후 처벌경험이 있는 12명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하였 다. 연구방법은 스토리 맵을 이용한 연구로 청소년별 생애과정을 스토리 맵을 통해 나타내고, 비행 및 탈비행과 관련되는 각 전환점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유형화하여 최종적으로 탈비행 촉진 요인은 발견하고자 하였다. 연구에서 비행청소년들은 ‘탈비행 시작’ 시점과 ‘탈비행 강화’ 시점에 ‘선배, 교사, 친인척 등 기성세대와의 소통을 통해 필요한 조언과 정보 습득’ 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탈비행을 하고자하는 청소년에게는 부모나 선배, 교사 등과 사회적 유대를 통한 조언과 정보습득이 반드 시 필요한 이유가 된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의하면 탈비행을 위한 청소년 정책은 검정고시 지도, 직능지도, 경제적 지원 등 기존 정책들을 백화점식 나열하여 우선순위 없이 시행하기 보다는, 먼저 청소년동반자 제도 등을 더욱 활성화하여 부모를 포함한 교사, 선배, 관계기관 종사자, 지역사회등과 청소년들이 유대 감을 형성하게 하고, 그들에게 개별적으로 필요한 조언과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aimed at finding out triggering effect of Juvenile Delinquency in the life of punished and released youth. This study compare the differences in individual characteristics between teenagers who remain at Juvenile Delinquency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eenagers who find a turning point to normal. We want to find a turning point from Juvenile Delinquency to normal and find environmental and internal factors that affect that point. The study was conducted on 12 teenagers who lived in Seoul and experienced Juvenile punishment. Research uses story map to present the life process of young people through whole life and sort out the factors that affect each conversion point associated with Juvenile Delinquency and finally discover the Juvenile Delinquency promotion factor. Studies have shown that delinquents have a time for advice and information through communication with older generations including seniors, teachers, and relatives at the time of starting and enhancing Juvenile Delinquency. In other words advice and information acquisition through social ties with parents, seniors and teachers are essential to adolescents who want to escape from Juvenile Delinquency. According to these studies, the youth policy for Juvenile to Desistance from Delinquency should activate the youth cohabitation system that encourage teachers, seniors, related agencies, communities and teenagers including parents forming a bond and provide them with the advice and information that they need personally instead of department store list of existing policies such as supervision, vocational guidance, and economic support which implement it without priority

      • 스토리맵(Story Map)을 통한 청소년 탈비행 유형 분석 연구

        이상인 한국사회안전범죄정보학회 2018 한국범죄정보연구 Vol.4 No.2

        비슷한 처벌을 경험한 청소년들 중에서 처벌 후 일정 기간이 지났음에도 계속 비행 단계에 머무르는 청소년들과 조금씩 탈비행의 단계로 이행되는 청소년들이 있다. 이 연구는 서울시에 거주하면서 비행 후 처벌경험이 있는 12명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 구방법은 스토리 맵을 이용한 연구로 청소년별 생애과정을 스토리 맵을 통해 나타내고, 비행 및 탈비행 과 관련되는 각 전환점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유형화하여 최종적으로 탈비행 촉진 요인은 발견하고 자 하였다. 연구에서 비행청소년들은 ‘탈비행 시작’ 시점과 ‘탈비행 강화’ 시점에 ‘선배, 교사, 친인척 등 기성세 대와의 소통을 통해 필요한 조언과 정보 습득’ 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탈비행을 하고자하는 청소 년에게는 부모나 선배, 교사 등과 사회적 유대를 통한 조언과 정보습득이 반드시 필요한 이유가 된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의하면 탈비행을 위한 청소년 정책은 검정고시 지도, 직능지도, 경제적 지원 등 기존 정책들을 백화점식 나열하여 우선순위 없이 시행하기 보다는, 먼저 청소년동반자 제도 등을 더욱 활성화하여 부모를 포함한 교사, 선배, 관계기관 종사자, 지역사회등과 청소년들이 유대감을 형성하게 하고, 그들에게 개별적으로 필요한 조언과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aimed at finding out triggering effect of Juvenile Delinquency in the life of punished and released youth. This study compare the differences in individual characteristics between teenagers who remain at Juvenile Delinquency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eenagers who find a turning point to normal. We want to find a turning point from Juvenile Delinquency to normal and find environmental and internal factors that affect that point. The study was conducted on 12 teenagers who lived in Seoul and experienced Juvenile punishment. Research uses story map to present the life process of young people through whole life and sort out the factors that affect each conversion point associated with Juvenile Delinquency and finally discover the Juvenile Delinquency promotion factor. Studies have shown that delinquents have a time for advice and information through communication with older generations including seniors, teachers, and relatives at the time of starting and enhancing Juvenile Delinquency. In other words advice and information acquisition through social ties with parents, seniors and teachers are essential to adolescents who want to escape from Juvenile Delinquency. According to these studies, the youth policy for Juvenile to Desistance from Delinquency should activate the youth cohabitation system that encourage teachers, seniors, related agencies, communities and teenagers including parents forming a bond and provide them with the advice and information that they need personally instead of department store list of existing policies such as supervision, vocational guidance, and economic support which implement it without priority

      • KCI등재

        탈비행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관계 변화 과정

        박현진(Park Hyun-Jin),김동민(Kim Dong-Mi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0 한국청소년연구 Vol.21 No.1

        본 연구에서는 탈비행을 경험한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탈비행 과정 속에 나타나는 부모와의 관계 변화에 대한 정보를 얻는 데 목적을 두었다. 자료 분석은 Strauss와 Corbin(1990)에 의해 제시된 근거이론 접근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참여자들이 지금까지 부모와의 관계에서 겪어보지 못했던 경험을 한 후, 새로운 정서가 발생하게 되고, 이것을 통해 부모-자녀관계의 변화의 계기를 마련하였다. 둘째, 참여자들과 부모는 상호 노력을 통해 친밀감과 신뢰감 형성함으로써 관계를 변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가 일상생활에 관심을 갖고 지켜봄’과 ‘부모의 지원’은 부모-자녀관계 변화 과정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자녀관계 변화 과정을 통해 나타난 참여자들의 실천적 탈비행 전환은 부모의 기대에 부응하고자 노력하는 모습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핵심범주는 ‘상호 노력을 통한 친밀감과 신뢰감 형성’으로 나타났다. 탈비행 청소년들이 지각한 부모-자녀관계 변화 과정의 특징은 부모-자녀관계가 상호작용적일 때 변화의 질이 향상되었다. 부모와 자녀가 비행극복을 위해 함께 노력하면 할수록 변화 속도가 빠르고, 상호신뢰가 깊어지며, 의사소통이 개방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부모-자녀관계 변화를 지속시키기 위해서는 부모의 꾸준한 일상생활에 대한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arent-adolescent relationship changes observed in the process of desisting from delinquency by adolescents. The data were analysed using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suggested by Strauss and Corbin(199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events that cause the parent-adolescent relationship change in the desistance process enabled the experience of a new relationship to emerge, one that they have never experienced before, and generated new emotions, which served as the momentum for changes in the parent-adolescent relationship. Secondly, the analysis of the process of change in the parent-adolescent relationship showed that participants and their parents could see changes in their relationships by forming intimacy and trust through their mutual endeavors. Thirdly, 'parents' concerns about their adolescent's everyday life' and 'parents' support' were found to be the conditions that affect the overall process of the parent-adolescent relationship changes significantly. Fourthly, one of the results of the parent-adolescent relationship change was the participants' practical transition toward desistance. Fifthly,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change process showed that the core category was the 'formation of intimacy and trust through mutual endeavor.' The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nge process of the parent-adolescent relationship as perceived by the desisted adolescents was that the quality of the changes in the relationship were improved when the relationship was more interactive. As both parents and their adolescent tried to overcome the delinquency together, the change was faster, the mutual trust became deeper, and the communication became more open. Parents' concern and support for their adolescent's everyday life were needed to maintain the changes in the parent-adolescent relationship.

      • KCI등재

        사회유대 및 비행자아관념의 상호작용효과가 비행의 증감에 미치는 영향 : 범죄중단의 인지이론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김중곤 한국경찰연구학회 2020 한국경찰연구 Vol.19 No.4

        범죄중단의 인지이론들에 따르면, 사회유대의 증감이라는 외부적 요인 뿐 아니라, 자아관념이라는 내부적 요인 역시 범죄성의 변화에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패널조사 중2패널 1차수에서 6차수까지의 자료를 이용하여 사회유대 변수로 서의 부모애착, 교사애착, 친구애착의 변화와 비행자아관념의 변화가 비행의 변화에 미 치는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하였다. HLM 8.0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2수준 음이항회귀모 형 추정 결과, 특정년도 비행자아관념이 전체년도 평균 비행자아관념에 비해 크게 증가 할수록 부모애착과 교사애착의 변화가 비행의 변화에 미치는 부의 효과가 작아진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친구애착과 자아관념 간에는 유의미한 상호작용효과를 관 찰할 수 없었다. 범죄중단의 인지이론에 관한 향후 연구는 변수들 간의 보다 복잡한 이 론적 메커니즘을 실증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적절한 분석 수단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According to cognitive theories of crime desistance, not only change in external factors such as social bonding but also change in internal factors like self-concept have impacts on change in one’s criminality. This study tests the interaction effects of the change in the attachment(to parents, to teachers, to friends) and the change in deviant self-concept on the change in delinquency using HLM 8.0 software with 6 waves of KYPS 2-year-middle school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low negative self-concept increased the negative effects of attachment to parents and attachment to teachers on delinquency. Negative self-concept, however, did not significantly moderate the effect of attachment to friends on delinquency. Future research on the cognitive theories of crime desistance needs to focus on testing more sophisticated theoretical propositions with proper analytic strategies.

      • KCI등재

        지위비행청소년의 비행이행과정 영향요인 연구

        한진수 한국청소년학회 2016 청소년학연구 Vol.23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stages of the delinquency transition process of adolescents in status delinquency and to empirically verify what factors have influence on them. The delinquency transition process of adolescents in status delinquency has been categorized into types including transition to serious delinquency, continuation of status delinquency and transition to desistance from delinquency and their meanings and characteristics have been studied academically. In addition, influences of factors affecting the delinquency transition process of adolescents in status delinquency have been verified by applying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based on data from the 1st and 2nd Korea Youth Panel Surveys(KYPS) conducted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Major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compared to adolescents continuing status delinquency, adolescents engaged in transition to serious delinquency have been found out to be affected negatively by "ego control" and "relations in school". Second, in comparison with adolescents continuing status delinquency, adolescents engaged in transition to desistance from delinquency have been found out to be positively influenced by "ego control" and "family relationship" and to be negatively affected by "relations with friends" and "social participation". The analysis results hav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finding practical measures to lead the delinquency transition of adolescents in status delinquency in a positive dire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지위비행청소년을 대상으로 비행이행과정에 대해 유형화하고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데 있다. 지위비행청소년의 비행 이행과정을 중비행으로의 이행, 지위비행 지속, 탈비행으로의 이행으로 유형화하고 그 의미와 특성에 대하여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또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제1차와 제2차의 한국청소년조사(KYPS) 자료를 토대로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적용하여 지위비행청소년의 비행 이행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지위비행을 지속하는 청소년과 비교해서 중비행으로 이행하는 청소년들에서는 ‘자아통제’, ‘학교관계’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위비행을 지속하는 청소년과 비교해서 탈비행으로 이행하는 청소년들에서는 ‘자아통제’, ‘가족관계’가 정(+)의 영향을 미치고 ‘친구관계’, ‘사회참여’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지위비행청소년의 비행 이행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한 적실성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유의미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후보

        청소년기 탈비행화 과정

        이희연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5 한국청소년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청소년기 탈비행화 과정에 관한 연구로서 청소년들이 어떻게 비행과정에서 탈비행으로의 성공적인 변화를 하게 되었는지 그 과정과 경험의 의미를 밝히고 결과적으로 자료에 근거하여 실체이론을 제시하고자 Strauss와 Corbin(1998)의 근거이론방법을 적용하여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기 탈비행화 과정은 단순한 ‘비행소강상태나 비행중단기간’이 아니라 ‘비행에서 벗어나 적응적 일상으로 회귀하는 과정’이었으며 개인과 환경과의 역동적 상호작용을 통해 내적․외적으로 변화해가는 점진적인 발달적 과정으로, 비행문제를 가지고 있는 청소년들도 세계 내 존재(being-in-the-world)로서의 자기(self)를 실현하고자 하는 기본적인 성장욕구가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청소년기 탈비행의 개입방향은 현재의 비행억제나 제재에 중점을 두기보다는, 청소년의 개별적, 심리사회적 욕구와 주관적 경험을 존중하고, 청소년들의 자기(self)를 실현하고자 하는 기본적인 성장욕구에 초점을 두어 청소년의 성장과정을 도와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에 대한 구체적 개입전략은 조급한 개입의 효과를 기대하기 보다는 다양한 사회적 참여와 학습기회를 제공하고 사회적 지지망을 형성하는 등 청소년 복지서비스 프로그램 개발 및 시스템을 구축하고, 청소년들이 마음의 문을 열 수 있도록 이해와 존중을 바탕으로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고 지속적인 관심과 수용적 태도를 갖고 청소년이 적응적 일상으로 회귀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지켜봐주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ed at exploring the process of desistance from delinquency among adolescents, found out the significance of the experiences and processes adolescents went through in their successful shift away from delinquency and carried out the grounded theory method of Strauss and Corbin (1998) to suggest a substantive theory based on data. The results in this study indicate that desistance from delinquency during adolescence is characterized as a dynamic and sociopsychological process that is accompanied by the interaction of various conditions. Therefore, it is not desirable to expect the results of intervention any time soon. Rather, it is required to establish a youth welfare system and develop social welfare service programs that provide a variety of social participations and experiences for youths. It is also needed to have continued interest in and understanding of helping and waiting for juvenile delinquents to get back to adaptive normal lives. With this in mind, the study elaborates on the experiences and significance of desistance from juvenile delinquency, and explores all the conditions affecting it and its processes and types, thereby formulating a substantive theory concerning the desistance process. By doing so, the study offers a practical and concrete understanding of the desistance process and find ways to help promote it, thus providing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n intervention strategy for social welfare practice.

      • KCI등재

        탈비행 청소년의 비행정체성에 대한 낙인이론과 정체성이론의 변인 비교

        김경숙(Kim, Kyungsook),남현우(Nam, Hunwoo)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한국청소년연구 Vol.25 No.2

        이 연구는 청소년 탈비행 과정에서 비행정체성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낙인이론과 정체성이론 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는데 있었다. 낙인이론은 전통적인 비행이론에서 근거하였고 정체성이론은 최근 탈비행에서 주목되는 이론으로 본 연구에서 탈비행은 비행정체성의 변화임을 전제로 하였다. 비행정체성 변화모형은 낙인변인(타인의식, 타인평가, 징계경험)과 정체성변인(선한자아, 자기평가) 간 연계성으로 구성하였고 연구대상은 중학교 2학년 3,449명에 대한 4년 종단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 분석은 비행정체성 변화모형을 적용한 탈비행·비행지속 집단별 간접효과를 검증하였고 다중집단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탈비행·비행지속 집단 간 경로계수 차이 검정을 하였다. 연구결과, 비행정체성 변화모형은 전체집단, 탈비행 및 비행지속집단에 모두 적합모형임을 확인하였고 탈비행·비행지속 집단별로 각각 선한자아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또한 탈비행·비행지속 집단 간 경로계수 비교에서는 타인평가에서 선한자아에 이르는 하나의 경로계수가 탈비행과 비행지속 집단 간을 유의하게 구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비행정체성의 변화과정에서 낙인변인들 보다 선한자아(정체성변인)가 탈비행에 미치는 우세한 영향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청소년 탈비행 촉진을 위해 비행청소년에 대한 낙인방지를 강조하기 보다 선한양심을 가진 선한자아를 강조하는 품성계발 및 긍정적 정체성향상 전략이 효과적임을 시사하였다. The aim of the present research was to explore the relative effectiveness between the variables of labeling theory and identity theory. The delinquency identity change model (DCM) was connected with relationships between labeling variables (others consciousness, others appraisals, punishment experiences) and labeling variables (good self, self appraisals). This approach to DCM was matched to longitudinal data from the Korea Youth Panel Study (KYPS). Utilizing a sample of 3,449 eighth?graders who were followed over the course of 4 years, DCM was used to test the indirect effect on the desistance group and the persistence group. A Multiple 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the path between the desistance group and the persistence group.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re was goodness of fit for the DCM to the full group, the desistance group and the persistence group an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good self was significant on the desistance group and the persistence group. Additionally, the only one path between others appraisals and good self was discriminated significantly from the desistance group and the persistence group. These findings suggest that good self (identity theory) proved to be a more powerful influence on DCM than labeling variab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