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돈화의 미래종교론 - 손병희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

        조성환(Sunghwan Jo),이우진(Woojin Lee) 한국종교학회 2020 宗敎硏究 Vol.80 No.3

        Yi Donhwa’s “religion in the future” was introduced in Cheondogyohoewolbo in 1919. The main idea of his theory is about the unification of the religion as described as ‘God within oneself’(自神) in Cheondogyo. On one hand, Yi Donhwa interpreted Choi Jaewoo’s Shicheonju(侍天主) as ‘God within oneself’(自神) or ‘Heaven within oneself(自天)’. Then, on the other hand, it was presented as a ‘Sage’s teaching’(聖訓). Here, ‘Sage’ refers to Son Byonghee, the founder of Cheondogyo. This is the important point as it represents the continuity of the same thought of Son Byonghee and Yi Donhwa. In addition to this, ‘Sage’s teaching’ in the “religion in the future” was newly introduced thought that was not found in the Cheondogyo scripture. Moreover, Yi Donhwa’s “religion in the future”, that was introduced in late 1919, resonants with “Religion unification is inevitable tendency” and “reconstruction and religion”. Therefore, “Religion in the future” is important in that it is showing a theory of God and religion of Cheondogyo, uncovering hidden thought of Son Byonghee, and representing the process of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Yi Donhwa’s thought.

      • KCI등재

        현대적 관점에서 본 천도교의 세계주의 - 이돈화의 지구주의와 지구적 인간관을 중심으로 -

        조성환(趙晟桓)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0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84 No.-

        천도교 청우당의 정치철학서인 이돈화의『당지』(1946)와『당론』(1946)에서는 ‘민족주의’와 함께 ‘세계주의’와 ‘세계공화’를 제창하고 있는데, 여기서 ‘세계주의’란 ‘세계가 일가(一家)’라는 의미이고, ‘세계공화’는 ‘해방된 민족들이 조화롭게 사는 상태’를 가리킨다. 그에 앞서 이돈화는 『신인철학』(1924)에서 ‘우주가 하나의 울타리’라고 하는 ‘한울주의’를 제창하였는데, 이로부터 세계주의가 한울의 우주론을 바탕으로 제창된 것임을 추측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돈화의 세계주의와 한울주의를 ‘지구가 하나의 공동체’라는 의미에서의 ‘지구주의’(globalism)로 명명하고, 이돈화의 인간관과 세계관을 지구주의의 관점에서 해석하고자 한다. 지구주의의 관점에서 보면 이돈화가 제시한 ‘무궁아’, ‘대아’, ‘한울아’와 같은 인간관은 ‘지구적 자아’(global self)로, 그리고 ‘세계공화’와 ‘천인공화’ 개념은 ‘지구공화’(global harmony)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이돈화의 ‘경물(敬物)’ 개념은 윤리의 대상을 자연과 만물에까지 확장하고 있다는 점에서 ‘지구윤리학’(global ethics)으로 위치지울 수 있다. 지구공화나 지구윤리는 1994년에 김대중이 제창한 ‘지구적 민주주의’(global democracy) 개념과도 호응한다는 점에서 지구화시대에 요청되는 ‘지구인문학’을 모색하는데 있어 중요한 키워드로 삼을 수 있다. Chondogyo has suggested ‘cosmopolitanism’(世界主義) in 1946 as a political philosophy, which means “harmonious world between liberating nations.” This essay attempts to interpret it as a kind of ‘globalism’(地球主義) which include myriad things as well as human, and thus tries to dialogue between Chondogyo’s thought and modern philosophy. More specifically, by interpreting ‘Unlimited self’ or ‘Great self’ in Yi Donhwa as ‘global self’, ‘harmony between Heaven and Human’ as ‘global harmony’, Chondogyo’s philosophy can be understood as global philosophy in global age. Also, the thought of ‘revering things’ in Donghak and Chondogyo can be regarded as ‘global ethics’ in that it enlarges scope of ethics from human to myriad things. These philosophical interpretations resonance to ‘global democracy’ of Kim Daejung in 1994.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