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 성리학자들의 양명학에 대한 비판적 인식 검토(4) - 박세채의 「왕양명학변」을 중심으로 -

        전수연 ( Jeon Su-yeon ),김민재 ( Kim Min-jae ),김용재 ( Kim Yong-jae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0 儒學硏究 Vol.51 No.-

        본 연구의 목적은 소론의 영수로 지목되었던 남계 박세채의 양명학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살펴보는 것이다. 17~18세기의 조선에서는 예학에 대한 주자학적 관점의 천착과 동시에 탈주자학적 경향의 학풍이 일어나고 있었다. 그리고 학술적 견해 차이에 근거한 시대 인식으로 인해 사대부 간의 갈등과 분화 역시 한층 심해지고 있었다. 조선 학계에서 양명학은 육구연의 심즉리 계보를 계승한 것으로 판단되어, 이황의 양명학 비판 이후로 줄곧 ‘선학(禪學)’으로 치부되었다. 이런 상황에 더하여 박세채는 육왕학이 유행한 이후로 명나라의 유풍(儒風)이 일어나지 못한 것을 보면서, 조선도 명나라처럼 되는 것이 아닐까 우려했다. 이 같은 이유로 박세채의 학문성향은 도통을 중시하는 벽이단적 성향을 띄게 되었다. 한편 그의 제자인 정제두는 홀로 양명학을 탐독한 후 이를 토대로 학술체계를 세웠으며, 자신의 견해를 스승인 박세채에게 전하였다. 정제두가 학술체계를 세운 만큼 박세채도 논리적으로 대응해야 했는데, 그 결과물이 바로 「왕양명학변」이다. 「왕양명학변」에서 박세채는 『대학고본』, 「대학문」, ‘치양지’, 「주자만년정론」을 대상으로 순차적으로 변론을 진행한다. 이것은 양명학의 출발점과 집대성, 다시 말해 양명학과 주자학이 괴리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던 왕수인의 학술 전개 과정 전부를 변척 대상으로 삼은 것이다. 또한 ‘격물’에서부터 양명학의 요체인 ‘치양지’에 이르기까지 왕수인의 문집으로부터 선별한 전거를 제시하고 그에 대해 반박하면서 치밀하게 비판하고 있다. 박세채의 양명학 비판도 비록 이황의 변척과 마찬가지로 ‘양명학은 선학이다.’라는 관점으로 귀결되지만, ① 치양지에 대한 분석이 시도된 점, ② 왕수인 만년 시기의 저술을 비판의 대상으로 선정한 점, ③ 양명학에 대한 비판을 왕수인의 문집까지 탐독한 후 도출하였다는 점 등에서 차별성을 확보한다. 결과적으로 박세채의 변척은 오히려 정제두가 양명학에 대한 고유한 이론체계를 발전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며, 한국양명학을 대표하는 강화학파가 형성되는 데도 일정 부분 기여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the critical perception of Yang-Ming Studies by Park Se-Chae(朴世采), who was pointed out as the leader of "Soryon(小論)".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Joseon had a Neo-Confucianism(朱子學), view of Ritual theory (禮學) and at the same time a Post Neo-Confucianism(脫朱子學) trend was taking place. Therefore, the conflict and differentiation between the nobility were also intensifying due to the perception of the times based on academic differences. In Joseon academia, Yang-Ming Studies was regarded to have inherited Lu Jiuyuan's(陸 九淵) Xinjili(心卽理), and had been dismissed as a Soenhak(禪學) ever since Yi Hwang's criticism of Yang-Ming Studies. In addition to this situation, Park Se-Chae was concerned that Joseon would become like Ming Dynasty, seeing that the Confucianism of the Ming Dynasty had not flousrished since Lu-Wang xue(陸王學) became popular. For this reason, Park Se-Chae's academic tendency had grown to reject heresy, which valued Confucian Orthodoxy(道統) Meanwhile, his disciple Jeong Je-Du(鄭齊斗) studied Yang-Ming Studies by himself and established an academic system based on it, delivering his views to his teacher, Pak Se-chae. As Jeongjedu(鄭齊斗) established an academic system, Park Se-Chae had to respond logically, and the result was the "Wang Yangming's Scholarly Discrimination(王陽明學辨)". In the "Wang Yangming's Scholarly Discrimination" Park Se-Chae conducted a series of arguments for the "the Ancient Text Daxue(古本大學)", "Daxuewen(大學問)", "Zhiliangzhi(致良知)" and "Zhu xi in later life(朱子晩年定論)". This is a criticism of Wang Shouren(王守仁)'s entire academic development process, which wa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 of Yang-Ming Studies's starting point and collectivity, the gap between Yang-Ming Studies and Neo-Confucianism. He, Park Se-Chae, also presented selected premises from Wang Shouren's collection of writings and refuted them carefully, ranging from "Gewu(格物)" to "Zhiliangzhi" a key element of Yang-Ming Studies. Park Se-Chae's criticism of Yang-Ming Studies also came down to the perspective that 'Yang-Ming Studies is Soenhak’ as Yi Hwang's alteration. However, the following three distinctions had been ensured : ① the analysis of 'Zhiliangzhi' was attempted, ② Wang Shouren's works were selected as a target of criticism, ③ Criticism of 'Yang-Ming Studies was derived after reading Wang Shouren’s collection of writings. As a result, the transformation of Park Se-Chae rather served as an opportunity for Jeong Je-doo to develop his own theoretical system for Yang-Ming Studies, and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a Ganghwa school(江華學派) representing Korean Yang-Ming Studies.

      • KCI등재후보

        陽明學과 21세기 體育學

        권오륜(Kwon Oh-ryun) 한국양명학회 2003 陽明學 Vol.- No.9

        교육의 하위개념으로서 체육이 20세기말 급변하는 과학의 발달과 맞물려 독립된 하나의 학문인 체육학으로 성립되었다. 특히 체육학이라는 학문의 영역으로서 체육철학적 존재론의 실체인 신체관은 체육학의 본질로서 체육학의 학문적 기초를 정립하는 필수불가결의 핵심이다. 필자는 체육학에서 탐구의 대상인 인간에 대한 동양적 사고 방식과 서양의 경험적, 합리적, 과학적 방법이 조화를 이룰 때 가장 이상적인 21세기 체육학의 비전이 제시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이에 따라 동양철학의 대표적 사상의 하나로서 유학의 한 계파인 양명학의 철학사상이 21세기 미래 사회에서 체육학의 철학적 기초로서 대안이 될 수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양명의 知行合一說은 주자학과 다른 실천적 요소가 포함된 자신의 독특한 학문체계를 수립하게 된다. 양명은 知를 行의 시작으로 보았고, 行을 知(良知)의 완성으로 보았으므로 결국 行의 시작은 知로부터 결정되는 것이며 동시에 行은 知의 완성이라는 관점에서 致良知의 致의 과정이 된다. 양명은 당시 관학이던 주자학의 모순을 文盛實衰에 있다고 함은 良知의 행동적 실천의 부재를 꼬집은 말이며, 자아는 단순한 이론적 인식이나 사유의 주체일 뿐만 아니라 신체적, 행동적, 실천적 주체라고 규정하였다. 따라서 양명학의 知行合-說과 致良知說에 나타난 신체사상은 서양철학의 이원론적 섬신관의 모순점을 보완할 수 있으며, 나아가 21세기 체육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가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hysical education, which was a subordinate idea of education, has formed science of physical education as a independent study with the radical development of science in the end of the 21st century. In science of physical education as a study, the view on a body is the subject of philosophical existence and the essential core that forms the basis of the study. An ideal vision of the 21st century's science of physical education could be held if we study human beings with the oriental points of view and the western points of view which is experimental, scientific, and rational. This researcher has studied the philosophical thoughts of Wang-ming studies, the representative thoughts in oriental philosophy, and has made alternatives as the philosophical basis of science of physical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知行合一) of Wang-ming sets up the peculiar system of a studies with the practical facts (movements and behaviors of human beings), which is different from Confucianism. Wang-ming thinks that knowledge is the beginning of action and action is the completion of knowledge(良知). So he knows that the beginning of action results from 知 and it is the process of chih(致) of Chih liang-chih(致良知) because knowledge is the completion of action. Wang-ming criticizes that Confucianism as the national study has no practical behaviors of liang-chih. Also he says that the self is nor only the subject of theoretical cognition and thinking but also the subject of practice, behavior, and body. The points of view on a body which come from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and Chih liang-chih in Wang-ming studies could cure the dualistic points of view on a body in western philosophy, and have values as the new paradigm of the 21st century's science of physical education.

      • KCI등재

        『陽明先生遺言錄』에 나타난 왕양명의 사상

        장귀용,최재목 한국양명학회 2016 陽明學 Vol.0 No.45

        After the death of Yang Ming, his student, Qian De Hong, collected his tutor’s analects from those who studied under Yang Ming. Yang Ming’s other student, Zeng Cai Han, basing on Qian’s collected analects and other records, wrote “Yangming Xiansheng Yiyanlu(陽明先生遺言錄)”(below “Yi Yan Lu” ). “Yi Yan Lu” was included in the “lǘdongben” of The Collected Works of Yang Ming, and a handwritten facsimile of the book, combined with another book, remains in Tohoku University, Japan. According to Jeon Seup Rok’s Jeondeok postface, the “Yi Yan Lu” was created by Zeng Cai Han through Qian De Hong’s first edition of the book, which was passed to him by the students of Yang Ming. The “Yi Yan Lu” was read in its original form, or in the form of reedited by Qian De Hong, and the publication of the book took nearly 30 years. Afterwards, due to the recommendations from the QiZhou(蕲州) region’s inspection and others, Qian De Hong reedited the book based from existing analects of Yang Ming, culminating with the publishing of the “Chuan Xi Lu(傳習錄)”. The “Yi Yan Lu” is the second book of the “Chuan Xi Lu”. Therefore, we can consider the “Yi Yan Lu” not as Yang Ming’s ideology as edited by Qian De Hong, but as an accurate record of the actual analects of Yang Ming. The “Yi Yan Lu” contains two volumes with a total of 110 articles, 55 articles each, of which 38 articles overlap with the contents of “Chuan Xi Lu” (1 article in Volume 1, 37 articles in Volume 2). Therefore if we compare “Chuan Xi Lu” with the Testament, we can learn Yang Ming’s ideology before they were edited in the formation of the “Chuan Xi Lu”, and also gain insight on Qian De Hong’s understanding of Yang Ming’s ideology. For this reason,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Yi Yan Lu” and finding its meaning has high bibliographical value in studying the Wang Yangming school. This paper does not deal with all 110 articles of the Testament, but only with the 37 articles that overlap with Volume 2 of the “Chuan Xi Lu”. These 37 articles can b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The first category is composed of articles that coincide entirely with passages in the “Chuan Xi Lu”(including some differences in sentences), the second category with some differences in content, the third category on articles that record the same events differently, and the fourth category on articles with several deleted or added paragraphs. This paper divides the 37 articles into four categories and analyzes their characteristics. In addition, it also analyzes several representative clauses deleted from the “Chuan Xi Lu”. Through this analysis, we can see Yang Ming’s characteristic practical ethics, and contrast with neo-Confucian thought as the “Yi Yan Lu” was edited into the “Chuan Xi Lu”. This paper also elucidates on how Yang Ming school defends itself against Buddhist and Taoist criticisms from the neo-Confucian school. 양명사후에 그 제자 전덕홍은 양명문하생들로부터 양명의 어록을 모았다. 그리고 양명의 제자 曾才漢이 그 어록집을 토대로, 기타 기록들을 모아서 간행한 책이 바로 『遺言』이다. 『遺言』은 『陽明先生遺言錄』(이하 『유언록』)으로 통용된다. 『유언』은 『양명문집』 閭東本에 수록되어있으며, 일본 東北대학에 이 閭東本의 『遺言』을 필사한 것으로 보이는 『陽明先生遺言錄』이 『稽山承語』와 합본되어서 남아있다. 『傳習錄』의 「전덕홍발문」을 근거로 해서 보면, 양명 문하생들에게서 전덕홍의 1차 찬집을 거쳐 증재한에 의해 탄생한 『유언록』은 遺言 자체로 읽히거나 전덕홍에 의해 재편집 되어 간행된 『전습속록』으로 읽혀왔다. 그 기간은 『전습록』이 완전히 간행되기 전까지 약 30년이었다. 이후 蘄州 지역의 深思畏 등의 건의로 전덕홍이 기존의 어록을 재수정하여 『전습록』을 간행하게 되었다. 『유언록』은 『전습록』 권하에 해당한다. 따라서 『유언록』은 전덕홍에 의해 편집된 양명의 사상이 아닌, 실제 양명의 언설에 가까운 기록이라고 볼 수 있다. 이중 『유언록』에 수록된 권상, 권하 각각 55개 조목, 총 110개 조목 가운데 38개 조목이 『전습록』과 그 내용이 겹친다(권상과 1개 조목, 권하와 37개 조목). 그렇기 때문에 『전습록』, 『유언록』을 비교하여 살펴보면, 『전습록』의 편집과정에서 첨삭된 양명의 사상을 알 수 있고, 『전습록』의 편집자인 전덕홍의 양명사상에 대한 이해도 더욱 뚜렷하게 엿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유언록』의 내용을 분석하고 그 의미를 찾는 작업은 양명학연구에 있어 문헌학적으로 가치가 높다. 이 논문에서는 『유언록』의 110개 조목을 모두 다루지 않고, 『전습록』 권하과 내용이 겹치는 37개 조목에 대해서 다루고 있다. 이 37개 조목을 분류하면 4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그 내용이 일치하는 조목(일부 문장 표현이 다른 것을 포함), 둘째, 일부 내용이 다른 조목, 셋째, 동일한 상황을 다르게 기록한 조목, 넷째, 일부 단락이 제거되거나 추가된 조목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 37개 조목들을 위의 네 가지로 분류하고, 그 특징을 분석한다. 여기에 더해 『전습록』에서 제거된 조목 가운데 특징적인 몇 가지 조목도 분석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유언록』에서 『전습록』으로 편집되는 과정에서 전덕홍이 양명 특유의 양명의 ‘心學’을 주자학과 어떻게 분별하는지 알 수 있다. 또한 주자학의 관점에서 비판할 수 있는 양명학의 불교적, 도교적 측면을 어떻게 방어하는지 또한 알 수 있다.양명사후에 그 제자 전덕홍은 양명문하생들로부터 양명의 어록을 모았다. 그리고 양명의 제자 曾才漢이 그 어록집을 토대로, 기타 기록들을 모아서 간행한 책이 바로 『遺言』이다. 『遺言』은 『陽明先生遺言錄』(이하 『유언록』)으로 통용된다. 『유언』은 『양명문집』 閭東本에 수록되어있으며, 일본 東北대학에 이 閭東本의 『遺言』을 필사한 것으로 보이는 『陽明先生遺言錄』이 『稽山承語』와 합본되어서 남아있다. 『傳習錄』의 「전덕홍발문」을 근거로 해서 보면, 양명 문하생들에게서 전덕홍의 1차 찬집을 거쳐 증재한에 의해 탄생한 『유언록』은 遺言 자체로 읽히거나 전덕홍에 의해 재편집 되어 간행된 『전습속록』으로 읽혀왔다. 그 기간은 『전습록』이 완전히 간행되기 전까지 약 30년이었다. 이후 蘄州...

      • KCI등재

        왕양명의 사회교육사상-「남감향약」을 중심으로-

        이우진 ( Lee Woo-jin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6 儒學硏究 Vol.36 No.-

        이 논문은 왕양명의 「남감향약」을 통해 그의 사회교육사상을 읽고자 하였다. 「남감향약」은 왕양명이 ``변란으로 피폐해진 남감지역의 풍속을 바로잡고 주민들의 안정된 생활을 영위할 수 있기를 바라면서 제작한 사회교육적 프로그램``이다. 왕양명은 「남감향약」을 제작하는 데 있어 주희의 「증손여씨향약」을 많은 면에서 참조하였다. 하지만 그 「남감향약」이 지닌 내용의 풍부성이나 구성의 상세함에 있어서 「증손여씨향약」에 비할 수 없다. 이 두 향약이 근본적으로 차이가 나는 지점은 ``향약을 통해 교화시키려는 대상``과 ``관권의 투입여부``이다. 「남감향약」은 「증손여씨향약」과 달리 주 대상이 사대부가 아니라 민중이었으며, 최후의 수단으로서 ``관권(官權)의 투입``을 요청한다. 「남감향약」은 형식상 ``서문``과 ``16개 향약 조목`` 두 부분으로 나뉜다. ``서문``에는 ``향약의 필요성, 새로운 백성[新民]이 된 남감의 주민에게 보내는 당부``가 제시되어 있다. 그리고 ``16조목``에는 ``향약의 간부 구성, 간부 선출 원칙, 간부의 역할, 향약소의 위치, 향회(鄕會) 일시·의례, 조세·채무 관계, 약적(約籍)과 선과적(善過籍)에 대한 규정, 기록 방법``과 같은 실로 다양한 지침들이 담겨있다. 무엇보다 이 16개 조목에는 ``남감 향약원들의 생활지침``도 있는데, 그 지침은 민란발생지로서의 남감지역이 지닌 특수성이 고려되어 있었다. 「남감향약」은 ``마음을 모든 문제의 핵심``으로 보는 왕양명의 독자적 시각이 담겨있다. 더불어, 지역사회의 안정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행동[外]과 마음[內]의 일치``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입장도 제시되어 있다. 이처럼 왕양명은 「남감향약」을 통해 ``심학(心學)적 방식을 통한 사회통치``라는 독특한 사유를 펼치고 있다. 또한 그는 ``인간 본연(本然)의 능력으로 구원받을 수 있다는 자력구제(自力救濟)의 입장``에 서 있다. 이는 그의 교육철학과 직결되는데, ``어느 누구라 할지라도 위대한 사람[聖人]이 될 수 있는 본연의 능력[明德·良知]을 지녔기에 교육이란 인간 본연의 능력이 자연스럽게 발현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주는 것``이라는 입장이다. 이와 같은 왕양명의 교육철학적 신념이 「남감향약」이란 사회교육에도 고스란히 전개된 것이었다.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Wang Yang-ming`s philosophy of social education based on Namgam Hyangyak[南?鄕約, The Community Compact for southern-gam Province]. Namgam Hyangyak is the critical material contained his social, practical, and educational philosophy. This social education program was made by Wang for the purpose that local people in Namgam province impoverished with many insurrections would restore peace and correct Corrupt moral customs. While making this Namgam Hyangyak program, Wang saw a lot of Jeungson Yeossi Hyangyak[增損呂氏鄕約, Chu Hsi`s revised edition of Lu-Family Community Compact]. But Wang`s program cannot be unparalleled to Chu`s Hyangyak with abundance and circumstantiality of contents. the fundamental differences of two programs are the application targets and the government intervention. While the application targets of Chu`s program are elite gentry[士大夫], Namgam Hyangyak is the ordinary people. And, Wang, the author of Namgam Hyangyak, request the government intervention as a means of last resort. Wang`s program is divided with the introduction and the 16 items. There are the necessity of Hyangyak, Wang`s entreaties to people in Namgam and the other things in the introduction. The 16 items include so many guidelines such as the organization of executive staff, the election standards, executives` assignments, the place for Hyangyak meeting, rituals process of Hyangyak meeting, tax, monetary debt, the books for appreciating of good deed and admonishing mistakes etc. Wang especially considered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Namgam area, the birthplace of insurrections. There is Wang`s unique philosophy, Mind-heart is the core of all the questions of morality, in Namgam Hyangyak. He thought that the prior task is people`s unity of inner mind-heart and outer action for regional stability and peace. Like these in Namgam Hyangyak, Wang suggested his distinctive social philosophy that the society would be controlled by method of Simhak[心學,mind-hearts studies]. In addition, he believed the salvation by one`s own efforts[自力救濟]. These are directly connected with Wang`s educational philosophy. He thought that everyone had the natural capacity of becoming a Sage, Education is creating thing the environment of realizing that capacity through its own efforts.

      • KCI등재

        왕양명의 심상 체인 이론의 특징과 의의

        박길수(朴吉洙) 한국양명학회 2021 陽明學 Vol.- No.61

        이 글은 왕양명(王陽明, 1368~1661)의 심상(心上) 체인(體認) 이론을 고찰한 것이다. 왕양명은 본체 및 공부의 단일성에 기초하여 기존의 학자들이 심의 본체와 공부를 내외(內外), 선후(先後), 동정(動靜) 등의 범주에 따라 분리한 관점들을 비판하였다. 또한 그는 기송(記誦), 사장(辭章), 훈고(訓詁), 강학(講學)처럼 언어적 이해와 토론에 근거하여 도(道)를 파악하는 공부법을 비판하고 오직 체인(體認)을 통해 심의 본체를 직접 실견(實見)하는 자득(自得)의 공부 방법을 제시하였다. 실견은 심신의 실천을 통해 심의 본체를 직접 인식하거나 자각하는 공부를 의미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왕양명은 가장 대표적인 심상 체인 공부로 본체공부를 제시하였다. 본체공부는 본체 및 공부를 단일한 형태로 통일한 것이다. 이러한 본체공부는 본체의 현재성(見在性)과 구족성(具足成), 그리고 전일성(全一性)에 대한 체험을 본질로 삼는다. 이 때문에 주체는 본체의 현전성(現前性)을 심의 허명(虛明)에서 비롯되는 광경(光景)이나 효과가 아니라 천리(天理)를 본질로 삼는 심층적인 규범성과 고유한 주재 활동으로 체험한다. 그러므로 본체공부로서 심상체인 공부를 완성할수록 주체는 점차 그의 본체의 명각(明覺) 활동을 투명하게 인식하게 된다. 그리고 그 결과로 주체는 그의 본질과 특징을 자각하고 주재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게 된다. 따라서 심상 체인 공부는 그 내용과 성격상 자기 관계적이고 자기 회귀적이며, 그 궁극적 가치와 의의는 심물(心物)을 관통하는 진정한 자아를 투철하게 자각하고 실현하는 데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examined the theory of embodied cognitive study by Wang Yang-Ming. He criticized the perspectives that scholars at the time separated the original mind and study, according to dichotomous categories such as inside and outside, front and back, silent and moving; and argued that the original mind and its study have unity. In addition, he criticized the study methods of grasping the Tao based on linguistic understanding and discussion, such as the study of recitation, the study of poetry and prose, exegetics, and discussion. He additionally emphasized the study method of recognizing the original mind directly through the practice of mind and body. In this context, Wang Yang-Ming suggested ‘the study in the original mind(Bentigongfu)’ as the most representative embodied cognitive method. It is a study that fundamentally unifies the unity of the original body and study. This study takes as the essence of the experience of manifestation, self-sufficiency, and fullness which the original mind has. In addition, in this course, the action agent can experience a sort of in-depth normativeness and its unique subjective activity that takes the universal principle and laws as the essence, not as a psychological phenomenon or a psychological effect arising from the emptiness and brightness of mind. For this reason, the more the embodied mind study is completed, the more the subject becomes transparently aware of the self-awakening activities of his original mind. And these processes and results consequently increase the ability to be able to recognize and control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his mind and body. In conclusion, embodied cognitive study is a self-directed and self-recurrent study method, and its ultimate purpose is to fully recognize and realize the true self.

      • KCI등재

        왕양명 철학에서의 감정 이해와 그 윤리적 함의

        김세서리아 ( Seseoria Kim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4 儒學硏究 Vol.30 No.-

        본 논문은 감정을 단지 신체적 느낌만으로 이해하지 않고 감정으로부터 인지적인 요소들을 이끌어낼 수 있다는 인지주의자들의 논의에 주목하여 왕양명의 감정론을 살펴보고 그것의 윤리적 함의를 고찰하고자 한다. 하지만 이러한 강한 인지주의적 접근 방식이 주체의 감정 경험과 명제적 판단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대해서는 설명할 수 없는 한계를 가질 수 있음에 대해서는 비판적으로 인식한다. 본 논문은 감정을 신체적 느낌이나 인지적인 것 어느 하나로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이 둘을 통합하는 방식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양명의 심즉리설, 만물일체설 안에서 도덕 판단과 주관적 느낌을 통합하는 지점, 개인적 차원의 도덕 수양과 사회적 차원의 공적 도덕성을 통합하는 차원 등을 발견하고자 한다. 이 같은 논의를 효과적으로 전개하기 위해 본 논문은 우선 양명의 심즉리 철학에 나타나는 몸-마음-대상 간의 통합적 특징을 살펴본다. 그 다음 양명의 궁극 목표인 마음의 본체 회복, 양지의 실현을 위해서 감정 조절의 과제에 주목한다. 하지만 양명학에서 감정조절의 문제는 통제, 절제, 억압 등의 개념이 아니라 감정 해소의 의미를 지닌다는 점을 강조한다. 그리하여 양명에게서의 감정 조절 문제는 외부 강요에 의한 방식이 아니라 주체 형성의 계기와 긴밀하게 연관되는 것임을 시사한다. 이와 같은 논의를 통해 양명학에서의 감정론을 새로운 차원에서 조망할 수 있고 그 안에서 현대 사회에서도 유의미한 윤리적 함의를 개발하고자 한다. This thesis attempts to contemplate emotion’s moral implication by focusing on cognitive emotion understanding, which does not understand emotion simply as a physical sense but also draws upon cognitive elements within this. However, the author critically acknowledges that such cognitive approach method is limited in the way that it cannot explain the circumstances in which a subject’s emotional experience and propositional judgment do not accord. This thesis does not understand emotion as either just physical sense or cognitive sense but intends to approach it in a way that integrates the two and attempts to discuss this through the Theory of Sentiments in Yang-Ming studies. This is because the author believes that within Yang-Ming’s philosophy an integrating point of moral judgment and subjective feeling and the dimension that integrates moral cultivation on an individual level and public morality on a social level can be discovered. To effectively unfold such discussion, this thesis first observes he integrative characteristic among body, mind, and object, which is apparent in philosophy of Yang-Ming. Next, it will focus on the task of controlling emotion for realization of Liang Zhi and recuperation of the mind``s noumenon, which is the ultimate goal of Yang-Ming. However, this thesis emphasizes the fact that regulating emotion in Yang-Ming Studies is not a concept of control, moderation, and oppression, but is a means of emotion relief. Accordingly, the author attempts to imply that for Yang-Ming, controlling of emotion is not a method of external enforcement but is closely connected with an opportunity for subject formation. Through this kind of discussion, the Theory of Sentiments in Yang-Ming studies can be viewed from a new perspective and can develop a sense of moral implication in the contemporary society.

      • KCI등재

        중국 문화와 지역학 연구 성과물 집적 동향 - 문화연구를 중심으로

        권도경 한국중국어문학회 2018 中國文學 Vol.95 No.-

        본 연구는 중국의 최근 10년간의 문화연구 현황을 정리한 것으로, 베이징, 상하이 및 기타 지역의 주요 문화연구센터와 연구자들을 소개하고, 그들의 연구 성과물을 정리, 분석했다. 문 화연구의 주요 연구자인 다이진화, 왕샤오밍, 타오둥펑 및 청년 학자들의 연구 성과를 통해 현재 중국의 문화연구의 범위와 주제가 확대되고 다양해졌음을 알 수 있다. 문화연구의 연구 방법과 문화연구자를 양성하는 방식은 국내 중어중문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새로운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중국 문화와 지역학 연구 성과물 집적 동향 ―문화연구를 중심으로

        권도경 ( Kwon Do-kyung ) 한국중국어문학회 2018 中國文學 Vol.95 No.-

        본 연구는 중국의 최근 10년간의 문화연구 현황을 정리한 것으로, 베이징, 상하이 및 기타지역의 주요 문화연구센터와 연구자들을 소개하고, 그들의 연구 성과물을 정리, 분석했다. 문화연구의 주요 연구자인 다이진화, 왕샤오밍, 타오둥펑 및 청년 학자들의 연구 성과를 통해 현재 중국의 문화연구의 범위와 주제가 확대되고 다양해졌음을 알 수 있다. 문화연구의 연구방법과 문화연구자를 양성하는 방식은 국내 중어중문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새로운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本文整理了最近十年來中國國內的文化硏究狀況, 先後介紹了北京、上海及其他地方的主要文化硏究中心和所屬的主要硏究者, 梳理了他們的硏究成果。本文論及可以代表中國文化硏究的學者戴錦華、王曉明、陶東風以及其他靑年學者等的硏究成果, 總結出當今中國文化硏究的硏究範圍和主題呈現出擴大化和多樣化的特點。筆者認爲, 中國國內文化硏究的方法以及文化硏究者的培養方式將會爲我國國內的中國文學硏究的發展提供有益的借鑑和啓示。

      • KCI등재

        강화학의 실학적 특징을 통해 본 한국의 여성주체성

        김세서리아(Kim Se-seo-ri-a) 한국양명학회 2008 陽明學 Vol.0 No.20

        본 논문은 한국의 여성주체성에 대한 논의가 근대화과정 안에서만 논의 될 수 있다는 일반화된 인식에 비판적으로 접근한다. 이는 전통 사상 안에서도 여성 주체 의식이 변변히 흐르고 있었던 흔적을 발견할 수 있음을 주장과 연관되어 있다. 논문에서 이 같은 문제의식은 강화학파의 실학적 특징을 통해 논의되었다. 논문은 양명학이 기본적으로 양지의 자기실현을 통해 도덕적 주체성과 평등의 의미를 강조하는 경향을 지닌다는 점에서 출발한다. 특히 강화학파의 실학적 특징 즉 양지에 근거한 평등의식과 도덕적 주체의식, 실심(實心)에 기반한 실천적 의지와 민족 자존적 주체 의식이 한국여성주체 형성과 관련하여 매우 중요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한다고 인식한다. 물론 강화학파의 사상이 한말 여성의 주체 인식 변화에 중요한 동인으로 작용하였다거나강화학파 사상가들이 한국의 여성주체 형성에 직접적으로 기여하였다는 명백한 증거는 없다. 하지만 강화학파 사상의 양지체용설과 생리론을 근거로 한 정감적 주체, 실심을 기본으로 한 실천적 주체 그리고 한말 강화학파의 민족 담론을 둘러싼 저항적 주체에 관한 담론들이 평등성, 근대성, 저항성을 지니고 있음을 인정하지 않을 수도 없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한국 철학 내에 근대여성주체의 자생적 형성 요인이 다분히 있었을 것이며, 특히 한말 한국이 처한 특수한 상황들 속에서 자체 발생적으로 이루어졌을 가능성을 간과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This paper critically approaches the generalized recognition that argument about Korean women subjectivity can only be argument through modernizing process. This is related to the claim that the footprints of women subjective cognition is found even in traditional thoughts. In this paper, this topic is argued through This paper recognize that Kang-hwa study’s Shil-hak characteristics, which is equality based on Yang-ji, moral subjectivity, practical will based on Shil-shim, and subjectivity of nationalistic self-esteem provide important theoretical evidences related to the formation of Korean women subjectivity. Of course, there is no clear evidence that Kang-hwa study’s thoughts act as an important reason for the change in women’s subjectivity at the at the end of the Chosun dynasty. However, emotional subjectivity based on the theory of Liangzhi(良知) of Kang-bua study’s thoughts and the theory of Saeng-li(生理), practical subjectivity based on Shil-shim(實心) and resistant subjectivity encompassed by national discourse at the end of the Chosun dynasty made it possible for the formation of a different women subjectivity thar is different from the West during the modernizing process in Korea.

      • KCI등재

        Wang Fuzhi’s Annotation on Zhouyi and Learning Transmutation from Ming to Qing Dynasty

        ( Zhang Xuezhi )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2007 儒敎文化硏究(中文版) Vol.7 No.-

        王夫之痛感明代經學極敝, 學者以理學取代經學的弊端, 力圖恢復經學奠立價值系統, 規範禮樂制度, 指導修身治世的作用, 以經典注釋扭轉明代語錄之學, 將宋明理學重視價值傳統, 重視人格修養, 重視身心體驗和形上關懷的特點與儒家的注經傳統統一於一個載體上。王夫之的《周易》詮釋以《周易》尚有、尚動、尚生生之流行的哲學重建儒家思想, 澄汰儒家思想中的佛老影響, 為新的時代建立學術典範。他的乾坤並建的學說對氣本論的褒揚, 對佛道和陽明後學的批評, 對朱子學的張揚, 處處都與明末的時代風氣相呼應, 對清初的學術內容具有引導作用。 Wang Fuzhi was keenly feel the abuse about corrupt study of Confucian classics in Ming dynasty, strive to resume the function of study of Confucian classics that upbuild value system and normalize rite institution and guide to cultivate morality, turn the style of study in Ming by this. Wang Fuzhi’s annotation on Zhouyi rebuild Confucianism with advocating exist and act and engender, discard influence from Buddhism and Daoism in Confucianism, based learning apotheosis for new time. His doctrine that build Qian and Kun equally canonized materialism of Qi, criticize the school of Wang Yangming’s disciple, celebrate Zhuxi’s theory echo with time ethos in last Ming everywhere, have a effect of leading learning content in early Qing. [Article in Chine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