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휴대용 기기의 터치 디스플레이 크기가 정서적 반응과 수행에 미치는 영향: 시거리와 시야각을 중심으로

        김지호,손민교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5 No.3

        There are digital devices with touch display, including smart phones and tablet PCs, currently on market. Touch displays on digital devices have a lot of variation in display sizes and ratios. Despite of this diversification of display size, there was no research what is the optimal size on touch display.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touch display size on users’ emotional responses and performance and finds the optimal size on touch display. As results of present study, there were differences on emotional responses; interest, preference, attention, discomfort, and SCL (arousal), and performance; viewing distance, viewing angle, and game scores. Although most of previous studies showed that large display leads higher emotional responses and better performance than small display, this study finds that pattern of differences varies based on various variables. Especially, performance on touch display shows inverted U-shaped; the peak of curve between viewing angle 8° and 10°. Thus,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n display size with touch interface, and provides implications on development of touch displays and contents. 현재 시장에는 실로 다양한 크기의 터치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기기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스마트 폰을 비롯한 다양한 디지털 기기들은 각기 다른 크기와 비율의 터치 디스플레이를 탑재하여 출시되고 있으며, 이러한 크기의 다양화는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런 터치 디스플레이 크기와 관련하여, 어떠한 크기가 최적인가에 대한 연구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장 대중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10인치 이하의 휴대용 기기의 터치 디스플레이 크기가 사용자의 정서적 반응과 수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확인하고, 궁극적으로 터치 디스플레이의 최적의 크기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터치 디스플레이의 크기에 따라 정서적 반응과 수행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기존의 선행 연구들이 대부분 디스플레이의 크기가 크면 클수록 높은 정서적 반응과 더 나은 수행을 보인다는 연구 결과를 제시하였던 것과 달리 각 측정 변인에 따라 그 차이의 양상이 다르다는 것이 나타났다. 특히 수행의 경우, 시야각에 따라 역U자 형태로 나타남을 확인하였으며 시야각 8° ~ 10°에서 가장 높게 수행을 보인다는 연구 결과를 제시한다. 본 연구는 터치 인터페이스를 탑재한 디스플레이의 크기가 정서적 반응과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적으로 검증하고, 시거리와 시야각 측정을 통해 수행에 있어 최적의 크기를 도출함으로써 터치 디스플레이 개발과 관련 콘텐츠 구현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후보

        멀티터치를 위한 테이블-탑 디스플레이 기술 동향

        김송국,이칠우 한국콘텐츠학회 200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7 No.2

        Recently, the researches based on vision about user attention and action awareness are being pushed actively for human computer interaction. Among them, various applications of tabletop display system are developed more in accordance with touch sensing technique, co-located and collaborative work. Formerly, although supported only one user, support multi-user at present. Therefore, collaborative work and interaction of four elements (human, computer, displayed objects, physical objects) that is ultimate goal of tabletop display are realizable. Generally, tabletop display system designs according to four key aspects. 1)multi-touch interaction using bare hands. 2)implementation of collaborative work, simultaneous user interaction. 3)direct touch interaction. 4)use of physical objects as an interaction tool.In this paper, we describe a critical analysis of the state-of-the-art in advanced multi-touch sensing techniques for tabletop display system according to the four methods: vision based method, non-vision based method, top-down projection system and rear projection system. And we also discuss some problems and practical applications in the research field. 최근에 인간과 컴퓨터 상호작용을 위한 사용자 의도 및 행위 인식에 관한 비전 기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테이블-탑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터치 감지 기술의 발전, 협력적인 작업 추구에 발맞추어 다양한 응용으로 발전하였다. 이전의 테이블-탑 디스플레이는 오직 한명의 사용자만을 지원하였으나 현재에는 멀티터치를 통한 멀티유저를 지원하게 되었다. 따라서 테이블-탑 디스플레이의 궁극적인 목적인 협력적인 작업과 네 가지 원소 (인간, 컴퓨터, 투영된 객체, 물리적 객체) 의 상호작용이 실현 가능하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테이블-탑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다음의 네 가지 측면; 맨 손을 이용한 멀티터치 상호작용, 동시적인 사용자 상호작용을 통한 협력적인 작업의 구현, 임의의 위치 터치를 이용한 정보 조작, 상호작용의 도구로서 물리적인 객체의 사용을 중심으로 설계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테이블-탑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위한 최첨단의 멀티터치 센싱 기술을 시각기반 방법, 비-시각 기반 방법으로 분류하고 비판적인 견해에서 분석을 하였다. 또한 테이블-탑 디스플레이 관련 연구들을 시스템 구성방식에 따라 분류하고 그 장단점과 실제 사용되는 응용 분야에 대해 기술하였다.

      • KCI등재후보

        기기 면적 대비 높은 화면 비율을 갖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 제조를 위한 차광 테이프의 개발

        김기출 중소기업융합학회 2017 융합정보논문지 Vol.7 No.4

        정보기술의 디자인 트렌드는 시대에 따라 빠르게 변해왔으며, 최근의 정보 디스플레이의 디자인 트렌드는 베젤리스 디스플레이가 대세이다. 베젤리스 또는 에지리스 디스플레이는 휴대폰 디스플레이의 새로운 트렌드로 부 상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른바 베젤리스 디스플레이라고 불리는 기기 면적 대비 높은 화면 비율을 갖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의 조립 공정에 적합한 차광 테이프를 개발하였다. 차광 테이프는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계 감압성 점착제를 PET 필름 위에 롤투롤 공정으로 코팅하여 제조하였다. 자외선 경화형 감압성 점착제는 톨루엔을 전혀 사 용하지 않는 친환경적인 제조 방법으로 합성되었다. 제조된 차광 테이프의 점착력은 자동화된 인장시험기로 분석하 였으며, 형상유지 특성인 칙소성은 주사 전자 현미경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제조된 차광 테이프는 터치패널 디스 플레이의 조립 공정에 적합한 높은 점착력과 우수한 칙소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기능성 차광 테이프의 개발은 그 동안 차광 테이프의 칙소성 부족으로 인하여 야기되었던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 조립 공정의 생산성향상 및 품질 안정성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design trend of information technology is quickly changed with the times. The design trend of information display is a bezel-less display, recently. The bezel-less display or edge-less display is a new trend of mobile phone display. In this study, the shading tape was manufactured for assembling process of touch panel display with the high screen-to-body ratio so-called bezel-less display. The shading tape was fabricated on PET film with the UV curable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PSA) by roll-to-roll process. The UV curable PSA was synthesized with the eco-friendly toluene-less manufacturing method. The adhesive power of manufactured shading tape was investigated by motorized tensile testing machine. The thixotropic, maintaining property of cutting shape, was characterized by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s results, the shading tape exhibits high adhesive power and good thixotropic performance suitable for assembly process of touch panel display. The functional shading tape will be expected to improve productivity of assembly process of touch panel display.

      • KCI등재

        불규칙 표면에 대한 멀티터치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탠저블 인터페이스 개발

        이동훈(Dong Hoon Lee),강맹관(Maeng Kwan Kang),윤태수(Tae Soo Yun) 한국산업정보학회 2011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16 No.3

        멀티터치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참여자가 별도의 부가장치 없이 다양한 인터랙티브 미디어에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기술로 최근 큰 각광을 받고 있다. 특히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서피스 (Microsoft Surface)와 같이 벽면형 디스플레이 이외에 원형의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멀티터치 기술이 상용화됨에 따라 보다 다양한 형태의 탠저블 인터페이스로서의 가능성을 보였다. 본 논문 에서는 이를 확장하여 구형이 아닌 볼록형(Convex) 불규칙 표면을 대상으로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고 디스플레이된 콘텐츠와 참여자의 상호작용이 가능한 멀티터치 인터랙션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러한 제안 방법은 각종 탠져블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디오라마 기반의 전시 시스템이나 체감형 아케이드 게임에서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Multi-touch display system has recently attracted world wide attention due to easy accessibility to the various interactive media without any specialized equipments. Especially, Microsoft Sphere(R) shows a considerable promise in treating non-fiat multi-touch display. The distinctive feature of the system is a stable multi-touch interaction on a spherical display. To extend the possibility of the interactions to the more various display surfaces, this paper propose a multi-touch interaction system in the circumstance of the irregular convex surface. The proposed method can be used efficiently in various tangible interface, for example, the interactive diorama system at the exhibition or the tangible arcade game.

      • KCI등재

        개선된 터치점 검출과 제스쳐 인식에 의한 DI 멀티터치 디스플레이 구현

        이우범,Lee, Woo-Beom 한국융합신호처리학회 2010 융합신호처리학회 논문지 (JISPS) Vol.11 No.1

        멀티터치 관련 연구는 전반사 장애 현상(FTIR: Frustrated Total Internal Reflection)의 원리를 기반으로 기존 방법을 이용하여 단지 구현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또한 멀티 터치점(Blob-Points) 검출이나 사용자 제스쳐 인식에 있어서 성능 향상을 위한 소프트웨어적 해법에 관한 연구는 드문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확산 투광(DI: Diffused Illumination) 방식을 기반으로 개선된 터치점 검출과 사용자 제스쳐 인식에 의한 멀티터치 테이블-탑 디스플레이를 구현한다. 제안된 방법은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내의 객체들을 위한 동시 변형 멀티터치 명령을 지원하며, 제안한 사전 테스팅(Pre-Testing) 방법에 의해서 멀티 터치점 검출 과정에서 시스템 지연 시간의 감소가 가능하다. 구현된 멀티터치 테이블-탑 디스플레이 장치는 OSC(Open Sound Control)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는 TUIO(Tangib1e User Interface Object) 환경에서 Flash AS3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하여 시뮬레이션 한 결과 최대 37% 시스템 지연 시간의 감소와 멀티터치 제스쳐 인식에서 성공적인 결과를 보였다. Most of the research in the multi-touch area is based on the FTIR(Frustrated Total Internal Re리ection), which is just implemented by using the previous approach. Moreover, there are not the software solutions to improve a performance in the multi touch-blobs detection or the user gesture recognition. Therefore, we implement a multi-touch table-top display that is based on the DI(Diffused Illumination), the improved touch-points detection and user gesture recognition. The proposed method supports a simultaneous transformation multi-touch command for objects in the running application. Also, the system latency time is reduced by the proposed ore-testing method in the multi touch-blobs detection processing. Implemented device is simulated by programming the Flash AS3 application in the TUIO(Tangible User Interface Object) environment that is based on the OSC(Open Sound Control) protocol. As a result, Our system shows the 37% system latency reduction, and is successful in the multi-touch gestures recognition.

      • KCI등재

        내장형 터치 패널 기술 연구

        추교혁,이득수,강인병 에스케이텔레콤 (주) 2008 Telecommunications Review Vol.18 No.6

        키보드, 마우스등 별도의 입력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화면상에 손이나 물체를 접촉시켜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터치 패널은 최근 쉽고 직관적인 기기 조작을 원하는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고, 멀티터치등의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시되면서 점차 그 영역이 확대되고 앞으로도 더욱 많은 수요가 예상된다. 그러나, 현재 일반적으로 채용되고 있는 외장형 터치 패널은 터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상에 부가적인 터치 모듈이 필요하고 이에 따라 수반되는 여러 단점들이 알려지고 있는데, 이를 보완하면서 기술적인 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하여 각 디스플레이 업체에서는 내장형 터치 패널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터치 패널 기술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살펴본 후 내장형 터치 패널중 휴대폰을 비롯한 모바일 기기에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광센서 방식을 자사에서 진행하였던 개발 내용을 바탕으로 터치 패널의 기술과 설계 그리고 향후 해결할 기술적 과제 및 제품 응용 측면을 전망해 본다.

      • KCI등재

        Effects of Display Size and Type of Input on Cognitive and Emotional Response to Screen Tasks

        Gho Kim(김지호)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6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9 No.1

        다양한 스마트 기기들이 보편화되면서 여러 가지 방식의 디스플레이들이 개발되고 있다. 화면크기 및 입력방식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은 인간-컴퓨터 상호작용의 관점에서 주로 다루어져 온 측면이 있으며, 화면 크기의 효과에 주로 초점을 두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화면의 크기와 입력 방식에 대한 영향을 동시에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실제 사용 환경에서 소비자들은 다양한 컨텐츠를 접하는데, 각 컨텐츠 특성에 따라 더 적합한 입력방식, 혹은 더 알맞은 화면 크기가 무엇인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의 인지적, 감정적 반응이 다양한 입력방식과 화면에 따라서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감정 반응을 주로 이끌어내기 위한 컨텐츠인가, 수행성을 요하는 작업이 주인 컨텐츠인가에 따라 입력방식 및 화면크기에 따른 다양한 영향이 나타났다. 수행성이 요구되는 컨텐츠에서는 화면크기와 입력방식이 모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될 수 있다. 한편 감성반응을 이끌어 내는 컨텐츠에서는 상대적으로 화면크기보다는 입력방식이 더 주요하게 작용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입력방식에 따른 차이를 종합해보면 터치는 감성반응을 일으키는 컨텐츠, 마우스는 수행성을 위한 컨텐츠에 사용이 적절할 것이다. 마우스의 수행이 상대적으로 더 좋았던 것은 정확한 포인팅과, 손에 비해 전체적으로 주의하도록 하는 것이 긍정적으로 귀결된 것으로 보인다. 터치 조건에서 마우스 조건보다 훨씬 더 정신생리적 측정치의 값이 컸는데, 이는 터치를 함으로써 컨텐츠에 더 집중을 하여 마우스 조건과 서로 다른 감각 경험을 한 것이라 해석할 수 있다. Display size and type of input affect individual psychological responses to screen displays. The effects of display size and input type were measured in two experiments where the contents of stimuli led to either cognitive processing or emotional response; we included a psychophysiological dependent measure (skin conductance). As expected, touch contributed to increased emotional response of users. Computer-mouse input was associated with better performance. An effect of screen size was found for the cognitive task, but not for emotional response. The present findings suggest that display size and type of input is significant to user experience. Furthermore, it shows that selection of the appropriate device can vary depending on stimulus contents. Theoretical and soci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 3 차원 자유곡선 설계를 위한 멀티터치 테이블 탑 기반의 UI 개발

        한은정(Eun Jung Han),이장현(Jang Hyun Lee) (사)한국CDE학회 2011 한국 CAD/CAM 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1 No.1

        Definition of geometric objects is basic task in product design of CAD. User interface such as a mouse and keyboard are still the most common devices for CAD systems. It isn’t easy to provide an efficient object motion or definition in 2D or 3D space with such devices. The UI(User Interface) technique used in this paper utilizes the Table-Top display combined with the multi-Touch gesture. A tangible user interface for designers changes the way in which the designers perceive and interact with CAD and geometry design. Table-Top display is assembled by single focal projector, infrared LED, diffuser, reinforced glass and two infrared-cameras. A rearprojection multi-touch tabletop display was combined with hand tracking utilizing computer vision techniques. Touch detection by FTIR(Frustrated Total Internal Reflection) is used for capturing interaction with tabletop display. We combine touch detection and hand tracking techniques in order to allow designers to interact with the geometric object. We have implemented an example of B-Spline curve design run on the TUI(Tangible User Interface). Considering design activities occurring on a tabletop display, interface between designers and CAD will become more interactive, which should support the design of various geometries.

      • 차세대 대형 멀티 터치 디스플레이를 위한 멀티 가상 키보드 설계 및 구현

        김정한(Junghan Kim),김인혁(Inhyeok Kim),엄영익(Young Ik Eom)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3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1 No.2

        터치 디스플레이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이를 이용한 스마트 폰을 비롯한 스마트 테이블, 스마트 월 등 다양한 HW 플랫폼들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터치 디스플레이의 대형화가 가능해짐에 따라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이용하는 서비스들은 멀티 터치를 기반으로 한명 이상의 사용자 입력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치 디스플레이의 주요 입력 도구인 가상 키보드 역시 마찬가지의 요구사항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리눅스 환경에서 차세대 윈도우즈 매니저(Wayland/Weston)을 기반으로 가상 키보드 등록, 생성 및 사용 과정에 대해 분석하고, 멀티 가상 키보드를 지원하는 윈도우 매니저를 설계 및 구현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