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형사법연구」 30년 내용 분석과 전망

        문성도 한국형사법학회 2018 刑事法硏究 Vol.30 No.4

        Past 30 years of “Journal of Criminal Law” and its Prospect Korean Criminal Law Association publishes the Journal of Criminal Law, a quarterly, peer-reviewed academic journal produced in association with Beob-Won-Sa Publishing Company. The journal was first published in 1988. I will analyse the Past 30 years of “Journal of Criminal Law” and present its directions of development and future visions from the viewpoint of editing of the journal. Following questions shall be raised and reviewed with regard to editing the Journal of Criminal Law composed of news about association, theoretical treatises and informations on criminal law, criminal procedure, criminal policy, criminalistics, criminology etc. Firstly, how is the Board of editors composed and is a contributed article examined? Secondly, on what criteria should the Board of editors arrange articles to improve the Journal of Criminal Law? Thirdly, how much academic material or information and news about association is presented to academic readers? Lastly, was the Journal of Criminal Law made after the model of Keiho Zasshi, the Japanese Journal of Criminal Law? 『형사법연구』30년의 내용 분석과 전망학회지 편집을 중심으로 한국형사법학회는 『형사법연구』학술지를 계간으로 법원사를 통하여 발간하고 있다. 이학회지는 1988년에 창간되었다. 이 글은 『형사법연구』 창간 30주년을 맞이하여 바람직한 학회지 편집이라는 관점에서 『형사법연구』의 내용을 분석하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형사법연구』는 학회 소식, 형사법 분야에 대한 학술논문과 정보 자료들이 제공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형사법연구』편집이라는 관점에서 다음과 형같은 질문들이 제기되고 검토하였다. 첫째, 편집위원회 구성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투고 논문의 심사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둘째, 한

      • KCI등재

        증거법 분야의 개정방안

        변종필(Byun, Jong-Pil) 한국형사법학회 2011 刑事法硏究 Vol.23 No.1

        Criminal procedure law was changed in full width in 2007. A lot of parts of the reformed law are by and large satisfactory in that they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of legality and transparency in investigation procedure and the guarantee of the rights of the suspects or the accused. But there are some parts which need to be amended or complimented because of their faults. Therefore, the Korean Criminal Law Association composed autonomously the committee for reforming such provisions. It discussed direction of reform and concrete regulation, and as a result put out a revised plan. The main purpose of the proposal are connected with the stress on public trial and the high guarantee of defensive rights of the suspects and the accused in criminal procedure. Its concrete contents are as follows: To compliment §308-2(about exclusionary rule), to abolish §312②, to regulate the proviso part in §313① into two parts, to change one of exception causes in §314, to delete the brackets part in §316① and to repair §318-2 for protecting the accused.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proposal and its contents in critical consideration. From my point of view it seems to be very appropriate. Because the proposal is totally in harmony with the idea of emphasis on vitalization of public trial, the procedural dimension of truth-concept, the protection of defensive rights of the accused and the intent of hearsay rule.

      • KCI우수등재

        형사법연구 30년

        장영민 한국형사법학회 2018 刑事法硏究 Vol.30 No.4

        It is my great honor to give a keynote speech at the conferences of conferences celebrating the 30th anniversary of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Journal of Criminal Law. I have a great relationship with the journal Criminal Law Research of the Institute of Criminal Justice. When I started to publish the journals in 1988, I helped Park Jung-geun as the secretary of the institute and worked as a presenter. During the 20th anniversary of 2008, I held an academic conference to recall 20 years of journals. And 2018, the 30th anniversary of the launch, is the year I retire. At this point, I am deeply appreciative of the 30th anniversary of the <Criminal Justice Research>, which was presented at the conference of the Institute. The academic world at the time of publication of the journal was in a situation where I felt the urgency and necessity of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unintentionally. At that time, the burden of the professors' research work was not so great as it is today, so there was no burden that the professors had to write several copies a year. However, academic journals in their universities, which professors used as a venue for presentations, could not be shared by academic circles (because they could not be freely searched in cyberspace). Every member felt that academics need a public sphere. 한국 형사법학회의 학술지 <형사법연구> 창간 30년을 기념하고 축하하는 학회의 학술대회에서 기조강연을 하게 되어 큰 영광으로 생각합니다. 저는 형사법학회의 학술지 <형사법연구>와 우연치 않게도 큰 인연을 가지고 있습니다. 1988년 학술지를 창간할 당시 저는 학회의 간사로서 박정근 회장님을 도와 창간의 실무를 맡았었고, 2008년 창간 20주년 때에는 학회 회장으로서 학회지 20년을 회고하는 학술대회를 개최한 바 있습니다. 그리고 창간 30주년인 2018년은 제가 정년을 맞은 해입니다. 이 시점에 학회의 학술대회에서 <형사법연구> 창간 30년을 회고하는 말씀을 드리게 되어 더욱 감회가 깊습니다. 학회지 창간 당시의 학계는 무언중에 학회 기관지의 필요성과 시급성을 절실하게 느끼고 있던 상황이었습니다. 당시는 오늘날처럼 교수들의 연구실적 부담이 크지는 않던 시점이라서, 교수들은 년 몇 편을 써야 한다는 식의 부담은 없었습니다. 그러나 각 교수들이 발표의 지면으로 활용하던 소속 대학의 학술지는 (지금처럼 사이버 공간에서 자유롭게 검색할 수 없었기 때문에) 학계가 공유하는 지면이 되지는 못하였습니다. 회원 누구나 학계의 공론장이 필요하다고 느끼고 있었던 것입니다.

      • KCI우수등재

        형사법학 60년의 회고와 향후과제 - 형법총칙분야를 중심으로 -

        오영근 한국형사법학회 2017 刑事法硏究 Vol.29 No.3

        The contents of this paper is the review of the korean criminal jurisprudence since 1957, in which year The Korean Association of Criminal Law and Procedure was found. The total 60 years may be devided into three eras of 20 years. The first era is from 1957 to the end of 1970’s. In that era, the most of the korean criminal scholars focused on introducing the japanes criminal jurisprudence into Korea. The second era is from the early of 1980’s to the end of 1990’s. In that era, many korean criminal schloars studied in Germany and introduced german criminal jurisprudence into Korea. For Korea has received german criminal law through Japan, it was considered very important to introduce and refer german criminal jurisprudence in interpreting korean criminal code. The representative example is introducing german criminal theories such as ‘die Lehre von Handlungbegriff’(the theory of the concept of act in criminal law), ‘die Lehre von objective Zurechnung’(the theor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 criminal act and a criminal result), ‘the theory of the social and ethical limitation of the self-defense’ and ‘die Lehre von Täter und Tatherrschaft’(the theory of the distinction between a principal offender and a accomplice). The third era is the 21th century. In this era, many korean criminal scholars criticize the simple comparative study and germany-oriented criminal jurisprudence of the former era and try to found a criminal jurisprudence which is proper to korean criminal code. 형사법학회가 창립된지 60년이 되었다. 형법학 그 중에서도 총론분야 형법학의 60년을 회고할 경우 형법학회 창립 후 1970년대까지의 20여년간, 1980년대와 1990년대 20년간, 2000년 이후 현재까지 약 20년간 등 세 시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제1시기는 주로 일본형법학의 영향을 많이 받은 시기, 제2시기는 독일형법학의 영향이 절대적인 시기, 제3시기는 우리의 독자적 형법학을 확립하기 위한 모색시기라고 할 수 있다. 이 기간동안 우리 형사법학계도 회원과 발간하는 논문집의 수가 비약적으로 증가하고 질적인 측면에서도 이전에 비해 수준이 높아졌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아직도 연구의 자세나 방법적 측면에서 개선해야 할 점들이 많이 있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비교법적 연구이다. 대부분의 경우 비교법적 연구 부분은 정확하지도 않고, 논문의 다른 부분들과 물과 기름처럼 분리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이에 비해 국내문헌들에 대한 연구나 분석에 충분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는 경향이 아직도 존재한다. 이에 따라 어떤 주제에 대한 외국학자의 주장은 잘 알면서 바로 옆에 있는 국내학자의 의견은 전혀 알지 못하는 본말전도 현상이 아직도 사라지지 않고 있다. 그동안 형사법학계에서도 이러한 현상에 대한 계속적인 비판과 반성이 있었고, 형사법학계 60년을 회고하고 앞으로의 방향을 설정하는 데에 있어서도 당분간은 이러한 잘못된 연구방법에 대한 철저한 반성과 개선이 핵심이 되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