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마트 팜 기술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신뢰성의 매개효과 및 IT 수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강덕봉 ( Kang Duck-boung ),정병규 ( Chung Byoung-gyu ),허철무 ( Heo Chul-moo ) 한국유기농업학회 2020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28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acceptance of smart farm technology. Smart farm technology is rapidly being introduced to agriculture in accordance with the progres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ut research on this is still little. Therefore, in this study, based on the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UTAUT), a research model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smart farm technology was constructed. To test this, empirical analysis was performed. A survey was conducted for students in smart farm technology education and adult male and female farmers who are currently planning to operate smart farms. Valid 204 sample were used for analysis. The hypothesis test was based 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4 statistical package. For the mediating effect and moderating effect, Process Macro 3.4 based on the regression equation was used. The results of testing the hypothesi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ausal hypothesis test, it was shown that performance expectancy, social influence and price value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use smart farm technology. On the other hand, effort expectancy, facilitating conditions were not tested for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use of smart farm technolog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trust, it was found that trust plays a mediating role between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social influence, facilitating conditions, price value and intention to use smart farm technology. In particular, the effort expectancy has not been tested for a direct significant effect on intention to use smart farm technology, but it has been shown to have an impact through trust. Trust was found to be a full mediating between the effort expectancy and the intention to use the smart farm technology. The current IT level of prospective users has been shown to play a moderating role between performance expectancy, facilitating conditions and intention to use smart farm technology. In particular, the IT level was found to strengthe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 expectancy and intention to use smart farm technology.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suggested.

      • KCI등재

        패시브디자인을 적용한 주거용 스마트팜 건축계획연구

        맹동,류리,김용성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1

        (Background and Purpose) As the world population continues to grow, food demand will increase, and it is expected that rapid urbanization will lead to more active research into urban agriculture. As a result, research is being conducted and plans are being implemented to establish smart farms in the city, but the utilization of vertical farms is insufficient due to problems such as the energy demands of vertical farms and limited cultivation plants. We propose a residential smart farm that accounts for the energy problem by a passive design application of the vertical farm. (Metho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vertical farm, the following study was carried out. First, the problems of current vertical farms were derive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s. Second, we analyzed cases of passive design and smart technology to identify problems in vertical farms. In addition,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residents and vertical farm experts, suggesting directions and design methods for vertical farm planning. (Results) First, with a residential and greenhouse smart farm plan oriented in the direction of the sunris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equirements of indoor heating energy in the winter season due to the acquisition of square heat and the use of artificial lighting due to cultivation of Smart Palm crop.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comfort of the occupant through the interception of four-way heat introduced into the room and public purification. Second, indoor natural ventilation through formation of a southern opening can secure the environment of residents and the comfort of the smart farm. Third, in addition to individual farms in residential areas, it is possible to secure diversity of crops during the cultivation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common farms in atrium,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energy consumption by implementing the same environment for crops through the cultivation of cascading crops. (Conclusions) The reason for the underutilization of vertical farms in urban areas is that there are problems in artificial energy consumption, unification of cultivated crops, and labor shortage.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we conducted domestic and foreign case analysis based on passive design and smart technology theory survey and review. Through a passive design application method this study proposes a building arrangement for saving artificial energy, along with an efficient space configuration for individual smart farms and public farms, and a natural ventilation method through openings. This can be used as basic research data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 vertical farm and the urban self-sufficiency plan which cities are currently pursuing. (연구배경 및 목적)세계 인구의 지속적 증가로 식량 소요량은 더욱 증대되고, 급격한 도시화로 인해 도시 내 농경 삶을 유입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될 것이라 예상된다. 이에 따라 도시 내 스마트 팜 구현을 위한 연구 및 계획이 시행되고 있지만 수직농장의 에너지 수요량 및 한정적 제배식물 등의 문제점 발생으로 수직농장 활용은 미비한 현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 내 수직농장 활성화를 위해 문제점으로 제시되는 에너지 소요량 및 식물의 재배적 문제 해결을 위해 수직농장의 패시브디자인 적용으로 에너지소요 문제점 및 식물재배와 거주자의 쾌적성을 위한 주거용 스마트 팜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수직농장에서의 문제점 해결방안을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이론 고찰을 통해 현재 수직농장의 문제점을 도출한다. 둘째, 수직농장 문제점을 파악을 위한 패시브디자인 및 스마트기술의 사례를 분석한다. 또한 주민과 수직농장 전문가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직농장 계획방향성 및 디자인 방법을 제안하였다. (결과) 첫째, 일조 방향과 동일한 주거 및 온실 스마트 팜 계획에 있어서 동절기에는 일사열 획득으로 인한 실내 난방 에너지저감 및 스마트 팜 작물 재배에 따른 인공조명 사용량을 저감할 수 있으며, 하절기에는 식물재배를 통한 녹화 현상으로 실내 유입되는 일사열 차단 및 공지 정화를 통한 재실자의 쾌적성을 확보할 수 있다. 둘째, 남측 개구부 형성을 통한 실내 자연 환기를 통하여 거주자의 환경 및 스마트 팜의 쾌적성을 확보할 수 있다. 셋째, 주거내의 개인 팜 이외에도 아트리움(Atrium) 내 공용 팜 구현을 통한 작물 재배시의 작물의 다양성을 확보 할 수 있으며, 계단식 작물 재배로 인해 작물에게 동일한 환경을 구현을 통한 사용에너지 저감이 가능하다. (결론) 현재 도시 내 수직농장 활용이 미비한 이유는 인공에너지사용량과 재배작물의 단일화, 노동력부족 등의 문제점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패시브디자인과 스마트기술 이론고찰 진행,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국내, 외 사례분석을 진행하였다. 사례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패시브디자인 적용방법 및 스마트 기술을 통한 스마트 팜 디자인 방법으로 인공에너지 절약을 위해 건물배치 및 개인 스마트 팜과 공용 팜의 공간 구성, 개구부를 통한 자연환기 방식, 효과적 농장 운영을 위한 스마트 기술을 제안하였다. 이는 수직농장의 활성화와 현재 도시가 추구하고 있는 자급자족형 도시계획을 위한 기초연구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 KCI등재

        Analysis and comparative study on the status quo of smart farms in China, Korea and Japan

        진려 ( Chen Li ),윤재은 ( Yoon Jea E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9 No.2

        (연구배경 및 목적) 현재 많은 국가에서 1인당 경작지 면적이 감소되고 있으며, 식량 수급 관계가 긴장하고 경작지가 과도하게 개발되면서 오염되어 전통적인 농업 생산 방법은 더이상 현대 농업의 발전에 적응할 수 없게 되고 있다.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라 정보화 수준이 높아지면서 사람들은 이미 정보화의 사물인터넷 기술, 빅데이터, 인공지능을 농업생산의 전 과정에 적용하여 농업생산의 효율성과 품질 향상을 고려하여 시행중에 있는데, 이것이 바로 스마트 농업이다. 본 연구는 중국, 한국, 일본의 스마트 농업 상황을 중점적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문헌 검토법, 분석법, 사례 연구법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우선 문헌종합법을 이용하여 중국, 한국, 일본의 스마트 팜의 현황을 확인하였다. 이어 분석법을 활용해 중국, 한국, 일본의 3개 국 스마트팜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스마트팜의 기준을 정했다. 마지막으로 사례연구법으로 중국, 한국, 일본의 3개국 스마트팜의 사례를 선택하여 세 나라의 스마트 팜의 현황과 특징을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에 따르면 중국, 한국, 일본의 스마트 팜은 빠른 성장 단계에 있으며, 관련 정책도 세우고 자본금 투자도 이루어 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일본의 지능농장은 지능화수준이 비교적 높다. 한국의 정보화수준은 높으나 스마트팜에 사용하는 것이 비교적 적다. 중국은 스마트팜에 정보화 기술을 많이 활용하나 설비는 대부분 수입으로 하고 있다. 이 세 나라는 모두 농업 데이터의 통합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한국과 일본에는 자국의 위성항법장비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우선 전 세계의 식량부족 문제를 스마트 팜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 둘째, 중국, 한국, 일본의 세 나라는 스마트 농업을 주창하며 정책적 지원을 중시하지만 구체적인 법 제정과 추가 투자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셋째, 일본은 이미 고도의 지능화를 지혜농장에 사용하고 있다. 한국은 높은 정보화를 스마트팜에 활용할 필요가 있고, 중국은 농업 정보화 기술을 자체 개발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세 나라는 농업 데이터의 통합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넷 째, 중국은 인터넷 접근성을 더 늘려야 하고 한국과 일본은 위성항법시설을 더 늘려야 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로 인해 스마트 농장의 보완을 더욱 촉진하고, 현대 농업의 발전을 이끌 수 있기를 바라는 바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Presently, the per capita area of arable land in many countries is decreasing, the supply and demand of food is tense, the arable land is being over-exploited and polluted, and the traditional agricultural production mode can no longer be adapted to the development of modern agriculture. The degree of informatization is increasing with the advancement in science and technology. Therefore, people have begun to implement smart agriculture, that is, the Internet of things technology,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in agricultural production, to improve efficiency and quality. This study examines the situation of smart agriculture in China, South Korea, and Japan. (Method) This study employs the literature review, analysis, and case study methods. First, it employs literature review to determine the status quo of smart farms in China, South Korea, and Japan. Thereafter, it analyzes the existing problems of smart farms in the three countries, and determines their standards. Finally, it uses the case study methods, selecting smart farm samples in China, Korea, and Japan to analyze and compare the current situation and characteristics of smart farms in these three countries. (Results) Smart farms in China, South Korea, and Japan are undergoing rapid development, and have formulated relevant policies and invested funds. Japan's smart farm intelligence level is relatively high; South Korea has a high level of information technology, but it is less used in smart farms; and China uses extensive information technology in smart farms, most of them being imported equipment. All three countries need to improve agricultural data integration. South Korea and Japan do not have their own satellite navigation equipment. (Conclusion) First, the global food crisis can be solved by smart farms. Second, China, South Korea, and Japan advocate smart agriculture and assign importance to policy support, however, they need to formulate specific laws and further increase capital investment. Third, Japan has implemented sophisticated intelligence into smart farms; South Korea requires to use a high level of information technology in smart farms; and China requires to enhance independent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gricultural information technology. The three countries need to improve the integration of agricultural data. Fourth, China needs to further expand its network coverage, and South Korea and Japan need additional satellite navigation faciliti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further promote the improvement of smart farms and lead to development in contemporary agriculture.

      • KCI등재후보

        국내 스마트농업의 발전과 농협의 추진방향

        남기포 ( Nam Gi-pou ) 농협대학교 협동조합경영연구소 2020 협동조합경영연구 Vol.53 No.-

        본 연구는 국내 스마트농업의 발전방향과 그 안에서 농협의 역할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스마트농업의 발전과정과 연구현황을 통해 스마트농업의 의미를 살펴보고, 설문조사를 통한 농업인과 조합직원의 스마트농업에 대한 인식과 평가 그리고 인터뷰를 통한 스마트농업 전문가들의 농협에 역할평가를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고 있다. 농협은 스마트농업 부문에서 관련 정부정책과 농업현장의 관심과 비교하면 그 관심과 역할이 매우 적어 보다 적극적인 대응 검토가 요구된다. 현재 농협은 현장에서 스마트농업의 보급과 정착에 중심적인 역할을 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장기적 계획으로 진행해야 하며 스마트농업의 인식전환, 중소 및 고령농 참여와 노지농업을 포함하는 지역모델형성, 단계적 접근, 제도적 정립과 조직역량의 증대, 그리고 다양한 관계자 참여하는 개방형 협력모델 형성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derive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domestic smart farming and the role of Agricultural Cooperatives in it. The study examines the meaning of smart farming through analysis of the development process and research of smart farming, and surveys the awareness and evaluation of the farmers and cooperative employees on smart farming as well as interviewed smart farming experts about the evaluation of the role of Agricultural Cooperatives. In the smart agriculture sector, Agricultural Cooperatives have very few interests and roles compared to related government policies and interests of agricultural fields, so more active response reviews are requir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ceed with a long-term plan, and to change the awareness of smart farming, to participate in small and medium-sized and elderly farmers, to form a regional model that includes field agriculture, to take a step-by-step approach, to establish an institutional system and to increase organizational capacity, and to form an open cooperation model in which various stakeholders participate. Currently, the Agricultural Cooperatives are emphasizing that they must play a central role in the spread and settlement of smart farm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erception of smart farming, form a regional model, step-by-step approach, establish institutional and organizational capabilities, and form an open cooperative model with various stakeholders.

      • KCI등재

        공동주택 단위세대의 스마트팜 활성화를 위한 3차원적 결합방안에 관한 연구

        김준성 ( Kim Junsung ),김용성 ( Kim Youngsung ),이남규 ( Lee Namgyu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8

        (연구배경 및 목적)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는 지구온난화로 인해 21세기 말 연평균 기온이 최대 5℃ 상승할 것으로 예측되며 이에 이상기온으로 인한 자연재해의 증가와 생태계의 변화가 생길 것으로 예측된다. 이러한 지구온난화로 인해 연평균 기온이 5℃ 상승함에 따라 벼 수확량의 25% 감소 여름 감자 수확량 30% 이상 감소, 가을 감자 수확량 10% 이상 감소하며 배와 같은 다양한 과수의 주 재배지가 변경되는 등 농작물의 생산성 감소가 예측되어 우리의 식량안보는 지속적으로 위협을 받게될 것이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스마트팜이 주목받고 있지만 모든 환경을 제어하는 스마트팜은 작물을 재배하는 과정에서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고 있어 기존 연구에서는 단위세대에서 남향에 스마트팜을 배치하는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이는 사람이 거주하는 공간인 주거공간의 특성을 고려하지 못한 단순한 2차원적 결합 방법으로 주거공간의 특성과 스마트팜의 형태적 특성을 고려한 단위 세대의 3차원적 결합 방법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고자한다. (연구방법) 가정에서 에너지를 적게 소비하며 소비자의 부담을 줄이며 스마트팜을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며 이 제안에서의 스마트팜 구동 방식을 토대로 현재 일반 시장에서 가장 많이 보급되고 있는 한국토지주택공사의 국민임대주택 평면 유형에 스마트팜 적용이 가능한 단위세대의 2차원적 공간을 분석한 후 3차원적 결합 방안에 대해 제안하며 스마트팜이 단위세대에 적용되었을 경우 스마트팜의 하루 평균 생산량(g) 및 일 평균 공급 인 수(명)을 계산하여 단위세대에 스마트팜이 결합 되었을 경우 실제 식량 생산량을 검증하고자 한다. (결과)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에너지 소비를 최대한 절약하며 일반 단위세대에서 스마트팜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가정용 type A, 가정용 type B 두 가지 방법으로 제안하였으며 가정용 type A, 가정용 type B 방식에서의 스마트팜 구동 방법의 특성을 토대로 한국토지주택공사의 국민 임대주택 평면 유형 36m2, 46m2, 59m2을 기준으로 스마트팜을 실 적용을 진행했으며 각 유형별로 스마트팜이 적용되었을 경우 스마트팜의 생산량 및 식량 공급 가능 인수를 계산하여 일반 단위세대에서의 스마트팜이 안정적으로 식량을 생산할 수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론) 이는 기존의 단순한 2차원적인 스마트팜의 도입 방법이 아닌 주거공간이라는 단위세대의 특징과 수직적인 형태로 만들어지는 스마트팜의 형태적 특성을 고려한 방법으로 단위세대에서의 스마트팜 적용 방법에 대한 가이드 라인을 제시하였으며 이는 미래의 식량위기, 식량안보에 대응할 수 있는 방법중 하나로 연구적 가치를 지니며 패시브 하우스 건축기법이 함께 연구되어 활용될 경우 추후 활용성에 대한 가치는 더욱 높아질 수 있어 이는 연구가 필요한 분야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Due to global warming, the average annual temperature at the end of the 21st century is expected to rise by 5°C on the earth where we live, and it is predicted that natural disasters and changes in the ecosystem will occur due to abnormal temperature. Due to such global warming, as the average annual temperature rises by 5°C, the rice yield decreased by 25%, the summer potato yield decreased by 30% or more, the autumn potato yield decreased by more than 10%, and the main planting sites for various fruit trees such as pears were changed. A decline is predicted and our food security will continue to be threatened. Smart farms are attracting attention as an alternative to this, but smart farms that control all environments consume a lot of energy in the process of growing crops. These prior studies are a simple two-dimensional combination method that does not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spaces, which are spaces where people live.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conduct a study on the three-dimensional combination method of unit household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space and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mart farms. (Method) Based on the smart farm driving method in this proposal, it proposes a three-dimensional combination plan after analyzing the two-dimensional space of the most popular unit household in the general market, and calculates the average daily production (g) and daily supply of smart farms. (Results) Therefore, in this study, two methods of household type A and household type B were proposed to save energy consumption as much as possible and use the smart farm in a unit household. Characteristics of the smart farm operation method in the household type A and household type B methods Based on this, smart farms were actually applied based on the national rental housing flat types 36m2, 46m2, and 59m2 of Korea Land and Housing Corporation. As a result, it was concluded that the smart farm for general unit households can produce food stably. (Conclusions) This is not a simple two-dimensional smart farm introduction method, but a guideline on how to apply it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unit households such as residential space and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 vertical smart farm. This study is valuable as one of the ways to respond to future food crises and food security. If we study and utilize passive house construction technology together, it is an area that needs research as it can further increase its future utility value.

      • KCI등재후보

        Cost analysis of outdoor mandarin and smart farms : Using Monte Carlo simulation

        Hyun-Gon OH,Mincheol KIM 제주대학교 관광과경영경제연구소 2021 産經論集 Vol.41 No.4

        Purpose: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management costs between smart farms and outdoor mandarin through Monte Carlo simulations. Agriculture is threatened with sustainability due to a decrease in the labor force. In particular, the aging of agriculture in Korea is at a serious level compared to other countries. Smart farms are being distributed to solve the aging problem of agriculture. In particular, IoT, blockchain, machine learning, artificial intelligence, augmented reality, and big data are becoming more common, and such digital agriculture enables sustainable agriculture. such digital agriculture enables sustainable agriculture. So, these technologies often involve uncertainty between technology and technology users. This uncertainty is to be resolved through simulation. Data and methodology: Monte Carlo simulation was performed through Oracle Ball. The outdoor mandarin and the mandarin of the smart farm were set to compare. And the collected data were tornado analysis, spider chart, sensitivity analysis, predictor analysis, and prediction comparison analysis using Oracle balls.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 Tornado, pesticide costs, fertilizer costs, and site development cost have a great influence on intermediate goods. however, in sensitivity analysis, pesticide costs, redemption cost for farming facilities, and fertilizer costs have a great influence on intermediate goods. Through the overall analysis, it was analyzed that pesticide and fertilizer costs commonly affect intermediate goods, and pesticide costs affect intermediate goods the most. In the predictive simulation analysis, it was analyz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mart farms and outdoor mandarin of intermediate goods. Conclusion: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mart farms and outdoor mandarin in terms of management costs. So, Considering the initial facility investment cost of smart farms, it will be difficult to obtain profitability in a short period of time. Pesticide cost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intermediate goods between outdoor mandarin and smart farms, because it was analyzed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esticide costs between outdoor mandarin and smart farm. Currently, smart farms are mainly focused on reducing production costs and reducing labor. But in the future, smart farms need to develop technologies that reduce pesticide costs

      • KCI등재

        스마트팜의 지각된 유용성 요인이 농촌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안문형,허철무 한국벤처창업학회 2020 벤처창업연구 Vol.15 No.4

        As ICT convergence technology has spread and applied to various industrial fields and society in general, interest in rural entrepreneurship using smart farm as a means for solving many pending problems in agriculture is increasing. In this context, this study is to look at the influential factors in terms of perceived usefulness associated with the rural entrepreneurial intention using smart farm and suggest a proposal for spreading smart farms. The subjects were 296 general adults over 20 years old who were selected by simple random sampling method. The research method wa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IBM SPSS 22.0. The perceived usefulness of smart farm, which are availability, reliability and economic efficiency were se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to analyze the influential factors on rural entrepreneurial intention using smart farm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ersonal innovation was observed. As a result, reliability and economic efficiency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rural entrepreneurial intention using smart farm. And personal innovation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vailability, reliability of smart farm and rural entrepreneurial intention using smart farm.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significance in that we devised and empirically revealed factors affecting rural entrepreneurship inten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perceived usefulness of smart farms, away from studies of general entrepreneurship intention factors such as internal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expected to be utilized at the seeking direction of policy for potential entrepreneur using smart farm, the training and consulting in actual field of smart farm. 최근 ICT융합기술이 다양한 산업분야와 사회 전반에 확산되고 적용됨에 따라 국내 농업의 많은 현안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중 하나로써 스마트팜을 활용한 농촌창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스마트팜을 활용한 농촌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들을 지각된 유용성 측면에서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스마트팜 창업 확산을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20세 이상의 일반 성인 296명이었고, 연구방법으로는 IBM SPSS 22.0을 활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독립변수로는 스마트팜의 지각된 유용성 요인으로 가용성, 신뢰성, 경제성을 선정하여 종속변수인 스마트팜을 활용한 농촌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고, 개인혁신성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스마트팜의 신뢰성과 경제성은 스마트팜을 활용한 농촌창업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효과와 관련하여 개인혁신성은 스마트팜의 가용성, 신뢰성과 농촌창업의도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스마트팜으로부터 제공되는 재배환경 및 생육 관련 데이터와 정보에 대한 신뢰 정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스마트팜을 통해 비용절감 및 수익성 제고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정도가 클수록 스마트팜을 활용해 창업하려는 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타인보다 앞서서 혁신기술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려는 성향은 그 영향력을 강화하는 쪽으로 조절한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내적 개인특성, 외적 환경요인 등의 일반적인 창업의도 영향요인 연구에서 벗어나 스마트팜의 지각된 유용성 관점에서 농촌창업의도 영향 요인을 새롭게 발굴하고 실증적으로 밝혔다는 데 의의를 지니고 있으며, 연구의 시사점은 잠재적 스마트팜 창농인을 대상으로 한 정책수립의 방향성 모색, 실제 현장에서의 스마트팜 교육 및 컨설팅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Design of Farm Simulator using Cloud Farm Data

        최민석(Min Seok CHOI) 한국컴퓨터게임학회 2021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Vol.34 No.4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흐름에 맞춰 농업에서도 ICT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팜의 개발 및 보급을 통해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과거 농부의 경험에 의해 축적된 지식을 이용하던 농업에서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다양한 재배 환경을 분석하고 이를 이용하여 최적의 재배 환경을 제어하는 지능형 시스템으로 변하고 있으며, 네트워크를 통하여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없이 작물 재배가 가능한 환경이 만들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구축된 클라우드 기반 스마트팜과 연동하여 팜 시뮬레이터를 구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클라우드에 누적된 환경 데이터와 제어 데이터를 이용하여 환경 변수에 대한 예측 모델을 학습하고 실제 운영중인 스마트팜의 실시간 환경 데이터를 이용하면 보다 현실감 있는 시뮬레이션이 가능하게 되어 사용자의 몰입을 유도할 수 있다. 단순 시뮬레이션에서 벗어나 학습 모드를 통해 실제 농부의 스마트팜 운영 데이터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하고, 운영 모드에서는 실제 스마트팜의 운영 결과와 비교를 통하여 경쟁을 통한 성취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경험이 누적되면 작물재배에 관심이 있는 사용자들에게 실제 스마트팜을 통한 작물 재배의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사업 모델로의 확장도 가능할 것이다. 추후 메타버스(metaverse) 상에 스마트팜을 연동하는 연구를 통하여 가상 공간에서 보다 사실적으로 스마트팜을 운영하는 사용자 경험을 제공해 줄 수 있도록 확장할 수 있을 것이다. With the trend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re has been an effort to increase competitiveness in agriculture through the development of smart farms using ICT. In the field of agriculture, in which farmers have historically relied on the knowledge they accumulate through experience to gain a competitive edge, an intelligent system that analyzes various cultivation environments using various sensors and use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o control the optimal cultivation environment has been introduced, enabling an environment where crops can grow via the network without timespace-related limitations.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to implement a farm simulator based on an existing cloud-based smart farm. By using the environmental and control data accumulated in the cloud to develop a predictive model for environmental variables and also using real-time environmental dataa smart farm in operation, more realistic simulation is possible, which can induce users’ immersion. Departinga simple simulation, it is possible to learn a specific farmer’s smart farm operation data through the learning mode and a sense of achievement through competition can be obtained in the operation mode through comparison with the operation results of an actual smart farm. By accumulating experience in this manner, it will be possible to build a business model that can provide users an actual experience of growing crops in a smart farm to those users who are interested.

      • KCI등재후보

        농협의 스마트농업 추진현황과 향후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남기정 ( Nam¸ Ki-jeong ) 농협대학교 협동조합경영연구소 2021 협동조합경영연구 Vol.55 No.-

        그동안 농림축산식품부와 농촌진흥청, 농업기술센터가 주축이 되어 스마트농업을 보급하기 위해 힘써왔으며, 최근 농협에서도 스마트농업 확산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농협은 최근 농업인들의 스마트농업 도입을 지원하기 위해 ‘NH OCTO’라는 스마트팜 통합지원 플랫폼을 구축하였다. 그중 보급형 스마트팜의 추진과 농산물산지유통센터의 스마트화는 생산과 판매측면에서 농업인에게 가장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내용이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농업의 개념과 국내외 추진현황, 농협의 스마트농업 관련 추진현황을 살펴보고, 농협의 스마트농업 추진에 대한 평가와 향후 발전 방향을 알아본다. 이를 통해 향후 농협이 보급형 스마트팜 추진과 농산물산지유통센터의 스마트화를 효율적으로 추진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Until now,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and the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 have been working hard to distribute smart farming technology, and recently, Agricultural Cooperatives is also making great efforts to expand smart farming. Agricultural Cooperatives recently established an integrated smart farm support platform called ‘NH OCTO’ to support farmers' introduction to smart farming. Among them, the promotion of the promotion of smart farming to increase popularity and the smartization of APCs (agricultural products processing centers) are the most practical tools for farmers in terms of production and sales.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smart farming is examined along with the promotional statu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itiatives. As well, we will evaluate Agricultural Cooperatives’ promotion of smart farming and the direction of future development Through this, the researcher intends to provide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Agricultural Cooperatives to efficiently promote entry-level smart farms and implement the smartization of APCs in the future.

      • KCI등재

        Comparison of Growth Conditions of Cut Spray Chrysanthemum in Smart Farm and Greenhouse

        Jeong So,Jin Hee Lim 한국화훼학회 2020 화훼연구 Vol.28 No.4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팜과 관행재배 온실의 시설, 토양 분 석 및 3종류의 절화 스프레이 국화 ‘아비삭(Abishag)’, ‘포드 (Ford)’, ‘헤나(Henna)’ 의 생육 조건 등을 비교 분석했다. 스 마트팜에는 온도, 습도, CO2, 영양공급, 환기, 광을 탐지하는 16개의 자동 센서 채널들이 있다. 특히, 온도가 높아질 때 스 마트팜에서는 안개분사장치를 사용하지만 관행재배 온실에서 는 어떠한 장비 사용 없이 오직 측창만을 열어 온도를 낮춘 다. 따라서 스마트팜은 연중 균일한 환경을 유지하기 때문에 우수한 품질의 절화 국화를 생산할 수 있다. 그 결과 스마트 팜에서는 연간 3.5기작을 재배할 수 있고 m2당 연간 129본을 생산한다. 반면에 관행재배 온실에서는 연간 3기작, m2당 연 간 91본을 생산한다. 토양분석 결과 스마트팜은 유기물함량과 pH가 적정수준이었지만 관행재배 온실은 유기물함량이 초과 상태였다. 전기전도도는 관행재배 온실에서는 적정치보다 3.8 배 정도 높게 나타난 반면 스마트팜에서는 적정 수준을 유지 하고 있어 스마트팜에서의 토양관리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 품종 모두 스마트팜에서 재배 시 절화장, 엽 수, 줄기직경 이 더 우수한 결과값을 얻었다. 반면에, 엽록소 함량은 관행재 배 온실에서 더 높았다. 본 연구는 스마트팜과 관행재배 온실 에서 절화 스프레이 국화 3품종의 품질을 비교 검증하였다. The yield and quality of cut flowers (Chrysanthemum) in a conventional greenhouse and a smart farm were assessed. The two sites were compared in terms of facilities, soils, and growth conditions. The three cultivars of cut spray chrysanthemums used in this study were ‘Abishag’, ‘Ford’, and ‘Henna’. The smart farm was equipped with 16 automatic sensor channels for monitoring temperature, humidity, CO2, nutri-culture solution, air flow, and light. Fog spray devices were used in the smart farm but not in the greenhouse, where temperature was lowered by opening side windows for ventilation. We found that cut chrysanthemums of excellent quality are produced in the smart farm, due to the uniform environment year-round. The chrysanthemum crop was harvested at the smart farm 3.5 times per year and produced an average of 129 plants/m2 annually, in one year, which is an improvement over the conventional greenhouse, in which the crop was harvested 3 times per year, yielding 91 crops/m2 annuallyin 1 year. The smart farm has an appropriate amount of organic matter and pH; however, the greenhouse has high organic matter. The electrical conductivity in the smart farm was 3.8 times higher than the corresponding value in the greenhouse. The three varieties grown on the smart farm were all superior to the greenhouse plants in terms of plant height, number of leaves, and stem diameter. On the other hand, chlorophyll content tended to be higher in the greenhouse plants. Through these results, we found that cut chrysanthemums of commercially excellent quality are produced in the smart farm, due to the uniform environment year-round using smart-farming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