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호알칼리성 Bacillus sp. JU-12 유래 β-1,4-D-arabinogalactanase의 특성

        신해헌,변유량 한국산업미생물학회 1995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23 No.6

        β-1,4-D-arabinogalactanase는 pH 7∼9, 60℃에서 최적 활성을 보였으며, pH6∼10과 50℃에서 활성이 유지되었다. SDS-PAGE를 이용하여 측정한 분자량은 42,000dalton이었으며, β-1,4-D-arabinogalactanase의 작용은 β-1,4-galactosyl 결합을 하고 있는 SAG에서만 나타나며, β-1,3-galactosyl 결합 등을 가진 그 외 다른 기질에 대해서는 활성이 없는 기질 특이성을 나타내었다. Hanes-Woolf plot에 의한 K_m은 0.67mg/ml이었다. 또한 효소활성 부위에는 Trp이 위치한 것으로 유추하였다. SAG의 효소가수 산물을 gel chromatography, TLC 및 HPLC로 분석한 결과 tetraose(Gel_4)와 소량의 triose(Gal_3)인 올리고당을 생산하였으며 pH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β-1,4-D-arabino galactanase는 SAG뿐만 아니라 ONPG에도 작용하여 분해하는 작용을 하며, 또한 SAG의 기질 분해도는 15% 정도를 나타내었다. SAG를 효소 처리한 결과 비점도가 약 70% 감소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β-1,4-D-arabinogalactanase isolated from alkalophilic Bacillus sp. HJ-12, approximate Mw 42 kDa, was generally stable in the range of pH 6∼10 and below 50℃ and its highest activity was observed at 60℃ with pH 7∼9. The isolated β-1,4-D-arabinogalactanase specifically hydrolyzed β-1,4-galactosyl linkage that is the major structure of soybean arabinogalactan (SAG) but not β-1,3-galactosyl linkage of the other polysaccharides, K_m was estimated as 0.67 mg/ml by the method of Hanes-Woolf plot. No metals and chemical reagents inhibited the enzyme activity but urea did. The active site of this enzyme assumed to be tryptophan residue. The hydrolysis products from SAG, assayed by gel chromatography, TLC and HPLC, were predominantly galactotetraose (Gal_4) and triose (Gal_3) with a small portion. β-1,4-D-arabinogalactanase hydrolyzed ONPG as well as SAG, and the degree of hydrolysis of SAG was 15% which is lower than that by the other β-1,4-D-galactanases from different sources. SAG treated with this enzyme resulted in the reduction of specific viscosity up to 70%.

      • SCOPUSKCI등재

        β-1,4-D-arabinogalactanase 생산균주의 분리 및 효소정제

        신해헌,변유량 한국산업미생물학회 1995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23 No.6

        β-1,4-D-arabinogalactanase를 생산하는 Bacillus sp. HJ-12를 토양으로부터 pH 10.0의 알칼리 조건에서 분리하였다. Bacillus sp. HJ-12가 생산하는 β-1,4-D-arabinogalactanase는 2% soybean arabinogalactan(SAG), 0.5% yeast extract, 0.5% yeast extract, 0.5% polypeptone, 0.5% NaCl, 0.1% K_2HPO_4, 0.02% MgSO_4·7H_2O, 0.1% Na_2CO_3가 함유된 알칼리 배지(pH 8.2)로 호기적인 조건에서 37℃, 2일 배양한 균체로부터 얻을 수 있었다. β-1,4-D-arabinogalactanase는 배지내의 β-1,4-galactose 결합에 대응하여 생산되는 유도효소로서 glucose 기질에 비해 SAG의 경우 약 10배의 효소활성 증가를 가져왔다. 호알칼리성 Bacillus sp. HJ-12가 생산하는 β-1,4-D-arabinogalactanase를 유안분별 침전과 DEAE Sephadex A-50 ion chromatography, Sephadex G-75 gel chromatography를 통하여 정제한 결과 수율은 11%, 정제도 110배의 단일 단백질을 얻었다. β-1,4-D-arabinogalactanase를 SAG에 작용시킨 결과 단당류가 아닌 올리고당을 생성하였으며, endo형으로 가수분해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Alkalophilic Bacillus sp. HJ-12 producing β-1,4-D-arabinogalactanase was isolated from soil in the alkalic condition, pH 10.0. β-1,4-D-arabinogalactanase was maximaly produced in the medium consisting of 2% soybean arabinogalactan (SAG). 0.5% yeast extract, 0.5% polypeptone, 0.5% NaCl, 0.1% K_2HPO_4, 0.02% MgSO_4·7H_2O, 0.1% Na_2CO_3 under the aerobic condition (pH 8.2). β-1,4-D-arabinogalactanase is inducible enzyme so that its activity has been increased 10 fold in the SAG medium than in the glucose medium. Through the ammonium sulfate precipitation, DEAE-Sephadex A-50 ion chromatography, and Sephadex G-75 gel chromatography procedures, this enzyme was purified with a single protein of 11% yield and 110 fold's purity. β-1,4-D-arabinogalactanase is endo type enzyme producing oligosaccharide from SAG.

      • KCI등재

        대두 Arabinogalactan으로부터 갈락토올리고당의 생산과 그 특성에 관한 연구

        신해헌,최형택,최동원 한국식품영양학회 1997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10 No.4

        대두 및 두유박의 주요 다당류인 대두 arabinogalactan(SAG)을 이용하여 갈락토올리고당을 생산하고자 SAG 가수분해효소인 β-1,4-galactanase를 이용하여 대두 갈락토올리고당(SOS)의 생산조건 및 그 특성을 연구, 검토하였다. SOS는 SAG 1%(w/v), pH 8.0, 50℃인 조건에서 β-1,4-galactanase를 20 unit/g SAG를 첨가하여 24∼40시간 반응하여 생산하였다. 생산된 SOS 용액(75%)은 11,000cp의 점도를 나타내어 같은 농도의 설탕용액 140 cp의 값에 비해 80배 큰 값을 나타내었다. 점도의 온도의존성은 50℃ 이하에서는 온도의존 함수(B) 값이 11,037 cp·K로 설탕용액의 2,760보다 약 4.6배 크지만 50℃ 이상에서는 3,400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올리고당의 온도가 50 Brix 이하에서는 설탕용액의 점도 20∼30 cp와 유사한 20∼40 cp로 차이를 보이지 않지만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차이가 커져 Brix 70에서는 1,280 cp로 설탕용액의 90 cp보다 15배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생산된 SOS는 pH 및 온도에 대해 매우 안정하여 pH 3, 140℃인 조건하에서도 분해로 인하여 생산되는 galactose가 없었다. For the purpose of enzymatic production of galactooliogosaccharides from soybean arabinogalactan(SAG) hydrolysis, the β-1,4-D-arabinogalactanase(β-1,4-galactanase) from Bacillus sp. HJ-12 was used. The soybean galactooligosaccharides(SOS) were optimally produced in SAG 1%(w/v), pH 8.0, 50℃, β-1,4-galactanase 20 unit/g SAG and 24∼40 hour reaction conditions. The produced galactooligosaccharides had visocity of 11,000 cp at 75%(w/v), 25℃. The viscosity of galactooligosaccharides was 80 fold increasing value than that of sucrose solution. Temperature dependence of viscosity of SOS was 4.6 fold higher value than sucrose solution below than 50℃. Less than 50 Brix, the viscosity of SOS was similar with sucrose solution(20∼40 cp), but increasing of concentration, the difference of viscosity between SOS and sucrose solution was increased. And, SOS was very stable at pH and temperature.

      • KCI등재

        비구면 콘택트렌즈 코아 몰드 제작용 새그 데이터 출력 프로그램 개발

        김정미 한국안광학회 2023 한국안광학회지 Vol.28 No.4

        목적: 비구면 콘택트렌즈 금형 제작에 필요한 비구면 가공 새그(sag) 데이터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하였다. 방법: 델파이 11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여 1차 코아 금형(금속)을 위한 비구면 표면 새그 데이터 및 오목면 구면 표면 새그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결과: 이 프로그램을 비구면 콘택트렌즈 1차 금형(금속)의 제작에 적용하였다. 원하는 비구면 콘택트렌즈의 볼록 비구면 및 오목 구면의 제작에 필요한 변수가 입력되었을 때, 콘택트렌즈 제작자들이 제작에 참고할 수 있는 비구면의 DTM 가공에 필요한 볼록면 코아의 새그 데이터 및 오목면 코아의 새그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본 논문의 프로그램은 비구면 콘택트렌즈 1차 금형(금속) 제작자들의 오목면 코아 및 볼록면 코아의 가공용 새그 데이터 출력 작업에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To develop a program to deliver aspherical processing sag data for the fabrication of aspheric contact lens molds. Methods: Using the Delphi 11 programming language, a program was developed to output the aspherical surface sag data and concave spherical surface sag data for the primary mold (metal). Results: The program was used to produce a primary mold (metal) for an aspheric contact lens. When the variables required to create the convex and concave spheres of the desired aspheric contact lens were entered, it was found that the convex and concave core sag data required for DTM processing of the aspheric contact lens may be captured and used by contact lens manufacturers to guide production. Conclusions: The sag data output program was shown to be very helpful to the manufacturers of aspheric contact lens primary molds (metal) for processing concave and convex cores.

      • SCIESCOPUSKCI등재
      • SCIESCOPUSKCI등재
      • SCIESCOPUSKCI등재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것 같다」에 대응하는 「そうだ」「ようだ(みたいだ)」「らしい」에 관한 연구

        조가희 대한일어일문학회 2022 일어일문학 Vol.95 No.-

        본 연구의 목적은 ‘-것 같다’를 추측과 완곡 용법으로 나누어 「そうだ」 「ようだ(みたいだ)」「らしい」의 대응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먼저 ‘ -것 같다’가 추측 용법으로 쓰인 경우, 문장의 주어가 1인칭 화자일 때는 「そうだ」 「ようだ(みたいだ)」 「らしい」 모두 사용의 제약이 있으며, 특히 「そうだ」 「ようだ(みたいだ)」의 접 속 용언이 「い형용사/な형용사」 인 경우에는 더욱 그러한 경향이 두드러진다. 이와 경우에는 추측표현을 생 략하거나, 「と思う」 「気がする」 등으로 나타낼 수 있다. 그런데 문장의 주어가 1인칭 화자라고 해도 화자 자신을 객관화하여 표현할 때는 ‘-것 같다’를 「ようだ(みたいだ)」 「らしい」로 나타낼 수 있다. 한편 ‘-것 같 다’가 완곡 용법으로 쓰일 때는 「ようだ(みたいだ)」 와 대응하는 경우는 있지만, 「そうだ」 와 「らしい」 와는 대응하기 힘들다. 이처럼 한국어의 ‘-것 같다’는 인칭의 제약 없이 자유롭게 추측과 완곡의 표현이 가능하나, 여기에 대응할 것 같은 「そうだ」 「ようだ(みたいだ)」 「らしい」 는 조건에 따라 추측과 완곡 표현이 불가능한 때도 있으므로 이런 경우에는 추량의 조동사를 쓰지 않거나 다른 어구를 사용해서 표현해야 한다.

      • SCIESCOPUSKCI등재

        The Ring-H2 Finger Motif of CKBBP1/SAG Is Necessary for Interaction with Protein Kinase CK2 and Optimal Cell Proliferation

        ( Yun Sook Kim ),( Kwon Soo Ha ),( Young Ho Kim ),( Young Seuk Bae ) 생화학분자생물학회 2002 BMB Reports Vol.35 No.6

        Protein kinase CKII (CKII) is required for progression through the cell division. We recently reported that the β subunit of protein kinase CKII (CKIIβ) associates with CKBBP1 that contains the Ring-H2 finger motif in the yeast two-hybrid system. We demonstrate here that the Ring-H2 finger-disrupted mutant of CKBBP1 does not interact with purified CKIIβ in vitro, which shows that the Ring-H2 finger motif is critical for direct interaction with CKIIβ. The CKII holoenzyme is efficiently co-precipitated with the wild-type CKBBP1, but not with the Ring-H2 finger-disrupted CKBBP1, from whole cell extracts when epitope-tagged CKBBP1 is transiently expressed in HeLa cells. Disruption of the Ring-H2 finger motif does not affect the cellular localization of CKBBP1 in HeLa cells. The increased expression of either the wild-type CKBBP1 or Ring-H2 finger-disrupted CKBBP1 does not modulate the protein or the activity levels of CKII in HeLa cells. However, the stable expression of Ring-H2 finger-disrupted CKBBP1 in HeLa cells suppresses cell proliferation and causes the accumulation of the G1/G0 peak of the cell cycle. The Ring-H2 finger motif is required for maximal CKBBP1 phosphorylatlon by CKII, suggesting that the stable binding of CKBBP1 to CKII is necessary for its efficient phosphorylation.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omplex formation of CKIIβ with CKBBP1 and/or CKII-mediated CKBBP1 phosphorylation is important for the G1/S phase transition of the cell cyc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