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인 평생교육에 대한 특수학교 전공과 교사들의 인식

        이재호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2

        Post-secondary Vocational Program Teachers’ Awareness ofLifelong Education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Jaeho Lee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about the perceptions and requirements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for special teachers working in special schools majors. To this end, in July 2021,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tructured questionnaire targeting all the teachers and majors of 4 special schools distributed in G metropolitan city. A total of 22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and analyzed the responses to quantitative questions using the analysis SPSS 20.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connection between majo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f lifelong education was particularly lacking, and although majors and education were being conducted for the main purpose of employment, they strongly hoped for linkage in 6 areas of lifelong education in the long term.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support for dropout students and placement in protective workshops or workplaces led by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were important.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examine the awareness of special school majors and teachers for adult lifelong education. Key Words: People with Disabilities, Lifelong Education, Special Schools, Post-secondary Vocational Program, Special School Teachers 장애인 평생교육에 대한 특수학교 전공과 교사들의 인식이 재 호* 요약: 본 연구는 특수학교 전공과 특수교사들을 대상으로 장애인 평생교육 인식과 요구사항 등에 대한 내용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2021년 7월 G광역시에 분포한 4개의 특수학교 전공과 교사들 전수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우편으로 수합하였다. 총 22의 특수교사들이 설문지에 응답하여 분석 프로그램 SPSS 20.0 버전 을 활용하여 양적 질문에 대한 응답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전공과 특수교사들의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은 연계성이 특히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고, 취업을 주목적으로 전공과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었지만, 장기적으로 평생교육 6개 영역에 연계를 강하게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도 탈락 학생에 대한 지원과 국가, 지방자치 단체 주도의 보호작업장이나 사업장 등에 배치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특수학교 전공과 교사들의 성인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살펴볼 수 있었고, 이에 대한 함의점과 논의를 제시하였다. 핵심어: 장애인, 평생교육, 특수학교, 전공과, 특수교사 □ 접수일: 2022년 3월 26일, 수정일: 2022년 4월 9일, 게재확정일: 2022년 4월 20일* 광주여자대학교 초등특수교육과 조교수(Professor, Kwangju Women’s Univ., Email: edu4ld@gmail.com)

      • KCI등재

        특수학교 전공과 교사의 배움중심수업 경험에 대한 협력적 자문화기술지

        정진식(Jinsic Jung),임경원(Kyoungwon Lim),복헌수(Hunsoo Bok),박은수(Eunsu Park),윤태성(Taesung Yoon),류수연(Suyeon Ryu) 한국질적탐구학회 2021 질적탐구 Vol.7 No.1

        이 연구는 협력적 자문화기술지 방법을 활용하여 특수학교 전공과 교사가 배움중심수업을 어떻게 실천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나의 교단 일기를 포함한 개인 내부자료와 동료 연구자들과의 회의자료, 교육 현장의 문서자료를 수집하였고, 실용적 절충주의에 기초한 포괄적 분석 절차를 활용하여 핵심범주(7개)를 생성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현재 학생들의 삶과 배움을 기반으로 전공과의 정체성을 형성하고자 노력하였다. 둘째, 교육행정과 제도의 테두리 속에서 학생들과 만들어가는 교육과정 운영을 실천하였다. 셋째, 학생들의 흥미와 지역사회에 대비할 수 있는 인재상을 충족하기 위해 교사가 가르침의 주체로서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 넷째, 학교 내 구성원을 대상으로 전공과 인식개선 활동을 실시하여 교육 여건 개선에 힘쓰고 있었다. 다섯째, 지역사회 내 기관과 교육협약을 통해 전공과 이수 후에도 학생의 배움이 지속될 수 있도록 하였다. 여섯째, 전공과 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회의적인 시선 속에서도 전문적학습공동체 활동 등으로 가르침의 주체로서 전문성 신장을 위해 노력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생이 보호받는 사람과 주변인에 머무르지 않도록 배움의 주체로서 그들의 목소리를 낼 수 있는 배움의 장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특수교육 분야의 전공과 교육과정에서 배움중심수업을 실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experience formed across post-secondary program of vocational education to practice learning-oriented class, using the method of collaborative autoethnography. For this purpose, the investigator collected materials from meetings with peer researchers and documents from the field of education along with his private materials, including the teacher’s journals. Following the comprehensive analysis procedure based on practical eclecticism, (seven) core categories were defined.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made efforts to buildthe identity of post-scondary program of vocational education based on the lives and learning of students; second, they practiced curricular management in collaboration with their students within the frameworks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institution; third, they played active roles as the subject of teaching to satisfy students’ interest and meet the community’s need for the right talents; fourth, they engaged in an activity of improving the perceptions on their majors to target the members of the school and tried to improve educational conditions; fifth, they made it sure that students’ learning would continue even after they completed their post-secondary program of vocational education courses through educational agreements with institutions within the community; sixth, they made efforts to enhance their professionalism as the subjects of teaching through community activities to further enhance professional expertise despite people’s skeptical eyes on their professionalism as teachers in their post-secondary program of vocational education areas; and lastly, they established a venue of learning in which students were allowed to voice their opinions as the subjects of learning so that they would not remain as those in need of protection or stay marginalized.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serve as basic data to practice learning-oriented class in the post-secondary program of vocational education in special-education school of different areas in special education.

      • KCI등재

        비디오 자기모델링 중재가 특수학교 전공과 지적장애 학생의 바리스타 직무기술 수행에 미치는 영향

        김혜리(Hyeri Kim),김은경(Eun-Kyung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9

        목적 이 연구에서는 비디오 자기모델링 중재가 특수학교 전공과 지적장애 학생의 바리스타 직무기술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방법 연구 대상은 특수학교 전공과 1학년인 20세의 지적장애 학생 1명이며, 실험설계로 행동간 중다간헐기초선설계를 적용하였다. 연구는 예비실험을 거쳐 기초선, 중재, 유지 단계로 진행되었다. 중재는 교실에서의 비디오 자기모델링 자료 시청과 바리스타 직무기술 연습으로 시행되었다. 중재 대상인 바리스타 직무기술은 아이스 아메리카노 만들기, 아이스 카페라떼 만들기, 핫 카푸치노 만들기였다. 자료수집은 카페진로 체험실에서 이루어졌다. 결과 비디오 자기모델링 중재를 통해 특수학교 전공과 지적장애 학생의 바리스타 직무기술의 독립적 과제 수행율이 향상되었다. 세 가지 바리스타 직무기술에 대한 비디오 자기 모델링 중재의 효과크기는 PND로는 매우 큰 효과로, Tau-U로는 중간효과로 나타났다. 또한 과제 수행의 소요시간이 감소되어 직무기술 숙련도의 향상이 나타났다. 중재 효과는 중재 종료 후에도 유지되었다. 결론 이 연구의 결과는 비디오 자기모델링 중재가 전공과 지적장애 학생의 바리스타 직무기술의 수행 향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ideo self-modeling on the barista job skills of a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post-secondary program of the special school. Methods The subject The particiant was a 20-year-old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multiple probe baseline design across behaviors was used for the research design. The study was carried out in the order of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Intervention was implemented by watching self-modeling video and practicing the job skills with a coffee machine in the classroom. The target skills of barista job included making iced Americano, iced caffe latte and hot cappuccino. The data was collected at the cafe career experience room.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video self-modeling intervention was effective for increasing the performance rate of independent task skills of a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effect size of the video self-modeling intervention for the target skills of barista indicated large effect by PND and average effect by Tau-U. And the time required to perform the skills was reduced, indicating an improvement in job skill proficiency. The effect of the intervention was maintained on the barista job skills in the follow-up phase. Conclusions The result of this study imply that the video self-modeling can improve the barista job skills of a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post-secondary program of the special school.

      • KCI등재

        특수학교 전공과 전문적학습공동체의 개인중심 ITP 운영에 관한 협력적 실행

        현혜진,임경원 공주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3 특수교육논집 Vol.28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practical meaning by examining in detail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nd implementing an individualized transformation education plan based on the philosophy of person-centered planning through cooperative practice using a specialized learning community on post-secondary program for vocational education in special school. Method: For a total of 10 months from April 2020 to February 2021, the collaborative implementation research method using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s not applied, but the data collected in the implementation process are analyzed using considerable analysis procedures, and the four upper categories and It consisted of 12 individual subcategories, 28 meanings. Results: 1) Laying the basis for practicing individualized transformation education reflecting the individual-centered plan through cooperation between teachers. 2) Improving vocational rehabilitation and independent living skills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study by operating a curriculum reflecting the individual-centered plan. 3) Curriculum reflecting the ITP. 4) The educational effect of ITP is enhanced when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are together.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Basic information and implications for ITP implementation we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