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동 참여디자인 활동의 미술교육론적 분석 ‒ 서울 K초등학교 화장실개선 사례를 바탕으로

        백지원(Paik, Jiwon)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20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9 No.4

        연구배경 학령기 아동의 인지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은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형식교육과 생활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비형식교육으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비형식교육은 존 듀이의 경험 중심적 교육론과 맥락을 같이하여, 경험을 통하여 학습하게 되는 교육이며 누네스 등 (Nunes et al., 1985)은 비형식교육의 학습효과에 대하여 실험조사한 바가 있다. 교육 방법에 따라 학습 효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사실을 배경으로, 본 연구에서는 2014년부터 서울시 주관으로 진행되어온 ‘꾸미고 꿈꾸는 화장실 사업’중, 2018년 4월부터 11월까지 진행되었던 서울 K초등학교 참여디자인 사례의 아동 참여디자인 활동의 미술교육적 효과를 분석하여 차후 참여디자인 활동에 교육적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첫 번째,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선행연구와 교육부 고시 미술교과에서의 교육과정 내용과 활동을 조사한 후, 두 번째, 참여디자인을 통한 학교화장실 개선사업 사례의 아동 참여활동 과정에 포함된 미술 활동을 정리하였다. 세 번째, 이론적 고찰을 도식화하여 분석의 틀과 체크리스트를 도출하고, 참여디자인 사례의 참여활동을 대입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아동 참여디자인 활동을 교육내용과 교육역량의 관점으로 분석한 결과, 참여활동은 제한된 재료와 방식으로 입체적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평면적 활동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고, 활동 전반의 과정에서 교육내용에서는‘이해’핵심개념에서 ‘감상’의 영역에, 교육역량 부분에서는 ‘미술문화 이해능력’의 ‘우리문화 이해를 통한 정체성 확립’을 제외한 전반적 성취기준과 모든 능력에 연관성을 가지고 있었다. 환산 평균점은 자기주도적 미술학습능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시각적 소통능력은 참여디자인 전반적 활동에 연관성이 있거나 높다고 말할 수 있다. 결론 참여활동은 교육역량의 다양한 능력과 연관된 교육내용으로 미술교육적 활동을 진행하고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교실에서 교과서로 진행하는 형식교육과는 다른 방법을 지니고 있지만 비형식교육으로서 형식교육에서 추구하는 교육목표 달성에 역할을 할 수 있는 교육적 활동임을 확인하였다. 선행연구에서는 참여디자인을 통한 공간 개선 시, 사용자들의 만족도가 증진됨을 확인하였고, 본 연구에서는 참여활동으로 미술 교육적 학습효과도 이룰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참여디자인 과정에서 참여자들의 참여활동 만족도와 학습효과 평가는 후속연구에서 조사되어야 할 과제이다. Background Education that affects the cognitive development of school-age children can be divided into formal education conducted at school and informal training conducted in the field of life. Informal education is education that children will learn through experience. Nunes et al.(1985) have conducted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learning effects of informal education. Against the background of the fact that the learning effect can be display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educational method, in this study, the art educational effect of the design activity of the participation of children is taken as a participatory design case of Seoul K. Elementary School. And then try to suggest directions that can enhance the educational effect of participatory design activities. Methods In this study, first, theoretical consideration was investigated the contents and activities of the curriculum in the previous research and the art subject notifi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econd, the case of participatory design was summarized the art activities included in the process of children"s participating activities in school restroom remodeling projects. Third, I derived an analysis framework and checklist from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analyzed the participating activities of participatory design case. Result Participation activities are conducted in limited materials and methods in three-dimensional activities, but two-dimensional activities are mainly conducted. In the educational content part, the part excluding the "appreciation" area of the important concept of "understanding" is relevant. In terms of educational abilities, it was related to all abilities except "establishment of cultural identity”. The converted average score shows the highest self-directed art learning ability, and it can be said that the visual communication ability is relevant or highly related to the activities of the entire design of participation. Conclusion Participating activities promoted art education activities in educational content associated with various abilities of educational ability. Participatory design confirmed that it is an educational activity that can play a role in the educational goals pursued in formal education as informal education. The satisfaction of participants" participation activities and the evaluation of learning effects are issues that should be investigated in subsequent studies.

      • KCI등재

        도시 미디어 공간의 문화적 맥락과 사회 참여적 예술의 가능성 - 미디어 파사드 작품사례를 중심으로

        김현주 한국영상학회 2015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3 No.6

        본 연구는 도시 미디어 공간이 가지는 문화적 맥락을 문헌분석을 통해 파악하고, 도시 미디어 공간에서 사회 참여적이고 개입적인 예술로서 미디어 아트의 가능성과 그 조건을 국내외 사례를 통해 진단해 보고자 했다. 도시 미디어의 장소성과 관련된 문헌의 고찰에서, 도시 미디어 공간은 이미 19세기 파리에서 부터 모더니티 이미지의 형성에 기여를 했고, 비장소성, 증강공간, 탈경계의 공간의 소멸적 혼성 공간으로 그 문화적 맥락을 읽을 수 있었다. 또한 드 세르토와 맥콰이어의 주장대로, 소멸적 혼성 공간인 도시의 미디어 공간은 실천된 공간이자 관계의 공간으로서 유의미한 미학적 함의를 지닌다. 이러한 도시 미디어 공간은 사회 참여적 예술을 만들어내는 미디어 아트의 가능성을 잠재하고 있다. 도시미디어의 대안적 개입과 저항의 움직임에 대한 가능성을 작가의 개입 의도성, 미디어인프라 접근성, 관객의 참여 가능성이라는 세 가지의 조건으로 제시하고, 카오스컴퓨터클럽, 그래피티리서치랩, 오재우와 뉴미디어아트연구회의 기획이 포함된 서울스퀘어 엠플라넷의 일부 사례를 통해 분석해 보았다. 결과적으로 해외 미디어 파사드 프로젝트는 아직까지는 미디어 인프라의 접근성이 좀더 유연하게 확보되는 반면, 국내의 경우는 제도권 내에서 선별적으로 주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국내의 미디어 파사드에 대한 작가의 접근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좀 더 다양한 사회참여적인 작품의 수급과 결과적으로 의미 있는 실천과 관계의 공간으로 도시 미디어 공간을 발전시키는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The research examines the cultural context of urban media space and investigates the possibility of media art as an interventional social-participatory art based on an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cases. Referencing earlier work, it is found that urban media space has contributed to constructing the image of modernity since the 19th century and that urban media space is characterized by ephemeral hybridity with the attributes of non-placeness, augmented space and mixed space involving the public and the private. Urban media space in the form of an ephemeral hybrid with non-placeness and spectacle also has the aesthetic significance of a practiced and relational space. In this sense, urban media space bears the possibility of media art, which can be interventional, social-participatory art. Three conditions pertaining to this possibility are suggested: artists' intentions toward intervention, artistsdee conditions se, urban media space bstructure, and the audience-participatory nature of the work. The case study conducted as part of this research involved the Chaos Computer Club, Graffiti Research Lab, the Seoul Square M.Planet project focusing on Oh Jae Woo, and the New Media Art Research Association. An analysis of the findings of the case study found that foreign media façade projects are conducted more flexibly than domestic cases in which artists voluntarily tend to seek social interventions within certain legal boundaries. Increased accessibility to the media façade infrastructure would be critical with regard to acquiring more social-participatory works and ultimately for developing examples of urban media space for urban communication.

      • KCI등재

        A Study of Learner-Centered Participatory Activities and Learner Satisfaction Using a 4-Cut Cartoon Creation in College Liberal Arts English Classes

        김혜정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3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 Vol.11 No.3

        This study proposes learner participatory activities for learner-centered college liberal arts classes. In addition, it analyzes learners’ perceptions of and satisfaction with learner-centered classes and identifies the issues that must be considered when planning learner-centered activities for college liberal arts classes. The study used a learner-centered participatory activity in which participants created a 4-cut cartoon addressing a specific theme. An open-ended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identify learners’ attitudes about and satisfaction with the learner-centered classes. It showed that most learners (87.5%)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 4-cut cartoon creation activities in the learner-centered participatory class. Learners identified the burden-free nature of the class activities, the fact that they improved their understanding of class content, and that they were fun (not boring) as the main reasons they found the class activities satisfying. In liberal arts English classes, more diverse participatory class activities should be developed to arouse interest and motivation of learners and encourage learners’ participation.

      • KCI등재

        장・노년기의 삶에 미술활동이 미치는 의미와 가치

        최혜민,정현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4 敎員敎育 Vol.3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 impact of art expression activities on the meaning of life in old age.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researchers designed a qualitative study which is based on a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methodology to explore the value of participants' life. The community center in Songnam which is the research place is selected by considering accessibility of researcher, and 12 participants including 11 trainees and 1 instructor are chosen. Result of study derived by implementing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in depth interviews are mentioned below. First, participants are more interested in amicable class atmosphere, and they related their life with their art work. Second, participants have sensed of accomplishment by improving professionalism with their own work and accepting recognized by others although they were rejected before only because they are old. Lastly, artistic activities of old ages can make participants' future life and it can help old ages to achieve self improvement.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센터에서의 미술활동이 장・노년기의 내・외적인 삶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탐색하고, 더 나아가 미술활동이 그들의 삶의 만족도와 가치관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밝히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참여적 실행연구에 따른 질적 연구 방법론을 적용하여, 2013년 12월부터 2014년 4월까지 총 5개월 동안 미술활동을 하는 장・노년층들의 수업에 연구자가 직접 참여하여 연구 참여자의 지속적인 관찰을 통한 참여관찰일지・심층면담・녹취를 한 자료들을 분석하여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참여자의 내적변화에서는 장・노년기 특유의 외로움, 마음불안정, 우울함 등이 미술활동을 통해 치유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미술활동을 통해 목적의식이 없었던 노년기의 삶에 새로운 도전을 꿈꿀 수 있었고, 또한 서로를 이해하고 배려하는 안정적인 삶을 찾을 수 있었다는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 KCI등재

        시민 문화예술 활동을 위한 문화정책의 변화 - 시민, 예술, 공간의 의미 변화를 중심으로 -

        서윤경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2016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Vol.- No.53

        Since the 2000’s, arts have functioned as a cultural industry to make profits, and simultaneously as social capital to connect an individual to a larger society. With a focus on arts as social capital, this study aims at (1) explaining arts from the social perspectives, (2) examining limitations of domestic policies for citizen-led cultural activities, and (3) expanding the boundaries of existing cultual policy literature by including the concept of ‘citizens’, ‘arts’, and ‘spaces’. Employing literature analysis as a study method, this study categorizes the features of domestic policies for citizen-led cultural activities into three domains. First, the role of ‘citizens’ has been differently qualified in administration policies. Cultural policies that discriminated the roles between citizens and elite artists in cultural spheres have been nowadays aware of the potential creativity of citizens and its value in their local society. Second, the limited notion of ‘culture’ has been expanded to integrate citizen-led arts and their significance as public goods. Third, cultural policies had qualified cultural spaces as a passive spaces where individuals were to be exposed to high culture, but in the 2000’s began to include local residental areas where citizens led their everyday life with their neighborhoods. This study concludes with a suggestion that a follow-up study explore what uniqueness citizen-led local community-based spaces have, how this uniqueness connect citizens to their community and to a larger society, and how these spaces become a public sphere where citizens can raise their voices, share them with their community members, and develop creative solutions for conflicts in their community.

      • KCI등재

        하천 지역 자연 발생 마을의 생태계 문화서비스 고찰 : 청주 권역 미호천 주변 마을을 대상으로

        서자유,김승회 충북연구원 2022 지역정책연구 Vol.33 No.2

        이 연구는 미호천을 충북지역 자생문화의 근원으로 이해하고 그 가치를 재조명하기위해 시작되었다. 한국인의 자연관에 바탕한 생태계 문화서비스를 찾고자, 지역의 중심이 되는 하천과 그원류, 그리고 하천을 따라 형성된 자연 발생 마을의 유산을 수행적 리서치하였고, 참여형 문화예술 활동을 통해 참여자들과 함께 미호천의 생태계서비스의 가치를 생각하였다. 대상지의 범위는 미호천의 발원지와 청주권역 미호천 주변 마을로 하였다. 발원지로서 마이산, 칠장산, 보현산을, 주변 마을로서 청주시 청원군 북이면 송정리부터 흥덕구 강내면 사곡리까지 열여덟 곳을 대상으로 하였다. 리서치 결과를 통해 하천이 주는 생태계 문화 서비스와 한국의 자연관 및 마을 문화를 살펴보았다.. 각 마을들의 가장 큰 상징적 요소는 마을 이름과 그 유래에서 발견되었다. 미호천이 빚어낸 경관미, 미호평야에서 이루어진 농경 생활, 자연물에 부여한 상징성과 그것을 경외하는 전통신앙이 미호천의 마을문화를 만들어가고 있었다. 마을의 문화유산은 하천이 주는 생태계 문화 서비스에서 ‘유산 및 신성시하는 유산’에 해당한다고 볼수 있다. 하천 생태계는 지역 문화 발생의 영향력을 가지 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