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박태원 소설에 나타난 동경 체험의 양상 고찰

        김정화 우리어문학회 2015 우리어문연구 Vol.51 No.-

        박태원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범주에서 현재까지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박태원의 근대체험과 모더니즘적 측면에서는 고현학과 ‘산책자’ 개념의 논의들이 중점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상대적으로 박태원의 근대체험과 근대 도시 공간의 형상화에 대한 관계성에 주목한 연구는 많지 않다. 특히 일본 유학을 통해 체험한 근대 도시 ‘동경’이라는 공간의 형상화 방식에 대한 논의는 미비한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먼저 박태원의 동경체험이 갖는 특징과 사유방식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1930년대 일본 유학은 문명과 근대를 배우기 위함이었다. 그러나 박태원의 경우 영문학과 영화와 같은 서구의 현대 예술 대한 관심이 유학의 이유였다. 식민지 지식인의 시선에서 일본의 대도시 동경을 수용하는 방식이 아니라, 서양 문명을 향유하고 서구적 취미를 가질 수 있는 공간으로 동경을 사유했던 것이다. 박태원의 이러한 사유방식은 동경 유학시절의 자전적 작품인 소설 「사흘 굶는 봄달」(1933), 「반년간」(1933), 「딱한 사람들」(1934)을 통해 도시 이면의 세계로까지 확장된다. 박태원의 소설에서 묘사되는 동경 공간은 주로 영화관이나 유흥가, 공원과 같은 번화가에 집중된다. 그러면서 번화가의 화려함 이면에 존재하는 가난한 유학생의 삶을 통찰하게 된다. 즉 박태원은 화려한 근대 도시 동경의 모습을 단순히 보여주는 것이 아니다. 도시 공간을 함께 살아가고 있지만 그곳에서 소외된 사람들, 즉 도시 빈민들의 삶을 보여줌으로써 동경이라는 도시가 갖는 이중적인 풍경을 강하게 비판하였다. Research on Park Tae‐won has been made up to the present in various categories. In particular, studies have focused on ‘Gubo’ walking around Gyeongsenog based on modernology and the concept of ‘walker’ from the perspectives of Park Tae‐won’s modern experiences, city, and modernism. However, there have not been sufficient discussions on how Park Tae‐won’s modern experiences configured urban spaces, particularly Tokyo spaces that he experienced during his study in the city. Thus, taking note of Park Tae‐won’s Tokyo space experiences, this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Park Tae‐won and his way of thinking observed in his experience of Tokyo. In analyzing the configuration of urban spaces, how to configure urban spaces is not different from the person’s attitude in how to accept the reality of city. It is because the spaces are recognized in Park Tae‐won’s way, depending on how Park Tae‐won accepted the symbol or images of Tokyo as a city. To Park Tae‐won, Tokyo was a space for substantiating his interest and sense in English literature and language, so the spaces in Tokyo described in his novels are not irrelevant to the writer’s experiences. Park Tae‐won’s Tokyo experiences are concentrated on busy places such as movie theaters, gay quarters, and parks. What Park Tae‐won paid attention to was not the gorgeous modern face of the city. By depicting people alienated in the city and the urban poor embracing tragic lives caused by human greed and money, he criticized harshly the double‐faced nature of the city called Tokyo.

      • KCI등재

        박태원 소설에 나타난 동경 체험의 양상 고찰

        김정화 ( Jung Hwa Kim ) 우리어문학회 2015 우리어문연구 Vol.51 No.-

        Research on Park Tae-won has been made up to the present in various categories. In particular, studies have focused on ‘Gubo’ walking around Gyeongsenog based on modernology and the concept of ‘walker’ from the perspectives of Park Tae-won’s modern experiences, city, and modernism. However, there have not been sufficient discussions on how Park Tae-won’s modern experiences configured urban spaces, particularly Tokyo spaces that he experienced during his study in the city. Thus, taking note of Park Tae-won’s Tokyo space experiences, this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Park Tae-won and his way of thinking observed in his experience of Tokyo. In analyzing the configuration of urban spaces, how to configure urban spaces is not different from the person’s attitude in how to accept the reality of city. It is because the spaces are recognized in Park Tae-won’s way, depending on how Park Tae-won accepted the symbol or images of Tokyo as a city. To Park Tae-won, Tokyo was a space for substantiating his interest and sense in English literature and language, so the spaces in Tokyo described in his novels are not irrelevant to the writer’s experiences. Park Tae-won’s Tokyo experiences are concentrated on busy places such as movie theaters, gay quarters, and parks. What Park Tae-won paid attention to was not the gorgeous modern face of the city. By depicting people alienated in the city and the urban poor embracing tragic lives caused by human greedand money, he criticized harshly the double-faced nature of the city called Tokyo.

      • KCI등재

        자유주제 : 구보 박태원의 시(詩)연구

        곽효환 ( Hyo Hwan Kwak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0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33

        이 글 `구보 박태원의 시 연구`는 박태원이 소설가적인 면모 외에 다양한 방면으로 만만치 않은 창작 및 집필활동을 했다는 사실과 시인으로 문단에 첫발을 대디뎠다는 사실에 주목하고 그가 발표한 시 전편과 시론을 살펴보았다. 그간 박태원에 관한 비평이나 연구 대부분은 박태원의 소설에만 집중되어 있다. 따라서 박태원과 그의 작품세계에 대한 보다 깊이 있고 폭넓은 이해와 연구를 위해서는 소설이외의 창작품에도 관심을 가지고 고찰해 볼 필요가 있다. 특히 그의 본격적인 문학적 출발점이 시에서 비롯되었고 본격적인 소설가로의 길을 걸을 무렵까지 19편의 시를 발표하였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한 시인이나 작가의 초기작품들은 그가 앞으로 펼쳐나갈 작품세계의 방향타로 작용하거나 문학적 방향이나 지향점, 인식 등을 가늠하는 중요한 근거자료가 되는 경우가 왕왕 있음을 생각해 볼 때 박태원의 시와 시론을 고찰해보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 아닐 수 없다. 이를 통해 그의 초기 문학적 인식과 방향을 이해하고 더 나아가 박태원의 문학적 인식의 흐름을 새롭게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더구나 가장 왕성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근대작가 가운데 한사람인 박태원의 소설 외의 창작품에 대한 연구가 전무하다시피한 상황에서 그의 시에 대한 고찰은 초기 박태원의 문학관과 지향점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박태원의 문학세계 전체에 대한 연구를 더 다양하고 풍요롭게 하는데 의의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 글은 일차적으로 구보 박태원의 시론을 그의 산문 등을 통해 고찰해보고 아울러 그의 발표시 19편 전편을 고찰하였다. 이 연구가 박태원과 그의 작품세계가 쉽게 정의하거나 규정짓기 어려울 정도로 다양하고 다성적인데 반해 "한글로 쓰여진 소설 작품 가운데 가장 파격적이고 실험적인 작품"을 쓴 한국모더니즘을 대표하는 작가로 정의되고 소설에만 집중되었던 기존의 연구에 더해져 박태원의 문학세계전체를 보다 새롭고 폭넓게 조망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믿는다. This article about "A study of Park Tae Won`s Poetry" is going through all his published poetries and critics of poems, taking notice to the fact that he started his first step to the literary world as a poet and that he had created plenty works in various fields beyond his career as a novelist. Most criticism and studies about Park Tae Won so far is mainly focused on his novels. Therefore, in order to get more inclusive understanding and to study closely about his works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works above his novels. Especially,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at his real literary start point and he published 19 pieces of poetries before he began his path as a novelist. It is worth considering Park Tae Won`s poetries and critics of poems since it is often the case that some early works of a poet or writer act as the rudder of the upcoming works or as an important base data to estimate the literary direction, his aim and perception. And with that we understand Park Tae Won`s early literary perception and direction furthermore we get a new understanding about the flow of his literary awareness. Park Tae Won is one of the most lively studied modern writer, but except his novels non of his other creation had been studied so far. Under this circumstance considering his poetries is quite important for us to understand his early literary view and his aiming point and also very meaningful to enrich and vary the research of Park Tae Won`s overall literary world. Therefore in this article we primarily consider Ku Bo Park Tae Won`s critics of poem through his prose together with 19 pieces of his published poetries. Park Tae Won`s literary world is too various and different to define or regulate, but on the other hand he is defined as the representative writer of Korean modernism who wrote "the most exceptional and experimental work among the novels written in Korean". So added to the former studies focused on his novels this study will be of some help to prospect Park Tae Won`s whole literary world with a new and wide view.

      • KCI등재

        초기 박태원 소설과 이상 소설에 나타나는 공통 모티프에 관한 연구

        이경림(Lee, Kyung-rim) 구보학회 2010 구보학보 Vol.6 No.-

        본고는 초기 박태원 소설과 이상 소설에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절름발이’ 짝 모티프에 주목하고자 한다. ‘절름발이’ 짝 모티프는 “우리부부는 숙명정으로 발이 맞지않는 절늠바리인것이다.”라는 「날개」의 서술에서 따 온 명칭이다. 본고는 이 명칭을 통해 초기 박태원 소설과 이상 소설에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특정한 인물의 짝―경제적으로 무능한 남자와 주로 사회적 하층계급인 여자의 짝―을 가리키려고 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박태원과 이상의 소설을 ‘지시적인(referential)’ 내러티브로 읽는 해석의 유효성을 인정하면서, 이로부터 벗어나 이들 소설을 ‘허구적인(fictional)’ 내러티브의 위치로 복귀시켜서 살펴보고자 한다. ‘절름발이’ 짝 모티프는 박태원과 이상이 공유하는 문학적 모티프로서 소설의 구성에 지배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 모티프를 통해 두 사람이 구현하는 주제가 서로 명확히 변별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절름발이’ 짝 모티프가 박태원 소설에서 먼저 출현하여 그 특성들을 선취한 점을 상기할 때, 이상 소설에 등장하는 ‘절름발이’ 짝 모티프 역시 ‘모상’으로부터 ‘타블로’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경제적으로 무능하여 여자에게 생활을 의존하는 남자와 사회적 하층계급 여자의 짝을 다룬 ‘절름발이’ 짝 모티프는 박태원의 초기 소설에서 먼저 등장한 바 있다. 특히 「비량」에서 초점을 맞추어 형상화하는 관계가 그것이다. 이와 같이 박태원 소설에서 ‘절름발이’ 짝 모티프는 ‘룸펜 인테리’인 남자의 축에 중심을 둔 형태로 나타난다. 이때 ‘절름발이’ 짝 모티프는 ‘룸펜 인테리’의 무능함을 폭로하는 장치로 활용됨으로써 창작집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에 실린 소설의 주요 인물들이 공유하는 ‘룸펜’적 성격을 강조한다. 한편 이상은 「지주회시」를 필두로 하여 ‘절름발이’ 짝 모티프를 활용한 작품을 발표하기 시작한다. 그러나 박태원의 ‘절름발이’ 짝의 남자가 ‘룸펜 인테리’라는 사회적 특수성을 지닌 인물군을 가리키는 것인 데 반하여, 이상의 ‘절름발이’ 짝의 남자는 아방가르드적 예술가를 가리키는 것으로 읽을 수 있다. 이상 소설에서 ‘절름발이’ 짝 모티프는 예술가로서의 자의식을 상실한 남자의 후일담을 서술하기 위해 활용되는 문학적 장치이다. 즉 경제적으로 무능하여 생활을 의존하는 남자와 사회적 하층계급 여자의 짝이라는 기본 형태는 고수되어 있으나, 이상 소설의 ‘절름발이’ 짝 모티프가 박태원 소설의 그것과 분기하는 지점은 남자의 모델이 은유하는 바가 다르다는 데에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a function of the literary motif, a ‘limping’ couple, shown in the early novels of Park Tae-won and Lee Sang in common. This paper named the common motif as a ‘limping’ couple after the description in 「Nalgae」: “We make a limping couple destined never to keep in step.” This paper refers to a specific couple motif shown in the early novels of Park Tae-won and Lee Sang by this name. Usually in their early novels, a financially incompetent man and a woman of lower social position make a ‘limping’ couple. This paper regards these novels as ‘fictional’ narratives, although preceding interpretations regarding these novels as ‘referential’ narratives are still valid. A ‘limping’ couple motif is one that Park Tae-won and Lee Sang use in common. Although this motif plays a key role in composition of their early novels, the themes crystallized by this motif are quite different from each other. For this motif appears in the novels of Park Tae-won first, a ‘limping’ couple motif in the novels of Lee Sang has a valid reason to be interpreted as ‘fictional’ device rather than ‘referential’ one. A ‘limping’ couple motif appears in the novels of Park Tae-won earlier than those of Lee Sang. One of the early novels of Park Tae-won, 〈Biryang〉,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 financially incompetent man and a woman who is a barmaid. As this paper analyzes this novel, a ‘limping’ couple in the novels of Park Tae-won puts emphasis on the man who is a ‘lumpen intellectual’. In these cases, a ‘limping’ couple motif functions as a literary device to expose an incompetence of lumpen intellectuals, which is a common characteristic displayed by the characters in his story collection, 〈A day of Gubo the novelist〉. On the other hand, Lee sang started to publish novels focusing on a ‘limping’ couple motif with 〈Jijuhoisi〉 in the lead. Though a man in the novels of Park Tae-won refers to a ‘lumpen intellectual’, who has its distinct characteristics in social contexts, a man in the novels of Lee Sang refers to an avant-garde artist. In the novels of Lee Sang, a ‘limping’ couple motif functions as a literary device to descript a follow-up story of a man who abandoned his ambition to be an avant-garde artist regardless of his own will. In other words, the basic formation made by Park Tae-won, an ill-matched couple of a financially incompetent man and a woman of lower social position is kept in the novels of Lee Sang, too. Though in the novels of Lee Sang, a ‘limping’ couple motif crystallizes different themes for a man refers to a different model from that of Park Tae-won. While a ‘limping’ couple motif is usually used to descript incompetence of a ‘lumpen intellectual’ in the novels of Park Tae-won, the same motif is used to descript despair of an avant-garde artist in case of Lee Sang.

      • KCI등재

        ‘암흑기’를 넘어 텍스트‘들’의 심층으로 : 일제 말기 박태원 문학의 연구사 검토

        오현숙 구보학회 2013 구보학보 Vol.9 No.-

        일제 말기 박태원의 작품 활동은 사소설, 대중소설, 역사소설, 소년소설, 동화 등의 창작과 중국고전 번역 등을 포함한 폭넓은 것이었다. 이들 작품들은 공통적으로 근대 시민사회의 문학 양식인 ‘소설(novel)’로 수렴되지 않거나 기존의 문학사 서술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된 텍스트‘들’이다. 박태원의 경우 좁은 의미의 서구적인 미학의 틀로 한국 근대문학의 성취를 확인하려는 문학사적 구도 아래 반복적으로 모더니스트로 호명되어온 경향이 있다. 또 일제 말기를 ‘암흑기’로 간주하면서 문학적 불모성을 강조하는 문학사 기술에 의해 박태원의 일제 말기 텍스트‘들’은 연구대상에서 배제되거나 과도기의 글쓰기라는 한정된 평가를 받아왔다. 그러나 일제 말기 박태원 문학 연구의 새로운 흐름은 모더니스트로서의 박태원이라는 문학사적 기술의 구도에서 배제되었던 다양한 작품군들에 대한 새로운 의미부여 시도로 요약해 볼 수 있다. 탈식민주의에 대한 비판적 수용과 일상사 연구의 성과를 수용하면서 그 동안 연구의 대상에서 소외되거나 부정적 평가를 받았던 작품들에 대해 새로운 의미를 발견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또 아동문학과 번역문학에 대한 최근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박태원 문학 연구의 지평이 확장되고 있다. 물론 저항과 대일협력의 가치 평가 문제에 대해서는 연구의 쟁점을 형성하고 있지만, 반대로 이는 그만큼 일제 말기 박태원 문학의 다채로운 성격을 반증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박태원의 일제 말기 텍스트‘들’이 신체제담론과의 접속과 동화라는 완료점으로 나아간 것이 아니라, 다양한 가능성을 지니고 분해나갔던 텍스트‘들’이었음을 인식해야만 그의 다양한 서사 양식의 실험과 창작이 온전히 평가받을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일제 말기 박태원의 작가의식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서사 양식의 경계를 넘나드는 연구자의 유연한 관점이 요청된다. 이 시기 그의학 창작은 고전문학과 현대문학, 중국문학과 한국문학, 성인문학과 아동문학의 경계를 유연하게 넘나든다. 분과학문체계로 구축된 분절적인 문학 연구를 넘어서 이질적인 작품 간의 내적 연관성을 규명할 수 있는 문학 연구가 앞으로의 연구에 남겨진 시급한 과제이다. 박태원 문학의 역동적인 특성을 살피기 위해서는 다양한 장르의 작품들이 서로 관계 맺는 다양한 방식을 추적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다양한 텍스트‘들’이 만들어 내는 관계의 구조를 통해 일제 말기 박태원의 문학이 갖고 있는 성격을 비로소 총체적으로 가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The works of Park, Tae-won in the end of Japanese colonization era has a wide range activities including the creation of autobiographical novels, popular novels, historical novels, juvenile novels, fair tales and classical Chinese translation. These works are rejected to ‘Novel’, modern civil society’s literary form in common or neglected to the description of the existing literary relatively. In the case of Park, Tae-won, he tends to be called as a modernist repeatedly under literary composition to check the achievement of Korea’s modern literary with western aesthetic framework in a narrow sense. In addition, Park, Tae-won’s texts in the end of Japanese colonization era have been excluded or received limited evaluation of transitional writing by literary techniques to emphasize literary barrenness, regarding the end of Japanese colonization as ‘The Dark Ages’. However, the new trend of Park, Tae-won’s literature research in the end of Japanese colonization era can be summarized as an attempt to give a new meaning to various work groups excluded from the composition of literary description of Park, Tae-won as a modernist. While accepting criticism for postcolonialism and results of researching alltagsgeschichte, it moves toward the direction to find a new meaning for works marginalized from the subject of the study or received negative evaluation in the meantime. The horizon of Park, Tae-won’s literature research has been extended based on the results on children’s literature and translation literature recently. Of course, with respect to the valuation for resistance and cooperation with Japan, an issue of the study has been formed, on the contrary, this disprove various characteristics of Park, Tae-won’s literature in the end of Japanese colonization era. However, regarding texts of Park, Tae-won in the end of Japanese colonization era, experiment and creation of his various descriptive forms can be fully evaluated only if recognizing them as text’s’ decomposed with various potential rather than advancing to access to the discourse of new system and the complete point of collaboration. Further, to investigate consciousness of an author, Park, Tae-won’s literature in the end of Japanese colonization era, flexible point of view of researchers crossing the boundary of a variety of descriptive forms is requested. His literary creation crosses the boundary between classical literature and modern literature, Chinese literature and Korean literature, adult literature and children’s literature flexibly. Beyond segmentally literature study established with discipline system, literary studies to identify intrinsic association among disparate works are urgent tasks left in the future study. To examine Park, Tae-won’s literature’s dynamics, it’s essential to track various ways interrelated with the works of several genres. Park, Tae-won’s literature in the end of Japanese colonization era has features will be able to see in general through the relation structure various texts create.

      • KCI등재후보

        박태원 소설의 골목 표상과 이웃 생태학

        김근호 구보학회 2015 구보학보 Vol.0 No.12

        The Alley in the neighborhood of Park Tae-Won’s novel is an very important device of signifying mode. Alley with neighbors forms a meaningful anti continue to emerge in a number of notable works. Depending on these issues, we need to read Park Tae-Won’s novels published under the Japanese occupation. Alley in the Park Tae-Won’s novel has a formative power to cast out the life of the neighborhood, creating a true neighborhood. Park Tae-Won has reached the ethics and politics of a neighboring alley in his novel. Meticulous attention to the colonial city Kyounsoeng had produced successful results in shaping of the hope and reality that hope is frustrated about the happiness through a variety of novel experiments. There are neighborhoods among peoples who live in there alleyes. Moreover, Park Tae-Won also approached them as a neighborhood through the eyes of compassion and sympathy. But Park Tae-Won, looking down the possibility of human life in the streets and neighbors, had to reach a pessimistic perception. Park Tae-Won, in his novel writing process, showed the ecology of neighborhood solidarity that must co-exist and yet autonomously through the narrative of neighborhoods. Park Tae-Won has the meaning of esthetic resistance to the colonial situation facing the then totalitarian society. In that sense, Park Tae-Won’s novels are the narrative of decolonization. 박태원 소설에서의 골목과 이웃은 매우 중요한 의미화의 장치인데, 다수의 작품에서 지속적으로 등장하여 주목할 만한 의미항을 형성한다. 즉 박태원은 자신의 소설에서 골목이라는 공간과 그 속의 인정세태를 이웃이라는 관계 개념으로 형상화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일제강점기 하에 발표된 박태원 소설을 골목과 이웃이라는 코드로 읽어볼 필요가 있다. 박태원 소설에서의 골목은 진정한 이웃을 만들어내고 이웃의 삶을 주조해내는 형성적 힘을 지닌다. 박태원은 그에 대한 소설적 탐색의 시도 끝에 균형 잡힌 이웃 윤리와 골목의 정치성에 도달하였다. 식민지 도시 경성에 대한 치밀한 관심은 다양한 소설적 실험을 거쳐 행복한 삶에 대한 희망과 그 희망이 좌절되는 비극적 현실에 대한 형상화로 귀결되는 성과를 낳았다. 골목 안에서 살아가는 사람들 사이에도 이웃이 성립되겠지만, 당시 그들을 바라보는 작가 박태원에게도 이웃은 역시 연민과 동정의 시선으로 다가왔다. 하지만 사람다운 삶의 가능성을 골목과 이웃에서 찾고자 했던 박태원은 비관적 인식에 도달할 수밖에 없었다. 그런 과정에서도 박태원은 골목과 이웃의 서사를 통해 자율적이면서도 공존하고 연대해야 하는이웃의 생태학을 보여주었다. 박태원 소설의 골목과 이웃 탐구는 당시 전체주의적 사회로 향하는 식민지 상황에 대한 미적 저항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그런 점에서 박태원의 소설은 탈식민의 서사인 것이다.

      • KCI등재

        일본어로 말해진 박태원

        아이카와 타쿠야 구보학회 2018 구보학보 Vol.0 No.18

        This article describes a brief history of translation and research activities of Park Tae-won’s literature in Japanese. Even though Japanese translation of Park Tae-won’s works dates back to the colonial period, this was a part of assimilative integration of Korean culture into the Japanese empire. At that time we can see that Park Tae-won was already regarded as eminent figure among Korean writers while he was not likely to attract Japanese readers so much. After the collapse of the Japanese empire, several pioneering researchers established Chōsenbungaku no Kai (Study Group of Korean Literature) in 1960s and introduced important Korean writers and literary works including Park Tae-won in Japanese. Such efforts led to significant translations of Ch’ŏnbyŏn P’unggyŏng and Sosŏlga Gubo ssi ŭi Iril. As early as 1987, Chō Shōkichi’s essay showed striking perspective on Park Tae-won’s novels. After that, as Korean studies globally spreaded out, academic articles and dissertations concerning Park Tae-won and his literature also begun to come out. Although these researches made respective contribution to Park Tae-won studies, it is hard to say that they have prominent uniqueness compared to the researches in the Korean academy, which has made much richer achievement in quantity and quality regarding Park Tae-won’s literature. I expect that fruitful discoveries will be achieved through the Japanese language, the language of the former empire which Park Tae-won himself used to command and confront. 이 글은 현재까지 일본에서 혹은 일본어로 발표․간행된 박태원 작품의 번역과 박태원 연구를 개괄적으로 정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박태원 작품의 일본어 번역은 식민지 시기부터 존재해 왔는데, 이것은 식민지 말기 조선에서 진행된 일본제국의 문화통합이라는 상황과 맞물린 사건이었다. 그 당시 조선문단에서 박태원의 위상은 높았던 것이 짐작되는 한편, 일본 ‘내지’에서 박태원은 그다지 주목을 받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후 1960년대에 활동을 시작한 연구 단체 ‘조선문학의 회’의 한국문학 연구와 번역 작업을 비롯, 2000년대까지 박태원의 대표작인 『천변풍경』과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이 번역되는 등 일본어로 박태원을 읽을 수 있는 환경은 정비돼 가고 있다. 일본에서 박태원 연구의 효시는 조 쇼키치(長璋吉)이다. 조 쇼키치는 1987년이라는 이른 시기에 박태원 소설의 특질을 날카롭게 지적하여 그 특유의 안목을 보여주었다. 한국 국외에서 한국학이 학문 분야로 확립됨에 따라 박태원을 주제로 한 일본어 논문도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러한 논문들은 각기 의의를 가지고 있는 한편 질적으로도 양적으로도 특필할 만한 성과를 낳았다고는 보기 어렵다. 박태원 자신과 역사적으로 특별한 인연을 가진 일본어를 연구 수행 언어로 개재시킴으로써 새로운 관점에서 박태원 문학이 조명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박태원의 역사소설을 다시 읽는다

        정호웅(Jung, Ho Ung) 구보학회 2007 구보학보 Vol.2 No.-

        ‘The History’ is the one of the important themes of the literature of Park Tae Won. ‘The History’ in the literature of Park Tae Won is almost not related to ‘The Past’ of reality. The point in the literature of Park Tae Won is not ‘The Past’ of reality, but characters. So, in the literature of Park Tae Won, ‘The Past’ is the background on that the characters are carved. The characters in the historical novels of Park Tae Won have the intensive personality. Park had tried to creat in spite of the distortion of reality. This had made the reality that had been represented in novels superficial. So, the very unique historical novel which was different to the general historical novel had been come into being. The characters in the historical novels of Park Tae Won are already completed beings. So they don’t have any agony. And they don’t have any hesitation. They are the dramatic characters. These special qualities of historical novels of Park Tae Won can be seen in the 󰡔Kabbonongminjunjaing 갑오농민전쟁󰡕 which was written in North Korea. So we can say that these are the throughout special qualities of historical novels of Park Tae Won. 박태원 문학의 중심 주제 가운데 하나는 의외에도 역사이다. 「垓下의 一夜」(1929)에서 󰡔갑오농민전쟁󰡕(1963~1986)에 이르는, 방대한 분량의 역사물이 우뚝 솟아 이를 증거하고 있다. 박태원 문학의 그 역사는 구체적 시공간으로서 실재했던 ‘과거’에 대한 관심과는 거의 무관하다. 박태원의 역사물에서 초점은 그 ‘과거’가 아니라, 그 과거에 부조된 어떤 인물의 성격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박태원의 역사물에서 그 과거는 한갓 배경일 뿐이다. 박태원의 첫 소설 「垓下의 一夜」는 역사물이지만 그 ‘과거’의 역사성과는 무관한 비역사물이다. 이는 해방을 전후하여 문장가 박태원이 공들여 생산해낸 「삼국지」며 「수호전」이며 등의 중국 고전소설 번역물이, 원전의 역사성과는 무관한 비역사물로서 번역되고 읽혔던 것과 마찬가지이다. 박태원 역사소설의 중심은 과거의 역사성이 아니라 인물 성격이다. 그 인물들은 강렬한 개성의 소유자인데, 작가는 현실의 왜곡을 무릅쓰면서까지 이 같은 인물들을 만들어내고자 하였다. 이로 인해 소설에 반영된 역사적 과거의 현실성은 약회되었으니 한국현대소설사를 채우고 있는 역사소설 일반과는 구별되는 매우 특이한 역사소설이 솟아올랐던 것이다. 박태원 역사소설의 인물들은 이미 완성된 존재들이니 고뇌하지 않는다. 주저도 없다. 확고하며 명료하고 거침없으니 극적인 성격들이라 하겠다. 박태원 역사소설의 이 같은 특성은 북한에서 생산된 󰡔갑오농민전쟁󰡕에서도 찾아볼 수 있으니 박태원의 문학 생애 전체에 걸쳐 일관된 것이었다고 하겠다.

      • KCI등재

        박태원 소설과 창작교육

        김근호 구보학회 2013 구보학보 Vol.9 No.-

        이 글은 창작교육이라는 핵심어로 지금까지 박태원 소설의 교육적 수용 양상을 살피고 앞으로의 교육적 전망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글에서 특히 주목하는 것은 창작교육이다. 이에 따라 문학교육과정의 흐름 속에서 창작교육의 위상을 검토해보고 박태원 소설의 교육적 수용 양상을 검토해보았다.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창작교육이 자리잡은 이후 최근 교육과정에서는 수용과 창작의 통합적 활동을 지향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국어 및 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박태원 소설의 유형은 점차 협소해지는 양상을 보인다. 지금까지 국어 및 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박태원의 소설을 보면,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이 지속적으로 교재화되면서 교육정전화의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그것은 독이기도 한데, 다양한 시각에서의 접근을 차단하는 작품으로 자리하게 될 가능성도 동시에 갖게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를 타개하는 방안으로 창작교육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창작교육은 근본적으로 충실한 작품 읽기를 바탕으로 해야 하는바, 수용과 창작은 동전의 양면과 같은 관계를 갖는다. 박태원 소설의 교육에서도 창작 경험은 충실한 작품 읽기를 바탕으로 해야 한다. 박태원의 경우 형식의 생산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는데, 그것을 창작교육의 논리로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박태원 소설의 상호텍스트성과 형식적 새로움을 교육하기 위해 작품 수록의 다양화를 기할 필요도 있다. Creative writing education is the key word in this paper. I tried investigate the aspects of accommodating Park, Tae-won’s novels in Korean literary education. And I explore the prospects of his educational vision. As a result, the flow of literature courses in creative education examined and the phase of the Park, Tae-won review of the novel aspects of the educational looked acceptable. Since creative writing education located in the 7th Korean language educational curriculum, integrated activities of acceptance literature and creative writing should be aimed. Park, Tae-won’s novels contained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and literary textbook seems to increasingly narrow aspect of collecting. So far, Among Park, Tae-won’s novels contained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and literary textbook, “A novelist, Mr. Kubo’s Daily Life” has the possibility of canonization. But this is a problematic phenomenon, to block access from a variety of place to works in various point of view. Creative ways to overcome these problems, we should focus on creative writing education. Creative writing education is fundamentally based on the text, so the reception and creation are two sides of the same coin relationship. The education of Park, Tae-won’s novel should be based on a faithful reading of the work. Park, Tae-won, the formal productivity of text is noteworthy, which needs to be embodied in the creative writing logic. And Park, Tae-won’s novels has a intertextuality of texts and the novelty of form, to maximize this merit in education acceptance of his novels in textbook need to be diversified.

      • KCI등재후보

        박태원과 국어교육― 일제강점기에서 해방직후까지를 중심으로

        정현숙 구보학회 2014 구보학보 Vol.0 No.10

        This paper will focus on relation between Park Tae-won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Park Tae-won was involv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to liberation, directly and indirectly. The main issues of this research are that detail contents and meaning of his participation. This discussion will extend the scope of Park Tae-won research and investigate specific aspec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to directly after liberation. In Japanese colonial era, Park Tae-won published various style juvenile literatures. At that time, Japanese became official language. Furthermore, Chosun language education was abolished from public education in phases. His fairy tales reflect his uncommon identity toward language education of those days. His novels such as ‘sok-gob’, ‘tug-of-war’, and ‘Kim Hoo-Jik’ were published, occasionally, titled as ‘A reading book’. These novels concentrated Chosun language education and national consciousness, and were used in Korean language teaching materials at studio and night instruction. Even though indirectly, it was useful means of confrontation to the situation. After liberation, Park Tae-won was concerned about composition education. He published two composition texts: ‘Secondary-school model composition’, ‘Secondary-school composition writing’. ‘Secondary-school model composition’ is edited auxiliary textbook, and ‘Secondary-school composition writing’ is written textbook by him. The first one is a kind of good writing compilation. It contains classified several writings served as a role model by subjects. Then, it was used in Chosun language auxiliary textbook at Korean Japanese school. The second one is composition writing textbook written by Park tae-won directly. The book is generally divided into three chapters such as essence of writing, the way of writing, and kind of writing. He facilitates the understanding by explaining concept and suggesting detailed example sentence. 이 글은 박태원이 국어교육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주요 논점은 일제강점기부터 해방 직후에 이르기까지 박태원은 직간접적으로 국어교육에 관여하였는데, 그 구체적인 내용은 무엇이고 그 의미는 무엇인지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이러한 논의는 크게 두 가지 점에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하나는 박태원 연구의 범위를 확장한다는 점이고, 다른 하나는 일제강점기와 해방직후 국어교육의 구체적인 일면을 살펴본다는 점이다. 일제강점기 박태원은 다양한 양식의 아동문학을 발표하였다. 그의 동화에는 당시 어문 교육 즉 일본어가 국어가 되고 공교육에서 단계적으로 조선어 교육이 폐지되는 상황에 대한 남다른 자의식이 반영되어 있다. 그의 동화는 종종 ‘독본(讀本)’이라는 표제 아래 발표되었는데, 「솟곱」 「줄다리기」 「김후직」 등이 그것이다. 당시 ‘독본’은 강습소, 야학 등에서 한글 교육 교재로 활용되었으며, 이 작품들은 조선어교육과 민족의식을 강조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는 비록 간접적이기는 하지만 조선어교육이 불가능한 상황에 대한 유용한 대응 수단이었다고 볼 수 있다. 해방 이후 박태원은 작문교육에 관심을 기울인다. 그는 『중등문범(中等 文範)』과 『중등작문(中等作文)』 등 두 권의 작문 교재를 펴낸다. 『중등문범』은 박태원이 편집한 부교재이고, 『중등작문』은 그가 집필한 작문 교과서이다. 『중등문범』은 모범이 될 만한 글들을 주제별로 모아 놓은 일종의 좋은 글 모음집이다. 당시 이 교재는 일본 재일조선인학교에서도 조선어 부교재로도 사용되었다. 『중등작문』은 박태원이 직접 집필한 작문 교과서이다. 책의 내용은 크게 글의 본질, 글을 쓰는 방법, 글의 종류 등 세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학생들이 이해하기 쉽게 개념을 설명하고 구체적인 예문을 제시하는 방식으로 기술되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