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순교담론의 패러다임

        최상도(Choi Sang-Do)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4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 No.40

        누군가를 순교자로 지칭하는 행위는 특정한 죽음에 대한 호명(呼名, naming) 혹은 표지(標識, labelling)이다. 죽은 자는 말이 없기 때문에 ‘순교자’ 칭호는 필연적으로 사후(事後)에 산 자에 의해 주어진다. 따라서 순교자 추서(追敍, making)는 호명자의 현재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죽음 가운데서 특정한 죽음을 선택하는 행위이며, 나아가 그 죽음을 합법화하고 기념하여 의미를 부여하는 행위이다. 특정 죽음에 대한 이런 호명과 표지의 행위는 죽음의 선택 그리고 해석과 관련된 힘을 수반한다. 정확히 말해서, 특정 죽음을 합법적 순교로 호명하는 사회적 행위로서의 순교는 산 자의 특정 공동체가 그들의 지배 이데올로기를 형성하고 유지하기 위해 의도된 목적을 가지고 만든 담론의 일부분이다. 순교자 추서의 이와 같은 담론적 특성을 염두에 두고, 본 연구는 죽음사건, 기억, 해석, 힘 등 ‘추서’의 구조(mechanism)와 관련된 주제들을 면밀히 검토한다. 순교자 추서의 과정에서 드러나는 이 주제들의 상호작용을 본 소고에서는 ‘순교자 추서의 패러다임’으로 제시한다. 순교자 추서의 패러다임은 세 요소(죽음사건, 기억, 해석)로 구성된 두 행위의 결합을 나타낸다. 이 두 행위는 담론의 분석을 위해서는 구분되어야 하지만, 실제로 추서의 과정에서는 불가분의 관계이며 상호의존적이다. 첫 번째 행위는 개인의 신앙 고백 혹은 선포로 인한 죽음의 선택의 행위이며, 두 번째 행위는 그 죽음을 순교로 지정하는 사회적 행위이다. 전자를 개인의 과거 신앙고백 행위로 인한 죽음사건으로 본다면, 후자는 현재 공동체의 정황에 따른 사회-정치적 죽음해석의 행위가 된다. 첫 번째 행위(죽음사건)는 특정 이데올로기적 입장의 반영과 강화로 형성되고 과거 죽음사건의 기본적 이미지를 담고 있는 기억에 의해 두 번째 행위(죽음에 대한 해석)로 전이 된다. 또한 순교자 추서의 구조에서 각각의 행위는 죽음사건 자체와 그 사건의 선택, 그에 대한 기억의 수집, 그리고 순교자 추서, 재(再)추서, 반(反)추서의 해석학적 행위와 관련된 본질적 힘의 대결을 수반한다. 순교자가 기념하는 해석 행위에 의해 최종적 지칭이 이루어진다 할지라도 우리는 이 패러다임에서 순교자 추서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두 가지 이론을 제시한다. 하나는 역사적 사건으로서, 이론적으로 그것은 과거의 사건으로부터 시작되나 실제적으로는 내러티브에 더 가깝다고 보는 입장이다. 다른 하나는 순교자 추서과정은 추서자의 이데올로기적 의도나 목적으로부터 시작하기 때문에 그 순서가 해석-사건의 역순으로 진행된다는 입장이다. 본 소고에서 순교자 추서의 패러다임에 나타나는 이 두 이론을 상보적 관계로 볼 때 우리는 순교자 추서 과정의 첫 단계로서 죽음사건의 실체를 재구성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비록 죽음사건의 실체를 완벽하게 재현할 수 없다 할지라도 순교구조의 핵심에 위치하는 사건의 실체에 대한 조사와 재구성을 통해, 순교담론이 담론에 불가피하게 작동하고 있는 지배적 힘에 의해 오용 혹은 남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고 본다. 실제로 순교자 추서에 수반되는 두 행위 중 개인의 죽음사건이 없이는 거짓 순교가 될 뿐이고, 동시에 한 사회가 특정 죽음을 의미 있게 기억하는 의도된 해석의 사회적 행위가 없이는 순교자가 추서될 수 없다는 사실은 명백하다. To call someone a martyr is an act of ‘naming’ or ‘labelling’ a death. As the dead no longer speak, the title of martyr for the dead must be given posthumously by the living. To designate a death as martyrdom therefore entails selecting a specific death among various types of death and then attributing that meaning to the death through legitimating and commemorating the death in accordance with the namers’ present purpose. This act of naming or labelling a death inevitably involves power, that of selection and interpretation. Precisely, martyrdom as a social act of calling a specific death as a legitimated martyrdom is part of making the discourse by the living groups’ predetermined purpose to construct and sustain their ruling ideologies through accepted means. Having set out the discursive figures of martyr-making, this paper has closely examined the ‘making’ mechanism of martyrdom focusing on the relevant issues: death-event, memory, interpretation, and power. The interaction of these issues in the process of making martyrs has been termed as a ‘Paradigm of Martyr-Making’ in this paper. The paradigm of martyr-making requires two basic acts made of three elements (death-event, memory, and interpretation) which are inseparable and interdependent in practice but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for analysis. One is a person’s act of confessing or proclaiming faith by choosing death rather than evading it. The other is the social act of designating the death as martyrdom. While the former act can be conceived as a death-event caused by an individual’s belief-profession behaviour in the past, the latter can be regarded as a socio-political act of interpreting the death in the present community’s context. The first act (Death-event) transits to the second act (Interpretation of the death) through memory in which the basic image of a past death-event is established by articulating and reinforcing a particular ideological stance. In the mechanism of martyr-making, each act inherently involves power contests over the death-event, the selection of that event and not others, the collection of relevant memories, and the hermeneutical activity of making, remaking or unmaking martyrs. Though a martyr is designated finally by the commemorative interpretational act, we have evoked two theories in the paradigm to comprehend martyr-making. Theoretically with a historical event, one starts from the past event but in practice it is more a narrative, while the other begins from the ideological intentions or aims of the makers and works backwards. The former claims the final interpretation should be come from the past event itself, however, the latter argues that the past event is only shaped or reshaped by intended interpretations in the particular context. This paper has argued that when we place two theories of the martyr-making process in complementary relationship, we can draw a picture of the reality of death-event as the primary step of the martyr-making process, which takes the central position in the structure of martyrdom, though we never gain its perfect figure. By doing so, we may prevent the discourse of martyrdom from being abused or misused by the dominant power inevitably involved in the discourse. There may have been a pseudo-martyrdom without the individual’s death-event, yet at the same time it is impossible to be a martyr without the intended interpretation of the death by a society remembering the death meaningfully.

      • KCI등재

        일제시대 개신교인의 독립운동 참여와 순교자 추서 현상에 대한 소고

        최상도(CHOI Sangdo)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17 장신논단 Vol.49 No.2

        이 글은 일제시대 발생한 한국개신교인들의 죽음에 대해 한국개신교의 순교자 추서 현상을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순교자 추서는 과거 죽음의 사건을 두고 현재 그 죽음을 기억하고 기념하는 살아 있는 자들의 몫이고, 그들의 사회 정치적 행위의 과정이며 결과이다. 산자의 현재적 삶의 정황(Sitz im leben)에 따른 해석으로 과거 죽음을 순교로 지명하는 과정이 순교자를 배출되게 한다. 이런 점에서 순교는 죽음의 정치이자 곧 산자의 정치이다. 순교가 호명의 사회 정치적 행위에 의해 인정되고 합법화되기 때문에 순교자 추서는 죽음사건에 대한 진상조사와 그에 대한 역사해석에 근거한다. 순교자 추서의 이러한 질서와 특성을 염두에 두고 본 논문에서는 구체적으로 일제시대 개신교인들의 적극적 독립운동 참여로 보편적으로 인정되고 있는 105인 사건, 3.1운동, 그리고 신사참배 거부 운동을 중심으로 개신교인들의 죽음의 사건을 확인했다. 그리고 이 죽음의 사건에 대한 개신교의 인식과 평가 즉 죽음 사건에 대한 해석을 살펴보았다. 일제시대 개신교인들의 독립운동 참여는 신앙운동의 차원에서 이행되었으며, 이에 대한 일제의 박해는 당시의 선교사들과 후대의 역사가로부터 종교박해로 분명히 인식되었고 해석되었다. 그러나 해방 후 한국개신교는 이들에 대한 순교자 추서를 적극적으로 진행하지 않았다. 즉 죽음사건에 대한 해석과 순교자 호명의 사회적 행위 사이 균열과 모순을 드러내고 말았다. 이는 일제시대에 발생한 한국개신교의 죽음사건과 이에 대한 해석 그리고 순교자 호명이 해방 후 남한사회의 반공주의 체제로의 전환과 일제시대 친일행적에 대한 미해결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This paper has aimed to criticize on the martyr-designation/making process of the Protestant Church in Korea (PCK) for the Protestant Christians’ death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egime. Martyr-designation/making is precisely carried out by the living in the present who are remembering and commemorating the death-event of the past and consequently a result of the process of their socio-political act of martyr-making. A martyr is made by the process of naming a death as martyrdom in accordance with the living’s interpretation under their current Sitz im Leben. In this aspect, martyrdom deeply pertains to the politics of death, yet at the same time to the politics of the living. Because martyrdom is approved and legitimized by the socio-political act of naming or labelling a death as martyrdom, martyr-designation should be based on the ground of close investigation of death-event and historical interpretation on it. Bearing in mind this order and figure of making martyrdom, this paper has investigated first concretely the Protestant Christians’ death-event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egime, especially of the Korean Conspiracy Trial in 1911-1913, the March First Movement in 1919, and Shinto-Shrine Controversy in the 1930s which are universally recognised as the PCK’s active participation in the independent movement. Then this paper has examined the PCK’s understanding and assessment, that is, their interpretation for the death-events. It shows that the active participation of Korean Protestant Christians in the independent movement had conducted as a level of religious movement confessing their faith. Therefore the reaction of oppression and persecution of Japanese colonial power for them was clearly perceived as a religious persecution in the eyes of missionaries at that time, and current church historians in Korea has also interpreted it taking same viewpoints of the missionaries. However, the PCK does not actively launch to make them martyrs after nation’s liberation from Japan. It has clearly showed PCK’s rift and contradiction between their interpretation on the death-events and social act of making martyrdom. This seems to show that the PCK’s martyr-designation and interpretation on the death-events taken plac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egime reflect south Korean society’s systematic shift to anticommunism after the liberation and an unsolved issue on the settlement against pro-Japanese activists during the Japanese rule over Korea.

      • KCI등재
      • KCI등재

        LOVE YOUR ENEMIES

        CHOI Sang-Do(최상도)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18 장신논단 Vol.50 No.4

        폭력에 노출된다면 우리는 기독교인으로써 어떤 행동을 취할 수 있을까? 방어적 무장투쟁을 할 것인가? 약한 사람/소외된 사람/박해 받는 사람을 방어하고 생명을 보존하기 위해 죽음을 각오한 비폭력 저항을 할 것인가? 아니면 그 폭력의 상황을 피하여 도망할 것인가? ‘무저항’과 ‘폭력적 저항’사이에 악에 대항한 예수의 방법을 따르는 다른 제3의 대안적인 방법은 없는가? 만약 우리가 방어적 공격 혹은 정당전쟁을 생명을 보존하기 위해 허용한다면 폭력은 어느 정도까지 사용될 수 있을까? 이 글은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을 찾고자 하는 시도이다. 이를 위해 이 글은 먼저 ‘네 원수를 사랑하라’는 성서의 구절을 성서기자의 눈을 통해 예수 그리스도의 삶과 죽음을 면밀히 읽어내어 ‘하나님을 위한 죽음, 비폭력 저항’의 원칙적 패러다임으로 제시했다. 그러나 동시에 이 글은 이 원칙이 악을 덮어두는 것이 아니라 정의로운 신실한 신자를 박해하거나 살해하는 조직적 악과 악의 세력에 대항한 목숨을 건 ‘비폭력 저항’임을 강조했다. 그러나 이 원칙은 후기 콘스탄틴 시대에 제국 혹은 국가의 힘에 기대어 ‘하나님을 위한 살해, 폭력적인 복수’의 패러다임으로 변질되었음을 주장했다. 이러한 패러다임의 변화를 인식하고 이 글은 한국의 상황, 구체적으로 일제치하 한국기독교인의 독립운동참여를 분석하여 ‘원수를 사랑하라’는 원칙이 비폭력 저항으로 드러난 것을 확인했다. 이 적용을 통해 이 글은 원수를 사랑하라는 원칙적 패러다임은 콘스탄틴 시대 이후 교회가 국가/제국의 힘에 기대어 폭력적인 복수의 패러다임으로 변질, 전환했음을 다시 한번 더 밝혔다. 이를 통해 이 글은 결국 ‘네 원수를 사랑하라’는 급진적인 원칙은 폭력 없이 악에 저항하는 방식이며 이는 하나님과 인간 사이, 그리고 역사 속에서 갈등과 반목의 인간들을 위한 화해의 공간을 확보하는 방식임을 드러냈다. 즉 ‘네 원수를 사랑하라’는 이 원칙은 이 세상에서 성취될 수 없는 이상적 원칙이 아니라 초기 기독교인들이 그리스도를 본받아 순교로 이 원칙을 삶으로 증명한 것처럼 오늘 이 세상을 살아가는 기독교인들에게 요청되고 실행되어야 할 원칙인 것을 분명히 밝혔다. 실로 폭력이 있는 곳에 사랑이 설 자리는 없다. Facing a severe violent situation, which action can we take as Christians between a defensive armed struggle and a non-violent resistance envisioning death to defend or secure life of the weak/marginalised/persecuted? Do we have to run away from the situation? Between ‘non-resistance’ and ‘violent-resistance’, is there an alternative third way to follow Jesus’s way against the evil? If we say that a defensive attack or just war has to be allowed to secure life, to what extent can we use violence? This paper seeks to find a rough answer to these questions. First, this paper argues and confirms a principle, ‘love your enemies’, through reading closely Christ’s life and death which was interpreted by the biblical authors presenting it as a paradigm of ‘dying for God: an act of non-violent resistance’. It highlights, however, that this principle means an act of non-violent resistance against the evil system or power-holder who persecutes and kills the faithful in justice challenging the wrong doers or systems. Then this paper presents that the principle was distorted in the period of the post-Constantine as a paradigm of ‘killing for God: violent revenge’. It is presented as a distorted paradigm. Given paradigm shift of Christianity from ‘dying’ to ‘killing’ for God, this paper implies it to Korean context, especially Korean Christian’s participation in the independent movemen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egime as an exemplum practice of the principle. Through this implication, this paper analyses that the principle/norm was distorted in our history when the Church gained a state-sponsored power after Constantine. Therefore, “love your enemy”, this paper argues, is a radical way of resistance without making violence in order to open a space of reconciliation between God and human beings who are in an ungodly status, and among human beings who are in conflict or under oppression. It is not only an ideal principle which is not able to achieve in this world but a requested principle to carry out in our earthly life as Christians in the pre-Constantine periods implemented it imitating Christ. Indeed, there is no place of love where violence is occurred.

      • KCI등재

        LOVE YOUR ENEMIES: Universal Christian Virtues versus Korean Christian’s Participation in National Independent Movement under Japanese Colonial Regime

        최상도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18 장신논단 Vol.50 No.4

        Facing a severe violent situation, which action can we take as Christians between a defensive armed struggle and a non-violent resistance envisioning death to defend or secure life of the weak/ marginalised/persecuted? Do we have to run away from the situation? Between ‘non-resistance’ and ‘violent-resistance’, is there an alternative third way to follow Jesus’s way against the evil? If we say that a defensive attack or just war has to be allowed to secure life, to what extent can we use violence? This paper seeks to find a rough answer to these questions. First, this paper argues and confirms a principle, ‘love your enemies’, through reading closely Christ’s life and death which was interpreted by the biblical authors presenting it as a paradigm of ‘dying for God: an act of non-violent resistance’. It highlights, however, that this principle means an act of non-violent resistance against the evil system or power-holder who persecutes and kills the faithful in justice challenging the wrong doers or systems. Then this paper presents that the principle was distorted in the period of the post-Constantine as a paradigm of ‘killing for God: violent revenge’. It is presented as a distorted paradigm. Given paradigm shift of Christianity from ‘dying’ to ‘killing’ for God, this paper implies it to Korean context, especially Korean Christian’s participation in the independent movemen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egime as an exemplum practice of the principle. Through this implication, this paper analyses that the principle/norm was distorted in our history when the Church gained a state-sponsored power after Constantine. Therefore, “love your enemy”, this paper argues, is a radical way of resistance without making violence in order to open a space of reconciliation between God and human beings who are in an ungodly status, and among human beings who are in conflict or under oppression. It is not only an ideal principle which is not able to achieve in this world but a requested principle to carry out in our earthly life as Christians in he pre-Constantine periods implemented it imitating Christ. Indeed, there is no place of love where violence is occur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