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층성장모형을 활용한 효과적인 고등학교의 학생 특성 탐색

        임현정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3

        목적 종단적 학교효과를 산출하여 학교효과의 평균과 변화율이 높은 우수학교를 선정하고 그 특성을 파악하였다. 방법 한국교육개발원의 「학교 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 연구」를 통해 수집된 2003년부터 2012년까지 4주기에 걸친 188개 일반고등학교와 40,852명의 고등학교 2학년생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수학성취도를 종속변수로 학교패널데이터에 다층성장모형을 적용하여 종단적 학교효과를 산출하고, 초기값과 변화율이 상위 1/3에 해당하는 학교를 효과적인 학교로 선정하였다. 효과적인 학교의 과정적 변화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2수준 다층성장모형을 통해 효과적인 학교와 일반학교의 과정요인 초기값과 변화율에 대한차이 검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배경요인의 영향을 통제한 이후 141개 고등학교 중에서 학교평균 성취도와 변화율이 높은 13개교가 효과적인 학교로 선정되었다. 일반학교와의 비교를 통해서 효과가 높은 학교는 일반학교에 비해 학습동기, 교과자아개념, 수업태도, 수업집중시간, 공부시간의 향상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학교교육 성과를 분석하고 우수학교를 판별하고자 할 때에는 학교의 변화 및 성장을 고려한 종단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본연구를 통해 학생의 학습동기, 교과자아개념, 수업태도, 수업집중시간, 공부시간의 향상이 학교효과의 향상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있었다. 이와 같이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효과가 높은 학교의 특성을 탐색하면, 학교교육의 개선에 유용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Objectives The study aims to calculate longitudinal school effects, select effective schools with their high average school effects and change rates, and identify their characteristics. Methods This study analyzed the data from 188 general high schools and 40,852 high school students collected through the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s "Analysis on the Level of School Education and Its Actual Status of Korean Schools" from 2003 to 2012 over four periods. Multilevel growth modeling was applied to school panel data with mathematics achievement as the dependent variable to calculate longitudinal school effectiveness. Schools with both initial values and growth rates in the top third were selected as effective schools. To understand the procedurall characteristics change of effective schools, a two-level multilevel growth model was used to test the differences in initial values and growth rates of process factors between effective schools and regular schools. Results After controlling for background factors, 13 out of 141 high schools were identified as effective school based on high average school effectiveness and growth rates. Compared to regular schools, effective school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mprovements in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self-concept in subjects, attitude towards classes, concentration during lessons, and study hours. Conclusions When analyzing school educational outcomes and identifying effective schools, a longitudinal approach considering school changes and growth is necessary. This study revealed that improvements in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self-concept in subjects, attitude towards classes, concentration during lessons, and study hours are related to the enhancement of school effects.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of effective schools from a mid-to-long-term perspective can yield valuable insights for improving school education.

      • KCI등재

        정보활용능력과 자기조절능력이 성인학습자가 인식하는 온라인 학습효과의 종단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백아롱(Ah-rong Beik),김혜빈(Hye-Bin Kim),조일현(Il-Hyun J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4

        목적 본 연구는 성인학습자의 정보활용능력과 자기조절능력, 온라인 학습효과의 변화 양상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세 변인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이를 위해 한국교육종단연구 2005(KELS 2005) 자료의 2014(9차), 2016(10차), 2018(11차), 2020(12차)년도에 조사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시간에 따른 변화추이와 종단적 관계를 검증하였다. 결과 시간에 따른 변화추이를 살펴본 결과, 정보활용능력과 자기조절능력, 온라인 학습효과의 평균은 크게 변하지 않았으며, 온라인 학습효과의 평균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보활용능력과 자기조절능력 모두 온라인 학습효과의 초기치를 정적으로 예측하였고, 변화율 역시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마지막으로 온라인 학습효과의 종단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 정보활용능력이 자기조절능력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성인학습자의 온라인 학습효과의 종단적 변화에 대한 정보활용능력과 자기조절능력이 미치는 유의한 영향에 대해 논의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안정적인 온라인 학습 효과를 보장하기 위하여 초기부터 정보활용능력과 자기조절능력 등의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전 훈련이 필요하며, 특히 학습자가 새로운 기술에 대한 습득력과 적응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이 요구된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온라인 학습의 중요성과 활용 분야가 확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온라인 학습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정보활용능력과 자기조절능력의 계발을 위한 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hanges in information literacy, self-regulation, and online learning effectiveness of adult learners, and to explor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variables. Methods A potential growth model was used by using data surveyed in 2014 (9th), 2016 (10th), 2018 (11th), and 2020 (12th) of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05 (KELS 2005). The trend of change over time and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was verified. Result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trend of change over time, the average of information literacy, self-regulation, and online learning effectiveness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and the average of online learning effectiveness was relatively high. In addition, both information literacy and self-regulation statically predicted the initial value of the online learning effectiveness, and the rate of change was also significantly predicted. Finally, it was found that information literacy was greater than self-regulation in terms of the influence on the longitudinal change of online learning effectiveness. Conclusions Discussions and suggestions were presented on the significant effects of information literacy and self-regulation on the longitudinal changes in online learning effectiveness of adult learners. To ensure stable online learning effectiveness, prior training to improve competencies such as information literacy and self-regulation is required from the beginning, and support is especially required so that learners can acquire and adapt to new technologie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ill be possible to seek ways to develop information literacy and self-regulation skill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online learning in a situation where the importance and application fields of online learning are expanding.

      • KCI등재

        브랜드 이미지와 브랜드 애호도 관계의 이해: 종단적인 연구

        하홍열 ( Hong Youl Ha ) 한국소비자학회 2010 소비자학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브랜드 이미지와 브랜드 애호도의 관계를 시간 흐름의 변화에 따른 차이에 대해 고찰한다. 특히 기존의 문헌이 특정 시점을 중심으로 하는 횡단연구에 초점을 둔 반면, 본 연구의 목적은 종단연구에 초점을 둠으로써 temporal effect와 carryover effect를 측정한다. 특히 브랜드 이미지를 구성하는 3개의 하위요인인 강도, 호의, 독특성을 중심으로 시간 경과 이후의 차이를 비교하고, 그 결과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보다 초점을 둔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위해 온라인 쇼핑몰을 이용하였으며, T 시점과 T+1 시점의 동일 응답자 308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브랜드 애호도, 강도, 호의, 독특성은 T+1 시점에 긍정적인 carryover effect를 나타내었으나, 브랜드 이미지는 그렇지 못하였다. 그러나 브랜드 이미지를 구성하는 3개 하위요인의 temporal effect는 상당히 유효하게 조사되었으며, 브랜드 이이지→브랜드 애호도의 관계는 시간이 경과하면서 더욱 강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론적인 측면에서, 브랜드 이미지 평가의 중요성은 장가적인 관점에서 브랜드 애호도를 구축하는데 매우 중요하게 고려되어 왔기 때문에, 브랜드 이미지와 애호도의 관계가 시간경과 이후에 보다 강화된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기존의 학계에서 주장되어 온 내용을 실증적인 평가를 통해 보다 강화시킨다. 또한 기존연구에서 고려되어지지 않은 temporal & carryover effects를 도입함으로서 브랜드 이미지 강화를 통한 브랜드 애호도 구축의 효과적인 접근방법을 제공했다는 의의를 찾을 수 있다. Even though extensive research is avaliable on brand image-brand loyalty relationships, relatively little research focuses on the three dimensions of brand image and loyalty over time. This study attempts to fill this research gap. In so doing,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fferences between brand image and brand loyalty and between three dimensions of brand image and brand loyalty over time. In particular, the existing literature focuses on a specific point between two parties, whereas the current study aims at measuring both temporal and carryover effects using a longitudinal study.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compares differences with three sub-dimensions(strength, favorably, and uniqueness) of brand image over time and provide insights for scholars and practitioners. Thus, this study conducts a survey using online shopping malls and tests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same respondents(n=308) at time point T and T+1. More specifically, 350 online private customers were randomly selected from lists provided by commercial websites during time point T and collected 329 usable data sets. At time point T+1, the sample of respondents in the longitudinal study was drawn from the original sample of 329 and finally collected 308 usable data sets. The findings show that carryover effects appear brand loyalty, strength, favorably, and uniqueness, but brand image doesn`t. However, temporal effects are significantly supported by three sub-dimensions of brand image. More specifically, the weights of three dimensions of brand image dropped over time. Furthermore,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image and brand loyalty is likely to be reinforced over time. That is, the weights increased from .57 to .69.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study, key results show the foll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ree dimensions of brand image of brand image is dynamic and changes over time. For three dimensions examined, there was a shift in weights from time point T and time point T+1.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image-brand loyalty at time point T and brand image-brand loyalty at time point T+1 changed over time. These results showed strong temporal effects among three dimensions, brand image, and brand loyalty. The result clarified the process by which brand loyalty at time point T influences brand loyalty at time point T+1. The result indicated carryover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loyalty at time point T and brand loyalty at time point T+1. Since the importance of brand image evaluation has been critically considered as establishing brand loyalty, our findings empirically support the relationship over time. As a consequency, the current study contributes to enhance scholars knowledge of between two parties from the theoretical perspective. More importantly, an introduction of both temporal and carryover effects provides managerial insights for an effective approach of building brand loyalty through the reinforcement of brand image.

      • KCI등재

        연령·코호트·기간 효과와 정치적 성향 : 2008년 및 2018년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전형준(Hyoungjoon Jeon)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20 Crisisonomy Vol.16 No.4

        This study compares the results of two surveys conducted in 2008 and 2018 in South Korea to find out how political orientation remains consistent or changes over time depending on age, cohort, and period. To calculate the magnitudes of the three effects, it used longitudinal, cross-sectional, and time-lag difference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one of these effects does not exist, the other effects were measured as observed values. According to the 2008 survey, those born before 1959 were relatively conservative, while those born after 1959 were relatively progressive. However, three groups were identified in the 2018 survey, and the most progressive group was those born between 1969 and 1978 rather than the youngest group. Assuming that there was no period effect, the conservativeness of those who were born between 1949 and 1958 and the neutral attitude of those born between 1959 and 1968 were interpreted as a cohort effect. However, no specific effect was found for those born between 1979 and 1989. 본 연구는 2008년과 2018년 실시된 2번의 설문조사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정치적 성향의 유지 또는변화에 연령대가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를 파악하고, 그 차이의 원인이 연령효과, 코호트효과, 기간효과 중 어떤 것에 기인하는지를 분석했다. 이 세 가지 효과의 크기를 구하기 위해, 데이터를 통해산출이 가능한 값인 longitudinal difference, cross-sectional difference, time-lag difference를 활용했는데, 각각의 값을 검토하면서, 세 가지 효과 중 어느 한 효과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가정해서, 다른 두가지 효과의 크기를 통계적으로 구하는 방식을 활용했다. 2008년 조사에서는 1958년 이전 출생자들은 상대적으로 보수적이었으며, 1959년 이후 출생자들은 상대적으로 진보적이었다. 하지만, 2018년조사에서는 세 그룹이 도출되었으며, 가장 진보적인 연령대는 중간 연령대인 1969년에서 1978년사이의 출생자들이었다. 세부적으로는 기간효과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가정할 때, 1949년에서 1958 년 사이의 출생자들의 보수성과 1959년에서 1968년 사이의 출생자들의 중립적인 태도는 코호트 효과로 해석되었다. 1979년에서 1989년 사이의 출생자들의 경우 어떤 효과도 특정되지 않았다.

      • KCI등재

        중학생의 자아개념과 자기주도학습 간 관계에서 자기통제의 매개 효과 : v

        조경애(Cho kyung ae),김지현(Kim ji hy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1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자아개념이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통제의 매개효과를 종단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교육종단연구에서 중학생 1학년에 해당하는 4(2013년), 5(2014년), 6(2015년)차년도의 참여한 총 3,121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에는 시간의 선행성을 고려한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중1의 자아개념, 자기통제력, 자기주도학습은 이후 중2, 중3의 자아개념, 자기통제력, 자기주도학습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고, 중1의 자아개념은 중2의 자기통제력을 매개로 중3의 자기주도학습에 정적 영향을 나타냈으며, 자기통제의 종단적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자아개념이 높은 학생은 자기통제력이 높고 결국 자기주도학습 능력이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중1 의 자아개념이 중3의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도 유의미하여 자기통제는 자아개념과 자기주도학습 간 관계에서 부분매개 효과를 나타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longitudinal mediation effects of self-control in the influence of self-concept relationship on self-directed learning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Thus, this study analyzed the data of a total of 3,121 participants in the 4th (2013), 5 (2014), and 6 (2015) years corresponding to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Th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n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considering the precedence of time. As a result of the study, self-concept, self-control, and self-directed learning of middle school first grader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elf-concept, self-control, and self-directed learning of middle school second-graders and third graders. The self-concept of middle school first-graders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directed learning of middle school third-graders through the self-control of middle school second-graders, and the longitudinal mediation effects of self-control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tudents with high self-concept have higher self-control and eventually highe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Meanwhile, the direct effect of the self-concept of middle school first-graders on self-directed learning of middle school third-graders was also significant, showing a partial mediation effect.

      • KCI등재

        베이비부머의 억울, 우울, 정신적 웰빙 간의 자기회귀교차지연 효과 검증

        서정선,김은하 한국상담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5 No.1

        In this study,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effects between Eogul (a complex feeling of unfairness and anger common in Koreans), depression, and mental well-being of baby boomers were investigated. Three online surveys were conducted at two-month intervals. In Study 1,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mental well-being was investigated. In Study 2,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Eogul, depression, and mental well-being was verified. As a result, depression and mental well-being at a previous time point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autoregressive effect and a cross-lagged effect on depression and mental well-being at the next time point, respectively. Second, only Eogul and depression had a significant cross-lagged effect. Third, mental well-being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Eogul at the next time point. The results suggest that Eogul can exacerbate depression, depression can have a negative effect on Eogul, and mental well-being can buffer the negative effects of Eogul. 본 연구에서는 베이비부머(1955년~1963년 출생)를 대상으로 억울, 우울, 정신적 웰빙 간의 자기회귀교차지연 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베이비부머 349명을 대상으로 2개월 간격으로, 총 3회의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크게 2개의 세부연구로 진행되었는데, 연구 1에서는 우울과 정신적 웰빙 간의 종단적 인과관계를 알아보았고, 연구 2에서는 억울 변인을 추가하여 억울과 우울, 정신적 웰빙 간의 종단적 인과관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이전 시점의 우울과 정신적 웰빙은 각각 다음 시점의 우울과 정신적 웰빙에 대해 유의한 자기회귀효과와 교차지연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전 시점의 억울, 우울, 정신적 웰빙은 모두 다음 시점의 억울, 우울, 정신적 웰빙에 대해 유의한 자기회귀효과를 보인 반면 이전 시점의 억울과 우울만 다음 시점의 억울과 우울에 대해 유의한 교차지연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정신적 웰빙의 경우, 이전 시점의 정신적 웰빙이 다음 시점의 억울에 부적 방향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억울이 우울을 악화시킬 수 있고, 우울이 다시 억울에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할 수 있으며, 정신적 웰빙이 억울의 부정적인 영향을 완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주변화 변량효과모형의 조사 및 고찰

        전주영,이근백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4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5 No.6

        Longitudinal categorical data commonly occur from medical, health, and social sciences. In these data, the correlation of repeated outcomes is taken into account to explain the effects of covariates exactly. In this paper, we introduce marginalized random effects models that are used for the estimation of the population-averaged effects of covariates. We also review how these models have been developed. Real data analysis is presented using the marginalized random effects. 경시적 범주형자료 (longitudinal categorical data)는 의학, 보건학, 그리고 사회과학에서 많이 발생하는 자료이다. 이러한 자료는 반복측정으로 인한 결과치들의 상관관계를 설명하면서 공변량의 효과를 설명해야 한다. 이 논문에서 모집단에 대한 공변량의 효과를 추정하면서 우도함수에 기초한 모형인 주변화 변량효과모형 (marginalized random effects model)을 소개하고, 그 모형의 어떻게 발전했는지를 고찰한다. 그리고 실제 자료를 이용하여 제시된 모형을 설명한다.

      • KCI등재후보

        Semiparametric Kernel Poisson Regression for Longitudinal Count Data

        Hwang, Chang-Ha,Shim, Joo-Yong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2008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 Vol.15 No.6

        Mixed-effect Poisson regression models are widely used for analysis of correlated count data such as those found in longitudinal studies. In this paper, we consider kernel extensions with semiparametric fixed effects and parametric random effects. The estimation is through the penalized likelihood method based on kernel trick and our focus is on the efficient computation and the effective hyperparameter selection. For the selection of hyperparameters, cross-validation techniques are employed. Examples illustrating usage and features of the proposed method are provided.

      • KCI등재

        교사의 수업능력에 대한 평가와 자기효능감이 중학생의 영어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종단적 관계 변화를 중심으로

        김은정 ( Eunjung Kim ),최문홍 ( Munhong Choe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2

        본 연구는 중학생의 영어 과목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변인과 학교 변인의 상호관계를 규명할 목적으로 교사의 수업능력에 대한 평가,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의 상관성이 학년이 올라갈수록 어떻게 변화하는지 조사하였다. 대도시 소재 중학교 56개교, 학생 3038명을 대상으로 3년 동안 조사한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세 변인의 종단적 관계를 관찰한 결과, 영어 과목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성취도의 정적 상관성은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더 낮아지고, 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수업능력이 미치는 영향력은 크지 않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교사의 수업능력에 대한 평가와 자기효능감은 부적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영어 과목에 대한 자신감이 낮은 학생일수록 교사의 수업능력을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이 있음을 시사한다. 학생의 성취 수준이나 학습 태도와 같은 동적 변인 외에도 성별과 같은 단순 인구통계학적 변인 또한 교사의 수업능력에 대한 학생의 인식 및 평가에 직접적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학습자 변인을 보다 세부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또한 성취 수준이 높은 학생의 경우 학교 수업에의 의존도가 비교적 낮고 따라서 교사의 능력에 대한 평가가 학습에 미치는 효과가 아닌 다른 요인들에 의해 결정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하였다. In an attempt to identify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learner-internal variables and school variables that influence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ir self-efficacy beliefs, perceived teacher ability, and achievement interact with one another across three school years. A longitudinal observation was made of the three targeted variables with the aid of data collected by a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from a total of 3038 students in 56 schools. The study found that the correlation magnitude between students’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decreased as a function of school year and that students’ perception of teacher effectiveness did not significantly relate to their achievement. Students’ self-efficacy beliefs were found to correlate negatively with perceived teacher ability, suggesting that those with lower self-efficacy are predisposed to evaluate their teachers’ knowledge and pedagogy more positively. Nonetheless, any meaningful interpretation of this result requires a more refined consideration of learner variables because not only dynamic variables such as students’ achievement level and attitudes but also simple demographic ones such as gender can comparably affect their recognition and evaluation of teacher effectiveness. Furthermore, since high-achieving students are more capable of learning in an autonomous and self-regulated way than low achievers, they exhibit a tendency to rely less on classroom instruction, and thus their perception of teacher effectiveness can be more susceptible to extraneous variables that are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learning.

      • KCI등재

        발달장애인의 의사소통수준과 사회참여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의 매개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김미옥,정은혜,박지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20 사회복지정책 Vol.47 No.2

        This study ident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communication, social participation, happiness, and general characteristic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Using data from the first to third years of the second wave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PSED), in addition to the mediation analysis of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was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major variables longitudinally. The result showed that, first, the social participation and happiness of th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relatively low, and the level of communication, social participation and happiness differed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econd, the level of communication, social participation and happines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analyzed to have autoregressive effects. In other words, the level of communic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social participation over time, and social participation has also shown a longitudinal influence on happiness. Finally, social participation in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communication and happiness of the developmental disabled has been identified as having the mediating effect. Based on this, we propose discussions and follow-up research to improve the happines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이 연구는 장애인고용패널 2차 웨이브 1차∼3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발달장애인의 의사소통수준, 사회참여, 행복의 정도 및 일반적 특성과의 관계를 확인하고 의사소통수준과 사회참여가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종단적으로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결과, 첫째, 발달장애인의 사회참여, 행복은 비교적 낮은 수준이었고, 발달장애인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의사소통수준, 사회참여, 행복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발달장애인의 의사소통수준, 사회참여, 행복은 자기회귀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의사소통수준은 사회참여에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정적 영향을 미치며, 사회참여 또한 행복에 대한 종단적 영향력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발달장애인의 의사소통수준과 행복의 종단적 관계에서 사회참여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기초로 발달장애인의 행복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언 및 후속연구를 위한 논의를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