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인투자조합 출자자의 출자의사결정요인 실증연구 : 벤처기업 투자의사결정요인을 중심으로

        김승찬,김홍근 대한경영학회 2019 大韓經營學會誌 Vol.32 No.11

        New venture investments have continued to increase and are at an all-time high. Among them, personal venture investment is rapidly increasing. In particular, the combination of Personal investment associations is increasing rapidly, showing a continuous increase. Despite this surge in personal investment associations,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on this. In addition, there have been no studies on the decision-making factors of personal investment associations. Based on these backgrounds, this study focused on the investment decision-making factors of venture firms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investor and decision-making factors of personal investment associations. In this study, we looked into the characteristics of investor of the Personal Investment Associations and the main factors and detailed factors that make them decide their intention to invest, as well as the understanding of the Personal Investment Associations, which has been poorly studied, the importance of those factors and their comparative weights were analyzed to find out how the factors influence the investment decision of the Personal Investment Associations.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the main factors considered in the decision making of investment in venture firms by Venture Capital and Angel were reviewed and the factors for decision making on investment by personal investment associations were derived accordingly. The decision-making factors for equity investments were carried out by constructing detailed factors focusing on the main factors of entrepreneur, products․services, markets, and financial characteristics that are commonly presented in the literature. For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urveys of investor and prospective investor in personal investment associations to find out the importance of each factor and the weight of each factor was analyzed using AHP (hierarchical analysis method).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main factors were in the order of financial characteristics, product service characteristics, market characteristics and entrepreneur characteristics. If we look at the detailed factors with high aggregate weighting, it came in the order of profitability, excellence, asset health, cash flow and demand prediction, while those with low aggregate weighting came in the order of global expansion, capital size, sales marketing capacity, accessibility and market siz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considered to be contributing to the revitalization of venture investment through Personal Investment Associations by presenting indicators of investment attraction strategies to venture firms that want to attract investment through Personal Investment Associations, providing information of investment decision-making factors to GP(General Partner)s who want to invest in venture firms through the formation of Personal Investment Associations, acting as indicators of selection of venture firms to be invested for investors who want to invest through Personal Investment Associations. 신규 벤처투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역대 최고를 기록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개인의 벤처투자가 급격히증가하고 있다. 특히 개인투자조합은 조합결성이 급증하여 지속적인 급증 추세를 보이고 있다. 개인투자조합의이런 급증 추세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또한 개인투자조합의 투자(출자)의사결정요인에 대한 연구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개인투자조합의 출자자의특성과 출자의사결정요인에 관하여 벤처기업 투자의사결정요인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그 동안 연구가 부진했던 개인투자조합의 이해와 더불어 개인투자조합의 출자자 특성과출자의사를 결정하게 하는 주요 요인과 세부요인을 알아보고, 그 요인들의 중요도와 비교 가중치를 분석하여그 요인들이 개인투자조합의 출자의사결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문헌고찰을 통해벤처캐피탈과 엔젤투자의 벤처기업 투자의사결정시 고려하는 주요 요인들을 검토하고 이에 따라 개인투자조합 출자자의 출자의사결정요인을 도출하였다. 출자의사결정요인은 선행문헌에서 공통으로 제시하는 경영자, 제품서비스, 시장, 재무 특성의 주요요인을 중심으로 세부요인을 구성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개인투자조합의 출자자와 출자예정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요인별 중요도를 알아보고 AHP(계층분석법)을 활용하여 요인별 가중치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주요요인에서는 재무 특성, 제품서비스 특성, 시장 특성, 경영자 특성의 순서로 나타났다. 종합가중치가 높은 세부요인들을 살펴보면 수익성, 우수성, 자산건전성, 현금흐름, 수요예측 등의 순으로 나타났고종합가중치가 낮은 세부요인들은 글로벌 진출, 자본금 규모, 영업마케팅능력, 접근성, 시장규모 등의 순으로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개인투자조합을 통해 투자 유치하고자 하는 벤처기업에게 투자유치 전략을 수립하는데지표를 제시하고, 개인투자조합 결성을 통해 벤처기업에 투자하려고 하는 업무집행조합원(GP)에게 투자대상벤처기업을 선정하는데 투자의사결정요인의 정보를 제공하며, 개인투자조합을 통해 출자하고자 하는 출자자에게는 출자대상 벤처기업의 선별의 지표로 작용함으로써 개인투자조합을 통한 벤처투자의 활성화에 기여할것으로 본다.

      • KCI등재후보

        Influencing an economic factor of IP valuation under uncertainty

        Chang, Byung Youn 한국채무자회생법학회 2020 회생법학 Vol.21 No.-

        본 연구는 지적재산 가치평가의 경제적 요인에 영향을 끼치는 것 그 리고 그것이 어디에서 발생하게 되었는지 연구의 필요성에 의해 이들을 발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분석에 있어서 불확실성하에서의 투자결정 연구는 유형 또는 무형의 자산이든 불확실성하에서 적절한 투자결정을 하기 위해서 진입 탈퇴를 결정하는 기업전략으로 제한한다. 그러므로, 불확실성하에서의 투자결정에 대해 이론적 연구를 선행하고 그리고 유 형 또는 무형의 자산이든 회복될 수 없는 매몰비용을 고려해야만 된다 는 것을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불확실성하에서의 투자가 발생 하는 곳에서는 어떤 가치평가가 어느 한 적당한 평가접근방법으로부터 나올지라도, 지적재산 가치평가가 요구돠어질 경우 불확실성하에서의 투 자는 매몰비용을 고려해야 된다는 것을 발견하는 데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지적재산 가치평가 접근방법의 각 요인들에 의거하여 지적재산 평가방법에 대하여 전통적 평가접근방법인 원가, 시장, 소득 평가 접근방법을 분석하고, 경제적요인이 지적재산을 평가하는 데에 하 나의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이 분석은 경제적요인에서 매몰 비용이 존재한다는 것과, 지적재산은 무형자산이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지적재산 가치평가를 분석하는데에 있어서 매몰비용이 하나의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나타내준다. 각 나라마다 지적재산권리에 관해 그들만의 법과 룰이 있을지라도 지 적재산 가치평가는 각 분야와 산업에서 각 방법론의 테크닉에 근거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접근되어진다. 기업에 있어서 지적재산 가치평가는 무 형자산에 대하여 그들의 투자결정에 영향을 미치므로, 이것은 불확실성 하에서 경제적으로 기업의 경쟁력과 성장을 유지하는데 중요하므로 기 업의 전략과 의사결정자의 전략적 결정으로부터 나타나게 된다. 그러므 로, 불확실성하에서 지적재산 가치평가에 있어 매몰비용이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 주는 것이 본 연구에서 왜 중요한가 하는 이유가 된다. 이것 은 지적재산 가치평가 분석에 있어서, 매몰비용이 가치와 투자문제들에 대한 측정에서 지적재산 가치평가의 경제적요인에 어떤 임팩트를 주는 가를 고려해야만 된다라는 연구의 필요성을 제공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 투자가 의사결정자들의 결정에 의해 불확실성하에서 지적재산권리를 구 입, 개발, 또는 획득을 초래하는 곳에서, 경제적요인은 지적재산 가치평 가에서 공통이라는 것을 발견했다. 불확실성하에서 투자가 존재하기 때 문에 지적재산 가치평가방법의 각 접근방법 적용이 약간 상이할지라도, 그러므로, 경제적요인은 지적재산권리가 법에서 보호될지라도 지적재산 가치평가의 과정에서 중요하다. 무형자산인 지적재산은 매몰비용을 가지고 있고 그리고 지적재산 가 치측정에서 어느 한 접근방법을 적용할 경우에 매몰비용은 지적재산 가 치평가의 경제적요인에 임팩트를 준다. 이것은 매몰비용이 지적재산 가 치평가의 분석으로서 경제적요인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적 재산 가치평가의 경제적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에 관한 본 연구에서 발견한 것은 지적재산권리의 법적보호에 추가하여 매몰비용은 지적재산 가치평가의 경제적요인에 임팩트를 준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의사 결정자들의 결정에 의거 불확실성하에서 투자로부터 창출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법적권리와 매몰비용은 의사결정자들에게 전형적으로 지적재산 가치평가의 경제적요인에 영향을 미친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경제적요인은 불확실성하에서 투자가 투자결정의 최초시점에서 이루어 질때 매 몰비용이 존재하기 때문에 지적재산 가치평가에 주요한 고려대상이 된 다. 결론적으로, 의사결정자가 지적재산 가치평가의 방법을 선택하는 곳 에서 경제적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매몰비용이고 그리고 그것은 투 자할 때 불확실성하에서 진입 탈퇴 전략으로부터 창출되기 때문에 의사 결정자의 투자결정에 근거하여 불확실성하에서의 투자로부터 생긴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불확실성하에서 지적재산 가치평가 접근방 법들의 경제적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서 가치평가를 분석하는 사 람 또는 의사결정자들이 매몰비용을 중요하게 고려해야만 된다라는 것 을 발견하게 되었다. This research was done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the economic factor of IP valuation and where it comes from. In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the study of investment decision under uncertainty is limited to a corporate strategy of entry and exit decisions under uncertainty for making decisions of the investment properly, whether it is tangible or intangible assets. The investment decision under uncertainty was reviewed theoretically and emphasized that it must consider a sunk cost that cannot be recoverable whether it is a tangible or intangible asset. The research found that the investment under uncertainty gives a consideration of sunk cost when IP valuation is required, even though differing values stem from an appropriate approach where investment occurs under uncertainty. Traditional approaches - cost, market, and income approaches - for IP valuation methods were analyzed to value the IP based on each factors of the approaches, and it shows that an economic factor of the approaches is an important factor to value the IP. This analysis presents that a sunk cost exists in the economic factor and is a major element to analyze IP valuation economically because IP is an intangible asset. The IP valuation is approached by various methods based on each technique of methodology for each item and industry even though each country has made their own rules or laws on the IP rights. In corporations, the IP valuation is affected to their investment decision for the intangible assets. This comes from their strategy and strategic decisions to maintain their competitiveness and growth economically under uncertainty. Therefore, the reason why this research is important is to show that the sunk cost exists in the IP valuation under uncertainty. It offers that in the analysis of IP valuation, the impact of the sunk cost on an economic factor of the IP valuation must be considered in order to measure the value and the investment matters. It found that the economic factor is common to value the IP where investment occurred, to buy, develop, or acquire the IP rights under uncertainty by means of the decision makers’ decision even applications to each approaches of IP valuation methods are a little different. Because the investment exists under uncertainty, the economic factor is important in the process of IP valuation even though IP rights have to be protected at law. IP, as the intangible asset, has a sunk cost, and the sunk cost impacts the economic factor of IP valuation when one of the approaches is applied to the value measurement of the IP. It means that the sunk cost influences the economic factor as analysis of the IP valuation. In this research, concerning the influence of the economic factor of IP valuation, findings are, that in addition to the legal protection of IP rights, the sunk cost impacts the economic factor of IP valuation, and it creates from the investment under uncertainty based on the decision makers’ decision. The legal rights and the sunk cost typically influence the economic factor of IP valuation for decision makers. Accordingly, the economic factor generally deserves primary consideration in the IP valuation, because the sunk cost exists when the investment under uncertainty is incurred at the initial stage of the investment decision. In conclusion, where a method of the IP valuation is selected out by a decision maker, the influence to an economic factor is a sunk cost, which comes from the investment under uncertainty based on an investment decision of the decision maker, because it creates from the entry and exit strategy under uncertainty as invested. Thus, this research suggests that the valuation analysts or decision makers have to consider the sunk cost as influencing the economic factor of the approaches of IP valuation under uncertainty.

      • KCI등재

        산업전문가 감사인과 피감사기업의 투자의사결정

        최승욱 ( Seung Uk Choi ),배길수 ( Gil S Bae ) 한국회계학회 2014 회계학연구 Vol.39 No.1

        본 연구는 국내 감사시장에서 산업전문성을 가지는 감사인으로부터 감사서비스를 받은 기업의 적정투자수준이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높은지를 조사한다. 감사인선임에 존재하는 내생성을 통제하기 위해 이단계 추정법을 사용하고 적정투자수준을 실제 투자가 적정예상투자 수준과 동일한 정도로 추정할 때 산업전문가 감사인으로부터 감사를 받은 기업의 적정투자수준은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기업의 투자수준에 대한 측정치를 과잉과 과소 투자로 분리해서 조사하면 산업전문가 감사인으로부터 감사를 받은 피감사기업은 과잉투자와 음의 관계를 가지고 있으나 과소투자와는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내생성을 추가적으로 통제하기 위해 비전문가에서 산업전문가 감사인으로 그리고 산업전문가 감사인에서 비전문가 감사인으로 감사인을 변경한 표본을 사용한 분석은 산업전문가 감사인으로 감사인을 변경한 피감사기업에서는 적정투자수준이 향상되는 반면 비전문가 감사인으로 감사인을 변경한 기업은 적정투자수준이 하락하였다. 산업전문가 감사인을 선행연구에서 사용한 바 있는 피감사기업 총자산과 매출액, 피감사기업의수 기준 시장점유율이 가장 큰 감사인과 시장점유율이 24% 이상인 감사인, 점유율의 1, 2위인 감사인을 산업전문가 감사인으로 정의한 추가 분석의 결과도 산업전문가 감사인 정의의 차이와 무관하게 전반적으로 산업전문가 감사인으로부터 감사를 받은 피감사기업의 적정투자수준이 높았다. 피감사기업의 규모나 표본기업을 Big 4 감사인에게 감사를 받은 기업으로 한정해도 산업전문가 감사인의 효과는 전체표본을 사용하여 얻은 결과와 질적으로 동일하였다. 감사인의 산업내 시장점유율을 구간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에서는 30-40%의 점유율을 가지는 전문가 감사인이 감사를 했을 때 적정투자수준이 가장 높은 것을 보이고 있다. 마지막으로 산업전문가 감사인의 피감사기업 적정투자수준과의 양의 상관관계가 전적으로 선행연구에서 발견한 회계수치의 품질향상을 통해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보이기 위해 산업전문가 감사인과 재량적 발생액으로 추정한 회계품질의 교호변수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회계품질을 통제하고 나서도 산업전문가 감사인의 효과가 존재한다는 것을 보였다. Value of high quality audits has been extensively examined in the auditing literature. While most previous studies focus on the issues related to auditor size proxied by Big N and non-Big N dichotomy (i.e., quality differences between the Big N and non-Big N auditors), a strand of research has posited and found that the audit quality of industry specialist auditors (ISAs) is higher than that of their non-ISA counterparts. More specifically, the accounting and disclosure quality for client firms of ISA is higher than that of non-ISA. Previous studies also find that both equity and debt cost of capital is lower for firms that hire ISA compared with client firms with non-ISA. In this study, we examine a possibility that the role of ISAs extends beyond what previous studies have demonstrated. For instance, ISAs can provide advice beyond basic Generally Accepted Accounting Principles (GAAP) to client firms, thus adding value to the client firm through high quality services that encompass both financial and non-financial aspects. One such aspects is firms` investment decisions. Hence, we examine whether investment decision of the firms that hire ISAs is higher than that of the firms with non-ISAs. There are reasons to believe that ISAs might help client firms improve investment efficiency in several different but related ways. First, ISAs can more effectively curb both intentional and unintentional errors in the financial statements through their expertise in the respective industry relative to non-ISAs. ISAs also help clients develop industry specific disclosure policy through their knowledge and expertise. Given that misleading earnings and fraudulent financial reporting lead to distorted investment decisions, the high reporting and disclosure quality associated with ISAs is likley to help firms make more efficient investment decisions. Second, higher audit quality of ISAs enable firms to reduce information asymmetry, thereby making funds available for firms to undertake value-enhancing projects that otherwise would have been passed up for the lack of funding. This also likely helps firms improve their investment efficiency. Third, previous studies find that services of ISAs are not limited to client financial statements audit. Conversely, there are also reasons to doubt that the effect of hiring ISAs will be consequential on client firms` investment efficiency. First, auditors are not obligated to audit client firms` investment decisions per se. Second, although previous research has demonstrated that ISAs are associated with higher accounting and disclosure quality of the client firm, recent studies question the validity of the positive relation between alleged high quality audits by the Big N auditors and accounting quality. Using the conventional proxies of ISAs and after controlling for endogeneity using a Heckman two-stage regression analysis, we find compelling evidence that ISAs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client firm investment decision. When investment decision is split into under-investment and over-investment, the positive association is more pronounced in the over-investment direction, indicating that ISAs suppress over-investment more than do they under-investment. The results are qualitatively robust if client assets or the number of clients instead of client revenues are utilized when calculating industry specialization. We also demonstrate that investment decision improves when client firms change auditors from a non-ISA to a ISA. On the other hand, investment decision declines when client firms change auditors from a ISA to a non-ISA. In addition, irrespective of the differences in the definition of industry specialization (e.g., auditors with the largest market share dummy; auditors with the market share equal to or over 24 percent; auditors with the largest and the second largest market share), the results are unaffected. We also find that the relationship is not uniform across different market shares of industry specialist auditors. More specially, the positive association is the most pronounced when the specialist auditors` market share is between 30 and 40 percent. Overall, our findings constitute convincing evidence that industry specialist auditors have higher audit quality in the Korean audit markets. We also show that the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ISAs and investment decision is not entirely attributable to higher accounting quality associated with ISAs as demonstrated in the extant literature. Our work has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the extant literature in that it provides robust evidence on the role of ISAs on client firms` real investment decisions, thereby adding insights into the literature on both ISAs and investment efficiency alike. Specifically, our finding indicates that ISAs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client firm investment efficiency beyond what has been expected through the high quality reporting or disclosure attributed to ISAs as suggested in the extant literature.

      • KCI등재

        연구논문 : 기업의 투자의사결정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라채원 ( Chae Won Ra ),조문희 ( Mun Hee Jo ),정연도 ( Yeon Do Jung ) 한국회계학회 2012 회계저널 Vol.21 No.5

        본 연구에서는 기업이 본업과 관련된 항목에 대한 투자를 수행하는가, 혹은 비관련 항목에 대한 투자를 수행하는가에 따라 투자수익률 및 기업 가치에 상이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본업 관련 항목에 대한 투자에 더 치중하는 기업일수록 관련 항목에 대한 투자와 비관련 항목 관련 투자가 투자수익률 및 기업 가치와 어떠한 연관성을 보이는지 관찰한다. 기업의 투자의사결정 양상에 따른 투자가액을 측정하기 위해 현금흐름표상 투자활동으로부터의 현금흐름 항목을 사용하였으며, 이 중 자본적 지출을 포함한 유·무형자산 투자 관련 항목을 관련투자로 분류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기업의 본업과 관련된 투자는 당기 투자수익률이나 기업가치에 모두 긍정적으로 반영되었다. 단지 비관련투자보다 관련투자에 더 많이 치중하는 기업의 경우 관련투자는 오히려 투자수익률을 떨어뜨렸는데, 이는 유·무형자산 투자에 수반되는 비용 역시 함께 증가하기 때문인것으로 보인다. 비관련투자는 당기 투자수익률에 대해서는 아무런 영향이 없었으나 기업가치에는 정(+)의 관련성을 보였다. 이는 투자자들이 기업의 투자행위 자체는 긍정적으로 평가하지만 관련 혹은 비관련투자의 내용을 구분하여 당기에 즉시 반영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기 대비 당기 기업가치의 증감을 살펴보았을 때, 관련 부문에 치중하는 기업의 경우 관련투자는 전기에 비해 당기 기업가치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데 기여한 반면, 비관련투자는 오히려 기업가치에 부정적으로 작용하여 투자자들의 차별적 평가를 확인하였다. 한편 기업의 투자활동으로 인한 결과는 비교적 장기간에 걸쳐 나타난다는 점을 고려하여 투자 후 3차 연도까지 장기적 반응을 관찰하였다. 관련투자의 경우 장기적으로는 투자성과에 부정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비관련 투자는 오히려 투자성과를 올리는데 기여하였다. 또한 기업가치에 대해서는 비관련투자보다 관련투자가 보다 장기적으로 긍정적인 시장반응을 이끌어내어, 관련 혹은 비관련투자에 대한 투자자들의 반응지속기간에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경우에도 관련투자에 더 치중하는지 여부는 투자 후 2차 연도까지는 기업가치에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3차 연도에 들어서면서 관련투자에 치중하는 기업일수록 기업가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외부 투자자들이 자본적 지출이나 연구개발 투자와 같은 본업 관련 투자는 기업의 미래 성장을 가져다 줄 수 있는 긍정적 기회로 보는 반면, 지분투자와 같은 비관련투자는 기업의 미래 성장이나 수익을 지속적으로 가져다 줄 수 없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firm`s investment decision on ROI (Return on Investment) and the market valu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investment-related versus unrelated. Furthermore, we observe if there are different results when a firm takes more biased investment decision in the sector directly related to its main business. Using the cash outflow from investment in the cash flow statement, capital expenditures, including the investment in tangible and intangible assets are sorted into the related investment, and the residuals into the unrelated investment.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related investment has positive relations to ROI and the market value. However, the excess related investment over the unrelated investment lowers the level of ROI due to the increasing expenses of tangible and intangible assets. There are no effects of the unrelated investments on ROI, but the positive effects on the market value. Discriminative concern of investors about the type of the investment-related or unrelated- may not be reflected instantly to the market value, but the more and significantly increased (decreased) market value than last year is induced by the related (unrelated) investment. One more consideration we have is the long-term effects of a firm`s investment decision. To see the long-term effects of the investment, we extend the sample period to 1~3 years after carrying out the investment. This additional test shows that the related investment has negative relations to the future ROI during the post-investment period while the unrelated investment shows positive relations. One possible interpretation is the related investment brings more increasing expenses for repairs and maintenance as well as deprecations or amortizations, but the unrelated investment has the increasing revenues like interest or dividend or rent rather than the increasing expenses. The market value, meanwhile, has a different duration according to the related- or unrelated investment: the longer duration of the related investment than of the unrelated investment. The biased investment toward the business-related sector of a firm has no effects on the market value until the second post period from the investment, but produces a higher market value in the third year. This may be the fact that investors positively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related investment to boost a firm`s future profitability and continuous growth, but not likely of the unrelated investment.

      • KCI등재

        금융투자상품 선택에서 세법이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07년 6월 시행된 해외투자펀드 비과세 효과를 중심으로-

        최원석,정지선,김선중 한국세무학회 2008 세무와 회계저널 Vol.9 No.4

        본 연구는 2007년 6월 조세특례제한법 제91조의 2의 개정이 투자자가 금융투자상품 중 하나인 펀드를 선택하는데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국내외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금융투자상품 선택의 결정요인과 일반적인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금융투자상품의 선택에서 조세요인인 세법개정이 미치는 효과를 검토하였다. 조세특례제한법의 개정은 국내 거주자가 국내에서 간접투자자산 운용업법에 따라 설정되는 펀드로부터 받는 배당소득 가운데 국외에서 발행되어 국외에서 거래되는 국외상장주식의 매매 및 평가 손익을 과세소득에서 제외하도록 하고 있다. 이는 해당 펀드가 국외상장주식 투자로 양(+)의 수익률을 올리는 경우에는 투자자에게 유리한 영향을 미치지만, 음(-)의 수익률의 운용실적이 나오는 경우에는 해당 손실을 다른 투자자산에서 발생하는 과세소득과 상계가 불가능하므로 투자자에게 오히려 과세상 불리한 결과를 가져오는 제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으로 금융투자 상품에 투자하는 투자자는 수익이 날 것으로 기대하므로 투자자의 금융투자상품 선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하였다.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을 통하여 해외투자펀드 비과세가 적용 시작된 2007년 6월부터 한 달간 실제 운용된 펀드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조세요인은 투자자의 펀드 선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일반 투자 이론에서 금융투자 선택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기대수익 요인과 투자 상품의 외적 규모, 그리고 부정적 영향을 주는 위험 요소인 변동성 등은 예측과는 일치하나 해당 기간의 펀드 투자에 있어서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how the change of Article 91-2 of the “Restriction of Special Taxation Act” influences capital investment decisions in the Korean financial investment market. This study makes general models of capital investment decisions by citing literature reviews and examines a sample of funds which from 2006 to 2007 in the Asset Management Association of Korea's database. This research considers the effects of four factors (expected revenue, risk variable, tax change, and fund scale) on capital investment decisions. The change in Article 91-2 suggests the amount of dividend income that is to be paid to a resident by any investment company or trust under the Act on Business of Operating Indirect Investment and Assets shall not include any amount paid by the investment company or trust concerned from gains and losses derived from trading or evaluation of foreign securities listed on the foreign securities market. Our research shows that the factor of tax change has significant effects on the capital investment decisions. However expected revenue, risk variable and fund scale do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capital investment decisions in the Korean financial investment market.

      • Core Model of the Forestry Investment Project Decision Support System Based on the Real Option

        Yang cheng,Zhang shaowen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 2016 International Journal of Multimedia and Ubiquitous Vol.11 No.3

        The forestry investment project has the typic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flexibility, phases, uncertainty, and so on, and needs reasonable applicable decision method and decision support system. The traditional forestry investment project evaluation mostly adopts the net present value method, and ignores option property of the forestry investment project, which is easy to cause the decision-making bias and erroneous judgment. This paper analyzes the real option characteristics of the forestry investment project from the perspective of real option, constructs the analysis model of real option based on the binomial tree theory, and applies the instance to verify. The instance proves that forestry investment project decision will be more scientific based on the real option model. Finally, on the basis of this model, the forestry investment project decision support system is preliminarily studied.

      • KCI등재

        산업집중도와 투자효율성

        김경혜 한국국제회계학회 2015 국제회계연구 Vol.0 No.60

        We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industry concentration and investment decision. Specifically, we empirically examine the effect of industry concentration on the manager’s investment decision, focusing on firm’s investment efficiency. if the firm wants to operate their activities well they should have ability in various aspects. Most of all, ability about investment decisions is very important as it is related with firm value. Investors can pay more attention to investment decision ability. However it is hard to identify whether managers make their investment decisions efficiently even though it is very important. Getting additional determinants of investment can give effective information whether the investments are efficient in such circumstances that is hardly identify manager's investment behaviors. In order to perform the empirical analysis, we use listed firms during 2000-2013. The result show that as the degree of industry concentration becomes higher firm’s investment efficiency increases. In addition, we find that a relatively higher industry concentration lowers not only over-investment but also under-investment.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source of a relatively higher investment efficiency induced by higher industry concentration generates from both overand under-investment. According to prior literatures, management’s real investment decision is the core aspect of many important implications. Therefore, given that this paper shows the systematic association between industry concentration and managers’ investment efficiency, our research enhances the understanding about manager’s real investment decisions. 본 연구는 산업집중도와 투자의사결정 간의 관계를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기업이 속한 산업의 집중도가 해당기업의 투자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기업이 정상적인 영업활동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경영자가 여러 가지 측면에서 적절한 역량을보유해야 하는데, 그 중에서도 투자의사결정과 관련된 능력은 기업가치와 직결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에 투자자들은 경영자의 투자의사결정 또는 투자역량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게된다. 이처럼 투자효율성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경영자가 효율적인 투자의사결정을 수립하는지에 대해서는 투자자들이 파악하기가 힘든 실정이다. 경영자의 투자행태를 직접적으로 파악하기가 힘든 상황에서 투자의 추가적인 결정요인을 확보하는 것은 경영자의 투자의사결정이 효율적인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유가증권시장 및 코스닥시장을 대상으로 2000년부터2013년까지의 기업-년도 표본을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업의 산업집중도가 높을수록(즉, 기업이 속한 산업 안에 경쟁기업이 적을수록), 효율적인 투자가 이루어짐을 발견하였다. 또한, 산업집중도가 상대적으로 높을 경우에는 과대투자 뿐만 아니라 과소투자역시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나타내어, 산업집중도의 증가에 따른 투자효율성 증가의 원천은과대와 과소 두 가지 측면 모두에서 나타나고 있다. 지금까지의 선행연구에 의하면, 기업의 여러 가지 의사결정 중에서도 투자의사결정은 핵심적인 의사결정이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산업집중도와 투자효율성 간의 체계적인 관계를 입증하였다는 점에서, 경영자의 주요한 의사결정 중 하나인 실제 투자의사결정에 대한 이해를 보다 향상시켰다는 점에서 공헌점이 존재한다.

      • KCI등재

        외국인직접투자(FDI)기업의 투자의사결정 요인의 중요도와 만족도에 대한 비교분석 연구 :충청남도 외국인투자기업을 중심으로

        이영석,박인철,이덕훈 한국기업경영학회 2014 기업경영연구 Vol.21 No.6

        Globalization triggered by those companies augmented the importance of foreign capital as a growth engine of an economy. Accordingly, emerging economies as well as advanced ones facing worsening unemployment issues are putting great emphasis on FDI (Foreign Direct Investment) attraction. Through the cases of Sony and Nokia, we have experienced that even the global top companies may be collapsed. Numerous businessmen say, “The time of smart phone being the future food item is over.” It is time to prepare for the new generation from the industrial system such as Samsung Electronics or Hyundai Motors that supported Korean economy until now. This study showed partial difference of significance and satisfaction level of investment decision by foreign investment companies in each origin of raw material, exporting market, and type of business, and some factors were determined to influence investment decision. In other words, they say that the persisting period of Korean corporation is now over, which is the circumstantial evidence of incomplete sustainable corporate management system and condition in Korea. This study is investment decision-making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are affect influenced by business environment and country of investment. This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business environment on foreign investment decision-making, as well as to suggest relevant policies and ensuing tasks. From now on, to bequeath good jobs and firm economic structure to our descendants, it is urgent to globalize Korean companies, and global companies shall be raised to contribute social development through Korean companies, meaning that the future is insecure only with Korean companies. This study is investment decision-making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are affect influenced by business environment and country of investment. This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business environment on foreign investment decision-making, as well as to suggest relevant policies and ensuing tasks. Therefore, since the future of Korean economy is secured by raising small and medium businesses to graft with foreign companies, globalization of Korean market through attraction of foreign companies shall be imminent. Based on the result of study, the policy implications and follow-up project regarding attraction of foreign companies by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were suggested. 미국과 같은 선진국 뿐만 아니라 개발도상국에서도 외국인직접투자(FDI)를 받아 들이는 정책을 쓰고 있으며 외국인투자기업은 한국에서 기업수 0.6%, 수출20%, 고용인원 6%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경제활성화에 대한 기여도가 높다. 본 연구에서 경제활성화를 위한 외국기업유치에서 외국인투자기업의 투자의사결정요인의 연구에서 원자재수입국가별, 수출시장별, 업종별로 중요도와 만족도에서 일부에서는 차이를 보였으며, 일부 요인들은 투자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한국이 그동안 지속가능한 기업경영 시스템과 여건이 갖춰지지 않았다는 것을 방증한다. 앞으로 우리 후세에 좋은 일자리와 튼튼한 경제구조를 물려주기 위해서는 한국 기업의 글로벌화가 시급하며, 글로벌 기업도 한국기업으로 사회 발전에 기여 할 수 있도록 육성해 나가야 할 것이다. 지금의 한국계 기업만으로는 미래에 대한 보장이 없다는 말이다. 따라서 중소기업을 외국기업과 접목시켜 글로벌 기업으로 키워야만 한국경제의 미래도 있으므로 외국기업 유치를 위한 외국인정주환경 개선도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 분석결과를 토대로 중앙 및 지방정부의 외국인 기업유치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과 향후과제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CVC의 투자동기 및 투자 결정요인에 대한 사례연구: CVC 9개社의 투자 사례를 중심으로

        조세근,한주희 한국벤처창업학회 2018 벤처창업연구 Vol.13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common investment decision factors for CVC 's invested technology-based startups and analyze them. We examined 17 CVCs that invested in technology startups for three years and six months from 2015 to June 2018. As a result, the final 9 CVCs that can be used in this study were confirmed and 188 companies were analyzed.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case study to propose and demonstrate CVC investment objectives and investment decision factors analysis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VC focused on strengthening investment. Second, In 2015, Invested in an average of 19 months of technology-based startups. In recent years, we invested in 36 months of proven technology-based startups. Thirdly, ICT service was the main business type of the invested startups. Fourth, the investors were concentrated on the stage of Series A~B. It is observed that CVC investment determinant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product or service and parent company relation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factors such as innovation, business planning competency, enterprising, strategic competency, leadership, and opportunity recognition competency were influential factors for the startups of invested companies and it was found that these factors are important for CVC investment decision . Understanding of CVC investment determinants presented in this study is based on the establishment of the investment process of the investee, entrepreneurship and management education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the selection of excellent startups,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s, mentoring, development of coaching guidelines, and establishment of investment process of other investment institutions when investing in CVC. 본 연구의 목적은 CVC(Corporate Venture Capital)가 투자했던 기술창업기업에게 공통으로 보이는 투자동기와 투자 결정요인을 찾고 이를 분석하는데 있다. 2015년 부터 2018년 상반기까지 3년 6개월 동안 기술창업기업에 투자했던 17개 CVC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활용할 수 있는 최종적인 9개 CVC를 확정하였고 피투자기업 188개를 대상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CVC 투자동기와 투자 결정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사례연구로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CVC의 투자동기로 4가지가 확인되었는데, 첫째, CVC는 강화형 투자에 집중하였으며, 둘째, 피투자기업의 업력으로는 초기에는 평균 19개월의 기술창업기업에게 투자하다가 최근에는 36개월의 검증된 기술창업기업에 투자하였으며, 셋째, 피투자기업의 업종으로는 ICT서비스가 주를 이루었고, 넷째, 피투자기업의 단계로는 Series A~B의 단계에 집중되었다. CVC의 투자 결정요인에서는 제품/서비스와 모기업 연관성이 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관찰되었다. 피투자기업의 창업선행요인으로는 혁신성, 기술ㆍ기능적 역량, 사업계획 수립 역량 등의 요인들이 크게 영향을 미쳤음이 확인되었고, 이러한 요인들이 CVC 투자 결정에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CVC의 투자동기와 투자 결정요인의 이해는 피투자자 대상의 창업 및 경영 교육프로그램, CVC의 투자 프로세스 수립에 근거를 제시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CVC의 창업기업 투자 시 우수기업 선별, 창업교육 프로그램, 멘토링, 코칭 가이드라인 개발, 기타 투자기관의 투자 프로세스 수립에 활용될 수 있다.

      • KCI등재

        산업집중도와 투자효율성

        김경혜(Kim Kyung-hye) 한국국제회계학회 2015 국제회계연구 Vol.0 No.59

        본 연구는 산업집중도와 투자의사결정 간의 관계를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기업이 속한 산업의 집중도가 해당기업의 투자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기업이 정상적인 영업활동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경영자가 여러 가지 측면에서 적절한 역량을 보유해야 하는데, 그 중에서도 투자의사결정과 관련된 능력은 기업가치와 직결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에 투자자들은 경영자의 투자의사결정 또는 투자역량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게 된다. 이처럼 투자효율성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경영자가 효율적인 투자의사결정을 수립하는지에 대해서는 투자자들이 파악하기가 힘든 실정이다. 경영자의 투자행태를 직접적으로 파악하기가 힘든 상황에서 투자의 추가적인 결정요인을 확보하는 것은 경영자의 투자의사결정이 효율적인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유가증권시장 및 코스닥시장을 대상으로 2000년부터 2013년까지의 기업-년도 표본을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업의 산업 집중도가 높을수록(즉, 기업이 속한 산업 안에 경쟁기업이 적을수록), 효율적인 투자가 이루어짐을 발견하였다. 또한, 산업집중도가 상대적으로 높을 경우에는 과대투자 뿐만 아니라 과소투자 역시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나타내어, 산업집중도의 증가에 따른 투자효율성 증가의 원천은 과대와 과소 두 가지 측면 모두에서 나타나고 있다. 지금까지의 선행연구에 의하면, 기업의 여러 가지 의사결정 중에서도 투자의사결정은 핵심적인 의사결정이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산업집중도와 투자효율성 간의 체계적인 관계를 입증하였다는 점에서, 경영자의 주요한 의사결정 중 하나인 실제 투자의사결정에 대한 이해를 보다 향상시켰다는 점에서 공헌점이 존재한다. We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industry concentration and investment decision. Specifically, we empirically examine the effect of industry concentration on the manager’s investment decision, focusing on firm’s investment efficiency. if the firm wants to operate their activities well they should have ability in various aspects. Most of all, ability about investment decisions is very important as it is related with firm value. Investors can pay more attention to investment decision ability. However it is hard to identify whether managers make their investment decisions efficiently even though it is very important. Getting additional determinants of investment can give effective information whether the investments are efficient in such circumstances that is hardly identify managers investment behaviors. In order to perform the empirical analysis, we use listed firms during 2000-2013. The result show that as the degree of industry concentration becomes higher firm’s investment efficiency increases. In addition, we find that a relatively higher industry concentration lowers not only over-investment but also under-investment.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source of a relatively higher investment efficiency induced by higher industry concentration generates from both over and under-investment. According to prior literatures, management’s real investment decision is the core aspect of many important implications. Therefore, given that this paper shows the systematic association between industry concentration and managers’ investment efficiency, our research enhances the understanding about manager’s real investment decis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