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가족 애착을 중심으로 한 대학생 커플관계증진 프로그램 개발

        최연화(Choi Yeun-Hwa),양명숙(Yang Myong-Suk) 한국생활과학회 2013 한국생활과학회지 Vol.2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couple relationship improvement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based on the family of origin and attachment. Does based on Bowens theory of differentiation of self, adult attachment, group counseling for this and establishes program goals according to systematic group counseling program development model and composed program. In order to attain like this research objective, six male and female couples attending colleges were divided into the participating group and comparison group; the students were from H University in Daejeon, Korea, and they had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he comprehensive group program. The changes shown by the couples were studied, and the cases were analyzed by examining the minutes and reports, which supplemented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The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showed the following. The case showed that goals of the individuals and couples, enhancing the understanding of self and partners by understanding the self-differentiation and adult attachment while having a positive impact on understanding, acceptance, disclosure of self partner and couple relationship based on the social support of th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 KCI등재

        예술활동을 활용한 교류분석 부부관계향상프로그램의 효과

        백은영,이명우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4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교류분석이론을 토대로 예술활동을 활용한 부부관계향상프로그램을 구안하고, 부부간 의사소통검사, 결혼만족도, 부부갈등해결능력, 부부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해 보려는데 있다. 연구대상자는 부부 14쌍으로 구성하였으며, 7쌍은 실험집단에 7쌍은 통제집단에 무선표집으로 배치하였다. 실험집단은 사전검사 1회, 프로그램 5회, 사후검사 1회에 참여하였고, 통제집단은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만 실시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Berne의 교류분석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부부들이 자신들의 관계를 파악하고 관계의 변화에 대처하고 적응하며 발전해 나가도록 조력하는 데 목적을 두고 구성되어 있다. 연구결과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관계향상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부부의사소통과 결혼만족도 점수가 더 높아졌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부부갈등해결능력과 부부적응도에 대한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보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를 종합해보면 교류분석 부부관계향상 프로그램은 실험집단의 의사소통과 결혼만족도의 수준향상에 기여함을 알 수 있다. 또한 결혼적응성과 부부갈등해결능력의 수준도 사전, 사후에 있어서 측정치 간에 변화가 있음은 주목할 일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nceive the program for improving conjugal relations based on transactional analysis theory and to empirically verify its effect on conjugal relations. This study consisted of its research subjects of the 14 couples, and these subjects were divided the in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7 couples and the control group for another 7 couples through random sampling. This study got the experimental group to participate in one-time pre-test, five-session program, and one-time post test while conducting only the pre & post test on the control group. This program used for this study is the one for group counseling made on the basis of Berne's “Transactional Analysis Theory. Effect verification results are summed as follows: First, it might be judg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ho went through the conjugal relations improvement program, showed more increase in scores of conjugal communication and in their marriage satisfaction. Second, considering of the difference in peacemaking ability in conjugal conflicts and conjugal adaptability between the two group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re isn't any difference. Taken together, this study results show that the transactional analysis conjugal relations improvement program is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in the level of communication and marriage satisfaction of the experiment group.

      • 예비부부의 관계성 향상을 위한 게슈탈트 단기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단일사례연구 - GRIP(게슈탈트 관계성향상 프로그램)의 활용을 중심으로-

        김현주 ( Kim Hyun Joo ),김정규 ( Kim Jung Kyu ) 한국게슈탈트상담심리학회 2019 한국게슈탈트상담연구 Vol.9 No.1

        본 연구에서는 예비부부의 관계성 향상을 위한 게슈탈트 단기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단일사례 연구를 통해 그 효과성을 검증해보았다. 본 프로그램은 ‘예비부부의 관계성 향상’을 목표로 연구자가 제시한 다음의 다섯 가지 세부 목표를 수행하기 위한 작업들로 구성되었는데, 첫째로는 ‘예비부부의 게슈탈트와 미해결과제, 접촉경계혼란을 알아차리는 것’, 둘째는 ‘원가족 배경 탐색을 통해 서로에 대한 공감과 이해를 높이며, 부부 지지체계를 확립하는 것’, 셋째는 ‘프로세스 중심의 대화와 소통의 방법을 익히는 것’, 넷째는 ‘프로세스 중심의 대화를 통해 예비부부의 미해결과제를 해소하는 것’, 다섯째는 ‘미래 결혼생활을 위한 예비부부 공동의 게슈탈트를 형성하는 것’ 등이 그것이다. 단일 커플의 사례연구를 통해 본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한 결과, 질적 분석에서 본 프로그램이 위의 다섯 가지 상담 목표들을 원만히 수행하는데 도움을 준 것으로 평가되었고, 양적 분석에서도 접촉경계혼란 점수가 사전에 비해 사후, 추후 검사에서 전반적으로 개선된 경과를 보였는 바, 본 프로그램이 예비부부의 관계성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short-term Gestalt counseling program to improve the relationship of premarital couples and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the Gestalt counseling program through a single case study. The program consists of the following five counseling goals that the researcher suggested in order to improve the relationship of premarital couples. The five counseling goals are ‘being aware of the couples’ gestalt, unfinished business and contact boundary disturbance’, ‘enhancing empathy and comprehension toward each other and establishing couple support system’, ‘learning process-centered communication skill’, ‘solving premarital couples’ unfinished business’, and ‘forming shared gestalt for future marriage’. As a result of the single case study of a couple, it was evaluated that the program helped the five counseling goals to be carried out. And, the contact boundary disturbance score improved overall in the post test and follow-up test.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