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미지의 감도 차이에 따른 감성 선호도 변화

        김종무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2012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이미지의 감도(ISO) 차이에 따라 다르게 인식하는 감상자의 감성 선호도를 의미분별법(Semantic Differential)이론을 사용하여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감성어휘 선호도 모형을 제시 하였다. 연구를 위해 저감도(ISO 100), 중감도(ISO 400), 고감도(ISO 1600)로 10장씩 총30장의 이미지를 제작하고 감도와 관련된 5쌍의 감성어휘를 추출하여 61부의 설문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부드러운 - 거칠은(F=67.875, P<.001), 긍정적 - 부정적(F=57.877, P<.001), 편안한 - 불편한(F=57.877, P<.001)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감도가 저감도(ISO 100), 중감도(ISO 400), 고감도(ISO 1600)로 갈수록 부드러운, 긍정적, 편안한에서 거칠은, 부정적, 불편한의 감성어휘 선호도를 보였다.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감도 차이에 따른 감성 선호도 모형을 제시하였으며, 제시된 모형은 이미지를 제작하기 전에 감도 차이에 따라 변하는 이미지에 대한 감상자의 감성 반응을 미리 파악하여 이미지 제작에 있어 시간과 경제적 손실을 줄이는데 도움을 주는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appreciator's sensitivity preference for image, which is recognized differently depending on ISO on the same image, by using Semantic Differential theory, and suggested the sensibility-word preference model based on the results. For a research, it made images in low ISO(ISO 100), middle ISO(ISO 400), and high ISO(ISO 1600), which gave difference in ISO to 10pairs total of 30 images, extracted 5 pairs of sensibility words related to ISO, and analyzed it based on 61 copies of questionnaire. As a result of research, it was indicated that there is difference in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on soft-rough(F=67.875, P<.001), positive-negative (F=57.877, P<.001), and comfortable-uncomfortable(F=57.877, P<.001). The closer the ISO is to low ISO(ISO 100), middle ISO(ISO 400), and high ISO(ISO 1600), the more the sensibility-word preference was indicated from soft, positive and comfortable to rough, negative and uncomfortable.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sensitivity preference model was suggested in accordance with difference in ISO. The suggested model grasps appreciator's sensitivity response in advance to image, which is changed depending on difference in ISO before making image, thereby being likely to be basic data of being conducive to reducing time and economic loss in making image.

      • KCI등재

        ISO 26000 선정 과정의 의사소통적 타당성 분석: 국제 커뮤니케이션 관찰을 통하여

        이진랑 ( Jin Rang Lee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2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0 No.2

        2010년 11월 1일 발효된 국제표준화기구(ISO)의 새로운 표준, ISO 26000은 모든 조직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지침(guideline)을 제시한다. 본 논문은 전통적인 ISO의 표준화 대상(사회적 책임) 및 방식(이해당사자주의)과 다른 ISO 26000이 어떻게 국제표준화의 대상으로 선정되었는지 2001-2005년 ISO를 둘러싼 국제 커뮤니케이션을 분석하여 알아본다. 하버마스의 상호 이해에 기반을 둔 의사소통적 ``타당성``의 평가 기준(객관적 사실성, 규범적 정당성, 주관적 진실성)을 중심으로 그 선정 과정을 살펴 본결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이 국제 표준화의 대상으로 선정된 것은 국제 무역의 수단으로서의 국제 표준화를 바라보는 관점에서 어느 정도의 타당성을 인정받을 수있으나, 그것이 모든 조직의 사회적 책임으로 확대되고, 애초 경영시스템표준이었던것이 가이드라인으로 그 의제가 변경된 것은 타당성을 인정받기 어렵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이것은 국제 무역이라는 경제적 합리성에 근거하고 있는 ISO의 국제 표준화의 대상이 정치 사회적 영역으로 확대되는 경우, 현 비정부국제기구(NGO)로서의 ISO의 정체성과 이해당사자의 대표성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여야 하는 과제를 남긴다. ISO 26000, published on November first 2010, is a guideline standard on Social Responsibility, applicable for all types of organization at the voluntary level.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international communication around 2001-2005 in ISO to understand how this new initiative, different from other traditional ISO`s standards, could be adopted as a target of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Based on mutual understanding of Habermas, the concept of communicational ``validity`` gives the main evaluation criteria(objective factuality, normative legitimacy, subjective sincerity). With this methodological frame, we get the following conclusion: the adoption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ould be valid because it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trade from the consumer`s perspective. On the other hand, the decision of its scope and type from CSR Management System Standard to SR Guideline is problematic in terms of the actual political status of ISO as an NGO and of the representativeness of stakeholders engaged.

      • KCI등재

        ISO/TS 16949 품질 경영 시스템이 프로세스 개선과 고객 만족 및 조직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남재상,한용희 한국기업경영학회 2015 기업경영연구 Vol.22 No.4

        As a specific requirement for organizations that produce automobiles and parts and provide related services, ISO/TS 16949 Quality Management System has innovatively helped establish the foothold for the automobile industry of our country and settle down automobile quality management systems. In the late 2014, there were 4728 organizations having ISO/TS 16949 certification, and our country was in 2nd place, following China, in terms of certification records. Based on ISO/TS 16949 certification, many certified companies are making positive results in delivering products to foreign and domestic complete automobile enterprises as well as enhancing development by internalizing specialized automobile quality management systems. On the contrary, some ISO/TS 16949-certified companies are still acquiring the certification simply to respond to customers’ requests, not to seek constant improvement, and are not being able to continuously maintain or improve the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rocess improvement through appropriate support for requirements of ISO/TS 16949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organizational members, an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process improvement, derive related problems, and based on the study results, suggest effective measures for automobile suppliers to establish or execute quality management systems. To this end, literature research and an empirical analysis were conducted. For literature research, foreign and domestic academic journals, dissertations, research literatures, publications, and statistical data related to requirements of ISO/TS 16949 Quality Management System were collected and used as research data, and to verify the study model,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a survey.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SPSS 18, SPSS Macro, and LISREL 8.72, and research hypotheses were verified based on a mediated moderation model analysi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turned out that requirements of ISO/TS 16949 Quality Management System positively influence process improvement. Second, it turned out that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s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between requirements of ISO/TS 16949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process improvement. Third, it turned out that process improvement positively influences customer satisfaction. Finally, it turned out that process improvement positively influences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study results indicate that the process can be improved through requirements of ISO/TS 16949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proper support for organizational members. With this process improvement, customer satisfaction and internal organizational performance can be enhanced. Thus, when organizations producing automobiles, parts, or providing related services prepare for ISO/TS 16949 certification to enhance their performance, they need to be strategically prepared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본 연구는 ISO/TS 16949 품질 경영 시스템의 요구 사항 및 조직 구성원에 대한 적절한 지원을 통한 프로세스 개선, 그리고 프로세스 개선에 따른 고객 만족 및 조직 성과간의 인과 관계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자동차 완제품 및 부품 제조 조직들이 자동차 품질 경영 시스템을 구축하거나 운영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 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설문 조사를 통해 실증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ISO/TS 16949 품질 경영 시스템 요구 사항은 프로세스 개선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 조직 지원은 ISO/TS 16949 요구 사항과 프로세스 개선 간의 사이에서 유의한 조절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프로세스 개선은 고객 만족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프로세스 개선은 조직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자동차 생산 및 관련된 서비스 및 부품 생산 조직이 자사의 성과를 강화하기 위하여 ISO/TS 16949 인증을 준비할 경우 본 연구 결과를 고려하여 전략적으로 대처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후보

        사회적 책임이 기업문화와 고용 및 노동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김용재(Kim, Yong-Jae) 한국문화산업학회 2013 문화산업연구 Vol.13 No.2

        ISO 26000은 사회적 책임이 기업뿐만 아니라 정부나 NGO(non-governmental organization) 등 모든 형태의 조직에도 똑같이 적용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됨에 따라 기업의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에서 기업을 뜻하는 C를 뺀 사회적 책임으로 범위를 확대하여 기업이외에 정부, 노조, 시민단체 등에게도 적용될 수 있는 사회적 책임 가이드라인의 제정을 추진하였다.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강화하려는 시민운동은 유럽, 미국등 선진국에서는 일상화된 일이다. 특히 기업과 산업 및 금융영역에서 ‘지속가능한 경영과 투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다양한 시민운동은 사회책임과 지속가능 경영논의의 확산을 위해 필수적인 원소이다. 다양한 이해당사자들이 참여하는 ‘새로운 거버넌스’를 만드는 것이야말로 우리 기업이 더욱 지속가능하게되고, 또한 우리 사회가 한 단계 더 성숙해지고 건강해지는 길이기도 하다. 사회적 책임(Social Responsibility: SR)에 대한 논의가 CSR에서 출발했다는 역사적 사실에 비추어 볼 때, ISO 26000에 대한 산업계의 대응 방안도 매우 중요하다. 사회적 책임에 대한 논의가 기업의 본질적인 목적인 이윤극대화와 배치되거나 동떨어진 주장이라는 시각이 있는 것도 사실이지만, ISO 26000은 지금까지의 소극적이고 수세적인 자세에서 보다 사회적 책임 논의에 있어서 보다 적극적인 자세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 정부정책차원에서도 지속가능 경영과 ISO 26000이행을 기업 경쟁력 제고 요소로 보고 있다. As the argument that Social Responsibility should be equally applied to not only enterprise but also government, NGO and any other organizations has been alleged, ISO 26000 extended the range of Social Responsibility by omitting C( meaning corporate) from CSR to promote the guideline of Social Responsibility that could be applied to governments, labor unions, civil groups not to mentioning enterprises. Citizens’ campaigns for reinforcing sustainability of enterprises are common things in advanced countries such as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Especially, various Citizens’ campaigns making sustainable management and investment in the area of enterprise, industry and finance are essential points in spreading the discussion of Social Responsibility and management of substantiality. Establishing ‘New Governance’ that various stakeholders join makes our enterprises more sustainable and it is also the way of making our society more healthy. Considering the historical fact that the discussion of Social Responsibility initiated from CSR, countermeasures of industries to ISO26000 are also very important. It’s true that there exist arguments pointing out opposing points and irrelevance of Social Responsibility to profit maximization, the essential object of enterprise, ISO 26000 should be more active in the discussion of Social Responsibility than the present, passive status. Management substantiality and implementing ISO are also regarded as boosting factors of competitiveness of enterprise on government policy. ISO 26000은 사회적 책임이 기업뿐만 아니라 정부나 NGO(non-governmental organization) 등 모든 형태의 조직에도 똑같이 적용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됨에 따라 기업의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에서 기업을 뜻하는 C를 뺀 사회적 책임으로 범위를 확대하여 기업이외에 정부, 노조, 시민단체 등에게도 적용될 수 있는 사회적 책임 가이드라인의 제정을 추진하였다.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강화하려는 시민운동은 유럽, 미국등 선진국에서는 일상화된 일이다. 특히 기업과 산업 및 금융영역에서 ‘지속가능한 경영과 투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다양한 시민운동은 사회책임과 지속가능 경영논의의 확산을 위해 필수적인 원소이다. 다양한 이해당사자들이 참여하는 ‘새로운 거버넌스’를 만드는 것이야말로 우리 기업이 더욱 지속가능하게되고, 또한 우리 사회가 한 단계 더 성숙해지고 건강해지는 길이기도 하다. 사회적 책임(Social Responsibility: SR)에 대한 논의가 CSR에서 출발했다는 역사적 사실에 비추어 볼 때, ISO 26000에 대한 산업계의 대응 방안도 매우 중요하다. 사회적 책임에 대한 논의가 기업의 본질적인 목적인 이윤극대화와 배치되거나 동떨어진 주장이라는 시각이 있는 것도 사실이지만, ISO 26000은 지금까지의 소극적이고 수세적인 자세에서 보다 사회적 책임 논의에 있어서 보다 적극적인 자세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 정부정책차원에서도 지속가능 경영과 ISO 26000이행을 기업 경쟁력 제고 요소로 보고 있다. As the argument that Social Responsibility should be equally applied to not only enterprise but also government, NGO and any other organizations has been alleged, ISO 26000 extended the range of Social Responsibility by omitting C( meaning corporate) from CSR to promote the guideline of Social Responsibility that could be applied to governments, labor unions, civil groups not to mentioning enterprises. Citizens’ campaigns for reinforcing sustainability of enterprises are common things in advanced countries such as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Especially, various Citizens’ campaigns making sustainable management and investment in the area of enterprise, industry and finance are essential points in spreading the discussion of Social Responsibility and management of substantiality. Establishing ‘New Governance’ that various stakeholders join makes our enterprises more sustainable and it is also the way of making our society more healthy. Considering the historical fact that the discussion of Social Responsibility initiated from CSR, countermeasures of industries to ISO26000 are also very important. It’s true that there exist arguments pointing out opposing points and irrelevance of Social Responsibility to profit maximization, the essential object of enterprise, ISO 26000 should be more active in the discussion of Social Responsibility than the present, passive status. Management substantiality and implementing ISO are also regarded as boosting factors of competitiveness of enterprise on government policy.

      • KCI등재

        KEJI과 ISO 26000에 선정된 기업들의 기업가치와 경영성과 비교

        강경이 한국상업교육학회 2019 상업교육연구 Vol.33 No.3

        ISO 26000은 강제성을 띠지 않고 자발적 채택을 권유하는 즉 인증(certification)을 필요로 하지 않는 국제적인 표준이다. 그러나 여기에 참가한 대부분의 국가와 이해관계자들은 기업간, 국가간 거 래와 계약질서에서 ISO의 SR Guidance가 매우 중요한 기준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므로 ISO 26000 지표는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2015년부터 2017년까지 국제적인 지표인 ISO 26000 을 적용하여 선정된 기업(이하 ISO 26000)과 경제실천정의연합의 좋은 기업으로 선정된 200대기업 (이하 KEJI 200이라고 한다)중에서 어떤 지표에 의해 선정된 기업들의 기업가치(Tobin's Q)와 경영 성과(ROA, ROE)가 더 높은지 또는 영향을 더 주는지 T-검증과 회귀분석 및 추가로 Mann-Whitney법을 사용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ISO 26000선정된 기업과 KEJI 200대 선정된 기업과의 T-검증, 회귀분석을 한 결과 ISO 26000에 선정된 기업들이 KEJI선정된 기업들보다 Tobin’s Q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 다. 둘째, 시가총액100대 기업을 대상으로 T-검증, 회귀분석을 한 결과에서는 ISO 26000에 선정된 기업들이 KEJI선정된 기업들보다 Tobin’s Q, ROA, ROE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공헌점은 선행연구에서는 주로 CSR 활동의 대용치로 주로 KEJI 200 또는 ISO 26000 을 단독으로 기업가치 또는 경영성과를 분석했던 것과는 다르게 본 연구는 국제표준 ISO 26000을 적용하여 선정된 기업과 국내표준 KEJI 200대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기업가치와 경영성과를 비교· 연구하였다는 점이다. 또한 그러한 연구결과는 국제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ISO 26000지표를 향후 우 리나라에서도 CSR평가지표로서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활용하여야 함을 제시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whether Tobin's Q, ROA and ROE of 30 companies (or 50 companies) selected in ISO 26000 are better than Tobin's Q, ROA and ROE of 200 companies selected by KEJI index. The sample period for this study is from 2015 to 2017. T-tests and Regression analyzes were conducted to achieve these objective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Companies selected by ISO 26000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Tobin's Q than those selected as KEJI 200 companies. Second, Among the 100 largest companies with market capitalization, Tobin's Q, ROA, ROE of companies selected by ISO 26000 were higher than companies selected as KEJI 200 companies. In the abov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 CSR activities of enterprises selected by the ISO 26000 index in general show better performance in enterprise value.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the ISO 26000 CSR activities of companies are certified by stakeholders in the market. Therefore,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companies do not have the mandatory ISO 26000 index, but participating voluntarily in fulfilling their social responsibilities can be a useful means for enhancing corporate value. It is also an opportunity to review the policy implications of adopting the ISO 26000 index.

      • KCI등재

        환경경영표준의 내재화와 한국정부의 역할

        박진실 ( Jin Sil Park ) 서울대학교 미국학연구소 2013 미국학 Vol.36 No.1

        This paper focuses on the process of acceptance and internalization of the ISO14000 norm. Published by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of Standard (ISO), ISO14000 is an international environmental standard which characterized as non-governmental and voluntary. It pursues both sustainable development which is concerned to environmental improvement and harmonization of different regional environmental standards which encourages free-trade by hindering trade barriers.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ccepted and legitimated ISO14000 by an environment-friendly political frame through the “Conversion to an Environmental Friendly Industrial Structure Act” and began to introduce the ISO1400 standard within the industrial structure of the country through diverse policies. Further on, with active governmental support, national corporations have also certificated the ISO14001, one of the representative norm of the ISO14000 series, which regulates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EMS). This paper states that the process of internationalization of the ISO14000 standard is basically profit-interest based. Korea`s economic growth is highly interrelated with its dependance on international trade and thus, the paper argues that the national export industry would have been negatively affected if such regulations were not adopted. Although the different governments in charge, during the whole internalization process had differed on the relevance of the environmental issues, they all had in common a particular interest on improving the exportation competitiveness of national products by adopting ISO14001. This explains why in Korea, the ISO14000 is a standard required for products able to trade with foreign countries and confirms this study``s argument that the adoption of the standard is in line with the need of overcoming barriers to international trade rather than on protection of the environment. A deeper analysis demonstrates that ISO14000 process of internalization was actually a process of localization, by meaning that the standard was framed in accordance to preexistent norm, namely developmentalism, which inclined the framing of the norms towards the trade issue. Moreover, an empirical study of the tendency of national companies towards adoption of an ISO14001, demonstrates that international trade-oriented companies were more leaned towards its adoption. These results were consistent with governmental pro-trade policies and an profit-based interest on acquiring and maintaining international standard for better access to foreign markets. Nonetheless, the ISO14001 certification in the Korean industries did not cease here but it get diffused through a hierarchical arrangement, from major to middle and small enterprises and from export-lean to domestic companies. Hence, despite government policies actively emphasized the relevance of the internalization of this standard mainly on export and trade, once ISO14001 was adopted, local agents did play a role in fueling the diffusion of it within domestic companies.

      • KCI등재

        선체 및 프로펠러 성능 모니터링 방법 실선 적용을 통한 고찰

        김동현,정봉규,한승재 해양환경안전학회 2020 海洋環境安全學會誌 Vol.26 No.1

        This study analyzes the results of applying the ISO19030 (hull and propeller performance monitoring method) standard to an actual 178k bulk vessel. Recently, there have been many attempts to apply various energy reduction solutions to vessels to continuously strengthen GHG reduction regulations and secure maritime competitiveness. However, it is not easy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performance of a ship. To resolve these problems, shipping companies, marine paint companies, ship owners, and transportation associations have appointed specialists and standardized the ISO19030 (standard of hull and propeller performance monitoring method) guidelines in 2016 after three years of continuous review. The ISO19030 standard provides methods to monitor hull and propeller performance quantitatively through standardized procedures, thus allowing ship managers to arrive at informed decisions for hull and propeller maintenance, and to evaluate energy-saving solutions and ship-maintenance efficiency. The ISO19030 standard provides a method of analyzing the ship's own performance by collecting the ship's operation and agency data and correcting its environmental and operating factors. In this paper, we apply the ISO19030 standard to three actual ships and propose the ISO19030 application result and the improvement point of the current ISO19030 standard. 본 연구는 ISO19030 - 선체 및 프로펠러 성능 모니터링 방법을 실선 178k 벌크선박에 적용한 결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온실가스 저감 규정 대응과 해운 경쟁력 확보를 위해 에너지 저감 솔루션을 선박에 적용하려는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정량적으로 선박 성능을 분석하기 쉽지 않아 에너지 저감 솔루션의 평가가 쉽지 않았다. 이러한 해운 산업의 요구에 따라 2016년 ISO19030이 표준화되어 선박 성능 분석을 정량화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었다. 하지만 ISO19030에서 제안하는 환경 보정법은 각 날씨 영향을 고려한 보정이 아닌 정수(Calm Sea) 상태에서 운항한 데이터만 분석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분석 방식은 선박의 운항 구간에 따라 데이터가 필터링 되는 편차가 심하고 정확한 환경 보정을 하지 않아 6개월 이하의 분석은 신뢰하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ISO19030을 실제 3척 선박 3년 이상 장기간 운항 데이터에 적용하였다. 적용 결과를 토대로 ISO19030 효용성과 한계점을 파악하고 ISO19030에서 제안하는 필터링 방식 대신 ISO15016의 파도 보정(STA-WAVE2)을 통해 성능 분석 방법을 개선하고자 한다.

      • KCI등재

        중국기업의 ISO 인증여부에 따른 전략적 품질경영과 성과측정 차이분석

        권태환,박기석,천강 한국국제회계학회 2013 국제회계연구 Vol.0 No.51

        본 연구는 ISO인증을 획득한 중국 기업의 전략, 품질경영실무 및 성과측정 시스템을 ISO비인증기업과 비교하고, 기업규모에 따른 ISO인증여부, ISO인증기업의 인증기간과 규모별로 품질경영실무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품질전략을 추구하는 기업들은 ISO인증을 획득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ISO인증을 획득한 기업들의 경우 비인증 기업들에 비하여 비재무적인 품질측정치를 보고하는 빈도가 더 높다는 가설에 대한 일부 지지가 확인되었다. 그리고 ISO인증을 획득한 기업의 규모와 인증기간별 품질경영실무에 대한 분석 결과를 보면, 인증획득 후에 규모가 큰 기업과 인증기간이 긴 기업이 더 유의적으로 품질경영실무를 이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가 실증분석에 필요한 자료의 수집을 위하여 설문조사를 이용하였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지만, 본 연구의 결과는 기업의 ISO인증 획득의 이유, 성과측정 시스템의 주요 차이에 대한 원인 규명, ISO인증이 품질의 실행인지 아니면 단순히 외부적인 압력의 결과인가의 여부에 관한 논의 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의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business strategy and quality management practices of Chinese manufacturing companies which have ISO accreditation with those of non-ISO accredited companies, using a questionnaire survey. It also investigates differences between ISO accredited and non-ISO accredited companies in their measurement of quality in non-financial and financial terms, and traditional performance measur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firms that pursue quality strategy are more likely to have ISO accreditation. However, there is inconclusive support for the hypothesized differences between quality management practices of ISO accredited and non-ISO accredited companies. There is some support for the hypothesis that ISO accredited companies would provide more frequent non-financial quality measures than non-ISO accredited companies, and there is no support for hypothesized differences in the use of financial quality and traditional performance measures between the two groups of firms. Overall, there is limited evidence of differences in quality management practices and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s between ISO accredited and non-ISO accredited companies.

      • KCI등재

        ISO/IEC/IEEE 29119와 ISO/IEC 25023을 이용한 ISO/IEC 17025 소프트웨어 공인시험기관 적용에 관한 연구

        이창희(Chang-Hee Lee),김윤숙(Yoon-Sook Kim),노아름(A-Reum Noh),양정심(Jung-Sim Yang),김명섭(Myung-Sup Kim),송성현(Sung-Hyun So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소프트웨어 공인시험기관에 국제 표준 ISO/IEC 17025 요구사항을 기준으로 ISO/IEC/IEEE 29119 소프트웨어 시험 절차와 ISO/IEC 25023 소프트웨어 시험 평가 항목을 적용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의 방법으로 시험기관에 적용하는 전체 요구사항은 ISO/IEC 17025를 기준으로 ISO/IEC/IEEE 29119와 ISO/IEC 25023을 매핑하여 분석되었다. 해당 매핑 분석에 따라 시험기관 운영을 위한 품질 매뉴얼과 절차서, 지침서는 총 29 종류의 문서를 작성하였다. 연구의 결과 시험기관 관리 시스템은 분석된 전체 요구사항 결과를 적용하여 Confluence 6.15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구현하였고 시험절차서, 문서, 기록은 시험관리 시스템에 저장하여 운영하도록 하였다. 시험기관 운영 적합성 검증은 서울 소재 LG전자 SW공인시험소에서 KOLAS 평가사에 의하여 문서 심사 및 현장 심사로 진행이 되었다. 결론적으로 시험기관 관리 시스템과 시험기관의 운영은 KOLAS의 심사 평가를 통하여 적합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전 연구 사례와 비교하여 효과적으로 시험기관 운영과 전체 일정을 단축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how to apply ISO/IEC/IEEE 29119 software test procedures and ISO/IEC 25023 software test evaluation items to software-accredited testing laboratories based on the ISO/IEC 17025 international standard requirements. As a method, the overall requirements for their application to a test laboratory were analyzed by mapping ISO/IEC/IEEE 29119 and ISO/IEC 25023 based on ISO/IEC 17025. According to the mapping analysis, a total of 29 documents were created, including quality manuals, procedures, and test guidelines for the operation of the test laboratory. As a result of the study, a test laboratory management system was developed using Confluence 6.15 software by applying the analyzed results of the overall requirements. The test procedures, documents, and records were stored in, and operated from, this system. Verification of suitability for operation of the test laboratory was conducted by KOLAS evaluators through a document review and an on-site audit at the LG Electronics SW Accredited Test Laboratory in Seoul.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rough the KOLAS evaluation that the test laboratory management system and the operation of the test laboratory are appropriate and, compared with previous cases, the test laboratory operates effectively, and the overall schedule of accreditation could be shortened.

      • KCI등재

        ISO 22341 범죄예방환경설계(CPTED) 국제표준의 주요 내용과 함의 고찰

        박현호 한국경호경비학회 2023 시큐리티연구 Vol.- No.74

        Despite numerous recent research papers on CPTED, studies on official CPTED standards are rare. TC292 Security & Resilience, ISO Technical Committee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s Organization, accelerated standardization of social safety and security. In particular, in September 2016, Korea's "Security and Crime Prevention Environment Design and Management" project was officially adopted. In this study, specific implications were presented after analyzing the main contents of the ISO 22341 standard, a newly created international standard. First, after examining the scope and concept of the standard, the contents of ISO 22341 standard, including the environmental context of crime, the core elements and strategies of CPTED, the CPTED implementation process, and the six principles, were analyzed and summarized in order of table of contents. Subsequently, the meaning of the enactment of ISO 22341 standard was explained with specific examples of use in the order of its position as the first global standard in this field, implications for domestic legal systems and practices, and conformity assessment measures such as ISO certification. In order for Korea to respond to international standards in the CPTED field, such as ISO 22341, it may be necessary to induce related public institutions and physical security companies, such as the police who lead the CPTED project, to be familiar with and comply with global standards. Furthermore, if conditions permit, we should be able to lead ISO standards by proposing guidelines or standards through our National Standard Body (NSB) when relatively more reasonable or systematic CPTED practices or technologies are developed or accumulated in Korea than other developed countries. 최근 CPTED와 관련한 수많은 연구 논문들에도 불구하고 공식적인 CPTED 표준(standards)에 대한 연구는 드문 편이다. 국제표준기구 ISO 기술위원회인 TC292 Security & Resilience에서 사회안전 및 보안 분야의 표준화를 가속화하고 있는 가운데, 특히 2016년 9월 ISO/TC 292 에딘버러 총회에서 CPTED분야의 경험이 단기간에 상당히 축적된 한국이 제안한 ‘보안 및 범죄예방환경 설계 및 관리’ 프로젝트가공식 채택이 되어 표준 개발이 추진되었고, 결국 약 4년간의 논의와 검증 과정을거쳐 ISO 22341 범죄예방환경설계 가이드라인 표준으로 제정이 완료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이렇게 새롭게 탄생한 국제규격인 ISO 22341 표준의 대략적인 내용을 분석한 후 구체적인 함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먼저 주요 내용으로는 표준의 적용범위와 개념을 살펴본 후, 범죄의 환경적 맥락, CPTED의 핵심요소 및 전략, CPTED 실행 프로세스 및 6대 원칙 등 ISO 22341 표준의 내용을 목차 순으로 분석 및 정리하였다. 이어서 ISO 22341 표준 제정의 의미는 이 분야 최초의 글로벌 스탠다드로서의위치, 국내 법제도 및 실무에 대한 시사점, ISO 인증 등 적합성평가 방안 등의 순으로 구체적 활용 예시와 함께 설명하였다. 우리나라가 ISO 22341와 같이 국제적으로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는 CPTED 분야 국제표준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먼저CPTED 사업을 주도하는 경찰 등 관련 공공기관들과 물리보안회사들이 글로벌 스탠다드를 숙지하고 준수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나아가 여건이 허락한다면 우리나라에서 다른 선진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합리적이거나 체계적인CPTED 실무나 기술이 개발되거나 경험 축적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우리가 가진 지침(guidelines)이나 기준을 우리의 NSB(National Standard Body)를 통해 제안하여 표준화 프로젝트로 채택되게 함으로써 ISO 표준을 선도하는 모습을 보여줄 수 있어야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