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광주읍지(光州邑誌)』 및 문헌 소재 희경루(喜慶樓) 제영시(題詠詩)와 누정문화 콘텐츠 활용

        임준성 ( Lim Jun Sung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7 동방학 Vol.37 No.-

        본고는 15세기에 건립된 광주목 관아의 부속 누정 희경루를 대상으로 하여 그 제영시의 특성과 누정문화 콘텐츠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희경루 제영시는 『광주읍지』 및 문헌소재 자료에서 현재까지 16편 21수의 작품이 존재하고 있으며, 시기적으로는 조선 전기와 중기가 대부분이고, 후기에는 거의 나타나지 않고 있다. 이는 희경루 누정의 건립과 중수 그리고 戰禍에 따른 변천과정에서 자연스러운 결과이다. 제영시에 대한 연구방법으로 건축학의 주요 개념인 공간성과 장소성을 도입하여 제영시의 시적 의미를 다양하게 드러낼 수 있는 토대가 될수 있음을 살폈다. 희경루의 공간적 특성은 주로 공적인 영역에서 이루어지고 있었다. 관리로서 갖춰야 할 소양과 덕목을 공적인 건축물에 의탁하여 개인의 서정을 토로하기보다는 임금의 은혜, 경로효친, 경세제민 등에 더 주안점을 두고 표출하고 있다. 희경루의 장소적 특성은 ‘광주목’이라는 구체적인 지명과 위치 그리고 자연환경으로 인해 접객과 교유 그리고 주변 풍광의 완상에 있다. 희경루 제영시 대부분이 이에 해당하며, 개인적 소회와 서정 그리고 만남과 이별의 장소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누정문화 콘텐츠로는 울산 태화루 복원 사업의 사례를 통해 광주 희경루 복원 가능성을 타진해 보았다. 다행히 희경루는 적지 않은 수의 제영시와 16세기 후반에 그려진 <희경루방회도>는 복원사업 기초적 자료가 되고 있다. 향후 추진될 희경루 복원사업은 호남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상징적인 건축물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지역문화역사 교육은 물론 문화관광자원으로 적극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This article is about pavilion Heekyungroo built in the 15th century. Therefore, we talked about how to use the poetry and cultural contents that are targeted. So far, there are 16 works of 21 literary works related to Heekyungroo. Many literary works are of the Joseon Dynasty to the mid and late has hardly appear. As a method of studying poetry, we introduced the concept of space and plac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Heekyungroo were centered on the public domain. Instead of putting the basic literacy and virtue that management needs to have into public buildings, the emphasis is on the grace of the wage, the efficacy of the parents, and the management of the nation. The location characteristic of Heekyungroo is to appreciate the guest greetings and the surrounding scenery because of the local location and natural environment of Gwangju. In the case of reconstructing Taehwaroo in Ulsan City, I tri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restoring Gwangju's Heekyungroo. I tried to relate the possibility to cultural contents. Fortunately, he has a large number of literary works. It is important to see the < Heekyungroo Banghwuido > drawn in the late 16th century. These two are the basic data of the restoration project. The restoration project of Heekyungroo, which should be promoted in the future, can be a symbolic structure that reveals the identity of Gwangju. It is expected to be able to actively utilize cultural and historical education as well as cultural tourism resources in the region.

      • KCI등재

        전통문화의 창조적 계승을 위한 문화공간 활용방안: 광주향교와 희경루를 중심으로

        한종완,정성임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22 유라시아연구 Vol.19 No.3

        This study aims to explore ways to utilize cultural spaces for creative succession by examining the cultural significance and aspects of Gwangju Hyanggyo and Heekyungroo. To this end, the background and role of the emergence of Gwangju Hyanggyo Confucian School and Heekyungroo Pavilion, and the significance and succession patterns of traditional culture were investigated and described, respectively. Furthermore, it sought ways to utilize cultural spaces to creatively inherit the traditional culture of these cultural asset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Gwangju Hyanggyo Confucian School and Heekyungroo Pavilion were significant as cultural properties built under the influence of Neo-Confucianism in the Chosun Dynasty. The case of overlapping traditional cultural aspects possessed by these cultural properties was also investigated and analyzed. Through this, it was intended to propose a plan to inherit the unique traditional culture style possessed by Gwangju Hyanggyo and Heekyungroo, but to use these cultural spaces as hybrid cultural spaces. How to creatively inherit the traditions of scholar culture.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at Heekyungroo Pavilion as a cultural space limited to performance culture such as Korean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s, excluding the spiritual culture enjoyed by Confucian scholars, would lose its historical significance. It is hoped that it will be reborn as a high-leaved cultural space supported by cultural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with Gwangju Hyanggyo in accordance with the suitability of the reconstruction si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