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젠더-페미니즘(gender-feminism)이 강행하는 성혁명에 대한 비판적 고찰

        곽혜원 ( Hye Won Kwak )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21 조직신학연구 Vol.38 No.-

        여권신장·남녀평등 운동으로 시작한 초기 페미니즘은 급진적 페미니즘(radical feminism)을 거쳐 21세기에 들어와 젠더 이데올로기(gender ideology)로 변천함으로써 인류문명을 위협하고 있다. 나는 급진적 페미니즘과 젠더 이데올로기의 사상적 결합인 ‘젠더-페미니즘’(gender-feminism)을 전체적으로 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하는데, 그 이유는 양자를 함께 조망해야 이 시대의 위기를 근원적으로 파헤치고 실효성 있는 대처 방안을 모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오늘날 젠더-페미니즘을 논의해야 하는 중요한 이유는, 글로벌 세계에서 여성 주도 성혁명을 강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성 주도 성혁명의 핵심 전략 및 주요 특징으로는 1. 성별 해체의 젠더 주류화: 파워 엘리트 & 젠더-페미니스트 주도 위로부터의 혁명, 2. 성규범 해체의 성애화: 사회문화 전체에 타락과 패륜의 확산, 3. 이성애적 결혼 및 가족제도를 해체하는 비혼화: 여성 간 파행적 연대와 레즈비어니즘(여성 동성애) 강화를 들 수 있다. 여성 주도의 성혁명이 글로벌 세계를 횡행하는 상황 속에서 한국 사회에서는 남녀 간에 극심한 대립을 통해 사회갈등 및 국민분열을 일으킴으로써 사회적 병리현상으로 치닫고 있다. 양성(兩性) 간에 조롱과 혐오가 극단화되다 보니, 이성(異性)에 대한 견제와 경계가 나날이 심각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급기야 남녀가 서로를 생존에 해로운 존재로 인식함으로써, 남과 여로 양극화되는 ‘성(性) 양극화’, 소위 ‘젠더 전쟁’이라 불릴 만큼 남녀갈등이 심화하고 있다. 젠더-페미니즘이 영향력을 확대하면서 천부적으로 부여된 남녀 고유의 신체적 기능은 물론 남녀가 결합하여 이루는 결혼 및 가정이 지난 50여년 사이 급속도로 해체되고 있다. 젠더-페미니즘이 강행하는 성혁명의 폐해가 성규범의 해체로 이어지고, 이것이 인류문명사에 어떤 암울한 그림자를 드리우게 될 것인지는 너무나 명약관화한 일이다. 이러한 위기상황 속에서 21세기 한국 기독교는 1. 남녀의 성별 해체를 넘어 무수히 많은 성정체성의 다원화를 추구하는 젠더 주류화의 실체 및 폐해를 파헤치는 연구자들을 양성함으로써 건강한 성정체성 형성을 공론화해야 할 것이다. 2. 패륜적 성혁명이 강타한 21세기 문명사에서 사회 전체를 성애화(sexualization)시키는 흐름에 저항하고 사회적 성화(social holiness/santification)를 확산시켜야 할 것이다. 3. 이성애적 결혼 및 가족제도에 가장 적대적인 시대적 흐름에 저항하여 건강한 가정공동체 구축과 건전한 세대 전승의 사명을 감당해야 할 것이다. 끝으로 젠더-페미니즘이 강행하는 여성 주도 성혁명에 대한 논의를 마무리하면서 상생하는 남녀관계와 진정성 있는 양성평등을 구현해야 할 21세기의 시대적 요청으로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이제 21세기는 남녀가 서로 공존·상생하는 관계를 확립해야 할 전환점에 서 있는데, ‘성별 해체-성윤리 해체-가정 해체’로 치닫는 젠더-페미니즘에서 벗어나서, 남녀가 서로 공존·상생하는 길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여성을 억압하는 남성중심주의, 남성을 억압하는 여성중심주의를 모두 내려놓고, 남성과 여성 모두의 존엄성이 회복된 공동체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Feminism in its initial stage, which started as a movement for empowerment and equality between men and women, is threatening human civilization by transitioning from radical feminism to a gender ideology in the 21st century. I argue that ‘gender-feminism’, an ideological combination of radical feminism and gender ideology, should be discussed as a whole. This is because only when we look at both sides together can we understand the crisis of this era at the root and find effective countermeasures. The important reason we need to discuss gender-feminism today is that a female-led sexual revolution is taking place in the global world. The key strategies and key characteristics of the women-led sexual revolution are as follows: 1. Gender mainstreaming of gender deconstruction: a revolution from above led by power elites and gender-feminists 2. Sexualization of deconstruction of sexual ethics: corruption in society and culture as a whole and the spread of infidelity, 3. Immortality that dismantles heterosexual marriage and family systems: strengthening of abnormal solidarity between women and of lesbianism(female homosexuality). In a situation where women-led sexual revolution is rampant in the global world, in Korean society, social conflicts and divisions between men and women occur due to extreme confrontation between men and women, leading to a social pathology. As ridicule and hatred between men and women are intensified, checks and vigilance against reason are increasing day by day. As men and women perceive each other as harmful to survival, gender conflict is intensifying to the point of polarization between men and women, which is polarized into men and women, and so-called ‘gender war.’ As gender-feminism expands its influence, marriages and families made by combining men and women, as well as inherent physical functions, have been rapidly dismantled over the past 50 years. The evils of the sexual revolution enforced by gender-feminism have led to the dissolution of sexual ethics, and it is very clear what kind of gloomy shadow this will cast on the history of human civilization. In this crisis situation, the task of Christianity in Korea in the 21st century is as follows: 1. The formation of a healthy sexual identity should be publicized by training researchers who reveal the true and harmful effects of gender mainstreaming, which seeks to diversify gender identity. 2. In the history of civilization in the 21st century, hit by the sexual revolution, it is necessary to resist the trend of sexualizing society as a whole and spread social holiness/santification. 3. We must resist the trend of the times most hostile to heterosexual marriage and family systems, and fulfill the mission of building a healthy family community and passing on a sound generation. Finally, it should be accepted as a request for the 21st century to realize co-prosperity relations and sincere gender equality while concluding discussions on the women-led sexual revolution enforced by gender-feminism. Now, the 21st century is at a turning point where men and women need to establish a relationship where men and women coexist and coexist with each other. something to do. It is necessary to put aside both androcentricism that oppresses women and feminism that oppresses men, and move toward a community in which the dignity of both men and women is restored.

      • KCI등재

        언어와 이데올로기 연구의 쟁점과 접근 방식

        조태린(Cho, Tae-Rin) 한국사회언어학회 2019 사회언어학 Vol.27 No.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systematically the issues and approaches of existing research on language and ideology.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paper first defines ideology as ‘the ideas, beliefs, and values and the material process of (re)producing them that contribute to promoting and legitimizing the sectoral interests of certain social group or power’, noting that such ideology causes social problems when it serves primarily the sectoral interests of a mainstream group or ruling power, often working in a false and deceptive form through distortion and dissimulation of objective reality. Then, this paper raises the necessity to divide the research into two types: the research on ideology ‘about’ language and the research on ideology ‘through’ language. Finally, based on the theoretical discussion above, this paper explores the sociolinguistic research tasks and prospects of research on language and ideology by analyzing the representative research cases and approaches related to Korean language and its usage. This paper particularly focuses on monolingualism and standard language ideology in the case and approach of the research on ideology ‘about’ language, and sexism and gender ideology in the case and approach of the research on ideology ‘through’ language.

      • KCI등재

        한국 전후소설의 성담론 방식 연구 -근대적 주체의 젠더이데올로기를 중심으로-

        김은정 ( Eun Jung Kim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人文論叢 Vol.31 No.-

        본고는 전후 소설에 나타난 성담론을 고찰한 것으로서 남성작가와 여성작가의 작품 별로 각각 형상화된 여성 인물의 ‘성’이 어떤 방식으로 다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즉 성담론을 통해 전후시기 여성인물에 대한 젠더이데올로기가 작동되는 양상을 고찰 하고자 한 것이다. 본고가 유형화한 성담론 방식의 주요 대상 여성은 성매매 여성과 자의적으로 성욕을 표출하는 여성으로 분류되며, 본고는 이들 여성을 다루는 남성 작가와 여성 작가의 태도 등에서 젠더이데올로기의 위계화와 이중화를 고찰하였다. 특히 남성 작가에 의해 ‘구원의 여성’ 이미지로 다루어지고 있는 인물조차 이 인물이 성매매 여성일 때 근대적 남성 주체에 의해 철저하게 배제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여성 작가에 의해 주체적 인물로 평가받는 여성 인물이 등장하는 경우에도 작품의 결말은 부정적으로 끝난다는 점을 통해 근대적 주체의 젠더이데올로기를 확인하였다. This study considered the way of gender discourse of the Korean novels in postwar period, dividing those of male writers and female writers. I studied how the ‘sex’ of the female characters are treated in those novels, that is, the way of the gender ideology`s operating on the female characters in postwar period. The way of gender discourse can be stereotyped, so the main female characters are classified into prostituted women and the women who express sexual desires of themselves. I considered the hierarchy and dualization of gender ideology from the attitudes of male writers and female writers treating these characters. I found out that even the female character being treated as ``woman of redemption`` is completely ruled out by the modern male subjects, if she is a prostituted woman. And I confirmed the gender ideology of modern subjects through the fact that the novel of which the female character being evaluated as a subjective figure by female writers also ended tragically.

      • KCI등재

        AKP의 여성운동에 대한 태도와 정책을 통해 본 튀르키예의 정치 이슬람 연구 -에르도안 대통령 선출 이후, 여성운동가들의 의견을 중심으로-

        한하은 ( Han Ha-eun ) 부산외국어대학교 지중해지역원 2024 지중해지역연구 Vol.26 No.1

        In ‘gender ideology,’ the AKP has consistently grounded itself into a religious-conservative value system, and since the election of President Erdoğan, especially after 2019, there has been an argument that ‘gender ideology’ has become socialized, along with the spread of popular discourse on gender. Today, in Turkiye, the ‘anti-gender’ phenomenon can be found in two forms of lines. One is the conservative Islamic government policy that prefers and encourages traditional family values, gender roles, and maternity. The second is a group who is friendly to the government but opposes current policies and demands a stronger ‘anti-gender’ politics. The two forms of ‘anti-gender’ in Turkiye have been making a negative impact on Turkish women’s identities, separately and collectively. Even though the government strives to adhere to gender equality policies within limited boundaries, the women’s identity and role constructed by Erdoğan are only defined within home as a mother and wife. Consequently, policies for women are focused on facilitating their roles as mothers, and the introduction to such policies emphasizing women’s maternal role within the family has driven the discourse of ‘gender ideology’ and fueled a male-centric rights movement advocating ‘anti-gender.’ Due to the influences by both lines, skepticism and resistance are rising against policies aiming at gender equality and the social advancement of women and unfortunately, those policies are vanishing. ‘Gender ideology’ has not only divided Turkish society but is rapidly eroding the rights and status of Turkish women.

      • KCI등재

        일반논문 : 성-역할 고정관념의 지형변화와 여성정책에 갖는 함의: 1996년과 2010년의 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원숙연 ( Sook Yeon Won ) 고려대학교 정부학연구소 2014 정부학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정책의 내용이나 방향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특정 정책이슈에 대한 사회적 인 식이나 가치체계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따라 여성관련 정책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 성-역할고정관념의 인식지형을 살피고, 1996년과 2010년 의 인식을 비교함으로써, 이를 둘러싼 지형 변화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세계가치조사 의 일환으로 우리나라에서 실시된 1996년과 2010년 성-역할고정관념에 대한 인식을 비 교분석하였다. 성-역할고정관념을 1)성별화된 자원(권력)의 배분, 2) 남성부양자 역할, 3) 엄마역할로 세부 차원화하고, 각각의 차원의 인식지형과 지형의 변화를 실증적으로 규 명하였다. 그 결과, 전반적인 차원에서 1996년에 비해 2010년에 성-역할고정관념에 일 정한 변화가 감지된다. 특히 성별화된 자원배분 차원에서 성-역할고정관념적 평가가 완 화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노동시장에서의 일자리에 대한 인식은 1996년이나 2010년 모두 성별화되어 있으며, 2010년에 인식 변화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기 혼여성의 노동시장 참여가 미혼여성을 앞지르고 있는 현실적 변화에도 불구하고, 남성 가족부양자 이데올로기와 남성의 이 여성보다 수입이 적을 경우 갈등이 불가피하다는 가족임금이데올로기가 여전히 건재함이 확인되었다. 셋째, 엄마역할에 대한 성-고정관념 의 지형은 1996년에 비해 2010년에 오히려 더 강화되었고, 여성이 남성에 비해 더 보수 적인 엄마역할에 대한 인식을 보이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가 갖는 의 미를 경제위기와 연결하여 논의하고, 여성정책에 주는 함의를 찾아보았다. This study starts with the importance to understand social recognition and social values on a certain policy issue, in order to determine relevant policy directions and contents. For this, gender role stereotypes is focused as a pivotal factor for policy issue on women/gender relations, paying special attention to changes in perception of 2010 in comparison to that of 1996. In doing so, data for World Value Survey(WVS) are utilized. Gender role stereotypes are categorized into three sub categories; 1)gendered allocation of social resources(power), 2) male-breadwinner ideology, 3)motherhood ideology. Perceptual differences in each category of gender role stereotypes are empirically explored. Findings show that in overall aspects gender role stereotypes in 2010 has been changed from 1996 . In particular, the category of gendered allocation of social resources(power) has been considerably changed. On the other hand, despite the active female participation to the labor market, male-breadwinner ideology is still tenacious. Interestingly enough, motherhood ideology in 2010 was rather intensified than 1996. Furthermore, unlike the conventional expectation, women perceived the motherhood ideology in more traditional ways than men. The implication of the findings for women’s policy ar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economic crisis.

      • KCI등재

        한국청년세대의 젠더에 대한 의식과 정치이념이 능력주의에 미치는 영향 : 성별집단 차이를 중심으로

        이희조,이명진 국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2 社會科學硏究 Vol.35 No.1

        This study sought to find out background factors underlying Korean young generation’s belief on meritocracy as a principle of justice, and compare the impact of these factors by gender. (1) Gender equality and gender stereotyping consciousness acted as main causes of belief on meritocracy. Under the condition of high gender stereotype, the impact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on belief on meritocracy was diminished. When the result was divided into male and femal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led to belief on meritocracy both in men and women, but gender stereotyping consciousness did only in men. In case of female,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nd belief on meritocracy was maintained regardless of the condition of gender stereotype. (2) Political ideology did not affect young generation’s belief on meritocracy. As for gender results, however, the more conservative men were or the more progressive women were, the more likely they were to pursue meritocracy. 이 연구는 한국의 청년세대가 공정성 원리인 능력주의를 수용하도록 결정할 수 있는 의식적 측면을 탐색하고, 해당 요인들의 영향을 남녀별로 비교하였다. 청년세대의 의식적 측면으로부터 젠더에 대한 의식과 정치이념이 능력주의에 가지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첫째로, 젠더에 대한 의식으로서 성 평등 의식과 성역할 구분의식은 청년세대의 능력주의로 이어지게 하는 주요 배경요인이 되었다. 성역할 구분의식이 강한 조건일 때 성 평등 의식이 능력주의로 이어지는 효과는 약화되었다. 남녀별 결과로 보았을 때, 성 평등 의식은 남성과 여성 모두의 능력주의에 대한 중시를 높였으나, 성역할 구분의식은 남성의 경우에만 능력주의 중시를 높였다. 남성이 아닌 여성의 경우에만 성 평등 의식이 강할수록 능력주의를 중시하는 영향관계가 성역할 구분의식이라는 조건에 영향을 받지 않고 유지되었다. 둘째로, 정치이념은 청년세대가 능력주의를 중시하는 것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그러나 이를 남녀별 결과로 보았을 때, 남성은 보수적일수록 그리고 여성은 진보적일수록 능력주의를 중시하였다.

      • KCI등재

        ‘집’의 장소성과 젠더

        홍혜원(Hong Hye-weon) 어문연구학회 2016 어문연구 Vol.88 No.-

        장소와 젠더에 대해 사고하고 재현하는 방식은 서로 긴밀히 연관되어 있으며 이것은 유동적이고 불확실한 경계를 지닌다. 또한 장소와 젠더는 당대 사회의 이데올로기와 권력 관계를 재현하거나 사회공간적 실천을 통해 경계를 가로지르기도 한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이논문은‘집’의장소성과여성/남성의젠더가 상호작용하는양상을 염상섭의단편집 [일대의 유업]을 대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여성의 삶을 주요 소재로 다루고 있는 일대의 유업은 ‘집’이라는 장소를 배경으로 여성 주체가 자아를 인지하는 과정과 남성성의 약화 양상을 서사화하였다는 점, 또 세속의 가혹한논리에의해여성들의삶이좌절될수밖에없었다는점을드러냄으로써가부장이념의 해체와 재응집을 보여 주고 있다. <일대의 유업> 연작에서는 폐쇄되었던 집의 장소성이 개방되면서 공/사적 영역이 서로 혼재되고 여성적 젠더의 속성 역시 유동적 양상을 보인다. 나아가 공간의 이동에 따라 새롭게 구성된 장소성은 여성의 잠재된 욕망을 표출하게 한다. 이는 곧 장소와 젠더의 상호규정성에 의해 여성 욕망의 발견이 장소의 의미망을 확장하는 과정이기도 하다. 그러나 가부장적 자본주의 이데올로기는 그 속성상 젠더의 경계를 끊임없이 확정짓고 내부의 질서를 규범화한다. 이에 따라여성적 젠더는 다시 가부장의 이념에, 또 자본의 논리에 속박당한다. 또한 <굴레>와 <절곡>에서처럼 집의 장소성이 부정적으로 형상화될 때 남성성의 혼란과 약화가 나타나는데, 이는 남성 젠더 역시 경계가 모호하며 다층적 의미망이 충돌하는 불확정적 속성을 내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순정의저변> 등일대의유업에속한일군의단편들은대부분불행한결말이거나문제가전혀해결되지않고갈등이반복되는상태로마무리되고있다. 특히여성인물이불구적사랑의양태를보일때더욱그러하다. 이때‘집’의장소성은주로‘부재’로서기표화되고있으며 완강한 내구성을 지닌 자본과 가부장의 논리 속에 여성 인물은 비극적 상황으로 내몰린다. 한국전쟁 직전과 1950년대 염상섭의 단편소설에 나타난 장소와 젠더의 유동적 양상은 여성인물의 정체성 구성에 있어 다양한 가능성을 내포한다. 이는 동시기 다른 작가에 비해 염상섭의 젠더 인식이 상대적으로 진보적임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현실을 향한냉정한시각을보유하였던작가의태도는결국당대사회를지배한가부장적자본주의 이데올로기를 수용하고 이를 전면화한다. 그렇기에 [일대의 유업]에 실린 작품들에서경제적인 자립을 시도하거나, 적극적으로 사랑을 찾아 나선 여성들은 ‘집’과 ‘돈’을 잃어버리고 사랑에서조차 실패하는 것이다. How to thinking and reflection about place and gender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This has the fluid and uncertain boundaries. And the place and gender representation and reflects the ideology and power relations in society. And it crosses the border into parameters of the social-spatial practice. Based on this recognition, this paper will argure the aspects that interact about sence of place and female/male gender. Target is a collection of short stories “The heritage of the one generation" of Yeom Sang-seop. “The heritage of the one generation” selects the lives of women as the main material, and was the home of a place in the background. And the author was describing a process of self - conscious women-subject and aspects masculinity weakened into a novel. It also shows the aspect of women's lives are frustrated by the capitalist patriarchal domination. After all the work shows the reunion and dismantling of patriarchal ideology. When I analyzed a series of “The heritage of the one generation", a sense of place in the home that was closed was open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e public experience and private experience, gender characteristics of women will have a flexible nature, women have also been found to self-identity. However, the dominant ideology is inherently continue to build fixed the boundaries of gender, it attempts to standardize the order of the interior. The female gender is thus redeemed back to the ideology of patriarchy. In addition, as in “Bondage" and “Fasting", when the spatial sense of the home is to be shaped in the negative, features of men are weakened. This shows that the male gender also implies uncertainty so that multiple layers of meaning networks are in conflict with one another. The short story that belongs to “The heritage of the one generation" are mostly unhappy ending or the problem is finished in a state where there is repeated conflict is not resolved at all. Especially when the person is female commit adultery, and when there is no house, and she is a figure of tragedy in the logic of capitalism and patriarchy. The fluid aspects of place and gender appeared in the 1950 short story of Yeom Sang-seop implies the various possibilities of identity construction of female characters. This shows that gender awareness of Yeom Sang-seop is relatively advanced compared with other writers. But Yeom Sang-seop maintain an objective attitude when describing reality. So he accept the ideology of capitalist patriarchy of contemporary society, and it shows in the work. Therefore, in the novel published in “The heritage of the one generation" women should try for economic self-reliance or actively trying to get the love, but the girls are losing their homes and economic power, it fails in love.

      • KCI등재

        통일과 북한에 대한 대학생의 의식조사 연구: 부산, 울산, 경남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박범종,서선영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20 한국민족문화 Vol.75 No.-

        This study analyzed unification and perception of North Korea among universities students in Busan, Ulsan, and Gyeongnam. Hypothesis 1. Under the premise that “university students will show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political ideology, and monthly income,” gender and monthly income were important variables in universities students' perception of unification. Political ideology were important variable in the necessity of unification and the reasons for unification. Hypothesis 2. Under the premise that “universities will show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North Korea based on gender, political ideology, and monthly income,” gender and political ideology were important variables tha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North Korean perceptions. Gender was also an important variable in North Korean knowledge and perceptions of the North Korean nuclear threat. In general, boys were more aware and threatened than girls in North Korea's knowledge and North Korean nuclear threat. As a result of this study, 'political ideology' was an important variable in university students' unification perception, but gender showed more important variables than North Korea's political ideolog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variety of unification education programs to overcome differences in unification and North Korean perception according to gender and political ideology. Logit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variables that influence unification interests of university students. Monthly income, hostile perception of North Korea, and knowledge of North Korea's nuclear threat were found to be important variables. In order to raise interest in unification based on these results, it seems necessary to educate the right knowledge acquisition and to reduce the negative perception of North Korea. 본 연구는 부산, 울산, 경남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통일과 북한 인식에 관해 분석했다. 특히 2018년 이전 분단과 갈등의 정치적 상황에서 벗어나 3차례의 남북정상회담 개최와 북미회담 등 평화담론이 시작된 시점에서 대학생의 통일과 북한인식 연구라는 점에서 차별성이 있다. 이러한 분석에 있어 가설 1. ‘대학생들은 통일 인식에 있어 성별, 정치이념, 월 소득에 따른 차이를 보일 것이다’ 라는 전제하에 분석한 결과, 대학생들의 통일에 대한 관심도에 있어서는 ‘성별’과 ‘월 소득’이 중요한 변수였다. 하지만 통일의 필요성과 통일 필요 이유에 있어서는 ‘정치이념’만이 중요한 변수로 밝혀졌다. 가설 2. ‘대학생들은 북한 인식에 있어 성별, 정치이념, 월 소득에 따른 차이를 보일 것이다’라는 전제하에 분석한 결과, 북한 대상인식에 있어서는 ‘성별’과 ‘정치이념’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중요한 변수였다. 하지만 북한 지식과 북핵 위협 인식에 있어서 ‘성별’만이 중요한 변수였다. 대체로 북한 지식과 북핵 위협에 있어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많이 알고 있고, 위협적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 대체로 대학생의 통일인식과 북한인식에 있어 중요한 변수인 ‘성별’과 ‘정치이념’에 따라 통일과 북한인식 차이를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통일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그리고 대학생의 통일 관심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찾기 위해 로짓분석을 해 본 결과, 월 소득, 북한에 대해 적대적인 인식 북한에 대한 지식, 그리고 북핵 위협인식이 중요한 변수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통일에 대한 관심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북한에 대한 올바른 지식습득 교육과 북한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낮추기 위한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

      • KCI등재

        20대 대선에서 20대 이하 유권자들의 후보 지지 요인

        한상익(Sangik Han)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23 한국과 국제사회 Vol.7 No.3

        2022년 한국 20대 대선에서 20대 이하 청년들의 후보 지지 성향은 성별에 따라 매우 큰 차이를 보였다. 남성 다수가 보수 후보를 지지한 반면 여성 다수는 진보 후보를 지지하였다. 이 현상은 성별 대결 의식 또는 젠더 의식에 따른 이념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해석되었다. 20대 대선의 설문조사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성별과 이념은 모두 후보 지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양 변수는 상호 독립적으로 작용한 것이 아니라, 젠더 차이가 이념의 부분 매개 변수로 작용하여 이념이 젠더 변수를 매개로 선택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여성이 남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진보적인 이념을 가지고 선거에서는 진보 정당에 투표하는 경향인 현대적 젠더 격차가 한국의 20대 이하 유권자에게 나타난 결과로 해석된다. 현대 산업 사회의 발전과 젠더 평등 의식의 강화에 따라 현대적 젠더 격차가 청년층에게서 보다 뚜렷하게 나타나는 경향을 볼 때, 이후 사회경제적 변수인 젠더에 따라 정치적 선택 차이가 더 커지는 경향이 나타날 것이다. In the 2022 presidential election in South Korea, there was a strong gender-based difference in candidate support among youths under twenties. The majority of men preferred conservative candidateswhile the majority of women supported progressive candidate. This phenomenon was attributed to differences in gender consciousness or ideological differences based on gender. An analysis of survey data from the 20th presidential election revealed that both gender and ideology had an impact on candidate support. However, the two variables are not independent Gender was found to be a partial mediator of ideology's impact on voter choice. This means that ideology influenced voter choice through gender as a mediating factor. This modern gender gap phenomenon, where women vote for progressive parties due to their more progressive ideological views compared to men, was particularly strong among young voters in South Korea. With the development of modern industrial society and the strengthening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it is expected that the gender-based political choice gap caused by modern gender gaps will continue to widen in the future.

      • KCI등재

        그리스로마 신화에 나타난 변신의 성정치 : 여성/남성의 욕망과 이데올로기

        고갑희 한국영미문학페미니즘학회 2003 영미문학페미니즘 Vol.11 No.1

        이 논문은 그리스로마신화를 성적 이데올로기를 생산하는 하나의 장치로 읽고자 한다. 신화에 작동하고 있는 성적 이데올로기를 읽어내는 일은 페미니즘의 정치학에 중요하다. 왜냐하면 신화는 그 당시만이 아니라 현재 우리 사회에서도 지속적으로 재생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페미니즘은 신화의 지속성을 이데올로기의 관점에서 비평하고 분석할 필요가 있다. 신화가 지속적으로 재생산된다는 것은 신화적 상징과 우리 사회의 상징계가 연결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신화의 서사를 어떻게 해독하느냐에 따라 기존의 이데올로기가 재생산될 수도 있고 변혁이 가능해 질 수도 있다. 지금까지 그리스로마 신화가 페미니즘의 정치학에 갖는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페미니즘은 이 분야에 그다지 큰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본 논문은 페미니즘의 관점에서 새로운 페미니즘 서사의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해 신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스로마신화를 성장치(gender-sexuality apparatus)의 하나인 서사장치로 읽는데 영어 단어 플롯(plot)은 중요한 의미가 있다. 영어로 플롯이란 구성, 구획된 땅, 음모라는 세 가지 다른 뜻을 포함한다. 서사란 끊임없는 플롯의 구성과 재구성의 과정이다. 페미니즘 서사 읽기란 기존의 플롯을 새롭게 읽어내고 바꾸어내는 시도였다. 페미니즘이 플롯을 문제삼는다는 것은 남성중심의 비평, 이론, 문학사를 문제삼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여성중심비평(gynocriticism)이든 여성이미지 비평이든 페미니즘 서사는 기존의 플롯을 문제삼을 수밖에 없다. 기존의 아버지-아들의 플롯을 문제삼고 어머니-딸의 플롯으로 바꾸는 예도 이에 속한다(Davidson and Broner). 구성이란 말은 텍스트 내의 구성에서 텍스트 바깥의 구성까지 확대될 수 있다. 성과 권력의 관계를 여성주의적 시각에서 바라보는 성정치)는 기존 가부장적 성정치를 문제삼고 그들의 음모를 드러내며 남성이 구획한 땅과 구성을 새롭게 하는 일일 것이다. 필자는 그리스로마신화에 나타난 성정치를 살피기 위해 특히 변신에 주목하고자 한다. 변신과 관련된 이야기들을 선택하고 변신을 둘러싼 욕망과 이데올로기의 관계를 살피게 되면 여성과 남성이 신체와 맺는 관계가 드러날 수 있으며 성별을 생산하는 방식을 볼 수 있을 것이다. 변신을 택한 이유는 오비디우스의『변신이야기』가 보여주듯이 신화의 주축이 되는 모티프가 변신이고 변신의 서사에는 자연현상을 인간의 시선으로 바꾸는 해석의 정치학이 포함되기 때문이다. 이 정치학에 젠더와 섹슈얼리티를 둘러싼 이데올로기가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변신을 택한 다른 이유는 그리스로마신화의 텍스트에 나타나는 다양한 성정치 문제를 다루는데는 한 논문으로는 부족하다고 판단하여 논의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gender-sexuality politics of the metamorphoses in the Greek-Roman myth. The analysis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myth is a narrative apparatus that has played a crucial role in reproducing the patriarchal ideologies. To examine the gender-sexuality politics this paper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triarchal ideologies and female/male desire in the myths. It focuses on the five different metamorphoses: those of Jupiter, Daphne, Pygmalion's Statue, Myra, and Ipis. The Metamorphoses of Jupiter, Daphne and Pygmalion's Statue reveal the gendered body politics. In these cases, male figures are the subjects of sexual desire and female figures the objects. Pursued as sexual objects, the female figures have no other recourse than to ask for body transformation, as in the case of Daphne. In contrast, Jupiter's metamorphosis signifies his boundless power. When he chases female figures he freely transforms himself into lightening, heavy rain, swan, and bull. Both Jupiter and Appolo represent aggressive masculine power and desire to dominate. This aggressiveness is named "love" in the myths, although in reality it is nothing less than "rape" or "sexual violence." In another instance of male power, Pygmalion, the representative of male artist whose fantasy creates his own image of woman, solidifies the plotting of masculine symbolic order. Unlike the above three cases Myra's incestuous desire and Ipis's lesbian desire momentarily reject the patriarchal family ideology and heterosexual ideology. These ideologies, however, remain in force as they become reframed by the patriarchal narrative plot: Myra is exiled by her father and transformed into a tree while Ipis is turned into a man. To change the patriarchal male-centered structure of desire and ideology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lot. The word plot, in English, has three quite different but connected meanings: plot as a story line, plot as conspiracy, and plot as a piece of land. These three meanings have three different levels: narrative level, symbolic level, and material/economic level. The first strategy of changing the plot is to expose the male-patriarchal conspiracy on these three different levels. The second is to disregard the context or structure of the narrative. The third is to construct a new plot or to rewrite the narra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