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호남 서부지역 원삼국∼삼국시대 수혈주거지의 취사 공간 연구

        김은정 (사)한국문화유산협회 2022 야외고고학 Vol.- No.4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tore one aspect of cooking and food culture at the time by analyzing fireplaces, flues, cooking utensils, tableware, storage containers, and plant remains in the pit dwellings from the Proto-Three Kingdoms to Three Kingdoms Period in the western Honam. To this end, this study divided quarter and period of the pit dwellings from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to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the western Honam, into Period I and Period II,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results, in consideration of the detailed properties of the dwellings and the burial aspect of excavated relics, then it reviewed the data. Period II is a period in which the material culture of Mahan society changed in its relationships with Baekje. Mahan’s cooking fireplace, which consisted of clay, pot(egg-shaped pottery), pot stand, and flue, was a cooking system that not merely boiled but also steamed food using a pot and a steamer. The diversification of cooking methods identified from this cooking system made it possible to eat food using more diverse ingredients, which seems to hav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eople’s nutritional status at that time. It is understood that cooking and food storage containers were naturally located around cooking fireplaces, and the cooking space in dwellings was formed around cooking fireplaces. In addition, a flue added to the cooking fireplace let the heat generated during cooking stay in a house for a while so that it can also serve as heating in cold winter. These cooking fireplaces were made of clay structures during the Mahan period, but from the period that was influenced by Baekje, stone was used to build cooking fireplaces, or bedrock was excavated to install the both walls of furnaces and smoke exhaustion facilities. In particular, it is characteristic that the flue, which had been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dwelling for the purpose of smoke exhaustion, was placed outside the dwelling, and earthenware (fireplace rim) attached to the fireplace also newly appeared. In the dwellings where these changes occurred, not only changes in the detailed shape and tanal(paddling/beating technique) of egg-shaped pottery or steamers used as a pot, but also the representative pottery types of Baekje, such as Gaebae, Gobae, and Samjok, were found. This suggests that the cooking space of Mahan society was transformed and developed in relationships with Baekje. 이 글의 목적은 호남 서부지역 원삼국∼삼국시대 수혈주거지에 남겨진 부뚜막과 연도, 취사기, 식기, 저장기, 그리고 식물 유체 등을 분석하여 당시 취사 및 식문화의 일면을 복원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기존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주거지 세부 속성 및 출토유물의 부장 양상을 고려하여 호남 서부지역 원삼국∼삼국시대 수혈주거지의 분기 및 연대를 Ⅰ∼Ⅱ기로 구분한 후 자료를 검토하였다. Ⅱ기는 마한사회의 물질문화가 백제와의 관계 속에서 변화가 나타나는 시기이다. 점토와 솥(장란형토기), 솥받침, 연도 등으로 구성된 마한의 부뚜막은 단순히 음식을 끊는 방식으로 조리할 뿐만 아니라 솥과 시루를 활용하여 쪄낼 수 있게 했던 취사 시스템이었다. 이러한 취사 시스템을 통해 나타난 취사 방식의 다변화는 좀 더 다양한 식재료를 활용한 음식을 섭취할 수 있게 해주었고 이는 당시 사람들의 영양 상태에까지 긍정적인 효과를 주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면서 부뚜막 주변으로는 취사기와 식재료 보관을 위한 저장기 등이 자연스럽게 자리하게 되고 주거 내 취사 공간이 부뚜막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던 것으로 이해된다. 이에 더하여 부뚜막에 부가된 연도는 추운 겨울을 지낼 수 있도록 취사 시 발생한 열기를 집안에잠시 머물게 해줌으로써 난방까지 겸할 수 있게 해주었다. 이와 같은 부뚜막은 마한시기에 점토 구조물로 만들어지다가 백제의 영향이 있던 시기부터는 석재를 부뚜막 구축에 사용하거나, 기반토를 굴착하여 부뚜막의 양 벽과 배연 시설을마련한 것이 등장한다. 특히 배연을 위한 목적으로 주거지 안쪽 벽에 시설되었던 연도가주거지 밖에 배치되는 것도 특징적이며, 아궁이에 부착했던 토제품(아궁이테) 역시 새롭게등장하는 것을 살펴 볼 수 있다. 이러한 변화가 나타나는 주거지에서는 솥으로 사용된 장란형토기나 시루에서도 세부 형태와 타날방식에서 변화가 간취될 뿐만 아니라 백제의 대표 기종인 개배, 고배, 삼족토기등이 함께 발견된다. 이는 마한사회의 취사 공간이 백제와의 관계 속에서 전환이 이루어지고 발전되어 갔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고려시대 수혈주거지의 구조와 변천

        황대일 중앙문화재연구원 2014 중앙고고연구 Vol.0 No.14

        본고에서는 고려시대 수혈주거지의 분포와 현황에 대해 살펴보고, 내부시설의 구조적인 속성을 분류하여 특징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난방ㆍ취사시설의 변천과 취락의 편년을 통해 단계를 설정 하여 단계별 수혈주거지의 변화양상과 내부구조에 있어서 지역적인 특징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고려시대 수혈주거지 내부구조에서 난방ㆍ취사시설은 온돌의 비율이 53%로 우세하게 나타난 다. 평면형태는 방형과 말각방형, 장방형 등 방형계주거지의 비율이 90%를 차지한다. 기둥배치 는 난방ㆍ취사시설의 구조가 단순화될수록 기둥의 수가 줄어든다. 면적은 5~15㎡의 비율이 전 체에서 75%(146동)를 차지하여 밀집 분포하고 있다. 벽석렬은 고려시대 수혈주거지에 보이는 특징적인 시설로 기능에 대해서는 주거지 면적과의 관계를 통해 소형주거지보다는 중ㆍ대형주거 지에 설치될 확률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벽체 하부시설의 가능성을 뒷받침한 다고 생각된다. 고려시대 수혈주거지는 4단계로 구분되며, 단계별 난방ㆍ취사시설의 변화는 온돌(‘T’자형ㆍ ‘ㄱ’자형)→온돌(‘ㄱ’자형ㆍ‘一’자형), 바닥 노, 벽로→바닥 노ㆍ벽로이다. 지역별 특징은 난 방ㆍ취사시설에 있어서 강원도ㆍ인천ㆍ경기도지역의 중부권에서는 온돌의 비율이 높으며, 충청 도ㆍ경상도지역의 남부권에서는 벽로의 비율이 높게 나타난다. 평면형태는 지역별 차이가 뚜렷 하지 않으며, 대부분 방형, 말각방형주거지가 75%이상의 비율을 차지한다. 입지는 강원도지역 은 구릉보다는 충적지에 입지한 취락의 비율이 높고, 인천ㆍ경기도지역과 충청도지역은 도서지 역을 제외하면 구릉에 입지한 취락의 비율이 높다. 경상도지역은 구릉과 충적지에 입지한 취락의 비율이 5:5로 확인된다. 또한 취락의 입지에 따른 주거지에서 출토된 유물의 차이를 지역별로 확 인할 수 있다. 구릉부에 입지한 취락은 지역별 구분 없이 청자류, 기와류, 도기류가 출토된다. 그 러나 충적지에 입지한 취락의 경우 강원도지역은 보습, 살포, 철솥, 호미, 괭이, 철촉, 철겸, 철준, 동곳 등의 철기류 중에서 농구류가 출토되며, 경상도지역은 어망추와 방추차 등의 유물이 출토되는 차이점이 확인된다. This paper studies the distribution of the pit-dwellings in Korea era and classifies the inner facilities of the structural characters in the pit-dwellings. In addition, the paper sets the stages through chronologically recording community zone and changes of the heating·cooking facilities. Also, the regional features is discussed with the changes of phased pit-dwellings and inner structures. Korea era is inner structure in community zone, Ondul in heating·cooking facilities accounts for 53%. The rate of the square parties such as square types, cutcorner types, and rectangular types is over 90% in the flat formation. The pillar arrangements is getting decreased as heating·cooking facilities is simplified. The size for 5~15㎡ accounts for 75%(146homes) in the entire houses. The row, the distinctive features found only in Korea era, is installed in medium·large homes rather than small ones when compared with the size of the community zone. It is considered that the results supports the possibilities of the lower facilities in the wall. Pit-dwellings in Korea era have four stages. The changes of phased heating·cooking facilities is Ondol(‘T’-shape·‘ㄱ’formation) → Ondol(‘ㄱ’ shaped·‘ㅡ’formation), flat fireplace, fireplace → flat fireplace → fireplace. In terms of the heating·cooking facilities, the regional feature is that the rate of Ondol is higher in central district such as Kangwon-do, Incheon, and Kyoungi-do whereas the rate of fireplace is higher in southern distirct such as Cheongchung-do and Kyeongsang-do. There is no marked differences in flat formation, and square types and cut-corner types are over 75% in general. As for the location in Kangwondo, the rate of the community zone established in an alluvion is higher that of the community zone established in a hill. Regarding the location in Incheon, Kyoungido, Cheongchung-do and Kyeongsand-do, the rate of the community zone about the alluvion and the hill is the same at five to five ratio. Furthermore, the different relics are identied along with the location of the community zone. Celadons, rooftiles, and earthenwares are excavated in the community zone in the hill regardless of the regions. However, in case of the community zone at the alluvion, peasant tools among metals such as plowshares, spade for irrigation work, iron-pots, hoes, picks, iron arrowhead, iron sickles, ferrules, and top-knotpins are excavated in Kangwonarea. fishing net-sinkers and spindle wheels are unearthed in Kyongsang-area.

      • KCI등재

        경기 안성지역 조선시대 수혈주거지 연구

        조용선(Yongsun Cho) 호서고고학회 2022 호서고고학 Vol.- No.53

        본고에서는 안성 마정리 황골 유적에서 확인된 조선시대 수혈주거지의 분석을 통하여 조선시대 수혈주거지의 시기에 따른 변화 양상 등을 검토하고자 한다. 안성 마정리 황골 유적에서 조선시대 주거지는 총 29기가 확인되었으며, 구릉남사면과 서사면 전역에 분포해 있다. 주거지는 경사면 하단부가 유실된 상태로 평면형태는 장방형·(말각)방형·부정형·‘呂’자형·(타)원형 등 다양하게 확인된다. 주거지 내부시설로는 아궁이시설과 구들시설이 있으며, 그 외에 수혈과 주공 등이 확인된다. 주거지에서 아궁이시설은 총 13기가 확인되었다. 아궁이시설은 조성형태에 따라 A·B형으로 구분된다. A형은 주거지의 벽면을‘∩’자형으로 돌출시켜 조성하였으며, 주거지 벽면에 잇대어 조성된 B형에 비하여 규모가 크다. 아궁이시설은 규모가 작고 취사와 관련된 구조나 유물이 확인되지 않은 점 등을 미루어 볼 때 취사보다는 조명이나 난방 등의 기능을 한 것으로 보인다. 구들시설이 확인된 주거지는 총 6기이고, 이중 그 형태를 파악할 수 있는 주거지는 3기이다. 구들시설이 설치된 주거지는 평면‘呂’자형과 부정형으로 구분된다. ‘呂’자형 주거지의 경우 아궁이를 중심으로 난방시설의 설치 유무에 따른 공간분리가 이루어져 있다. 구들시설은 아궁이와 고래부·배연부로 구분되며, 고래부는 1열의 고래가 주거지의 벽면을 따라 원형 또는 방형으로 돌아서 배연부와 연결되는 형태를 띤다. 평면 부정형 주거지는 서사면에서 1기가 확인되었다. 구들시설은 아궁이와 고래부가 잔존하며, 고래열은 아궁이에서 등고선과 나란한 방향으로 곧게 뻗은 줄고래의 형태로 3열이 잔존한다. 주거지의 분류는 주거지 내부의 난방 및 취사시설을 기준으로 분류를 실시하였다. 난방 및 취사시설이 확인되지 않은 주거지(Ⅰ형)와 아궁이만 설치된 주거지(Ⅱ형), 구들이 설치된 주거지(Ⅲ형)로 분류하였다. 아궁이만 설치된 Ⅱ형의 주거지는 다시 배연부가 주거지 외부로 돌출된 주거지(Ⅱ-1형)과 돌출되지 않은 주거지(Ⅱ-2형)으로 세분하였다. 구들이 설치된 주거지는 상하단이 분리되어 가운데가 아궁이로 연결되는 여자형 주거지에서 확인되는 구들의 형식(Ⅲ-1형)과, 주거지 내부에 줄고래가 확인되는 형식(Ⅲ-2형)으로 세분하였다. 조선시대 수혈주거지의 조성시기는 출토유물상으로 볼 때 분청사기와 죽절굽+태토받침 백자를 중심으로 하는 주거지와 분청사기가 출토되지 않고 모래받침 백자가 확인되는 주거지로 구분할 수 있다. 분청사기는 15세기 후반∼16세기에 유행하였으며, 죽절굽+태토받침은 15세기 전반∼16세기 후반까지 유행하였다. 또한 모래받침은 17세기 이후에 등장하는 제작기법임을 토대로 볼 때 주거지의 연대는 17세기를 기준으로 전과 후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이 편년 시기에 따른 주거지의 변화상을 보면 장방형의 대형 주거지에서 (말각)방형 등의 소형으로 변화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안성 마정리 황골 유적은 주거지를 중심으로 건물지·소성유구·배수로 등 조선시대 생활유적이 주가 되는 유적으로 유적은 15세기~17세기 이후까지 지속적으로 조성과 폐기가 이루어지면 생활이 영유되었던 유적으로 판단된다. This paper is an analytical research of semi-subterranean houses in the Joseon period, focusing on the temporal changes in the structure and artifacts. Total 29 dwellings of the Joseon period were unearthed at Hwanggol site of Majeong-ri in Anseong. The floor plans of the houses were rectangular, square, circular, oval, unclear, and 呂-shaped. Along with pits and postholes, there were fireplaces and floor heating systems as internal facilities of the houses. Total 13 fireplaces were classified into A type and B type according to the structure. Type A, being built with protruding the house wall in a reversed U-shape, was larger than type B being built on the house wall. Considering its quite small size and absence of cooking-related facilities and tools, the fireplace seemed to have performed function of lighting or heating rather than that of cooking. The structure of only 3 was recognizable out of the 6 floor heating systems uncovered at Hangul site. The floor heating systems were reported from only unclear and 呂- shaped floor plan houses. The space of the 呂-shaped floor plan house was separated by heating facility centering on the fireplace. In the flue system consisting of a fireplace, a flue system part, and a smoke control part, a line of flue system was connected to the smoke control part by turning in a circular or square way along the house wall. The floor heating system of unclear floor plan house at the west slope of the site consisted of a fireplace and a flue system part, and the 3 lines of flue system extended to the direction of the contour. Classification of these houses based on heating and cooking facilities yielded 3 main types and 4 subtypes as following: TypeⅠ with no facilities, TypeⅡ only with a fireplace, TypeⅢ only with a floor heating system; TypeⅡ was again subdivided intoTypeⅡ-1 and Ⅱ-2 to the projection of smoke control part or not; TypeⅢ was also subdivided into TypeⅢ-1 and Ⅲ-2 to the structure of floor heating system. Consideration on uncovered artifacts helped to divided houses into two groups. While one group of houses yielded buncheong ware (a grayish-blue-powdered celadon), bamboo - joint foots, and white porcelains with clay support , the other group yielded white porcelains with sand support without buncheong ware. Buncheong ware was popular from the late 15C to 16C, bamboo-joint foot and white porcelain with clay support were popular from the early 15C to the late 16C. Considering the emergence of the sand support technique in the 17C, the date of houses was divided into before and after the 17C. Hwanggol site of Majeong-ri in Anseong, yielding archaeological features including pit houses, sites of buildings, firing features, and drainage facilities can be understood as residential sites occupied from the 15C to 17C and after.

      • 제넬 주택의 벽난로에 대한 연구

        홍예은(Hong, Ye-Eun),남성택(Nam, Sung-Taeg) 대한건축학회 2017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37 No.1

        This study is based on visitor"s praise that Genel house is far superior to the Weiss house. Two of houses has manu of similarities because of contemporaneity, on the contrary, Genel house has a unique fireplace that is triangle shape and stands on beyond orthogonal position. The paper aims to reveal the significance of fireplace, like objet, in Genel House and further in Kahn"s architecture. Also, Weiss house"s outdoor fireplace is related to Genel"s indoor fireplace in terms of beyond orthogonality. In Weiss, fireplace is unificated to the structure of house, however, in Genel, fireplace is completely separated with the structure and become a main. In the same logical connection, the fireplace of Genel is similar to Fisher"s, in the end it reaches at the main spaces freely positioned in Dominican Motherhouse. Kahn"s compositional collage resembles Le Corbusier"s free plan.

      • KCI우수등재

        공간 속 독립 오브제로서 배치된 칸의 벽난로에 대한 연구

        홍예은(Hong, Ye-Eun),남성택(Nam, Sung-Taeg) 대한건축학회 2020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6 No.4

        The fireplace has been inseparable from the wall. Therefore, the fireplace, which is independently revealed in the living room, is unusual and exceptional. According to the concept of “Served-Servant space” by Louis Kahn, “Servant space” is conceived as an inhabited thick wall and completely separated from “Served space.” The fireplace is an apparent servant element, but in Fisher house, it is considered as the single, remarkable and major element composing the house. Paradoxically, this scene of the living room is in conflict with Kahn’s ideas on “Servant space.” This study sheds new light on the independent fireplace in the conflicting relationship and suggests the similarities with the contemporary cases-Le Corbusier & Philip Johnson-in terms of the stand-alone “Servant element.” In the end, the independent fireplace of the Fisher house has transformed into an essential element of the house, as Kahn said that “I feel it[fireplace] represents the presence of a man and therefore is of home.”

      • KCI등재

        大田地域 朝鮮時代 竪穴住居址에 대한 一硏究

        吳焌赫 중앙문화재연구원 2008 중앙고고연구 Vol.0 No.4

        촌락은 전통적 생활공동체의 최소단위로 국가의 지배체계가 미치는 말단의 행정단위이다. 촌락 내에는 양반·상민·천민 등 다양한 구성원이 함께 거주하며, 家垈의 크기와 집의 間數, 장식 등을 나라에서 계급별로 한정하는 강한 家舍規制의 체계 내에 있었다. 고고학적으로 조사·보고된 조선시대 수혈주거지는 家舍規制에서 제외된 주거형태로 동시기의 기와집이나 초가집과 같은 일반적인 거주지와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수혈주거는 家舍規制에서 다루어지지 않을 정도로 역사에서 배재되어 있었으나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어 실생활에서 유용하게 활용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게 한다. 하지만 조선시대 수혈주거지는 평면형태나 구조에서 규칙성이나 규격성은 확인되지 않는다. 또한 이전시기에 비해 복잡해진 사회상을 고려한다면 주거지의 내부공간이 너무 협소하다. 상부구조를 이루는 주혈은 확인되지 않거나 정형성을 띠고 있지 않으며, 공통적으로 확인되는 아궁이는 난방과 취사에 부적합한 형태를 하고 있다. 이러한 수혈주거지로서의 구조적 취약성은 상면에서 온돌이 확인된 타지역의 주거지 사례를 통해 독립적으로 사용된 것이 아니라 상면의 온돌과 함께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평지에서 확인된 수혈주거지와 대전지역과 같이 구릉지에서 확인되는 수혈주거지의 아궁이 형태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것은 상면으로 열전달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한 구조로 판단되며, 지형적인 요인으로 인해 평지에 입지한 수혈주거지 상면의 온돌구조가 양호하게 잔존한 것으로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릉지의 사면에서 확인된 대전지역 조선시대 수혈주거지 중 아궁이 시설만 확인되는 경우 문헌에서 보이는 온돌구조의 일부로 이해할 수 있으며, 잔존상태는 상부 고래부가 유실된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을 것이다. A village is a minimal unit of traditional residential community, and it is also a terminal administrative unit controlledby central government. During the Joseon Period, noblemen, commoners, and the humble resided altogether within the village, but there was rigid regulation to limit size of residence to the social class. Unlike other contemporary houses such as thatched cottages and tile-roofed houses under regulation of house size, semi-subterranean houses of the Joseon Period, archaeologically investigated and reported, seem to be out of the size regulation. Even though semi-subterranean houses were not a matter of concern and even out of the house regulation during the Joseon Period, they seem to have been useful enough in actual life to be distributed in the whole peninsular during the period. They do not display any regularity or standard in structure and shape of plan and considering social complexity of that period, inner space of the houses seems to be too small. Also, postholes to support upper structure are not identified or donot display regularity, and fireplaces, commonly identified, have inappropriate structure for heating and cooking. Considering houses equipped with the ondol (Korean underfloor heating system) above the fireplace reported from other regions, the fireplace of the houses in Daejeon region seems to have been used with the ondol facility rather than independently. Semi- subterraneanhouses constructed in the flat and hillside display some differences in the structure and formof fireplace, and these differences may be related to effective delivery of heat. Topographically, the ondolfacility of the house constructed in the flat seems to be preserved well. The fireplaces identified from the house in the hillside without the ondol may be understood as a part of the ondol facility of which the upper structure was already missing.

      • KCI등재

        장작불 영상을 선호하는 대중 심리에 대한 해석적 연구

        김기홍(Kihong Kim)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23 글로벌문화콘텐츠 Vol.- No.55

        본 연구는 지난 수년간 유튜브 등 영상 플랫폼에서 인기를 끈 장작불 영상 콘텐츠를 대상으로 한다. 영상 플랫폼에서 인기를 끄는 대개의 영상이 플롯이 있고, 매우 짧은 영상도 행위로서의 사건이나 반전과 같은 서사성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이야기 전개의 재미를 찾아볼 수 없는 단조로운 장작불 영상이 대중적 인기를 끈 것은 그 자체로 낯설게 볼 만한 일이다. 본 연구는 온라인 플랫폼의 영상으로 재현된 장작불 영상을 ‘불멍’이라는 유행어와 연계하여 대중적으로 크게 주목받았다는 점에서 비평적 분석을 시도하고자 했다. 먼저 ‘멍때리기’에 대한 담론이 심리적 효과에 경도되어 있고, 그 효과가 영상의 제작과 유통의 목적으로 제시되고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선행연구로서 장작불 영상의 심리적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다양한 ‘멍때리기’ 콘텐츠 중 ‘불멍’을 특화하기 위해 ‘불멍’ 영상 고유의 미디어 역사와 특히 서구 가정에서의 문화적 맥락을 고찰했다. 또, 불의 이미지를 몽상이나 물질적 상상력, 휴식, 치유와 연계하여 고찰한 바슐라르(Gaston Bachelard)의 논의를 통해 ‘불멍’ 콘텐츠를 선호하는 현대인의 심리를 해석했다. ‘불’과 ‘불멍’의 인식론적 관계를 해석적 연구로 밝히고, 이를 통해 문화원형으로서의 불의 이미지에 의미를 부여하는 콘텐츠 비평으로 제시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popular video content of fireplace videos that have gained popularity on platforms such as YouTube over the past few years. As most popular videos on video platforms have a plot and even very short videos contain narrative elements such as events or twists, it is noteworthy that monotonous fireplace videos without a story have gained such widespread popularity. This study attempts a critical analysis of the phenomenon by linking the online reproduction of fireplace videos with the trendy term “hitting mung” which has received significant attention from the public. Starting from the discourse on “daydreaming” being linked to psychological effects and being presented as the purpose of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videos, previous research on the psychological effects of campfire videos was explored. Then, to specialize in “hitting mung” among various “daydreaming” contents, the unique media history of “hitting mung” videos and the cultural context of Western households were examined. In addition, by examining Gaston Bachelard's discussion of the imagery of fire in relation to daydreaming, material imagination, relaxation, and healing, the study interpreted the psychology of modern people who prefer “hitting mung” videos. The study presents a content critique that gives meaning to the imagery of fire as a cultural archetype through an interpretive analysis of the epistemo- logical relationship between “fire” and “hitting mung”.

      • KCI등재

        라이트의 윙스프레드 주택에 나타난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김진호(Kim, Jin-Ho)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6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space composition of fireplace and common features of both Prairie and Usonian House found within Wingspread House. This house is the last and largest Prairie house and zoned house built in a Usonian period. However, this house is not an independent work, but rather Wright’s evolutionary experiments of fireplace from his early works and his pursuit of Usonian ideal. This pap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Living room has been transformed to allow spatial continuity towards exterior view and access and between neighboring rooms by removing doors and inglenook. At the Wingspread house Wright has introduced a freestanding fireplace in a living room with higher and prominent roof structure, therefore the space became a focal point as well as the central space of the entire house. 2) Wingspread and Coonley house have gallery space in common, but they have different settings in the living room composition. Also the living room and gallery space of Wingspread and Usonian houses have prospect and refuge principle by expansion and compression. 3) Wingspread house is a successful combination of Prairie and Usonian style to meet client’s requirements in space composition and Wright’s technology and economical experiments. This study is intended to reevaluate the significance of this house bridging his two great residential period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