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FTA를 활용한 중소벤처기업의 수출성과 향상에 관한 연구

        심재권(Jae Gwon Shim),유왕진(Cheol Gyu Lee),이철규(Wang Jin Yoo) 한국창업학회 2013 한국창업학회 Conferences Vol.2013 No.-

        FTA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of current international trade environment because WTO has its limit in all member countries’ unanimity decision making system. So, many countries are trying to increase their export volume and benefit through the FTA. According to this global trade mood, Korean government also has proceeded FTA with many countries to increase her export volume and GDP. Korean FTA members are 47 countries in the end of June 2013. Especially, Korea took effect FTA with ASEAN in June 1, 2007. It means that Korea has good chance to increase trade volume with the world third sized market. But, FTA relating export performance measures are still in weak situation to Korean small and medium sized venture enterprises(SMVEs), and also have low rate of FTA utilization because of their lack of faculties in international trade field. Many studies on export performance are focusing direct relations of enterprise determinants to export performance without consideration of FTA factor. In current global FTA trading circumstance, FTA factor should influence the export performances. So, this study made focus on Korea and ASEAN FTA as mediate factor between enterprise resources and export performance to use its result to other FTA. This study tried to search measures of internal resources enterprise competitiveness, effective utilization of FTA, efficient government’s support policy.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product differentiation, low cost, overseas marketing, overseas market information collect abilities are effective for export performance. So, if Korean SMVEs prepare the knowledge and competitiveness in FTA market, their export performance should be attained. To attain this goal, government s positive and realistic supports are needed. 최근의 국제통상환경은 다자간협정인 WTO의 한계로 인하여 많은 국가들이 자유무역협정(FTA)에 의존하여 자국의 경제발전을 도모하는 추세로 변화하고 있다. 한국 정부도 이와 같은 환경 변화에 대비하기 위하여 적극적으로 FTA 체결을 추진하여 2013년 6월말 현재 47개 국과의 협정을 발효시켰다. 그러나 한국 정부는 아직까지 양적인 FTA의 체결 증대에 치중하고 있고, 실질적인 FTA를 활용 제고를 위한 대책은 미흡한 편이다. 특히 창업 초기단계에 있거나 영세한 중소벤처기업은 기업역량의 부족으로 FTA를 수출성과 제고에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한국이 기존에 체결한 FTA를 매개로 하였을 때 중소벤처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제품차별화역량과 같은 무형의 내부자원이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중소벤처기업이 FTA의 활용하여 수출을 증대시킴으로서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한국과 지리적으로 인접하고, 산업적으로는 보완관계에 있는 한국-아세안 FTA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동 FTA의 활용현황을 분석해보면 수입활용률에 비하여 수출활용률이 상당히 낮은 실정인데 그 이유는 FTA에 대한 정보 부족과 무관심, 특혜관세 혜택을 받기 위한 선결 요건인 원산지규정이 복잡하고 난해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중소벤처기업이 FTA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자구적인 노력과 정부의 구체적이고도 적극적인 구체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 KCI등재

        한미 FTA의 국내법적 문제에 대한 시론적 연구

        박균성(Park, KyunSung) 행정법이론실무학회 2012 행정법연구 Vol.- No.32

        한미FTA의 협상과정에서 한미FTA의 국내법적 영향 및 법적 문제를 검토했어야 했음에도 불구하고 한미FTA가 자유무역에 관한 조약이라는 이유로 한미FTA가 주로 국제법 내지는 통상법의 관점에서 검토되었고, 국내법적 관점에서는 충실하게 검토되지 못하였다. 또한 미국은 한미FTA의 이행을 위한 법률을 제정하면서 한미FTA의 국내법적 효력을 제한하는 규정을 두었음에도 한국의 경우에는 무조건적으로 비준동의 하였다. 그런데, 한국에서 조약은 원칙상 국내에서 법률과 같은 효력을 갖는다. 이러한 점들에 비추어 볼 때 한미FTA의 국내법적 영향 및 국내법적 문제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그 럼에도 불구하고 이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한미FTA의 규정 중 국내 법률관계에 직접 구속력을 미치고, 국내법원에서 재판규범이 되는 규정이 있는지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한미FTA는 한국의 행정조직, 행정절차 및 행정구제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공동위원회는 국가의 권력구조 및 입법권, 행정권 및 사법권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한미FTA의 보상에 관한 규정 중에는 한국의 보상에 관한 법률 규정과 충돌하는 규정이었다. 한미FTA의 직접수용에 관한 규정 중 시장가격에 의한 보상규정 동은 우리의 보 상법규정과 다르다는 점과 개발이익이 보상액에 포함되는 점이 문제가 된다. 한미FTA상의 간접수용 은 적지 않은 법적 분제를 제기하고 있다. 한미FTA상의 간접수용은 우리의 재산권보장체계 및 보상 법체계와 다른 법체계룰 갖고 있다. 간접수용에 의한 보상은 헌법 제23조 제3항의 보상을 넘는 보상으로서 그 자체가 위헌은 아니지만, 간접수용은 미국투자자를 국내투자자보다 보호하여 평동원칙에 위반하는 것이 아닌지 문제된다. 미국에서 처럼 한국에서도 한미FTA의 국내법적 효력을 인정하지 않고 미국에서와 같이 이행법을 통하여 협정의 이행을 행하도록 하는 것이 타당한 것은 아닌지 검토되어야 한다. FTA와 같은 성질의 조약은 국내법상 상대적 효력만 인정하는 것이 타당한 것은 아닌지도 검토를 요한다. 미국에서 한미 FTA를 국내법상 이행하는 한도내에서만 한국에서 한미FTA의 국내법적 효력을 인정하여야 할 것이다. 국가기관의 공권력 행사에 관한 국가기관과 사인(개인투자자) 사이의 분쟁이 ISD의 대상이 되는 경우에는 공익에 대한 고려가 소홀히 될 수 있다. 한미FTA가 우리나라의 주권을 과도하게 제한하는 것은 아닌지, 우리의 법체계에 큰 혼란을 가져오는 것은 아닌지 우려의 목소리가 있다. 향후 한미FTA의 국내법에 대한 영향에 관하여 보다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Although the Korea-US FT A should have been re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national effect and legal issue in the process of negotiations, Korea-US FT A has not" been reviewed faithfully in light of national law, but only iri light of international law or trade law,· because it is a kind of free trade treaties. In addition, the South Korea have ratified and agreed unconditionally to contents of Korea-US FT A in comparison of U.S. But U.S. has legislated the provisions to limit legal effects in nation, when they legislated law related to implementation of Korea-US FT A. The treaty shall take the same status as the legislation in the South Korea. Given these facts, it is necessary to review Korea-US FTA"s impacts and issues from the perspective of national law. Nevertheless, there have been only a few studies in regard to this point. Provisions of Korea-US FT A should be reviewed carefully whether it has included one having directly binding force to domestic legal relation or becoming the trial norms in domestic courts. Korea-US FT A can affect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 administrative procedures and administrative remedies quite a few in the South Korea. In particular, the Joint Commission should affect quite a few power structure of state and legislative power, administrative power and judicial power; And some of Korea-US FT A provisions on compensation conflicts with the regulation of Korean law on it. Indirect expropriation under Korea-US FT A has raised legal issues considerably. We, South Korea, should examine if it is legitimate or riot for the Agreement to be implemented by the Implementation Law like U.S., which has denied the legal effects of Korea-US FT A in national wide. And they also require review that it is legitimate or not for the treaty, a kind of FTA, to have relative effects under the domestic law. The domestic legal status of Korea-US FT A in the South Korea should be accepted to the extent of U.S. implementing it. When the dispute between state agencies and an individual(individual investors) associated with public authority is subject of lSD, considerations of public interest can be neglected. They require the more in-depth study about impact of Korea-US FT A upon domestic law from now on.

      • KCI등재

        FTA와 경쟁정책:한미 FTA상의 경쟁 장의 내용 및 국내법제에 미칠 영향을 중심으로

        김두진(Kim, DooJin) 한양법학회 2009 漢陽法學 Vol.25 No.-

        The KOREA-US Free Trade Agreement (hereinafter “KORUS FTA”) was signed in April 2007 between trade negotiating representatives, and is awaiting respective legislator’s recognition. Even though the issue of recognizing KORUS FTA by the National Assembly is still in deep political debate in Korea, the KORUS FTA will be a cornerstone, if it will be effectuated, that will lead both countries into the economic progress and joint prosperity. This article is intended to provid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TAs and Competition Policy and the expectation about the prospective influence of KORUS FTA on the Korean competition legal system. The KORUS FTA Chapter Sixteen regulates the competition-related matters. The competition Chapter is composed of 9 articles. Among them, article 16.1 declares adopting, maintaining and applying competition measures to the anticompetitive business conduct. And Articles 16.2 and 16.3 admit room for the designated monopolies and the state enterprises. Article 16.5 guarantees transparency in the both Parties’ competition enforcement policies. And article 16.7 prescribes a consultation procedure to address specific matters that arise under competition Chapter. The expansion of the relevant geographic market through KORUS FTA might have an effect on measuring anticompetitiveness. That is why, generally speaking, once the relevant geographic market would be defined larger, the possibility of acknowledging market power might lessen. And the consent orders may be introduced into Korean competition legal system stimulated by KORUS FTA. The introduction of the consent orders will prompt the public enforcement of the Anti-Monopoly and Fair Trade Act and encourage the compensation for injured consumers. The enforcement of KORUS FTA will raise the occurrence of the international competition law cases. Classifying the cases according to the anticompetitive issues included, two approaches could be adopted to solve the problem. In hard core cartel cases, the courts or competition law authorities of an affected Country may exercise jurisdiction over cartel behavior in Contracting Party, applying domestic competition Law. Differently, in cases not involving hard-core cartels, comity factors should be applied to require the courts or competition law authorities of an affected Country to abstain from exercising extraterritorial competition law jurisdiction over anticompetitive conduct in Contracting Party.

      • KCI등재

        FTA 체결에 따른 전자원산지증명서 활성화 방안

        이창숙(Chang-sook Lee),김종칠(Jong-chill Kim) 한국통상정보학회 2013 통상정보연구 Vol.15 No.3

        FTA를 체결하는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FTA 체결국 상호간에 특혜관세를 적용받기 위해서이다. 특혜관세 적용을 받기 위해서는 협정에서 규정하고 있는 원산지결정기준을 충족해야 할 뿐만 아니라 이를 입증하는 원산지증명서가 반드시 있어야 한다. 한국 관세청에서는 전자통관시스템(UNI-PASS)과 원산지관리시스템(FTA-PASS)을, 대한상공회의소에서는 무역인증서비스를 제공하여 전자적으로 원산지증명서를 발급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어 있다. 하지만 여전히 FTA 특혜원산지증명서 발급이 특혜 적용으로 인한 가격경쟁력 향상 보다는 주로 거래처의 요청에 의해 발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FTA 체결국가가 증가함에 따라 FTA의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전자원산지증명서 발급의 정착 및 활성화가 시급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행 우리나라에서 제공하고 있는 전자원산지증명서 발급시스템 구축현황을 검토한 후 이에 대한 문제점을 실무적 측면과 시스템적 측면으로 나누어 파악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e most fundamental reason why FTA Agreement must be concluded is based on the preferential tariff treatment among country parties. In order to get applied by the preferential tariff treatment under an FTA, the parties need to meet the rules of origin and the criteria stipulated under the FTA simultaneously. In addition, Certificate of Origin(C/O) document is required to claim for the preferential treatment under the FTA Agreement. In South Korea, the electronic Certificate of Origin can be issued by the UNI-PASS and FTA-PASS of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Web Certification System of the Korea Chamber of Commerce & Industry also is established. But the majority cases of requesting the preferential Certificate of Origin are generally performed by the business partners. The settlement and activation of electronic Certificate of Origin are urgently needed to maximize the effects of FTA, First, this paper examines the application situation of electronic Certificate of Origin throughly. Second, the current circumstances related to electronic Certificate Origin are analyzed in the practical and systematic perspectives. Finally, the improvements for activating electronic Certificate of Origin is suggested.

      • KCI등재

        FTA상 서비스 관련 투자의 보호에 관한 연구 - 한국이 체결한 FTA를 중심으로 -

        김인숙 한국법제연구원 2014 법제연구 Vol.- No.47

        This article focuses on the approach to protect the foreign investment in services under FTAs concluded by korea. And it looks at how these disciplines of the investment protection are enforced in the investor-state dispute settlement system that currently exist in FTA. It compares the principles and rules in the investment and services chapters of the FTAsForeign investment in services currently represent around 55% of all global direct investment. And Around 40% of the almost one hundred international legal disputes between private investors and their host countries( so-called ISD) concern foreign investment in the services sectors. With the deadlocked multilateral trade talks under the WTO, the global trend toward regional trade agreements(RTAs) has been proliferating in recent years. Specifically, a FTA is fast emerging in the world pursuing the elimination of trade barriers and investment restrictions among member countries. Korea ratified its first FTA with Chile in 2004, and the Korean government have concluded the FTA with 12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Canada, Australia. Like most RTAs, the FTA negotiations by Korea include liberalization of investment in services. Foreign investment in service are covered by the investment or services chapters in the FTAs concluded by Korea. For example, in Korea-US FTA, the investment in service are covered by the investment chapter, on the other hand, in Korea-ASEAN FTA, are covered by the services chapter. The disciplines of the investment protection are provided differently between the investment chapter and service chapter of the FTAs. So the rights and obligations featured in the FTAs are not always compatible. This legal compatibility reduces transparency and undermines governments' regulatory capacity in an unanticipated manner. In order to maintain the consistency of norm, Canada has adopted Canada BIT Model like the U.S.. Consistently to apply the principles of the investment protection, we need to maintain the coherence and consistency of normative in our FTAs 국제교역에서 서비스 관련 투자가 갖는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서비스와 투자라는 두 개의 영역이 연계되어 있어 본질적으로 이를 규범화하고 운영하는 것은 복잡한 일이 될 수밖에 없다. 또한 국제투자규범에서 서비스협정과 투자협정간에 시장개방에 대한 접근방식과 일반원칙, 분쟁해결방식 등에서 많은 차이가 있기 때문에 FTA를 체결할 때 서비스 관련 투자에 대한 접근방식에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우리나라가 체결하고 있는 FTA들에서는 명시적인 규정은 없으나 서비스 관련 투자에 대해 일반적으로 투자챕터를 적용하고 있고, 몇몇 FTA에서는 일반적으로 투자챕터의 적용을 받되 예외적으로 특정 규정, 예를 들어 내국민대우와 최혜국대우규정에 대해서는 서비스챕터의 적용을 받도록 하고 있어 그 접근방식이 FTA들 마다 일관적이지는 않다. FTA마다 서비스 관련 투자에 대해 적용할 규범(서비스챕터 혹은 투자챕터)이 통일되지 않다는 것은 FTA 체결 대상국에 따라 투자에 대한 대우의 방식이나 기준이 달라질 수밖에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실제로 국내적으로 FTA를 운영함에 있어 동일한 서비스 관련 투자에 대해 FTA체결 대상국에 따라 다른 대우를 할 수는 없는 실무상의 문제가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일부 FTA는 서비스 관련 투자를 어느 챕터에 의해 적용할지 모호한 부분이 있어 그 운영에 혼란이 초래될 가능성이 크다. 이와 관련하여 WTO에서는 상품분야 관련 투자에 대해서는 TRIMs협정으로, 서비스분야 관련 투자에 대해서는 GATS로 구분해서 규율하도록 함으로써 서비스 관련 투자에 적용할 규범이 비교적 명확하게 구분되어 있다. 또한 BIT의 경우는 서비스와 상품분야를 구분하지 않고 투자 전반에 대해 통일적인 투자보호기준과 분쟁해결제도가 적용되고 있다. 우리가 체결하는 FTA에서도 협정의 적용범위 규정에서 명시적으로 범위를 구분하여 혼란을 해소하되, 실무에서의 FTA 적용과 운영의 편의를 고려한다면 FTA들 간에도 최대한 규범의 통일성과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미국과 캐나다와 같은 국가들이 BIT모델을 통해 규범의 통일성을 확보하고, FTA에서도 BIT 모델과 유사한 규정을 담도록 노력하고 있는 것은 좋은 사례라고 판단된다. 다수의 서비스 관련 투자분쟁들에서 비차별대우와 최소기준대우, 그리고 간접수용 등과 같은 투자보호 기준의 운영과 관련한 쟁점들이 논란이 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우리나라의 외국인투자 관련 법규를 운영하는 과정에서 분쟁이 발생하지 않도록 관심을 둘 필요가 있다. 특히 FTA들마다 동 보호의 기준들이 조금씩 상이하게 표현되어 있으므로 인해서 발생할 수 있는 운영상의 혼란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 ISD 관련 사건은 환경보호를 위한 조치처럼 국가의 공익적 목적의 투자조치와 관련이 되는 경우가 많고, 위법행위로 판정이 났을 때 손해배상액이 적지 않다는 점에서 FTA 체결시, 그리고 국내 법제의 운영에 더욱 신중할 필요가 있다. 이미 지적한 바처럼 외국인투자 가운데 서비스 관련 투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50%를 넘고 있고, ISD 중재절차를 거치는 사건들 가운데 서비스 관련 분쟁이 4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은 우리가 서비스 관련 투자규범의 통일성을 확보하고 그 운영에 있어서 분쟁이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에 관련 법제들을 점검해야 하는 이유가 될 것이다.

      • FTA 누적기준 활용에 관한 연구

        Yun Jin Oh 성균관대학교 무역연구소 2018 Asian Trade Risk Management(ATRM) Vol.2 No.2

        현재 세계적 추세는 다자주의와 지역주의가 공존하는 방향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1990년대 중반이후 지역주의가 강화되고 있다. 아울러 2010년대 이후부터는 TPP, RCEP등 Mega FTA로 지역적 연합의 범위가 확대되고있다. MEGA FTA는 추진의 핵심은 주요경제권에 대한여 기존의 FTA 보다 한층 더 광범위하고 포괄적으로 경제영토를 확장시켜줌으로써 보다 강력한 무역 장벽의 해소를 통해 경제 활성화를 할 수 있는 기회이다. MEGA FTA의 활용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수 있는 FTA 원산지 누적조항이다. 한국의 15건 旣체결 FTA는 모두 누적기준을 허용하고 있다. 누적조항은 글로벌 가치사슬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규정으로 FTA 참여국이 역내 생산 네트워크에서 비교우위 산업에 집중 할 수 있다. 따라서 기업들은 FTA 활용으로 기업의 글로벌 전략 추진을 위해서는 FTA원산지 누적기준에 대해서 제대로 이해 할 필요가 있다.이에 본 논문에서는 FTA 누적기준의 활용화에 대비하기 위하여 다양한 누적기준에 대한 해석과 활용에 대한 소견을 밝혔다. The current global trend progresses toward the direction for the coexistence between multilateralism and regionalism and regionalism is reinforced from the mid 1990s. In addition, the extent of regional partnership has expanded to Mega FTA including TPP and RCEP since 2010s. MEGA FTA is an opportunity to relieve stronger trade barriers and facilitate economic activation by expanding economic territories more widely and comprehensively than the previous FTA limited to major economic zones. The clause of cumulative rules of origin in FTA many have the most direct effects on the utilization of MEGA FTA. The 15 previous FTA in South Korea all permit cumulative standards. The cumulative clause gives the most direct influence on the global value chain that enables FTA participating countries to concentrate on comparatively advantageous industry in the regional production network. Therefore, companies need to attain a deep understanding of cumulative standards of origin in FTA in order to launch the corporate global strategies by utilizing FTA. This paper, thus, narrated the viewpoint on the interpretation and utilization of various cumulative standards to prepare for the utilization of cumulative standards in FTA.

      • KCI등재

        중국의 FTA교역효과에 대한 실증 분석

        강다연,전영서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14 국제지역연구 Vol.18 No.1

        This paper shows the trade promoting effects of China FTA through panel gravity model and DID(Different in Different) estimator. The model was estimated for aggregate exports and imports using an annual panel data set covering 39 countries from 1995 through 2012.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first of all, the result shows China trade similar to the basic gravity equation with the trading partners. Secondly, to control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 Chinese, we add exchange rate variable, which has a negatively significant impact on China trade. It reflects the ratio of export is higher than import in the total trade volumes. And the exchange rate is sensitive to the China trade. Thirdly, as a result of the DID estimator, there is an enhancing effect on the trade volumes when we compare the conclusion of the FTA to the preparing the FTA signed with China. Therefore, the positive significance on the conclusion of the FTA through the DID estimator present a positive outlook of the trade effects on the preparing the FTA signed with China. 본 연구는 중국의 FTA발효로 인한 교역증진효과를 실증 분석하여 현재 협상 및 협상준비국과 FTA발효 이후 교역효과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한다. 패널자료를 이용한 기본중력모형이론을 바탕으로 DID(Different in Different)추정법을 통해 중국의 FTA발효국과 미발효국으로 효과집단과 통제집단을 구분하여 FTA발효 순수효과 도출을 시도한다. 중국의 상대 교역국에 대한 패널자료를 이용하여 패널 단위근 검정과 패널 공적분 검정을 통해 변수의 안정성을 검증한다. 대부분의 패널 변수는 안정적이며 패널 공적분 검정에서 종속변수인 교역량과 설명변수 간의 장기적인 근본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하우스만(Hausman)검정을 통하여 확률효과모형(Random Effect Model)보다 고정효과모형(Fixed Effect Model)의 추정계수가 적절함을 알 수 있다. 실증분석 결과에 따르면 첫째, 중국의 교역은 교역국 간의 실질GDP와 1인당GDP에 비례하고 거리에 반비례하는 기본 중력방정식 전제와 유사한 결과를나타내며, 둘째, 중국의 고유한 특성을 통제하기 위해 추가한 환율 변수는 유의적인 음(-)의 계수로 추정되어 중국의 전체 교역에서 수출 교역비중이 더 높고 계수값 크기로 보아 환율의 영향에 민감하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셋째, DID추정 결과 중국과 FTA발효국이 미발효국에 비해 교역증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결론적으로 DID추정을 통한 FTA발효효과변수의 계수값이 유의적인 양의 계수가 나타난다는 것은 앞으로 중국과의 FTA체결을 준비 중인 국가들과 FTA발효 이후의 교역증진 효과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을 제시한다.

      • KCI등재

        A study on the changes of agricultural import structure according to implementation of FTAs in South Korea

        지성태,유정호 한국무역학회 2018 Journal of Korea trade Vol.22 No.1

        Purpose – South Korea has signed and implemented 15 free trade agreements (FTAs) with 52 countries. More than 80 percent of imports of agricultural products came from FTA partner countries in 2015. We can say that South Korea entered the era of an opening in agricultural import sector. It means that FTA is an important factor in causing changes in agricultural imports. As a result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FTA, tariff cuts and other changes in trade conditions could lead to an increase in imports of agricultural products from FTA partner country or diversity of partners. South Korea has implemented 15 FTAs so far, each with a different period of implementation, different scale of trade, and different major trade items. This means that each FTA will have a different size and type of impact on the changes in the import structur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how the FTA actually affected agricultural imports and what type of impact each FTA had. Especially, the authors focused on the effects of trade creation and diversion to analyze the patterns of structural changes in the import of agricultural products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of FTAs. Design/methodology/approach – In this study, the authors analyzed both trade creation and trade diversion effect through the poisson pseudo-maximum likelihood method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gravity model of Magee (2008, p. 353) and Yang and Martinez-Zarzoso (2014, p. 144). The biggest improvement compared to the standard gravity model is that all variables such as GDP, population, and distance are removed. This model cannot be regarded as a gravity model because the basic parameters of gravity model such as GDP, population, distance are excluded, but it can be said that the fixed effect variables replace the basic parameter of the gravity model. Findings –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authors found that the effects of trade creation were apparent in the early stages of FTA implementation before 2011 and the effect of the trade transition was seen in the mid-FTA transition period after 2011. The authors also clarified the pattern of structural changes in the agricultural imports of each FTAs. It is shown that the change in agricultural import structures was more apparent in major FTAs like the Korea-ASEAN, Korea-EU, and Korea-US FTA. In other words, the effects of trade creation and trade diversion in these FTA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earch limitations/implications –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multiple FTAs are implemented simultaneously, the effects of individual FTA can be offset. Second, the FTA effect of each item was not reflected, because it was analyzed based on the amount of imports by country. Third, the effect of the trade between the partners was not reflected. Therefore, future studies need to add or supplement these limitations. Practical implications – This paper demonstrated through an empirical analysis that the FTA directly affects changes in agricultural import structure. And it proved that the period of FTA implementation, items imported from FTA partner countries, and the size of imports affected the structure of agricultural imports. Of course, changes in the domestic consumption patterns, changes in the supply and demand, conditions of quarantine inspection, and preference of importers are also factors that affect the structure of agricultural imports. It is expected that the effect of trade creation and the effect of trade diversion in agricultural import will be more significant when tariff rates are further decreased due to FTA implementation and domestic demand of agricultural product rises as a result of an economic recovery. As the FTA directly affects changes in agricultural imports, it should be carefully dealt with when signing a new FTA or improving the existing ones. And appropriate measures should be taken to minimize damages to the domestic agricultu...

      • KCI등재

        FTA 협상시 금융분야의 주요 이슈

        이영섭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17 국제지역연구 Vol.26 No.2

        Financial issues have become more and more important in recent regional trade agreements. Three key issues in opening of financial services are the coverage of liberalizing commitments, liberalizing principles, and the depth of commitments. The coverage defines which activities are subject to the disciplines of the agreement, and comprises the modes of supply and the number of service sectors included in the treatment. Liberalizing principles is to guarantee no-discrimination, and include MFN, no local presence requirement, national treatment, and no quantitative non-discriminatory restrictions. The depth of commitments may vary substantially, and several instruments are used to secure the commitments. Unlike worries about potential risks of financial opening, the Korea-US FTA and the Korea-EU FTA caused little impact on the Korean financial markets. A main reason is that Korea already opened the financial markets to join the OECD and had an experience to overcome the Asian crisis. However, we still need to promote further reforms of financial system to cope with new challenges that may occur from future FTA negotiations. 최근 지역무역협정에서 금융서비스 개방이 중요한 이슈로 등장하고 있다. 금융서비스 개방 협상에서 대두되는 세 가지 핵심요소로는 시장개방의 범위, 자유화 원칙, 그리고 협정의 깊이를 들 수 있다. 시장개방의 범위(Coverage)는 금융시장 개방을 어디까지 어떤 접근방식으로 해나갈 것인가를 규정하는 것으로, 공급방식과 포함되는 서비스의 수를 다룬다. 자유화 원칙(Liberalizing Principles)은 비차별적 대우를 보장하기 위한 4대 자유화 원칙으로서, 최혜국 대우, 내국민 대우, 상업적 주재요건의 비부과, 양적인 비차별적 제한의 부재 등을 포함한다. 협정의 깊이(Depth of Commitments)는 협정의 구속력 정도에 따라 달라지는데, 구속력을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조치들을 취한다. 양자간 협정의 특성상 협상 당사국의 사정에 따라 합의 내용이 조금씩 달라질 수 있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협정사례인 한·미 FTA 및 한·EU FTA의 경우, 금융분야에서는 상대적으로 논란거리가 많지 않았고, 또한 FTA에 따른 금융개방이 커다란 충격을 야기하지 않았다. 이는 우리나라의 경우 OECD 가입 및 IMF 구제금융 지원 협상을 통해 금융시장이 상당 부분 개방되었고 또한 위기극복 경험도 이미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향후 새로운 FTA 협상이 진행된다면 우리보다 금융산업이 발전된 국가들로부터 추가적인 개방 압력이 강하게 요구될 수 있으므로, 국내 금융산업에 대한 규제 철폐 및 국내금융기관 경쟁력 고도화를 통해 이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해야 한다. 이와 동시에 FTA 협상 대상국보다 우리가 상대적으로 금융분야가 앞선 경우 상대방에게 적극적인 개방을 요구할 필요도 있다.

      • KCI등재후보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China-Korea FTA with the Consideration of FTA Sequence and FTA Hub Gains

        Inkyo Cheong 한국무역학회 2014 Journal of Korea trade Vol.18 No.1

        This paper tries to calculate the economic effects of the China-Korea FTA by considering the country’s FTA sequence based on a dynamic CGE model. The paper is the first to measure the economic effects of the China-Korea FTA by consider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EU-Korea FTA and the Korea-US FTA. The results indicate extra gains for Korea as an FTA hub, which has not been considered in previous studies. The paper contributes to the enhancement of the literature of quantitative estimation of FTA gains, providing more accurate measurements of the effects of Korea’s major FTAs, and it tries to measure the investment effects of FTAs taking the FTA sequence and FTA hub position into account in a dynamic CGE simu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