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rupted complex odontoma에 의한 하악 제 1대구치 맹출지연

        박인호,오유향,이상호,이창섭 大韓小兒齒科學會 2004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1 No.4

        치아의 맹출지연을 일으키는 여러 원인 중 치아종은 법랑질, 상아질, 치수와 같은 치아를 구성하는 조직을 갖춘 harmartoma로 complex odontoma(복합 치아종)와 compound odontoma(복합 치아종)로 구분된다. 치아종의 원인에는 외상, 감염, 치아발육상의 장애, 유전적 요인등을 들 수 있으며, 호발 부위는 상악 전치부와 하악 구치부이다. 이 중 compond odontoma는 악골의 전방부에, complex odontoma는 악골의 후방부에 잘 발생하는 경향이 있는데 대부분 악골내에서 발생하지만 드물게 점막을 뚫고 치조골의 상방으로 석회화 된 종괴가 맹출한 형태의 치아종을 erupted odontoma라 한다. erupted odontoma는 매우 드문 질환으로 일반적으로 맹출지연을 일으키지는 않는다. 본 증례는 맹출이 지연된 하악 제 1대구치 치관 상방에 나타난 erupted complex odontoma를 제거 후 치아를 맹출 시키는데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Odontoma, hamartomas of odontogenic orgin, are composed of all the structures that make up teeth, which may lead to interference with the eruption of its associated tooth. On the basis of gross, radiographic, and microscopic features, two types of odontoma are recognized: compound and complex. The etilogy of odontomas is unknown, although local trauma, infection, and gentic factors have been suggested. Odontomas occur central in bone between the roots of teeth and the mauority are asymptomatic. Although these tumors occur frequently and constitute 22% of all odontogenic tumors, are very rare. Erupted odontoma are defined as tumors that it occurs a calcifed mass may be defected on the ridge. The treatment of chice is the surgical removal of the lesion followed by a biopsy. This report presents a case of 8-year-old girl with the delayed eruption of the mandibular first molar by the calcified mass within the operculum covered the central fossa. And it was diagnosed as erupted complex odontoma by excisional biopsy.

      • KCI등재

        치아종의 임상적 특징과 치료에 대한 후향적 연구

        문유진,이대우,김재곤,백병주,양연미 大韓小兒齒科學會 2015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2 No.2

        치아종은 상피성 치성 종양에 속하며 악골내 치성 종양 중에서 가장 흔한 질환으로 보통 유치의 만기 잔존이나 영구치의매복과 연관되어 나타난다. 본 연구는 2005년 1월부터 2014년 3월까지 전북대학교 치과병원에서 치아종으로 진단을 받은 74명의 환자에서 발견된치아종 75증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남자가 42명(56.8%), 여자 32명(43.2%)으로 남자에서 약 1.3배 정도 높은 발생률을 보였다. 치아종으로 진단받은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10.3세이며, 치아종의 위치는 상악 48%(36개), 하악 52%(39개)로균등하게 분포되어 있었다. 치아종과 관련된 임상 증상으로는 인접 치아의 매복 76%, 유치의 만기 잔존 52%, 인접 치아들의 전위 또는 회전이 32%로 나타났다. 치아종은 대부분 외과적으로 제거되었으며, 제거 후 자발적으로 맹출한 경우가 17증례, 영구치 맹출을 위해 추가적 치료가 필요했던 경우가 25증례, 매복된 치아의 예후가 불량할 것으로 판단되어 발치를 한경우가 9증례였다. This study was aimed to retrospectively evaluate the clinical findings and treatments of odontomas in the Korean demographic group. The subject of the present study included 75 odontomas in 74 patients who received treatment from Chonbuk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between April 2005 and March 2014.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were 10.3 years old (range 3 - 23 years old). 42 (56.8%) males and 32 (43.2%) females were in the present study. It was found that compound odontomas were about 4 times more common than complex odontomas. Odontomas equally occurred in both maxillary and mandible. The impaction of permanent teeth (73.3%) was the most common complication of odontomas on adjacent teeth. Most odontomas (96.0%) were surgically removed either to induce spontaneous eruption or to guide orthodontically to occlusion. When the impacted tooth could not be naturally or forcefully erupted to occlusion, it was extracted. Early detection and treatment of odontomas would increase the possible preservation of the impacted tooth by eliminating the source of disturbance. Therefore, this study recommends that periodic radiographic examination from birth until the eruption of the permanent third molar to prevent possible hindrance to the teeth erup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