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dditive Endogenous Regime Switching GARCH Model

        양현진(Hyunjin Yang),한희준(Heejoon Han),김창식(Chang Sik Kim) 한국계량경제학회 2019 JOURNAL OF ECONOMIC THEORY AND ECONOMETRICS Vol.30 No.2

        본 논문은 GARCH(1,1) 모형에 변동성 수준이 높은 국면과 낮은 국면을 나타내는 모수를 추가한 새로운 모형을 분석한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소개된Chang et al. (2017)의내생적국면전환모형(Endogenous Regime Switching Model)을 도입함으로써, 이번 기 금융 시계열의 관측치가 다음 기의 변동성이 높거나 낮은 국면을 결정하는 데에 영향을 미치는 내생성을 허용하는 특징을 지닌다. 미국의 월별 주가지수에 적용한 결과, 내생적 국면전환의 구조가 주가 수익률 변동성의 설명력 및 예측력이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변동성의 수준이 높거나 낮은 국면을 결정하는 잠재변수(latent factor)를 추출 하고, Adaptive-LASSO 방법을 이용하여 FRED-MD 데이터베이스의 고차원거시경제변수들 중 어떠한 변수들이 주식시장 변동성의 설명 및 예측에 관련이 있는지를 분석한다. This paper investigates a new volatility model, in which a regime switching parameter representing a high or low volatility level is added in the GARCH(1,1) model. Importantly, the model adopts the endogenous regime switching model recently introduced by Chang et al. (2017) and the future transition between states depends on the current state as well as the realization of the underlying financial time series. Application on the U.S. monthly stock index return series shows that the endogenous regime switching mechanism improves the data fitting and forecasting of stock return volatility. Moreover, using the latent factor xtracted from the model and the FRED-MD data set, we employ the adaptive LASSO method to examine which macroeconomic variables are related to stock market volatility.

      • KCI등재

        내생적 국면전환을 이용한 GARCH 모형

        양현진,한희준,김창식 한국계량경제학회 2019 계량경제학보 Vol.30 No.2

        This paper investigates a new volatility model, in which a regime switching parameter representing a high or low volatility level is added in the GARCH(1,1) model. Importantly, the model adopts the endogenous regime switching model recently introduced by Chang et al. (2017) and the future transition between states depends on the current state as well as the realization of the underlying financial time series. Application on the U.S. monthly stock index return series shows that the endogenous regime switching mechanism improves the data fitting and forecasting of stock return volatility. Moreover, using the latent factor extracted from the model and the FRED-MD data set, we employ the adaptive LASSO method to examine which macroeconomic variables are related to stock market volatility. 본 논문은 GARCH(1,1) 모형에 변동성 수준이 높은 국면과 낮은 국면을 나타내는 모수를 추가한 새로운 모형을 분석한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소개된 Chang et al. (2017)의 내생적 국면전환 모형(Endogenous Regime Switching Model)을 도입함으로써, 이번 기 금융 시계열의 관측치가 다음 기의 변동성이 높거나 낮은 국면을 결정하는 데에 영향을 미치는 내생성을 허용하는 특징을 지닌다. 미국의 월별 주가지수에 적용한 결과, 내생적 국면전환의 구조가 주가 수익률 변동성의 설명력 및 예측력이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변동성의 수준이 높거나 낮은 국면을 결정하는 잠재변수(latent factor)를 추출하고, Adaptive-LASSO 방법을 이용하여 FRED-MD 데이터베이스의 고차원 거시경제변수들 중 어떠한 변수들이 주식시장 변동성의 설명 및 예측에 관련이 있는지를 분석한다.

      • SCOPUS

        Return Predictability using an Endogenous Regime Switching Model

        정민수(Minsoo Jeong),Chang Sik Kim,Nayul Kim 한국계량경제학회 2022 JOURNAL OF ECONOMIC THEORY AND ECONOMETRICS Vol.33 No.1

        This paper examines whether stock excess return predictability is dependent upon the stock market volatility. The paper introduces a two-state regime switching model with endogenous feedback effect for the stock return predictability test. To model regime switching, this paper adopted a new approach proposed by Chang et al. (2017), allowing an endogenous feedback effect channel through which the underlying time series affect the next period volatility regime. This paper shows that modeling such a channel is important in the return predictability context to incorporate the leverage effect. Monte Carlo simulation results demonstrated that additional power gain and bias improvement could be achieved in the endogenous regime swithcing (ERS) model,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arkov switching model. The empirical test results using the ERS model indicate that none of the tested predictors have significant predictive power when stock returns are highly volatile. However, the dividend-price ratio and macro variables such as T-bill rate and term spread had significant predictability, at least in the low volatility regime.

      • SSCISCOPUSKCI등재

        Modeling the Dynamics between Stock Price and Dividend: An Endogenous Regime Switching Approach

        ( Heejoon Han ),( Na Kyeong Lee ) 한국경제학회 2018 The Korean Economic Review Vol.34 No.2

        This study considers a new error correction model (ECM) for stock price and dividend, which accommodates nonlinearities in both long- and short-run relationships. First, timevarying coefficient cointegration is adopted to explain the nonlinear long-run relationship between stock price and dividend. Second, the model allows for endogenous regime switching to describe the short-run relationship. The empirical application on the S&P 500 Index and dividend shows that our model fits the data significantly better than existing models and provides estimates with meaningful interpretations. In addition, the linear cointegration is unsuitable to describe the long-run relationship, and the ECM with endogenous regime switching better explains the data than that with conventional Markov switching. An extract latent factor specifically reveals the periods for each regime, and the periods of high-volatility regime include the NBER recession periods and certain periods of financial crisis.

      • KCI등재

        Modeling the Dynamics between Stock Price and Dividend: An Endogenous Regime Switching Approach

        한희준,이나경 한국경제학회 2018 The Korean Economic Review Vol.34 No.2

        This study considers a new error correction model (ECM) for stock price and dividend, which accommodates nonlinearities in both long- and short-run relationships. First, timevarying coefficient cointegration is adopted to explain the nonlinear long-run relationship between stock price and dividend. Second, the model allows for endogenous regime switching to describe the short-run relationship. The empirical application on the S&P 500 Index and dividend shows that our model fits the data significantly better than existing models and provides estimates with meaningful interpretations. In addition, the linear cointegration is unsuitable to describe the long-run relationship, and the ECM with endogenous regime switching better explains the data than that with conventional Markov switching. An extract latent factor specifically reveals the periods for each regime, and the periods of high-volatility regime include the NBER recession periods and certain periods of financial crisis.

      • KCI등재

        내생적 국면 전환을 이용한 실현 변동성 모형

        김세정,한희준 한국계량경제학회 2016 계량경제학보 Vol.27 No.4

        This paper introduces and analyzes a new model for realized volatility that accommodates endogenous regime switching. The model is based on the heterogeneous autoregressive model and allows for two-state regime switching. Importantly, a current shock to the realized volatility affects the regime switching in the next period. We apply the model to the realized volatility of the daily S&P 500 Index return series. The estimation result shows that the short-term volatility component is the most influential in the high volatility regime while the long-term volatility component is dominant in the low volatility regime. Moreover, the model significantly outperforms existing models in within-sample fitting. 본 논문은 금융 시계열의 실현 변동성을 설명하기 위해 내생적 국면 전환을 도입한 새로운 모형을 제안하고 분석하고 있다. 모형은 이질적 자기회귀(hetorogenous autoregressive) 모형을 기반으로 한 두 국면(two-state) 전환 모형이다. 모형에서 가장 중요한 특징은 현재 기의 실현 변동성에 대한 충격이 다음 기 국면 전환에 영향을 미치는 내생적 국면 전환 구조를 도입한 점이다. 본 모형을 일별 S&P 500 지수 수익률의 실현 변동성에 적용한 결과, 변동성이 높은 국면에서는 단기 변동성 요인이 다음 기 변동성에 지배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변동성이 낮은 국면에서는 장기 변동성 요인이 지배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생적 국면 전환을 도입함에 따라 기존 모형들에 비해 표본기간 내 설명력이 유의하게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자동차보험 계약자의 보험회사 전환 가능성 분석

        전용식 ( Yong Sik Jeon ) 보험연구원 2014 보험금융연구 Vol.25 No.3

        본 연구는 국내 자동차보험 계약자들이 기존의 보험회사를 떠나 다른 자동차보험회사에 가입하고자 하는 전환의향을 분석한다. 자동차보험 계약자들의 효용이 보험료, 자동차보험 계약· 유지·보상 관련 만족도, 계약자의 보험회사에 대한 충성도 등 심리적 요인들에 영향을 받는다고 가정하고, 보험회사를 전환할 경우 보험료 차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내생성을 고려하였다. 전환의향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는 현재의 보험료와 신규 보험료 간의 차이는 관측되지 못하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지 못한 보험료 변수의 추정치는 내생성(endogeneity) 문제에 노출될 수 있다. 그러나 보험료의 차이는 보험계약자의 인구-사회적 특성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인구-사회적 변수가 추정식에 포함될 경우 보험료 추정치의 통계적 유의성은 줄어들고 보험료 변수의 내생성도 약해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보험료에서 나타날 수 있는 내생성을 고려하여 자동차보험 계약자들의 보험회사 전환의향을 추정한다. 추정결과 현재 보험료 수준이 낮을수록, 서비스만족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보험회사에 대한 충성도가 높을수록 전환 가능성은 줄어드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인구-사회적 변수를 포함하여 보험회사 전환의향확률을 추정한 결과 보험료의 통계적 유의성은 없어진 반면, 거주 지역, 근로소득 여부, 나이 등이 전환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현재 가입하고 있는 보험회사에서 누리는 서비스 만족도가 크고 충성도가 높은, 혹은 관측되지 않는 보험회사와의 유대 관계가 강한 계약자들의 경우 새로운 보험회사를 탐색하고 전환하려는 의향이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자동차보험시장에 전환비용(Switching Cost)이 존재한다는 것은 자동차보험회사의 경쟁 및 마케팅 전략과 자동차보험산업의 시장구조에 상당한 함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focuses on factors for an auto insurance customer`s intention to switch to another auto insurance companies. The collected data by Korea Insurance Research Institute`s Annual Korea Insurance Customers Survey, such as customer satisfaction, loyalty to a current insurance company, annual insurance premium, and individuals` socio-demographic variables, are empirically examined as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probability of a customer`s switching intention. A defected customer could get benefit from switching with reduced auto insurance premium as long as his/her satisfaction level remains the same as an auto insurance company he/she left. In addition to a customer`s satisfaction, loyalty to a current auto insurance company and psychological factors, of which a customer might think important, have significant effect on a customer`s switching intention. Endogeneity could arise since current premium is observable and highly correlated with unobservable premium, which could be offered by another auto insurance company. Since auto insurance premium and customer`s socio-economic variables are correlated to each other, endogeneity problem could have effect on estimation result. This research takes into account this endogeneity problem by estimating instrumental variable probit model. Estimation result shows that the probability of a customer`s switching intention increases in premium and decreases in satisfaction level, a customer`s loyalty, and psychological factors. The findings imply that search and switching cost to defect current insurance company do exist in Korean auto insurance market, which are similar ones as previous literature.

      • KCI등재

        A Study on the Effect of FTAs on FDI

        김영근 한국무역통상학회 2018 무역통상학회지 Vol.18 No.2

        Many countries have been involved in Free Trade Agreements (FTAs). These agreements make the trading relationships between those countries much more profitable by lowering barriers to trade between nations. Because of the importance of international trade and investment for promoting wellbeing and economic growth, the relationship between FDI and FTA is crucial to creating economic policies that foster international welfare. This paper models the effect of FTA on FDl, using an endogenous regime switching model. The final analysis is that the existence FTA is an inconsistent determinant of FDI between paired countries. Based on this model, I cannot say if the existence of a FTA is complementary or supplementary to FDl.

      • KCI등재

        A Study on the Effect of FTAs on FDI

        Yung-Keun Kim 한국무역통상학회 2018 무역통상학회지 Vol.18 No.2

        Many countries have been involved in Free Trade Agreements (FTAs). These agreements make the trading relationships between those countries much more profitable by lowering barriers to trade between nations. Because of the importance of international trade and investment for promoting wellbeing and economic growth, the relationship between FDI and FTA is crucial to creating economic policies that foster international welfare. This paper models the effect of FTA on FDl, using an endogenous regime switching model. The final analysis is that the existence FTA is an inconsistent determinant of FDI between paired countries. Based on this model, I cannot say if the existence of a FTA is complementary or supplementary to FDl.

      • KCI등재

        한국 가족기업의 대리인문제와 자본구조 의사결정

        정민규 ( Min Geu Jung ),김병곤 ( Byoung Gon Kim ),김동욱 ( Dong Wook Kim ) 한국금융공학회 2015 금융공학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한국 가족기업의 자본구조 의사결정을 분석하기 위해 가족기업 특성이 부채사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표본기업은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비금융업종 기업 총 4,008개를 사용하였다. 분석기간은 2004년부터 2013년까지 10개년이었다. 실증분석 결과를 보면, 첫째, 한국의 가족기업은 레버리지비율을 낮추려는 유인이 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지배가족이 소유·지배하는 형태에서는 기업의 대리인문제가 완화되어 부채에 의한 통제메커니즘의 필요성이 낮아져 부채 증가 유인이 감소하고, 기업위험을 회피하고자 하는 유인이 커져서 부채비율이 낮아지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둘째, 기업의 지배구조는 가족기업 특성과 상호작용하여 자본구조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양호한 지배구조기업에서는 지배가족의 소유지분율이 높아지면 레버리지효과를 기대하고 레버리지비율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취약한 지배구조기업에서는 지배가족의 소유지분율이 기업경영에 대한 통제메커니즘으로 작동할수 있기 때문에 대리인문제를 완화시키기 위한 통제메커니즘으로 부채 활용의 필요성이 낮아져서 레버리지비율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배가족의 구성원이 이사회등에 참여하여 경영활동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경우에는 대체적으로 레버리지비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호한 지배구조 하에서 지배가족의 구성원이 경영에 참여하는 경우에는 대리인문제가 감소되어 부채비율을 낮추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또한 총수가 있는 대규모 기업집단의 계열사인 가족기업의 경우 지배구조가 양호하면 낮은 부채비율을 유지하고자 하는 유인이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s of family firms and their characteristics on their use of debts in order to analyze Korean family firms’ decision-making in capital structure. In order to analyze the family firms’ decision-making in capital structure in terms of agency problem in depth, the sample firms classified into Strong Corporate Governance firms (SCG) and Weak Corporate Governance firms (WCG) and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relationships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family firms and leverage according to corporate governance using an endogenous switching regression model. The sample firms used for the analysis were 4,008 enterprises listed on the Korea Exchange (KRX), and the period of the analysis was 10 years from 2004 through 2013.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family firms in Korea maintained relatively low debt ratios. In other words, the characteristics of ownership and governance of family firms affect agency problem and it is explained by the fact that the agency problem acts as a key influence factor in the family firms’ decision-making in capital structure. Thus, it can be understood that decision-making in the capital structure of family firms in Korea is made as a result of agency problem Jensen and Meckling(1976) argu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