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발달장애아동의 연구 동향 고찰: 한국·일본·미국을 중심으로

        추연구 한국발달장애학회 2011 발달장애연구 Vol.1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ommon denominators in the definition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among the laws and dictionaries of three different countries, as there have been differences among countries in the concept and definition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ree different organizations that respectively represented the academic communities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our country, Japan and the United States were selected: KADD, JASSDD and IASSID. And then the history, state and research trends of the associations were investigat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developmental disabilities always took place in early childhood or childhood, and the kind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or retardation that were(was) closely linked to the biological maturity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mostly appeared.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at occurred in early childhood or childhood usually remained unchanged in adulthood as well, and one of their major characteristics were that they showed little changes such as being alleviated nor reappeared. Second, as for the history, major phenomena and research trend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three countries, the concept of pervasive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embraced. In terms of the scope of research, the findings and content of studies on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d a lot in common with those of studies on medicine, welfare, education, psychology and labor. In the field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alone, intellectual disabilities continued to be the most typical area on which lots of studies had focused on. 발달장애에 관한 각 나라의 개념과 정의가 다르게 인식되고 있기에 한국, 일본, 미국을 중심으로 사전적, 법적 근거를 비교 분석하여 공통되는 점을 찾아보려고 하였다. 그리고 발달장애연구를 우리나라는 한국발달장애학회(KADD), 일본은 일본발달장애학회(JASSDD), 미국은 국제지적장애연구연맹(IASSID)으로 선정하여 발달장애 학계를 대표하는 각 학회의 역사와 현상, 연구동향을 중심으로 동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첫째, 항상 유아기나 아동기에 발증하고, 중추신경계의 생물학적 성숙에 강력하게 관련하는, 기능의 발달 장애 또는 지체가 나타난다. 그리고 성인의 정신장애로 나타나기 쉬워 병이 가벼워지거나 재발이 없는 안정된 경과를 취한다는 특징을 찾을 수 있었다. 둘째, 각 나라의 대표적인 발달장애아동의 역사와 현상 그리고 연구동향은 전반적 발달장애(pervasive developmental disabilities)의 개념을 수용하고, 연구 영역에서 의료, 복지, 교육, 심리, 노동 영역의 연구 발표와 연구내용이 공통적이라 할 수 있고, 발달장애 영역별로는 꾸준히 지적장애가 그 대표성을 갖고 연구와 발표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장애인복지관 종사자의 성인 발달장애인 평생학습 지원 경험에 관한 연구

        김보배 한국장애인평생교육복지학회 2023 장애인평생교육복지연구 Vol.9 No.2

        Purpose of Research: This study examines the experiences of workers at welfare cent ers for the disabled in Chungcheongbuk-do to support lifelong education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examines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of lifelong education support from the perspective of service providers and the actual conditions, support demands, and polic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purpose is to find practical solutions such as proposals. Research Method: The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was inductively summarized using content analysis using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targeting eight workers at welfare centers for the disabled in Chungcheongbuk-do who have experience in lifelong education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search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17 meaningful words, 5 sub-categories, and 3 top categories that describe the meaning of lifelong education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overall perception of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 demands for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erived. Through this, we were able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e Chungcheongbuk-do Welfare Center for the Disabled's lifelong education support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commendations: Suggestions for field and follow-up research include the need to secure a continuous and stable sufficient budget to expand lifelong education opportunities and demands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ecuring additional personnel dedicated to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deploying specialized personnel for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and manpower in charge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Measures to revitalize lifelong education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y securing expertise and human rights sensitivity, improving community awareness of integrated lifelong education and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trengthening connections between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discovering advanced cases of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establishing a benchmarking system. Various policy and academic suggestions were presented.

      • 발달장애인 지원사업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해외 발달장애인 지원사업과의 비교

        강영숙(Kang, Young Sook) 한국복지실천학회 2021 한국복지실천학회지 Vol.1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해외 발달장애인 지원사업의 비교를 통해 한국의 발달장애인 지원사업이 발전된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인지 기능 부족으로 일상생활활동과 사회적응행동 습득이 어려우므로 주거시설 제공을 통해, 주택마련 서비스, 공동보호시설, 위탁가정 서비스, 자립생활 지원, 중증장애인 보호시설, 주 정부 발달센터, 생활지원 서비스를 진행하도록 지원한다. 둘째, 타인에게의 의존성이 높고 자립이 어려워져 조기교육서비스가 필요하므로 조기교육서비스를 통해 보조공학, 청력학, 부모교육·상담·가정방문, 건강지원, 작업·물리·심리·언어치료 등을 실행해야 한다. 셋째, 의사소통능력이 다른 장애인에 비해 낮아 사회적응행동에 취약하므로 주간보호/데이케어 서비스를 통해 의사소통능력과 자생력 개발 및 유지능력 향상, 상호작용 능력, 표현능력, 지시사항 준수능력 향상, 자기옹호 및 취업능력 개발, 지역사회 통합 능력 개발, 문제행동 개선능력 향상, 여가활용 능력 개발을 이룰 수 있는 지원을 해야 한다. 넷째, 장애로 인한 사회적 편견과 차별을 더 많이 경험하므로 부모사후에도 자립할 수 있도록 직업서비스를 통해 발달장애인을 위한 고용 프로그램, 지원고용, 작업활동을 진행해야 한다. 다섯째, 신체, 정서, 사회, 경제적 문제를 수반한 대상자에게 조기교육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므로 조기에 보조공학, 청력학, 부모교육·상담·가정방문, 건강지원, 작업·물리·심리·언어치료 등을 실행하여 직업서비스를 통한 발달장애인의 고용 프로그램, 지원고용, 작업활동 등을 진행해야 한다. 여섯째, 당사자와 주변의 모든 환경체계가 자원으로 지원되어야 하므로 영국의 대표적 발달장애인 자조집단인 ‘피플 퍼스트’처럼 발달장애인의 사회적인 통합을 위한 캠페인 사업을 진행해야 한다. 일곱째, 타인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서 삶의 모든 부분에서 지원이 필요하므로 전반적인 지원서비스를 통해 재가 활동보조서비스, 부모 휴식·보호서비스, 이동보조서비스를 진행해야 한다. 여덟째, 발달장애인에 대한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 발달장애인을 기존의 장애인복지법상의 기준으로 바라보는 정책적 관점의 변화가 필요하다. 즉 다른 장애유형의 경우 취업 등을 통한 자립생활이 가능하지만, 발달장애의 경우 전 생애에 걸쳐서 적절한 서비스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는 특성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아홉째, 발달장애인을 위한 사회복지서비스 공급 확충이 필요하다. 재정적인 부담으로 인해 별도의 시설 건립보다는 시가 관리·감독하는 주민여가시설이나 이용시설 등에서 장애관련 프로그램을 개설하거나 일부시간대에 한하여 장애인들만 이용할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발달장애인 관련 정보제공기관 설립 또는 정보공유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여러 선행연구결과 대부분의 발달장애인이 느끼는 지역사회에서 제공하는 사회복지서비스 시설이나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부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정보망 구축이 필요하다는 것 등의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improvement measures so that Korea s developmental disability support project can move in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through comparison of Korea and overseas developmental disability support proj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difficult to acquire daily life activities and social adaptation behavior due to lack of cognitive function, so it provides housing facilities, joint protection facilities, foster home services, self-reliance support, severely disabled protection facilities, state development centers, and life support services. Second, early education services are needed due to high dependence on others and difficulty in self-reliance, so early education services such as auxiliary engineering, hearing, parent education, counseling, home visits, health support, work, physics, psychology, and language therapy should be implemented. Third, since communication skills are lower than those of other disabled people, it is necessary to support communication skills and self-sufficiency development and maintenance skills, interaction skills, expression skills, instruction compliance skills, community integration skills, problem behavior improvement, and leisure utilization skills. Fourth, since they experience more social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due to disability, employment programs, support employment, and work activitie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hould be conducted through vocational services so that they can stand on their own feet even after their parents death. Fifth, early education services should be provided to subjects with physical, emotional, social, and economic problems, so auxiliary engineering, hearing, parent education, counseling, home visits, health support, work, physics, psychology, and language therapy should be implemented early. Sixth, since the parties and all environmental systems around them must be supported with resources, campaign projects for the social integration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like the UK s leading self-help group People First, should be carried out. Seventh, because of the high dependence on others, support is needed in all parts of life, so home-based activity assistance services, parental rest and protection services, and mobility assistance services should be provided through overall support services. Eighth,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perception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olicy perspective of viewing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standards under the existing Welfar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ct. 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other types of disabilities, it is possible to live independently through employment, but in the case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characteristics that appropriate services need to be developed throughout life. Ninth,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upply of social welfare service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Rather than building separate facilities due to financial burdens, institutional support measures should be prepared to open disability-related programs at leisure and use facilities managed and supervised by the city or to allow only the disabled to use them for some time. Finally, in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information providing institution related to the developmental disability or to establish an information sharing system. As a result of several preceding studies, policy implications such as the need to establish an information network to solve the lack of information on social welfare service facilities or programs provided by most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KCI등재

        일본 발달장애의 변화가 주는 시사점 : 발달장애의 증가와 발견의 어려움을 중심으로

        추연구(Youn-Gu Chu) 한국발달장애학회 2020 발달장애연구 Vol.24 No.4

        본 연구는 일본 문헌을 조사하는 이론 연구로 발달장애의 증가와 발견의 어려움을 밝혀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2000년 이후 발간된 발달장애관련 단행본 20권, DSM-5와 ICD-10, 발달장애백서, 발달장애연구, 발달장애연감을 중심으로 알아보고자했다. 연구결과로는 발달장애의 증가로는 첫째, 사회·복지측면에 학령기의 유병률 증가와 생애 주기별 복지 및 시설 이용의 증가가 크다. 둘째, 최근 과학과 의료의 발달로 염색체 규명, 조기 발견/판정에 의사의 참여, 장애개념의 확대도 크다. 셋째, 특별지원교육을 통한 의무교육지원단계의 발달장애학생 수의 증가가 크다. 발달장애의 발견의 어려움으로는 첫째, 의료에서 진단의 과잉/과소의 문제, 경계의 모호함, 다수의 원인불명, 발달과정상의 변화 가능성, 조기진단의 질의 확보에 애로가 있다. 둘째, 통합교육을 구현한다는 측면에서 본다면 모두가 포함된다면 발달장애의 개념, 교사 양성과정에 변화가 요구되고, 유전과 환경의 상호작용의 문제도 제기된다. 연구의 결과로부터 도출되는 시사점은 첫째, 진단분류의 범주적 접근과 차원적 접근의 적정한 사용 둘째, 공통된 도구로 증상 정도를 정량화하려는 노력 셋째, 조기진단의 충분한 근거 확보 등은 교육적 지원의 개입을 더욱 촉진 시킬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theoretical research into Japanese literatures to shed light on an increase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detection difficulty. As for the research method, 20 books, DSM-5, ICD-10, Japanese White Paper on Developmental Disabilities, Japanese Journal on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Japanese Developmental Disabilities Net were analyzed, which had been published since 2000 in relation to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findings of the study on the increase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society and welfare, there were a rise of prevalence in school age and a great increase in the use of welfare and facilities by life cycle. Second, owing to the recent advancement of science and medicine, doctors were involved in the identification of chromosomes and early detection/identification, and the concept of disabilities was extended a lot. Third, the number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were in the support stage for compulsory education by special needs education increased greatly. The findings on difficulty with detection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roblems including over-diagnosis and under-diagnosis in the medical setting, the ambiguity of the boundary, many unknown causes, the possibility of change during developmental stages and the quality of early diagnosis. Second, when the necessity of the actualization of inclusive education is taken into account, changes in the concept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curriculums geared toward pre-service teachers are required, and interaction between heredity and environments is another issue that arises.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ategorial approach and dimensional approach should properly be taken toward diagnosis classification. Second, efforts to use common instruments to quantify the degree of symptoms should be made. Third, grounds for early diagnosis should fully be guaranteed. All the efforts will facilitate intervention by educational support.

      • KCI등재

        지역사회 주민들의 발달장애인 접촉경험과 인식 연구

        김예성(Ye-Sung Kim),하웅용(Woong-Yong Ha) 한국발달장애학회 2021 발달장애연구 Vol.25 No.2

        발달장애인의 실질적인 사회통합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지역사회 주민들의 발달장애인에 대한 인식변화가 중요하며, 발달장애인과의 접촉경험은 발달장애인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효과적인 방안으로 거론된다.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 접촉경험과 발달장애인에 대한 인식 수준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발달장애인친화 마을공동체 사업을 수행한 의왕시 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통합방법론을 활용하여 양적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지역주민 256명이 참여한 설문조사 결과 조사대상자들의 발달장애인 접촉경험과 발달장애인에 대한 인식수준은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마을공동체 사업 참여 경험을 지닌 15인의 지역사회 주민을 대상으로 실시한 FGI 분석 결과, 발달장애인과의 접촉을 통해 발달장애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발달장애인과 교류하면서 이들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모습을 찾아볼 수 있었다. 또한 발달장애인의 사회통합을 위해 지역사회에서 이들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려는 노력과 함께 발달장애인 당사자와 가족도 사회에 참여하려는 의지를 지닐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발달장애인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기 위한 제도적 실천적 방안을 제안하였다. For the practical social integration of the developmental disabled, it is important to change the perception of the developmental disabled people in the community, and the experience of contact with the developmental disabled is considered as an effective way to improve understanding of the developmental disabl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of contact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 level of awareness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 integrated methodology was used to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analyze the residents of Uiwang City who carried out community project for the developmental disabled. According to the survey conducted by 256 local residents, the level of awareness of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 experience of contact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f the subject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FGI analysis conducted on 15 community residents who have experience in community projects showed that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al disability and to accept them naturally while interacting with the developmental disability through contact with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it was suggested that the parties and familie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hould have a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society as well as efforts to actively accept them in the community for social integration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nstitutional and practical measures were proposed to improve the awarenes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KCI등재

        학령기의 발달장애인 및 비장애인 자녀를 양육하는 보호자의 스트레스 수준 비교와 발달장애인 자녀의 장애 심각도가 보호자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미국 NSCH 데이터를 중심으로

        하예나,전주영 한국발달장애학회 2022 발달장애연구 Vol.2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stress levels of caregivers raising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non-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school-age children, and to analyze the association of the disability severity on the caregivers stress by using big data. A chi-square tes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tress levels of caregivers raising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non-developmental disabilities childre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association of the disability severity on the stress level of caregivers. The statistical program used SAS 9.4. It was found that caregivers rais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d a higher stress level than caregivers raising children with non-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 more severe disability and the more overlapping disability than single disability, the greater the caregivers str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quantitative evidence data to support previous studies were provided. In the future, policies and interventions according to the life cycle and disability severity should be studied for support and intervention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caregivers rais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학령기의 발달장애인 및 정상 발달 중인 비장애인 자녀를 양육하는 보호자 스트레스 수준을 비교하고, 발달장애인 자녀의 장애 심각도가 보호자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발달장애인 및 비장애인 자녀를 양육하는 보호자의 인구학적 특성과 스트레스 수준을 비교하기 위해 카이제곱검정을 하였고, 발달장애인 자녀의 장애 심각도가 보호자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통계 프로그램은 SAS 9.4를 사용하였다. 발달장애인 자녀를 양육하는 보호자가 비장애인 자녀를 양육하는 보호자보다 스트레스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발달장애인 자녀의 장애 심각도가 높을수록, 단일장애보다 중복장애일수록 보호자의 스트레스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사전 연구들을 뒷받침 할 양적 근거 자료를 마련하였다. 앞으로 발달장애인의 지원과 중재는 발달장애인 당사자와 발달장애인 자녀를 양육하는 보호자를 위해 생애주기 및 장애 심각도에 따라 고려되어야 한다.

      • KCI등재

        「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과 「장애인복지법」의 비교 및 개정 필요성에 대한 연구

        정연제,이준상 사회복지법제학회 2023 사회복지법제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장애인의 인간다운 사람과 권리보장을 위한 일반법인 「장애인복지법」에 따라 설치 및 운영되는 장애인권익옹호기관의 장애인학대 사례지원 절차와 발달장애인의 특성과 욕구를 반영하여 발달장애인에게 적합한 지원을 하기 위한 특별법인 「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설치 및 운영되는 발달장애인지원센터의 권리구제지원 절차를 비교하여 그 유사성을 확인하고, 「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 발달장애인을 위한 특별법으로서 기능하기 위해 같은 법과 「장애인복지법」에서 개정되어야 할 조항을 제시하며, 「장애인복지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범죄 신고인에 대한 불이익조치 금지 규정을 「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도 도입하여 신고인이 발달장애인에 대한 유기등 범죄에 대한 신고로 인해 불이익조치를 당하지 않도록 규정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 특별법으로 기능하기 위해 「장애인복지법」 상 설치 및 운영되는 장애인권익옹호기관의 지원대상에서 발달장애인을 제외하여 발달장애인에 대한 지원은 발달장애인지원센터를 통해 이루어지도록 할 필요가 있고, 직무상 발달장애인에 대한 유기등 사건을 인지한 수사기관은 장애인권익옹호기관이 아닌 발달장애인지원센터에 그 사실을 통보하도록 할 필요가 있으며, 발달장애인지원센터 또는 수사기관에 발달장애인에 대한 유기등 범죄를 신고한 신고인에게 불이익조치를 할 수 없도록 하는 규정을 신설하여 신고인을 보호할 필요성이 있다는 점을 서술하였다. This study compares the procedure for supporting abuse of the disabled by the disabled rights advocacy agency with the procedure for supporting rights relief of the developmental disability support center to confirm the similarity, in order for the Act on the Guarantee and Support of Rights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function as a special law for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upport for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hall be provided only through the Support Center for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vestigation agencies that investigate cases of abuse against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hall notify the support center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imed at suggesting that it is necessary to prevent disadvantages from being taken to reporters who have reported abuse crimes against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KCI등재

        발달장애인의 법적 지위와 주거지 결정권— 발달장애인의 탈시설화를 중심으로 —

        조성혜 한국사회법학회 2023 社會法硏究 Vol.- No.51

        The basis for the deinstitutionalization theory is that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are involuntarily admitted to the facility, isolated from the local community, deprived of their freedom, and live helplessly for a long time: such isolated facility life itself violates the human dignity and right to pursue happiness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However, a sudden turn to deinstitutionalization without a complete support system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e community is tantamount to driving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ir families to their limbs. If deinstitutionalization proceed without sufficient preparation, th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ir parents who must protect them will suffer the most.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annot live their daily lives without the help of others, and in particula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are violent and aggressive do not know when and in what circumstances they will take unexpected actions. Above all, since the direct parties to deinstitutionalization are the parent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first thing to do is to listen to them to decide whether to deinstitutionalization should be made. In the case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y cannot escape the facility environment in that they must always be cared for by others at group homes. Therefore, rather than forcing the deinstitutionalization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through legislation,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need care of the facilities should choose facilities, and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prefer group homes should be guaranteed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the developmental people with disabilities (guardians) to move to group homes. However, since it is not desirable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be continuously isolated from the community, it is worth considering how to transfer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to the community. 최근 장애인 정책에 가장 큰 갈등을 불러일으킨 이슈는 장애인의 탈시설화이다. 탈시설론의 근거는 장애인을 비자발적으로 시설에 입소시킨 후 지역사회로부터 격리시켜 장기간 수용생활을 하도록 하는 것이 인간의 존엄성과 행복추구권을 침해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탈시설화가 충분한 준비가 없이 진행될 경우 가장 큰 피해를 입는 사람은 당사자인 발달장애인과 그들을 보호해야 하는 부모이다. 탈시설 후 발달장애인이 가정으로 돌아갈 경우 자녀를 시설에 맡겼던 부모는 자녀를 돌보기가 어렵고, 대안으로 그룹홈 등을 이용한다 해도 발달장애인은 항시 다른 사람으로부터 돌봄을 받아야 한다는 점에서 시설적 환경을 벗어날 수 없다. 지역사회에 장애인 지원체계가 완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무작정 탈시설로 급선회하는 것은 발달장애인과 그 가족을 사지로 내모는 것과 다름 없다. 무엇보다 탈시설의 직접적 당사자가 발달장애인과 시설 이용장애인의 부모라는 점에서 탈시설 여부를 결정할 때는 가장 먼저 그들의 의견을 경청하여야 한다. 따라서 장애인의 탈시설을 입법으로 강제할 것이 아니라 시설의 돌봄이 필요한 장애인에게는 시설을 선택하도록 하고, 그룹홈을 선호하는 장애인에게는 그룹홈으로 이전하도록 발달장애인(보호자)의 자기결정권을 보장해야 할 것이다. 다만 발달장애인이 지역사회로부터 지속적으로 격리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점에서 장애인거주시설을 지역사회로 이전시키는 방안은 검토할 가치가 있다.

      • KCI등재

        발달장애 여부가 장애인의 일상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타인 의존도, 차별 경험, 여가·사회활동의 병렬매개효과

        이수현,정혜은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20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6 No.2

        Based on the social model,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disabled people and the medication effects of dependence on others, discrimination, and leisure/social activ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life satisfaction. The sample consisted of 4,025 disabled people (406 disabled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3,619 disabled people without developmental disabilities) from the 2018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PSED). Using the PROCESS macro in SPSS, the results showed that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negatively related with life satisfaction. Dependence on others, discrimination, and leisure/social activitie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life satisfaction.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associated with (1) higher levels of dependence on others and discrimination and (2) a lower level of leisure/social activities, which in turn reduced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among disabled people.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indirectly call for policie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have been socially excluded such as promotion of social participation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이 연구는 발달장애인이 장애 특성상 장애 인구 안에서도 낮은 일상생활만족을 경험하고 있을 가능성에 주목하였다. 이때 사회적 모델을 바탕으로 하여 발달장애 여부가 일상생활만족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타인 의존도, 차별 경험, 여가·사회활동 등 사회적 요인들이 매개할 것이라는 연구 가설을 세웠다. 연구모형 검증을 위하여 2018년 장애인고용패널 2차웨이브 3차조사에 참여한 장애인 4,025명(발달장애인 406명, 비발달장애인 3,619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먼저 SPSS 20.0를 활용하여 주요 변수의 기술통계치와 발달장애 여부에 따른 차이,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이후 PROCESS Macro의 모형 4를 활용하여 병렬매개효과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발달장애 여부는 장애인의 일상생활만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타인 의존도와 차별 경험, 여가·사회활동이 이를 매개하였다. 특정간접효과 대비 결과 여가·사회활동과 타인 의존도에 의한 간접효과가 차별 경험에 의한 간접효과보다 높았다. 한편 사회적 요인들이 매개 요인으로 투입되었을 때 발달장애 여부의 직접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특히 발달장애인의 여가·사회활동 지원과 자립 지원을 중심으로 한 정책적 노력이 발달장애인의 일상생활만족 증진에 효과적일 수 있다는 실천적 의의를 제시한다.

      • KCI등재

        고령 발달장애인 근로자의 노화 경험과 고령화 대책으로써 직업의 의미: 장애 당사자와 가족 관점에서 근거 이론적 접근

        김소현,김대규,김현진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2023 재활복지 Vol.27 No.3

        This study examines the experiences of aging and Work life among elderly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analyzes the meaning of employment and support measures as strategies for addressing their aging process. To achieve thi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mployed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ged 40 and above, as well as with families of elderly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research findings reveal the following key elements: as causal conditions, the phenomenon of aging in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contextual conditions, the social realities perceived by elderly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the central phenomenon, perceptions regarding aging among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intervening conditions, responses to the aging process in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strategies for action/interaction, coping mechanisms for aging among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as outcomes, changes resulting from the Work life of elderly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ir demands for support in achieving a stable life in old age. The derived categories were structured and examined in relation to the conditions and categories using the paradigm analysis framework of grounded theory. Based on these findings, policy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practice are suggested to promote a stable and fulfilling life in old age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rawing on the foundations of grounded theory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