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근대 수원지역 유지 나중석의 생애와 활동

        한동민(Han Dongmin) 나혜석학회 2013 나혜석연구 Vol.3 No.-

        나중석(羅重錫, 1878~1970)은 근대 수원지역의 대표적 유지로서 모범적인 삶을 살았던 인물이다. 수원 나주나씨의 종손으로 상당한 토지를 관리하며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였다. 대한제국기 자강운동의 주체로서 기호흥학회와 수원 국채보상운동을 이끌었다. 또한 수원의 대표적 사립학교인 삼일학교를 비롯한 근대적 교육운동을 주도하였다. 1910년 일제의 강점으로 번잡한 성안을 떠나 1915년 수원군 봉담면 분천리로 낙향을 통한 일제에 협력하지 않는 소극적 저항의 삶을 선택하였다. 그리고 지역의 유지로서 주위의 가난한 이웃에 대한 경제적 배려와 관심을 저버리지 않았다. 그 구체적 실천으로 소작인들의 도조를 감해주거나, 이웃을 가난한 사람들의 세금을 대신 내주는 등 선행을 지속했다. 또한 지역의 현안에 대하여 관심과 애정을 갖고 대응하였다. 그 대표적 사례로 1910년대 수원지역 유지들이 도모한 ㈜수원전기와 팔달은행 설립에 동참한 일이다. 이는 근대 산업발전의 핵심 사업인 전기와 자본형성의 결정적 사업인 은행설립에 관여한 것이다. 그러나 팔달은행 설립 노력은 일제의 비협조로 결실을 맺지 못하였다. 나중석은 낙향 이후 일제강점기 친일에 따른 정치적 오염에서 스스로 벗어나 자족과 안분낙도의 삶을 걸었다. 스스로 일체의 정치적 활동을 자제하고 나주나씨 종손으로서 종중 현양사업과 스스로의 저술활동 및 후손들 교육 사업에 노력했을 뿐이다. 이에 지역유지로서, 전통적 독서인으로 친일의 오명에서 벗어나 일제강점기를 부끄럽지 않게 살았던 양심적 지식인이 될 수 있었다. 해방 후 시대적 요구를 먼저 파악하고 많은 토지를 소작인들에게 무상으로 분배하는 선구적 업적을 만들었다. 즉 1946년 3월 분천리 일대 전답 26정보(7만8천평)를 무상으로 마을의 61호에게 인구비례로 분배하고, 1만5천여 평은 마을 공동경작지로 제공하였던 것이다. 본인은 자손들의 동의를 얻어 전체 소유전답 30정보 가운데 자작할 수 있는 4정보만을 남기고 전답 26정보와 집터 52곳 1만여 평을 무상으로 나누어주었던 것이다. 이는 유상분배의 농지개혁이 실시되기 훨씬 이전의 일로 남한 최초의 무상 토지분배 사례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나중석은 수원지역에서 존경받는 유지로서 자족적인 삶과 이웃과 함께 하는 삶이 어떠한 것인가를 실천으로 보여준 진정한 독서인의 전범이었다. Rha jungseok (羅重錫, 1878~1970) is the cousin of Rha hyeseok and a figure that represents modern Suwon. As the eldest grandson of the Naju Na family, he was trusted by his acquaintances as one of Suwon community’s key influences. He was active as a government official during the Korean empire era, but left his position after 1906. He led the Movement of Compensation for National Bonds in Suwon and the Suwon branch of the Gihoheunghakhoi (patriotic enlightenment group progressed as a part of the movement to recover national rights). He also contributed in educational activities, such as establishing schools, including Samil School. In the 1910’s, he also made effort in modern industrial development, by being involved in establishing an electricity company and bank, together with the community’s influences. However, when the country perished, he left the prosperous fortress in 1915, and retired to Buncheon-ri of Bongdam-myeon, where the tombs of ancestors were located. By choosing a life that does not cooperate with the Japanese imperialism, he was able to break away from the pro-Japanese political contamination. He refrained from any political activities and devoted himself in enlightening his family, personal writing work, and educating his descendants. All the while, his consideration towards poor neighbors continued. He continued to show kindness as a community influence by reducing the sharecrop of sharecroppers, and paying the taxes of poor people. The greatness of Jungseok Na particularly soared in the year after emancipation, when he distributed 30ha of his own land to around 60 sharecroppers at no cost, in March 1946. The country’s first free voluntary land distribution was a commemorative event in South Korea’s history of farmland revolution. The townspeople happily established a monument for him in the town entrance. Jungseok Na lived to a great age past 90, and was this land’s true reader who displayed what the life of a true scholar should be, through his actions.

      • KCI등재

        聾巖李賢輔山水詩의 山水樂과 意境

        고승관(Ko, Seung-Gwan) 한국시조학회 2018 시조학논총 Vol.48 No.-

        이 글은 농암시가(聾巖詩歌)가 산수문학(山水文學)의 전형적(典型的) 작품(作品)으로 문화사적(文化史的) 원형(原型)을 이루었다는 점을 중심으로 농암시가의 산수문학적(山水文學的) 접근(接近)과 해석(解析)을 통해 그의 시가에 내재된 의경(意境)을 파악하고 산수락(山水樂)의 성격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치사귀은(致仕歸隱)의 성격과 분천(汾川) 농암(聾巖)바위에서의 유상(遊賞)의 양상을 살피고, 경세학적(經世學的) 실천유학(實踐儒學)의 실현으로서의 도덕실천(道德實踐)과 구로회(九老會)를 중심으로 한 영남사림(嶺南士林)과의 활발한 교류 양상을 살폈다. 그리고 농암의 어부가(漁父歌)에 내재된 고의전승적(古意傳承的) 성격과 독창적(獨創的) 서경(叙景)의 전형제시(典型提示)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농암시가에 내재된 산수락(山水樂)을 설명하였다. 첫째, 산수미(山水美)의 발견(發見)과 긍정적(肯定的) 서정(叙情) 영역의 확장이다. 농암은 반세기에 가까운 관리생활을 순탄히 마치고 스스로의 의지로 치사귀은(致仕歸隱)하여 산수를 즐기며 노년의 삶을 개척하였다. 이는 농암이 산수미를 발견하고 긍정적 서정을 확장할 수 있었던 심리적 환경이 되었다. 둘째, 치사귀은(致仕歸隱) 후 농암은 산수유상(山水遊賞)을 통한 현실초탈의 초연한 심경과 산수락을 농암(聾巖)바위와 점석(簟石)을 통해 정신화하였다. 이를 통해 산수경물의 의경(意境)을 내면화하고 객관적 사물과 주관적 가치를 융합하여 정신적 시경(詩境)을 개척하여 산수경물의 상호교융을 통한 의경의 형상화를 시도하였다. 셋째, 자족(自足)의 심경(心境)과 분천가단(汾川歌壇)의 형성(形成)이다. 농암의 부귀(富貴)와 공명(功名)을 동반한 장수(長壽)의 삶은 그에게 생의 목표를 분명히 할 수 있는 여유를 제공하였고, 그의 시가가 인생의 여유로움과 통찰, 그리고 자족(自足)의 심경(心境)을 노래하게 되는 기반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농암은 영남사림과의 교류를 통해 분천유상(汾川遊賞)의 감정을 공유하게 되니 이를 분천가단(汾川歌壇)이라고 하였다. 넷째, 체험적 서정의 형상화를 통한 산수의경(山水意境)의 전형제시(典型提示)이다. 「어부가(漁父歌)」에 형상화 된 산수락(山水樂)은 현실적이며 즉 물적인 유가적(儒家的) 성격(性格)의 산수락이니, 농암은 고의전승(古意傳承)을 통해 그 참된 의미를 깨닫고 체험적 실천을 통해 독창적 서경을 형상화 하였다. 또한 유교적 이념이 반영된 자연친화적 산수락은 퇴계에게 큰 영향을 미쳤고 고산에게까지 이어져 유가적(儒家的) 가어옹(假漁翁)의 전형(典型)을 제시(提示)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underlying poetic concept and define features of love for nature in Nongam(聾巖)’s poems through explan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a nature lover. It’s believed that Nongam’s works are typical literature describing love for nature. This study examined features of politics’ life in seclusion and mellow time on the Jeomseok(簟石) flat rock in Buncheon(汾川) village. This study also examined practical morality as practical confucianism of politics and active exchange between the Gurohoe(九老會) and the confucian scholar group in Yeongnam region. Transmission of old philosophy and creative description of nature underlain in Nongam’s Eobuga were researched and love for nature in his poems were explained. First, beauty of nature was more discovered by Nongam and positive feeling was expanded. Nongam had retired from work as an official worker before he voluntarily decided to live in seclusion to enjoy the nature and pioneered his later life. This provided the psychological surrounding where he could discovered the beauty of nature and expand positive feeling. Second, Nongam sublimated the transcendence of reality and love for nature through Nongam rock and Jeomseok flat rock after he began to live in seclusion. By doing that, he tried to shape poetic concept of mountains and streams through interchange of natural objects by internalizing poetic concept of nature, fusing objective matters and subjective value and pioneering the mental poetic landscape. Third, self-sufficiency was developed and Buncheon(汾川) poem circle was formed. His wealthy and honorable long life offered opportunities to set up life goals and to write his poems that describe relaxed life, insight and self-sufficiency to him. Nongam shared the feeling of mellow time in Buncheon (汾川) with the confucian scholar group in Yeongnam region. The poem group was called Buncheon(汾川) poem circle. Fourth, Nongam tried to show filial piety and brotherly love in his life as a governor. He was categorized into the politics-focused early confucian scholar group. After he retired, he fulfilled the life of filial piety and brotherly love through Aeildang(愛日堂) detached house and Gurohoe(九老會). The active exchange with the confucian scholar group in Yeongnam region was significant literature activity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Fifth, Nongam’s poems suggested prototype of poetic concept about nature by shaping up experiential feeling. Love for nature in Eobuga(漁父歌) is realistic, practical and confucian. He realized real meaning of the love by transmission to next generations and formed creative poetic landscape by action. His love for nature that confucianism ideology reflected on largely influenced Teogye and Gosan and suggested prototype of confucianism based secluded life.

      • KCI등재후보

        국립전주박물관 소장 도자기의 보존 : 백자장군과 분청사기조화어문큰항아리

        이해순,윤은영 국립중앙박물관 2007 박물관보존과학 Vol.8 No.-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팀에서는 국립지방박물관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국립전주박물관에서 의뢰한 소장품 도자기 12점을 보존처리하였다. 이 논문은 처리완료된 12점의 도자기 중에서 백자장군(전주97)과 분청사기조화어문큰항아리(전주5630)에 대한 것으로 백자장군의 처리과정에서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여 제작기법 및 용도를 조사하였으며, 파손범위가 넓은 분청사기조화어문큰항아리의 효과적인 처리과정에 대하여 소개한다. As part of supporting projects, the conservation science team of National Museum of Korea has treated 12 items of the porcelains entrusted by Jeonju National Museum for conservation. This paper is about the porcelains called the rice-bale-shaped battle white porcelain (No. Junju 97) and the big jar with incised fish design buncheon ware (No. Junju 5630) among the 12 items of porcelains finished with treatment, and by analyzing the information collected in the process of treating the rice-bale-shaped battle white porcelain, the manufacturing method and the use of the needle was presumed. As the big jar with incised fish design buncheon ware had been damaged extensively, it was unclear whether it could be repaired or not, but now I am going to introduce how it can be repaired more efficientl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철도관광의 협력적 거버넌스 사례연구: 분천역 산타마을 개발사례를 중심으로

        이응대(李應大),기영석(奇英錫) 한국정부학회 2019 한국행정논집 Vol.31 No.4

        본 연구는 철도운영기관과 지방자치단체, 지역주민 등이 협력하여 시골 간이역을 관광자원으로 개발한 사례를 협력적 거버넌스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한 사례연구이다. 철도운영기관이 주도한 5대 철도관광벨트사업 중 분천역 산타마을은 협력적 거버넌스를 통해 성과를 거둔 성공적인 사례의 하나이다. 본 사업에서 철도운영기관의 리더십은 이해관계자를 설득하고 참여시키는 주요 동력으로 작용하였으며, 협력과정에서 ‘작은 승리’를 거쳐 선순환하며 발전하였다. 그러나 리더십만으로는 철도관광분야에서 협력적 거버넌스가 제대로 작동하기 어렵기 때문에 지속가능한 거버넌스로 결속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며, 협력 초기 단계 부터 모든 이해관계자가 포괄적으로 참여하고 신뢰를 바탕으로 이익을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적 접근이 요구되었다. 본 사례 연구는 철도운영기관과 협력적 거버넌스를 성공적으로 조직하고 운영하는데 중요한 정책적 함의를 제공한다. This study introduces a rail tourism product developed by a rail operator,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community members to improve the old rail station into the local attraction. We analyze this case study in terms of the cooperative governance model. This tourism project has been evaluated as one of the most successful stories that achieved by cooperative governance model in the rail tourism business. While the leadership of the rail operator contributes to persuade and encourage stakeholders to participate the development process, the project has been developed through “the small victory” in the middle of cooperation stages. This study reveals that the suitable institutional device in support of the sustainable governance is required to achieve the cooperative governance in the field of rail tourism, as the leadership would not the sole factor to make it work. We also found it needs to be considered the trustworthy systematic approach that shares the profits from the first stage of cooperation to encourage all stakeholders being participated. This case study presents important policy implications to one who needs to organize and operate the cooperative governance with railroad compan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