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농산물 계약재배 유형별 계약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이향미 ( Hyang Mi Yi ) 한국협동조합학회 2015 韓國協同組合硏究 Vol.33 No.1

        This study conducts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factors that affects the satisfaction of contract cultiva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for each retail outlet, using surveys and ordered probit model for highland cabbage farmers, and seeks for ways of expansion for agricultural products contract cultivation. After examining the factors that affect the satisfaction of contract cultiva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for each retail outlet, age is the only factor that has a negative(-) figure in the satisfaction of vegetable yard dealing with producing dealer, which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it is found that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age and the satisfaction of vegetable yard dealing. Also, for cooperative unit membership, contract cultivation with Nat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NACF) has a positive(+) figure, which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it is found that there i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ooperative unit membership and contract cultivation with NACF. Debt of farms was a variable that indicates significant effect to the satisfaction probability of contract cultivation with NACF, but it is found not significant to the satisfaction of vegetable yard dealing. Among the variables of selecting agricultural products dealer, income stability is indicated as significant to contract cultivation with NACF, but it is found not significant to the satisfaction of vegetable yard dealing. Meanwhile, when considering the convenience of working, the satisfaction of vegetable yard dealing has a positive(+) figure, which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it is found not significant to the satisfaction of contract cultivation with NACF.

      • KCI등재

        채소농가의 계약재배 참여 횟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강혜정 ( Kang Hye-jung ),이용선 ( Lee Yung-sun ) 한국식품유통학회 2017 食品流通硏究 Vol.3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number of participation in contract cultivation of Korean vegetable farmers. This paper examines the impacts of farm characteristics on the number of times that participated in contract cultivation, using the count data model for the period of 2011∼2015. To rectify excessive amount of `0`compared to the assumed distribution in the count data, zero-inflation Poission model is employed. The results find that the number of cultivated contracts is higher as the number of contractual arrangements in terms of prices is changed. Thus, standardized and stable contracts can be an incentive for farmers to participate in contract cultivation.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contract cultivations increased when dealing with agricultural cooperatives, kimchi and food companies. The number of contract cultivation of winter cabbag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garlic onion, but that of spring radish was lower than that of garlic onion.

      • KCI등재

        노지채소 계약재배 사업의 효과 분석

        안병일 ( Byeong-il Ahn ),박준기 ( Joonkee Park ) 한국농업경제학회 2017 農業經濟硏究 Vol.58 No.1

        Contract cultivation guarantees the price paid by farmers who join the contract, therefore it is regarded as an effective tool for stabilizing farmers` income. However, contract cultivation may instigate over or under production, depending on the market situation. This paper develops a theoretical model that shows the negative and positive effects on the income of the farmers who are joining and not joining the government-subsidized contract with farmers` cooperative. A simulation model is designed for assessing the effects of contract cultivation. Analytical results indicate that contract cultivation leads to the change in revenue for the farmers who joined the contract by 66.48 to -26.35 percent for napa cabbage and by 6.89 to 13.12 percent for garlic.

      • KCI등재후보

        1930년대 인삼업의 성장과 삼포민의 활동 -특별경작구역 이외 지역을 중심으로-

        양정필 고려인삼학회 2023 인삼문화 Vol.5 No.1

        This article focuses on changes in the ginseng industry in the 1930s in areas other than the Government Contract Cultivation (GCC) zones. A major characteristic of the ginseng industry in the 1930s was the rapid increase in the area covered by ginseng gardens: the area was about 212 ha in 1929 and 252 ha in 1930 and 1931 but soared to around 441 ha in 1938. This occurred because the non–GCC areas increased significantly during this period. Until the early 1930s, the ratio of GCC to non–GCC areas was 70:30. By the late 1930s, however, the ratio had changed to 53:47. The reason for this change was that the area of the newly established ginseng gardens in the GCC zones had decreased, while that of the non–GCC ginseng gardens had steadily increased. Due to the Japanese invasion of China, China boycotted red ginseng, and exports were sluggish, so the GCC areas were reduced. On the other hand, the non–GCC ginseng gardens were not affected, and the area they covered steadily increased. As a result, in the 1930s, the ginseng industry outside of the GCC areas grew rapidly. The region that led the growth of the ginseng industry outside of the GCC zone was Jeonbuk. By the late 1930s, Jeonbuk dominated the other provinces and accounted for more than 50% of the non–GCC farming zone. Gyeongbuk and Gangwon–do followed Jeonbuk in terms of ginseng cultivation areas. While Gyeonggi–do, Gyeongnam, and Chungbuk were also active in ginseng cultivation, Jeonnam and Chungnam were not active. In the 1930s, the growth of the ginseng industry outside of the GCC zones was driven by the efforts of ginseng farmers and the support of local governments. An examination of Yecheon–gun in Gyeongbuk, Ganghwa–gun in Gyeonggi, and Jecheon–gun in Chungcheongbuk–do showed that ginseng farmers orga-nized cooperatives as the ginseng industry steadily developed in these regions, and these cooperatives worked systematically to cultivate and sell ginseng. In the case of Ganghwa–gun, activities were carried out to incorporate the GCC zone. The Deoksan Ginseng Association in Jecheon–gun determined that financing for cultivation was key and requested subsidies from the provincial government. Administrative authorities also supported the activities of the ginseng farmers. The activities of the farmers and the support of the administrative authorities together led to the growth of the ginseng industry during this period.

      • KCI등재

        산지 농협의 계약재배 실태 분석

        이향미 ( H M Yi ),고종태 ( J T Goh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구 농업과학연구소) 2015 강원 농업생명환경연구 Vol.27 No.1

        강원도 고랭지 배추의 계약재배 농가는 2005년 248농가에서 2011년 122농가로 6년 사이에 51%가 감소하였지만 계약재배 물량은 같은 기간 동안 42,438 ton에서 33,094 ton으로 약 22% 감소하는데 그쳤다. 현지조사 결과 강원도 고랭지 배추의 주산지인 삼척시의 경우 주 작목이 고랭지 배추에서 풋고추로 전환되고 있는 등 강원도 지역 내에서 고랭지 배추 대체품목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현지조사 결과, 농협과의 계약재배가 농가 소득 안정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주기는 5년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농협과의 계약재배가 농가소득안정에 기여한 올해(2011년)는 고랭지 배추 산지 가격하락으로 농협중앙회 강원지부는 계약한 농가에 한해 농가당 ``산지폐기자금``으로 60만8천원/10 a를 지원하였지만 비계약 농가는 농가 스스로 물량을 처리할 수밖에 없었다. 2010년 배추 파동 이후 정부가 배추 면적을 확대하고 농협과의 계약재배를 장려함으로써 2010년 29,778 ton보다 11% 정도 계약물량이 증가하였다. 하지만 이와 같은 정부의 인위적인 계약재배 물량의 증가는 해당 산지농협의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강원도 산지농협의 현재 고랭지 배추 계약재배 실태를 비교·분석한 후 이를 통한 산지농협 계약 확대방안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및 시사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강원도 산지농협들의 계약재배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먼저 계약재배사업의 목적을 분명히 해야 한다. 소비자 물가안정인지 농가소득 안정인지를 설정 한 후에 산지농협의 계약재배 사업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고랭지 배추 가격이 급등할 경우 소비자 물가안정을 위해 중국산 배추를 수입한다면 생산농가들의 소득이 감소될 것이다. 만약 정부가 물가안정을 목표로 배추 가격 상승으로 인한 소비자 물가상승 우려 때문에 배추를 수입한다면 산지농협의 손실에 대해서는 정부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강원도 고랭지 배추에 대해 판매를 전담 할 수 있는 기구의 설립이 필요하다. 강원도 고랭지 배추의 주요 판매처를 보면 강릉K농협D지점과 평창D농협은 90%이상을 도매시장에 상장하고 있고 태백T농협은 90% 이상을 농협유통을 통해 시판하고 있다. 반면 정선N농협은 100% 김치공장에 납품하고 있고 정선Y농협, 평창D원협, 평창D, 농협B지점도 주로 김치공장과 계약을 하고 있다. 따라서 강원도 산지농협들의 "강원도 고랭지배추 산지연합단(가칭)"설립하여 산지 농협의 판매업무를 대행 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산지유통인들은 전국의 작황 등을 살펴 본 후 장기적으로 판매처를 개척하지만 산지농협실무자들은 업무상의 제약으로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3년 이상 같은 업무를 수행 할 수 없다. 따라서 산지유통인에 비해 전문성 향상이 어렵기 때문에 전문적으로 강원도 고랭지 배추 판매처를 확보하고 판매를 담당할 수 있는 전문기관 설립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현재 농협중앙회 소속의 채소사업단에서 계약(매취)한 배추에 대해서 판매까지 하고 있지만 강원도 산지농협은 수탁과 매취를 함께 실시하고 있다. 따라서 농협중앙회와는 별개의 조직으로 강원도 산지농협들이 주축이 되어 독립성을 유지할 수 있는 "강원도 고랭지배추 산지연합단(가칭)"에서 각각의 산지 여건에 맞는 판매처를 확보할 것을 제안한다. 셋째, 고랭지 배추 관리 및 마케팅에 관한 전문 지식이 있어야 일반 산지유통인과 경쟁할 수 있다. 현재는 순환 직 업무체계로 인해 전문성 향상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고랭지 배추 계약재배를 담당하는 전문가를 장기적으로 육성하여 생산 농가들에게 산지유통인과 같은 수준의 정보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계약재배 사업은 힘든 업무로 인해 직원들이 꺼려하고 있으므로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담당업무 실무자에 관한 처우 개선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산지 농협의 고랭지 배추 계약재배 활성화의 기본방향은 유통사업에 대한 재배 농가 만족도 극대화를 먼저 추구해야 한다. 하지만 아직까지 계약재배를 통해 산지 농협 조합원의 만족도 향상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부족한 실정이다. 현장 조사 결과, 정선 Y농협의 경우 "병충해 등 농가과실로 인해 손실이 발생했을 때 계약금을 환원해야 한다"또는 정선 N농협의 경우 "천재지변, 병충해 발생 등으로 인한 계약재배 물량 감소분에 대해서는 계약금만 환원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천재지변이나 병충해 발생(농가 과실 제외)으로 인한 계약 물량 감소분에 대해서는 소득을 보전할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하여 고랭지 배추재배농가들의 농협 계약을 선호하도록 하는 현실적인 정책 수립이 가장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2011년 고랭지 배추를 계약 재배한 산지농협만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므로 산지 농협의 경쟁주체라 할 수 산지유통인의 역할과 고랭지 배추 생산자 분석 및 이들의 상호역할에 대해서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For our agriculture, of which the formation is small holding farm structure, securing competitiveness at the stage of producing shipment and steady and stable trades through contracts are important for income stabilization and farming plan of the farm households. About 80% of Kangwondo summer chinese cabbages are handled by agricultural produce shippers, thus, in order to expand contract cultivation between the producers and the agricultural cooperatives of the producing areas, it is necessary to offer an inducement that corresponds to the economic advantages offered by the produce shippers. This study has made an observation over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contracts set forth by the Agricultural Cooperative of major producing areas of Kangwondo alpine cabbage, and analyzed the priority order of the contract cultivation expansion policies of producing Agricultural Cooperative.

      • KCI등재

        지역사회 공동체 형성을 위한 농업교류에 관한 연구

        최락인(Rack-In Choi)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07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2 No.5

        본 연구는 개성공단에 진출한 우리 인력과 북한주민들에게 우리 농산물을 제공할 것인가에 대한 대응방안을 모색하고 향후 북한지역과의 지역사회 공동체 형성을 위한 농업교류에 대한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지역사회 공동체 형성을 위한 농산물 계약재배를 추진하기 위해서는 첫째, 북한 체제를 이해해야 한다. 둘째, 계약재배 시 제한품목인 경우 북한과의 계약이전에 통일부와 품목, 생산량 등을 협의하여 추진해야 한다. 셋째 구체적으로 계약에 임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정부의 법적·제도적 정비와 정책적 지원이 계속 내실있게 추진해야 하며 남북간 지역 공동체 형성에 있어 의회, 기업, 민간단체, 학계 등의 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국제적인 지원을 유도하는 데도 적극 나서야 한다. This study aimed to present the policy scheme for agricultural interchange forming community group with North Korea through counterplot providing our agricultural products to Korean labor who advanced Kaesong industrial complex and North Korean workers. Trying to promote agricultural products contracting cultivation for forming community group as follows: First, we must understand North Korean political system. Second, on occasion to contract cultivation about limited items. we will drive to consult item and agricultural output with the Ministry of National Unification before contracting with North Korea. Third, dealing with contraction in the concrete. Finally, it must be supported by government and international level.

      • KCI등재

        학교급식 친환경농산물의 가격실태 분석과 시사점 - 충남 친환경 학교급식을 중심으로 -

        김호 ( Kim Ho ) 한국유기농업학회 2020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28 No.4

        School food services using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E.F.A.E) have been promoted by school food service center (S.F.S.C) of each county in Chungnam. Since Dangjin S.F.S.C was established for the first time in 2011, 13 S.F.S.Cs have been established in 13 counties of Chungnam. 9 S.F.S.Cs of them have been managed directly by each county and 4 S.F.S.Cs of them managed by contracted cooperatives. Price deviation of 8 foodstuffs (rice, radish, spinach, cabbage, scallion, onion, garlic and potato) which are consumed much relatively was showed differently by counties. And in the average price of 8 foodstuffs, that of foodstuffs produced within the county was lower than that of produced in Chungnam and domestic. Also,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of school foodstuffs was lower than that of retail market because S.F.S.C has procured school foodstuffs by contract cultivation between each S.F.S.C and producers. Contract cultivation effected on E.F.A.E price stability and producers’ farm income.

      • KCI등재

        농산물 생산 및 판매 실태에 관한 사례 조사

        고종태 ( Jong Tae Goh ),이향미 ( Hyang Mi Yi ) 한국식품유통학회 2013 食品流通硏究 Vol.30 No.2

        ‘2010년 배추파동’ 이후 정부는 2011년 1월 노지채소 위주의 수급안정 사업 개편을 통해 농산물 수급안정 및 유통구조 개선방안을 제시하였지만, 전창곤 외(2011a)의 지적처럼 일선농협이 위험을 감수하고 생산자와 계약재배를 확대하는 것은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농협과의 계약재배 확대를 위해서는 해당 작목 생산 농가들의 생산 및 판매 실태에 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해당 작목의 재배면적 결정은 지역의 경제·사회적인 조건과 함께 생산농가의 경영조건 및 생산자 농민의 결정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경제현상을 수요와 공급 측면에서 균형 분석을 하려면 공급 측면을 알아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하에서 본 연구는 계약주체인 지역농협과 계약대상자인 재배농가로 한정하여 고랭지 배추 재배농가들의 생산과 판매에 관한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계약재배 확대를 위한 정책적인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및 시사점을 재배농가의 의사결정 과정을 중심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랭지 배추 재배농가들은 생산 및 판매에 관한 중요한 의사결정을 내릴 때 외부인(전문가)에게 청하여 그들의 통찰력을 활용하는 것이 부족하고, 단지 경험을 통한 반응적인 학습에 불과하여 주요 의사결정에 있어서 판단에 대한 피드백이 없다. 즉, 고랭지 채소재배는 암묵적인 지식과 관행농법에 크게 의존하고 있어 체계화된 기술 축적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것은 고랭지 배추 재배농가들의 평균 재배경력이 26.0년임에도 불구하고 생산및 판매에 관한 자신감 부족으로 이어지고, 또한 전문지식 습득도 어렵게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의사결정의 최종 단계는 피드백이므로(Drucker et al., 2009) 정보 모니터링을 통해 그에 따른 기대치와 실제 상황과의 차이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세부적인 실행 방안을 결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지역별로 체화된 재배기술을 체계화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한 방안으로 해당 지역의 우수 재배 농가를 기술력이 부족한 농가와 연결하는 매칭(matching)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역 여건에 맞는 재배 기술을 습득하는데 용이하고 축적된 지식과 이를 통한 지역 내 재배농가들의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올바른 의사결정을 위해서는 계약주체간의 협상이 필요하다. 하지만 고랭지 배추는 품목의 특성상 품질의 차별화가 어렵고 불완전한 시장정보와 기술력을 가진 개별농가차원에서 일반 산지유통인, 농협, 특히 정부를 상대로 한 협상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고랭지 배추 재배농가들의 협상 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규모화된 생산자(연합)조직의 결성이 필요하다. 개별 농가는 생산단계에서 출하단계까지 정보의 교환을 비롯한 협력 관계를 유지하지만 동시에 제한된 시장하에서는 경쟁관계에 있다(이향미 외, 2012b;우종현, 2006). 따라서 변화된 유통환경 하에서 교섭력 향상을 위해서는 공동 판매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작목반 구성 농가들의 기술력을 높이고 운영은 기존의 내부 농업인이 아니라 전문 경영인을 도입을 고려해 볼 수 있다(이향미 외, 2012b). 즉, 지역사회의 집단적 대응인 지역사회 공동의 농업경영권이 필요하다. 다만, 현재 ‘한국 무·배추 생산자 연합회’기 창설되어 있지만, 이 단체는 지역 농협과 영농법인이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으므로 농협 단위가아니라 개별 생산자들의 자발적인 성격의 결성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왜냐하면 강릉과정선 지역의 경우 자발적인 작목반 형성으로 지역 농협을 통한 계약재배를 안정적으로 정착시켜 확실한 판매처를 확보하고 있기 때문이다. 셋째, 계약 재배 확대를 위해서는 의사결정자들 사이에 갖고 있는 정보의 양이 다른 데서 파생하는 정보의 비대칭(asymmetry of information)을 해결할 수 있는 정부, 농협, 농민의 올바른 관계 정립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의사결정자들 사이에 가지고 있는 정보량이 상이할 경우 결정의 합리성이 제약받기 때문이다(박기양, 2004). 이를 위해 먼저 정부는 농협과 재배농가의 매개역할로 계약재배에 따른 어려움을 개선시킬 수 있는 정책적 개선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정부의 시장 개입에 대해 “시장 원리를 뭉게버리는 행위”라는 부정적인 인식이 높은데, 그 이유는 정부가 시장에서 형성된 가격에 따라 주로 시장보다 늦게 비축물량 방출 및 수입 등을 통해 개입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장 반응에 따른 즉각적인 정부 개입이아니라 매뉴얼에 따른 투명하고 개방된 방식으로 정부 개입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농협은 지역 여건에 맞은 계약 재배 조건을 다시 정립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현재와 같은 물량 계약일 경우 이상 기후로 인해 계약 물량을 맞출 수 없거나 풍작으로 인해 시세하락으로 잉여물량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포전매매와 같은 안정적인 판로로서의 계약 재배 확대를 위해서는 지역 농가들이 원하는 계약 조건을 수렴하고 이를 반영하는 계약 재배 정책 집행이 필요하다. 물론 이를 위해서는 재배농가의 계약 재배 물량에 대한 ‘무한책임’의식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와 함께 시세 상승에 따라 계약을 파기하는 “삐뚤어진 농심”에 대해서는 페널티 부과로 성실히 계약 의무를 수행하는 농가와의 도덕적 해이(moral hazard)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는 고랭지 배추 재배농가들이 당면한 생산과 판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개인적 의사결정(individual decision making)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따라서 산지 유통의 의사결정 참가자인 산지 수집상, 농협, 그리고 정부의 의사결정 참가 유형을 함께 고려한다면 더욱 바람직한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Because unstable vegetable prices make it more difficult to manage farms and delay farmer`s decision making process, there should be institutional supports to help farmers decide their farm produces` future sales prices. To help provide the measures and improvement plans, previous researches usually used quantitative analysis on contract farming or lump sum transactions employing surveys and a statistical approach. However when people decide on certain issues generally, they acquire information by verbally interacting with other people and adjust their own thoughts and attitudes. In other words, qualitative analysis is required to understand the decision makers` or the farmers` experiences and perception. This research aims at comprehending highland cabbage farmers who produce cabbage based on the contract with local NongHyup, Nat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 especially on their production and sales experiences. The research, to see the stakeholder`s interaction in certain context and their decision making in production- and sales- related process, it has conducted contextual analysis on certain situations related with the research topic. The research is also used in-depth discourse analysis on the subjects` interaction.

      • KCI등재

        양파농가의 공동체의식이 참여만족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이정세 ( Lee Jungse ),마지영 ( Ma Jiyoung ),이남수 ( Lee Namsoo ),백경문 ( Baek Koungmoon ),장동헌 ( Jang Dong-heon ) 한국농촌계획학회 2021 농촌계획 Vol.27 No.1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the farm’s sense of community on participation satisfaction by participating in the contract cultivation of onions. To this end, we investigated the participation satisfaction with the sense of community’s emotional connection, fulfillment of need, membership, and influence.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sense of community of onion farmers, the definition of need, membership, and influenced participation satisfaction and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was also shown to affect sense of community in the order of membership, Influence, fulfillment of need, and emotional connec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orm a continuous relationship with the leader and Nonghyup, to lead to improved farm income, induce pride as a member of participating farmers, and form a positive perception among onion farm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